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

        김바로(Kim, Ba-Ro)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3

        디지털인문학은 인문학과 정보기술이 합쳐진 융합학문으로서 인문학의 위기를 타개할 인문학의 미래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도 문화콘텐츠의 이름으로 인문학과 정보기술을 융합한 인문학의 대안을 제시하였고, 인문학의 산업화 영역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렇기에 인문학 연구를 위한 방법론에 집중하고 있는 디지털인문학을 통하여 문화콘텐츠의 성과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글에서는 한국에서의 디지털인문학 발전을 위한 토대 작업으로써 미국, 타이완, 일본, 중국의 디지털인문학 정책과 연구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미국은 학계에서 발전시켜온 디지털인문학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더해져, 자료의 수집과 분석 및 교육 등의 인문학 전 영역에 걸쳐 새로운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타이완은 정부의 강력한 디지털인문학 지원 정책을 통해서 디지털인문학을 발전시키며 아시아의 디지털인문학 선두주자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일본은 정부의 지원은 미미한 상태이지만, 학계차원에서 서구의 디지털인문학을 받아들이며 제 나름의 방식으로 디지털인문학을 흡수하고 있다. 중국은 디지털화에만 치중하는 디지털인문학 초기 발전 단계를 밟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형 디지털인문학 토대구축을 위한 해외선진사례 분석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하여 간략하게나마 부록을 통하여 해외 주요 디지털인문학 문헌과 프로젝트를 소개하였다. Digital humanities is an integrated discipline that has been emerged as a result of disciplinary convergence between traditional humaniti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is new academic discipline is currently considered as the future of humanities, especially in the recent situation where the “crisis of humanities” prevails all over the world. In Korea, the alternative to pass through the humanities crisis was presented under the title of “cultural contents,” producing a large number of significant achievements in terms of commercializing the research results. However, these achievements are expected to be further improved and expanded by incorporating diverse efforts made in digital humanities, whi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new methodologies for humanitie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national policies for and current research trend of digital humanities, in particular in the United States, Taiwan, Japan, and China, so as to establish a solid foundation for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the United States, as the academic circles continuously tried to develop the concept of digital humanities with the positive support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the scope of digital humanities projects has been expanded towards data mining, data analysis, and new digital forms of education. The Taiwanese government provides substantial support through various national policies for developing digital humanities, and the country, as a result, has emerged as the leader of digital humanities in Asia. Although only receiving minimal governmental support, the Japanese academia adopts the US and European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ies to integrate them into their own ways.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in China concentrate on digitalizing sources, and thus are still in the rather early stages. Finally, in the appendix, the paper includes a brief overview of the major digital humanities monographs and projects overseas, as a basis of analysis for providing a foundation for digital humanities in Korea.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불교학

        김바로(Kim, Ba-R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6

        본 논문은 디지털인문학의 관점에서 불교학과 디지털의 융합 연구 방법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우선 데이터의 영역에서 현재 불교 데이터가 안고 있는 데이터 품질의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해서 기계가독형데이터와 시맨틱웹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지금까지의 인간가독형데이터의 개념에서 벗어나서 컴퓨터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중요시 하는 기계가독형데이터 중에서도 인문학의 다양한 의미 관계를 서술할 수 있는 시맨틱웹 개념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불교 지식 체계로의 응용모델인 불교 인공지능 윤리모델을 제안하고, 불교 데이터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고도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다음 분석과 해석의 영역에서는 언어 분석, 사회네트워크 분석, 공간 분석의 현황과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언어 분석에서는 CBETA 디지털 연구 플랫폼과 유서대응검색시스템[類書對應查詢系統]을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기어(Co-occurrence)를 통한 불경의 개념어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사회네트워크 분석에서는 고승전 사회네트워크 시각화와 편지 공화국의 지도 제작을 소개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불교학 연구를 위한 한국 불교 인물 네트워크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공간 분석에서는 불교전기문학지리정보시스템과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연구를 소개하고, 공간 분석을 활용한 불교 사찰과 풍수 간의 공간 관계성 분석이나 시대별 승려 출신지의 변화 양상 등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각화의 영역에서 CBETA 온라인 열독과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스토리텔링 자원 개발을 소개하고 불교학 데이터와 연구의 시각화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연구자를 위한 문헌 시각화는 원문 정보와 연구 정보의 상호 연계를 통한 연구 효율의 최대화이다. 그리고 일반 불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시각화는 종이 매체에서 벗어나 디지털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기술(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을 활용하여, 일반 불자가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거나 물리적인 접근이 힘든 대상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d the fusion study method of Buddhism and digital issues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humanities. First of all, the problem of the quality of the data currently held by Buddhist data centers in the area of data and the solutions were discussed, centering on the concept of machine-readable data and the semantic web. I emphasized the Semantic Web concept, which is able to describe various semantic relations of humanities among machine readable data, which is important to inform computer more information from the concept of human readable data. Based on this, the Buddhist AI ethical model, which is an application model for a digital Buddhist knowledge system, was proposed and a method for upgrading Buddhist data was specifically put forward. Then, in the area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 discussed the present situation with and possibilities of language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Regarding linguistic analysis, the “CBETA digital research platform” and “Leishu Corresponding Inquiry System” (類書對應查詢系統) were introduced, and the possibility of Buddhist research using the language analysis method was suggested. In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s, I introduced the “visualization of the Memoirs of Eminent Monks (高僧傳) social network” and “Mapping the Republic of Letters” project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tudying Buddhism using network analysis. In the spatial analysis, I introduced the “Gaoseng Zhuan GIS system” (佛教傳記文學地理資訊系統) and “the drift node visual network in the Joseon Dynasty,”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tudying Buddhism using spatial analysis. Finally, in the visualization part, I introduced the “CBETA online reading” (線上閱讀) and “digital storytelling resource development of Korean documentary heritage,” described the visualization of Buddhist data. Visualization for researchers is the maximization of research efficiency through linkage of original inform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Multimedia visualization for general Buddhism uses a new technology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etc.) that can be used in digital by moving away from the paper medium and enhancing accessibility to subjects in which general Buddhist text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or difficult to access can do.

      •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인문데이터의 역사와 과제

        김바로 ( Kim Ba-ro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19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인문 데이터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4차 산업 혁명시대의 인문 데이터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처음에는 컴퓨터에서 문자를 인지하는 문자 인코딩의 발전사를 아스키코드부터 유니코드까지 살펴보고, 문자 인지의 본질에 대해서 고민하였다. 그 다음에 인간가독형 데이터와 기계가독형 데이터의 개념을 살펴보고, 초보적인 단계의 기계가독형 데이터인 말뭉치(코퍼스)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이후, 기계에 의한 데이터 의미 부여 방법인N-gram과 Word2Vec을 살펴보고, 그 장단점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와 반대항인 인간에 의한 주동적인 데이터 의미 부여 방법인 시맨틱웹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데이터 발전을 바탕으로 미래의 인문 데이터의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humanities data so far and examine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humanities data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first, I looked at the development history of character encoding that recognizes characters in computers from ASCII code to Unicode, and I was worried about the essence of character recognition. Then, the concept of human readable data and machine readable data was examined, and the corpus structure, which is a basic machine readable data, was examined. After that, we examined N-gram and Word2Vec, which are data meaning-giving methods by machines, and discuss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he semantic web, which is a method of giving the meaning of the main data by the opposite term, was explored. Finally,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data, the aspects of future human data were examined.

      • KCI우수등재

        부끄러움/창피함/쑥스러움/수치스러움/수줍음간의 관계 고찰

        아림(Kim, Ahrim),김바로(Kim, Ba-ro) 한국언어학회 2018 언어 Vol.43 No.3

        This paper revisits the relationship between lexemes representing five emotional concepts in Korean, pwukkulewum, changphiham, sswuksulewum, swuchisulewum, swucwupum, which are often translated in English as ‘embarrassment.’ We reanalyze the relationship by examining actual usages of the above five emotions, using the 21st Century Sejong Corpu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ontextual difference between each emotion.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analyses such as co-occurring noun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 show the contextual commonalities of the five emotions, their contextual differences, as well as the semantic/contextual closeness that exist between them.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a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way of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emingly analogous concepts, but also provides a novel approach to examin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a lexical item in a quantitative manner.

      • KCI등재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조 연구 방법 탐색 -『한국시조대사전』 수록 단형시조를 중심으로-

        성문(Kim, Seong Moon),김바로(Kim, Ba-r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4

        인류는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급격한 변화를 마주하고 있다. 이는 인류의 삶에 커다란 변화를 주고 있고, 문학 연구 또한 예외가 아니다. 본고는 이러한 변화에 부합하여,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새로운 고전문학 연구 방법론을 디지털 분석 기법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탐색해 보고자한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시조대사전』(박을수 편저,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2)에 수록된 4,736수의 시조 작품 중에서 장형시조를 제외한 4,127수를 대상으로 하여 계층 분석과 딥러닝을 활용한 디지털 분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계층 분석을 통해서 수록 편수가 30수 이상인 13명의 작가에 대한 작가별 시조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어휘와 어휘의 조합 양태가 유사한 4개의 그룹을 추출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딥러닝을 통하여 1600~1800년대까지의 작품을 대상으로 시조 창작 연대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현해 보았다. 시기별로 예측의 정확도가 동일하지는 않았으나, 향후 작가 미상의 작품들이 창작된 연대를 예측하고, 연대별 작품의 특성을 살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기존에 형태소가 일치되는 시조만을 검색할 수 있었던 전통적인 검색 방법에서 한 걸음 나아가, 시조에 대한 딥러닝 의미 검색을 구현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나 문장(Query)과 형태소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내용적으로 유사한 의미를 지닌 작품을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이는 방대한 분량의 시조작품을 주제별, 혹은 키워드 별로 분류하고 분석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연구 방법이 오롯이 전통적인 연구방법을 대체할 수는 없겠지만, 새로운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의 모색과 시도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Humanity is facing a drastic change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is changing human life, and literary research is no exception. In line with these change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new classical research methodologies for the changing times in terms of the use of digital analysis techniques. For this purpose, out of 4,736 sijo works contained in the “Korean Sijo Dictionary” (Park Eul-Su, Asiaculturehistory publishing house, 1992), 4,127 sijo works were conducted, with the exception of janghyeong sijo, to conduct digital analysis using hierarchical analysis and deep learning. First of all, through hierarchical analysis, 13 writers with more than 30 episodes were analyzed for the similarity of the progenitor, and as a result, four groups with similar vocabulary and vocabulary combinations were extracted. Next, through deep learning, we have implemented a model that can predict the age of creation of sijo for works from 1600 to 1800s. Although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s was not the same for each period,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date in which the unknown works of the artist were created in the futur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by regiment. Finally, we took a step further from the traditional search method in which only the morphemes were able to search for matching sijos, and implemented deep learning semantic search for sijo. This enabled the extraction of works with similar meaning in content in order of high similarity, even if the keywords or sentences that were to be searched and the morphemes did not match. I think this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will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required to classify and analyze vast amounts of sijo works by subject or keyword. Although research methods using digital analysis techniques discussed above may not replace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it is hoped that they will be able to secure their own significance in that they are seeking and attempting new research methods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new era.

      • KCI등재

        미국 인문학재단 (NEH)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사업

        현(Kim, Hyeon),김바로(Kim Ba-Ro)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이 글은 미국 디지털인문학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우리나라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시책 개발에 참고가 되게 하려는 목적에서, 미국 인문학재단이 디지털인문학 진흥을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지원 프로그램 및 이를 통해 수행되고 있는 디지털인문학 연구 프로젝트의 실제 내용을 조사, 분석, 정리한 것이다. 미국 인문학재단(NEH)의 디지털인문학단(ODH, Office of Digital Humanities)에서 지원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의 유형은 5가지이다. 그 첫 번째인 ‘디지털인문학 초기 조성 지원금’(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은 디지털인문학의 경험이 없는 순수 인문학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연구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금이다. 본격적으로 디지털인문학 연구의 수행이 가능해지면, ‘디지털인문학 실행 지원금’(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을 통해서 실제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인문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지원금’(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을 통해서 전통 인문학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교육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인문학 빅데이터 분석 과제’(Digging Into Data Challenge)는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를 인문학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 하고 있으며, 독일의 연구진흥협회(DFG)와 공동으로 미 · 독 양국의 협력 연구팀을 선발 · 지원하는 ‘NEH/DFG 디지털인 문학 협력 프로그램’(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은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NEH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는 전통적인 인문학에서 다루어 오던 연구 주제를 디지털 시대에 디지털 기술의 도움을 받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성과를 도출하려는 시도가 주류를 이룬다. 중요한 시사점은 이러한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의 전 과정이 인문학 연구자들의 주도로 이루어지며. 디지털 기술의 이해와 운용 또한 인문학자들 스스로 담당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개인 연구보다는 공동 연구를 지향하며,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 소통을 강조하여 연구 과정에서의 학제 간 공동연구 방법이나 연구 결과의 완전 공개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도 NEH 디지털인문학 육성 프로그램에서 의미 있게 짚어보아야 할 사항들이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urvey is mainly focused on the various projects supported by the Office of Digital Humanities (ODH)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NEH). The grant programs offered by the NEH include the 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 which support the initial stages of planning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as well as the 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 which are involved with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research projects. Also, the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is designed to support training programs for humanities scholar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n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ies. The Digging Into Data Challenge seeks for a new research method to use big data tha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diverse digitalization projects, and the 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 displays exemplary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s for humanities research. The most fundamental implications of the NEH’s Digital Humanities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actors of the researches should be humanities scholars whose academic bases are on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Second, a certain kind of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to transform these scholars into “digital humanities scholars,” since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methodology related to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uch training program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projects and properly supported during the initial phases for promoting digital humanities. In Korea, along with digital humanities, “cultural content” studies have been emerged as a result of methodological convergence between humanities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Cultural content studies in Korea succeeded in achieving positive outcomes in terms of industrial application of humanities studies. However, unlike the United States, this approaches turned out to be insufficient for providing solid foundation for humanities studies and innovating relevant research methodologies. It is expected that Korean humanities researchers will discover a mutual, complementary progress both for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and the applied humanities contributing to creative industries throug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of the world.

      • KCI우수등재

        우리는 서발턴의 목소리를 들을 준비가 되었는가?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영화 〈82년생 김지영〉 리뷰 분석

        여신(Lu, Chen),김바로(Kim, Ba-ro)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8

        본 논문은 영화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관객 평점의 양극화 현상의 특징과 그 사회적·심리적 원인을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통해서 탐색했다. 우선 네이버 영화에 등록된 46,424건의 리뷰를 수집·분석한 결과, 성별, 세대, 관람 여부에 따른 평점 격차가 존재했다. 이에 형태소 분석을 통해, 관객의 무의식적 관심을 가장 잘 반영하는 일반명사를 추출하여 살펴봤다. 또한 일반명사 가운데 1) ‘공감’, 2) ‘여자’와 ‘여성’, 3) ‘엄마’와 ‘어머니’, 4) ‘세대’, 5) ‘육아’, ‘주부’와 ‘결혼’과 같은 출현 빈도가 높은 형태소를 대상으로 평점대별 Word2Vec 연산을 통한 의미 탐색을 진행했다. 그 결과, 영화 〈82년생 김지영〉에서 평점의 양극화가 만들어지는 사회구조적 원인과 집단적 무의식의 양상에 다가갈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젠더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대두 되고 있는 갈등과 분열의 근본적 원인이 소수자 내지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 부족에서 비롯되었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전사회적인 공감능력 향상을 위해 인문학 소양 향상, 특히 소수자를 대변하는 콘텐츠의 제작과 공유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ation of audience reviews for the film, 〈Kim Ji-young, Born 1982〉, as well as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causes by adopting the text mining method. First, the analysis on the 46,424 collected reviews from the movies section of Naver, a Korean online platform, showed that the ratings differ according to gender, generations and whether they actually watched the film or not. Thus, through the analysis on morphemes, common nouns that can best reflect the unconscious interest of the audience were extracted for the research. Also, with the morphemes that have high frequencies among the common nouns, such as 1) “empathy” 2) “women” and “female” 3) “mom” and “mother” 4) “generation” and 5) “child rearing,” “housewife,” “marriage,” their meanings were explored through the Word2Vec calculation depending on the ratings. The results led the research team to the socio-structural causes and aspect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at brought about the polarization of the ratings from the film, 〈Kim Ji-young, Born 1982〉.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earch team decided that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conflict and split, which have been arising in Korean society, lie in the lack of empathy for the minority or others as well as gender, and thus, suggests creating and sharing contents that can enhance knowledge in the humanities and especially, represent the minority as an alternativ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capability for empathy throughout society in general.

      • 동양 시간LOD 시론

        이혜영 ( Lee Hye-young ),김바로 ( Kim Ba-ro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18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1 No.-

        본 논문은 디지털에서의 동양 시간 체계의 설계와 시간 데이터 편찬을 위하여, W3C의 시간 온톨로지(OWL-Time)와DDBC(Dharma Drum Buddhist College, 法鼓佛敎學院), 한국천문연구원(KASI,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CBDB(China Biographical Database, 中國歷代人物傳記資料庫), 한국고전번역원(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의 시간 데이터 및 시간데이터 설계를 살펴보고, 서로 상이한 시간 체계 및 데이터를 상호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동양 시간 LOD의 가능성 및 장단점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ime data and time data design for the design of oriental time systems in digital and time data compilation by W3C time ontology (OWL-Time), Dharma Drum Buddhist College (DDBC),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the 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 (CBDB), and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We examin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Eastern Time LOD service, which were interconnected

      • KCI등재

        인공지능에 대한 인간의 감정 고찰 -알파고 VS 이세돌 대국에 관한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강우규 ( Kang Woo-kyu ),김바로 ( Kim Ba-r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3 No.1

        본 논문은 2016년 3월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에 관한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대국 진행에 따른 감정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고, 이세돌과 인간, 알파고와 인공지능의 공기어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간의 감정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그 의미를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에 관한 신문기사는 인간이라는 자아와 인공지능이라는 타자 사이의 대립을 담은 공포문학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보여주었다. 인공지능에 대한 인간의 기대와 공포의 감정을 반영하고 인간의 정신적인 승리로 귀결되는 서사적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서사는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감정인 미지(未知)에 대한 공포의 형상화로서, 인간이 무지(無知)를 자각하고 인공지능을 탐구해가는 바탕이 될 것이다. 인공지능에 대한 인간의 대중적 상상력은 단순히 허무맹랑한 허구가 아니라 이야기 짓는 인간의 근원적 특성으로서 과학의 발전과 상호 침투적이며 보완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ing patterns of emotion in a newspaper article about Baduk match of Lee Sedol and AlphaGo in March, 2016. And We analyze the co-occurring nouns of Lee Sedol, human, AlphaGo, and AI. Do this, we grasp what is human emotion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pret its meaning. A newspaper article on the Baduk match between Lee Se-dol and AlphaGo showed the storytelling method of horror literature, which contains the conflict between the ego of human being and the oth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reflects the human expectation and fear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how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that result in human mental victory. These narratives symbolize the fear of the unknown, which is the fundamental emotion of the human being, and it will be the basis on which humans are aware of ignorance and explore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magination of the public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t merely a fiction but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human beings, which is complementary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 KCI등재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현성록> 연작의 감정 연구

        강우규(Kang Woo-kyu),김바로(Kim Ba-r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소현성록> 연작에 나타난 인물별 발화를 기반으로 인물 간 대화 네트워크와 인물별 감정의 표출빈도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먼저 인물 간의 대화 네트워크는 복수주인공의 이야기를 교직하는 구성방식과 가문의 유지와 번영이라는 가문의식을 반영하는 장르적 특성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인물별 발화에 나타난 감정표출빈도(평균치)는 등장인물의 성격이 해당 인물의 발화나 행동보다는 주변인물과 서술자의 평가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서술자의 의도가 무의식적으로 투영되어 있는 인물의 발화나 행동에 대한 연구가 보다 보완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새로운 방법론을 통하여 기존 인문학적 견해들의 성과를 입증하고, 인문학적 견해들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과 해석의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alogue network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frequency of individual characters based on the character s utterance in <So Hyeon-seong nok> series. First, the dialogue network between the characters shows genre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way of organizing the stories of the heroes and the family consciousness of maintaining and prospering the family. Next,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average value) in the utterance of individual characters means that the character is defined by the evaluation of surrounding characters and descriptors rather than the utterance or behavior of the character.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y on the utterance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whose intention of the narrator is projected unconsciously is raise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can be a starting point of variou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at can confirm the achievement of existing humanistic views and complement humanistic views through the new methodolog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