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성안 진단에서 눈물띠 측정 스트립의 유효성

        문경(Moon Kyoung Kim),지용우(Yong Woo Ji),이형근(Hyung Keun Lee),서경률(Kyoung Yul Seo),응권(Eung Kweon Kim),태임(Tae im Ki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0

        목적: 건성안 환자에서 strip meniscometry를 이용한 눈물 측정치와 기존의 눈물 검사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strip meniscometry 검사의 진단적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를 strip meniscometry를 이용한 눈물띠 측정, 쉬르머 검사, 눈물막 파괴시간,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눈물띠 측정 등을 시행한 후 건성안군(n=46안)과 정상안군(n=30안)을 비교분석하였으며, Spearman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strip meniscometry 측정치와 그 외 검사와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Strip meniscometry를 이용한 눈물띠 수치는 쉬르머 검사(r=0.6080), 눈물막 파괴시간(r=0.5980),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눈물띠 깊이(r=0.6210), 너비(r=0.6080), 면적(r=0.6370) 수치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p<0.01). 또한 정상안군(7.07 ± 2.61 mm) 에 비해 건성안군(4.58 ± 1.94 mm)에서 strip meniscometry 측정치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Strip meniscometry는 건성안 환자 및 정상안 환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기존의 눈물 검사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Strip meniscometry는 쉬르머 검사에 비해 적은 검사시간이 필요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이므로 건성안 환자의 평가에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0):1521-1526>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trip meniscometry test for dye eye syndrome (DES) by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ip meniscometry and conventional test measurements. Methods: All subjects were examined using the Schirmer test, tear breakup time (TBUT) and strip meniscometry using SMTube (Echo Electricity Co., Ltd., Fukushima, Japan). Tear meniscus height (TMH), tear meniscus depth (TMD) and tear meniscus area (TMA) were measured using Fourier-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he DES group (n = 46 eyes) was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n = 30 eyes) and correlation was assessed using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Strip meniscometry measure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hirmer score (r = 0.6080, p < 0.01), TBUT (r = 0.5980, p < 0.01), TMH (r = 0.6210, p < 0.01), TMD (r = 0.6080, p < 0.01) and TMA (r = 0.6370, p < 0.01). Strip meniscometr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ES group (4.58 ± 1.94 mm) than the normal group (7.07 ± 2.61 mm, p < 0.05). Conclusions: Strip meniscomet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conventional test measurements for dry eye syndrome. Strip meniscometry is less time consuming and a less invasive method than the Schirmer test. Strip meniscometry could be an efficient tool to evaluate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in a clinical setting.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0):1521-1526

      • KCI등재

        익상편환자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의 임상결과

        문경(Moon Kyoung Kim),전익현(Ik hyun Jun),태임(Tae im Kim),응권(Eung Kweon Kim),서경률(Kyoung Yul Seo)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7

        목적: 익상편 환자에서 결막봉합 부위에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을 시행한 후 장기간의 임상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단일기관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을 시행 받은 익상편환자 14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을 받은 환자에서의 재발률 및 수술 소요시간을 분석하였다. 동일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을 비교하여 관련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0.2 ± 1.1세(29-86)이며, 평균 수술 소요시간은 11.8 ± 5.8분(5-36)이었다. 총 대상 148명 중 재발률은 4.0% (6/148)로 나타났으며 재수술률은 0.6% (1/148)로 나타났다.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을 비교해 본 결과, 재발한 군에서 환자의 연령이 어렸고, 익상편의 중증도가 높았으며, 양안성으로 발병한 경우가 많았다(p<0.05). 결론: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은 기존의 익상편 수술만큼 안전하며 재발률이 낮은 수술방법이다. 생체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수술시간의 단축 및 봉합사의 감소로 수술 후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어 익상편 수술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는 술식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797-803> Purpose: To analyze the long-term clinical outcomes after use of fibrin glue using a modified mini-flap technique for pterygium surgery.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linical outcome study of 148 subjects that underwent the modified mini-flap technique with fibrin glue from January 2014 to August 2015. We analyzed the recurrence rate and surgical time of modified mini-flap surgery with fibrin glue. We also analyzed associating factors between the recurrence group and non-recurrence group who underwent the same surgery technique. Results: Mean age was 60.2 ± 1.1 (ranging from 29 to 86) years, and mean surgical time was 11.8 ± 5.8 (ranging from 5 to 36) minutes. The recurrence rate of pterygium patients who underwent the fibrin glue using a modified mini-flap technique was 4.0% (6/148), and the re-operation rate was 0.6% (1/148). From the comparison of associating factors between recurred and non-recurred groups, the recurred group was younger, had more severe disease, and had a higher rate of bilaterality than the non-recurred group (p < 0.05). Conclusions: The new approach using fibrin glue with a modified mini-flap technique shows a low recurrence rate compared to the other type of pterygium surgery. The use of fibrin glue shortened operation time and decreased patient discomfort due to fewer remnant sutures. Fibrin glue use in a modified mini-flap technique can be considered as a feasible surgical option for pterygium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797-803

      • SCOPUSKCI등재

        들깻잎과 생산환경의 미생물 분포

        세리(Se-Ri Kim),이지영(Ji-Young Lee),이서현(Seo-Hyun Lee),고현석(Hyeon-Seok Ko),윤요한(Yo-Han Yoon),권세혁(Se-Hyeok Kwon),류경열(Kyoung-Yul Ryu),윤혜정(Hye-Jeong Yun),원일(Won-Il Kim),윤종철(Jong-Chul Yun),두호(Doo-Ho Kim),정덕화(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국내 일일 평균 섭취량이 많은 들깻잎을 대상으로 미생물 안전성을 평가하고 미생물에 대한 오염도를 조사하였고, 검출빈도가 높은 S. aureus와 B. cereus의 오염원을 조사하였다. 들깻잎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일반세균수 수준은 4.82 log CFU/g이었다. 대장균군의 오염수준은 0.83-5.33 log CFU/g으로 농가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50% 농가의 들깻잎에서 4.00 log CFU/g 이상 검출되었다. 또한 병원성미생물 분석결과, E. coli는 3%(4/114)의 들깻잎에서 1.00 log CFU/g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S. aureus의 경우 검출빈도는 7.9%(9/114)였고 1.6%(2/114)의 들깻잎에서 S. aureus가 2.00 log CFU/g 이상으로 다소 높게 검출되었다. B. cereus는 0-3.81 logCFU/g 수준이었고 검출빈도는 46.5%(53/114)였으며 2곳의 농가에서 3.00 log CFU/g 이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한편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그리고 L. monocytogenes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들깻잎 생산환경(토양, 수질, 작업자 및 포장대 등)에서 위생지표세균과 S. aureus와 B. cereus를 조사한 결과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이 대부분의 시료에서 3.00 log CFU/100 cm2 이상 검출되었고 일부 손, 수확용기 및 포장대에서 대장균군이 4.00 log CFU/100 cm2, hand 이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S. aureus는 관개용수, 포장대, 포장비닐, 작업자의 손과 복장에서 검출되었고 검출 수준은 0.33-1.31 log CFU/100 cm2이었다. B. cereus의 경우는 다양한 시료에서 빈번하게 검출되었고 특히 앞서 위생지표세균결과에서 오염도가 높았던 수확용기와 포장대에서 최고 5.50 log CFU/100 cm2까지 검출되었으며 수확 전 들깻잎보다 수확 후 들깻잎에서 B. cereus 수준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들깻잎의 유해미생물 오염은 생산단계부터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사전에 관리하는 GAP제도를 도입해야 할 것이다.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hazardous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from the major perilla cultivation area at Milyang, Gyeongnam province, Korea. Aerobic plate count (APC) and coliform count of perilla leaves were 4.82 log CFU/g and 3.85 log CFU/g, respectively. E. coli, S. aureus and B. cereus were detected in 3.0% (4/114), 7.9% (9/114) and 46.5% (53/114) of examined perilla leaves. However,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The distribution of hazardous microorganisms in perilla leaf cultivation environment were compared and the concentration of APC and coliform counts were more than 3.0 log CFU/(mL, g, 100 cm2, hand) from most of the samples. S. aureus were detected from irrigation water, packing table, packing vinyl, hand, and clothes. Also, B. cereus was frequently detected from the examined samples. Especially, packing table and collection container were contaminated with maximum 5.5 log CFU/100 cm2 of B. cereus.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farms to enhance the safety of perilla leaves.

      • KCI등재

        수직형 정수처리시설의 압력조건에 따른 운영관리 평가

        남경 ( Nam Kyoung Kim ),성수 ( Seung Su Kim ),채선하 ( Seon Ha Chae ),서인석 ( In Seok Seo ) 한국수처리학회 2014 한국수처리학회지 Vol.22 No.4

        A pilot test was caried out to evaluate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 vertical type water treatment plant (WTP), which consists of ultrafiltration (UF), ozonation,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and UV oxidation. Five different cases were tested according to pressure conditions. Operation pressures were controled by adjusting the outlet valve of UV oxidation process and pressure data of unit processes were monitored during the pilot test. As a result, the differential pressures of GAC process for the tests 1 to 5 were 0.19, 0.28, 0.46, 0.71, and 0.15 kgf/㎠, respectively and trans-membrane pressures of UF process were 0.50, 0.60, 0.65, 0.75, and 0.85 kgf/㎠,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operation pressure of a unit process affects that of another unit process, which impacts the performance of all the unit processes. In addition, the higher total differential pressure(GAC differential pressure+TMP), the more use UF active power. Therefore, the pressure control should be very important to operate the vertical type WTP.

      • SCOPUSKCI등재

        들깻잎과 생산환경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독소 유전자와 항생제 감수성 분석

        세리(Se-Ri Kim),이지영(Ji-Young Lee),이서현(Seo-Hyun Lee),류경열(Kyoung-Yul Ryu),박경훈(Kyeong-Hun Park),병석(Byung-Seok Kim),윤요한(Yo-Han Yoon),심원보(Won-Bo Shim),경열(Kyoung-Yul Kim),하상도(Sang-Do Ha),윤종철(Jong-Chul Yu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을 대상으로 276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B. cereus를 분리 하였다. 분리된 B. cereus 200주의 toxicity를 평가하고자 독소유전자와 항생제내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균주에서 11개의 서로 다른 독소유전자 패턴은 확인하였으며 5개의 설사형독소와 구토형 독소를 모두 생성할 수 있는 균주는 21%였다.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는 독소유전자는 nheA(100%), enFM(100%), hblA, C, D(66.5%)였으며 EM은 가장 낮은 빈도(21.0%)로 검출되었다. 항생제 내성평가결과 분리된 대부분의 B. cereus는 18종의 항생제 중 10개의 항생제에 대해서는 감수성이었으나 β-lactam계 항생제인 penicillin(100%), ampicillin(100%), oxacillin(94.9%), amoxicillin-clavulanic acid(95.6%), cefazolin(78.2%)과 비β-lactam계 항생제 rifampicin(58.0%)에 대해서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에서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와 항생제내성 패턴은 서로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들깻잎에 오염된 B. cereus에 의하여 설사형 뿐만 아니라 구토형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들깻잎과 생산환경에서 항생제 저항성 B. cereus가 검출되어 의약계뿐만 아니라 농업현장에서도 항생제내성균주 출현을 예방하는 대책이 요구된다. Two-hundred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cultivation areas in Miryang, Korea were investigated for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Toxigenic patterns of isolates were identified to be 11 groups through toxin gene profiles. 21% of strains isolated from the perilla leaves had both enterotoxin and emetic toxin. Toxin genes entFM (100%), nheA (100%) and hblA, C, D (65.5%)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perilla leaves, whereas EM (21.0%) was less common. Most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10 antibiotics, but they were highly resistant to penicillin (100%), ampicillin (100%), oxacillin (94.9%), amoxicillin-clavulanic acid (95.6%), cefazolin (78.2%), and rifampicin (58.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od-borne outbreak caused by B. cereus might lead to diarrhea and emetic syndromes.

      • KCI등재

        점토광물 함유량을 고려한 땅밀림 산사태 지역의 전기비저항 자료의 해석

        정인 ( Jeong-in Kim ),지수 ( Ji-soo Kim ),이선중 ( Sun-joong Lee ),조경서 ( Kyoung-seo Cho ),종우 ( Jong-woo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21 지질공학 Vol.31 No.2

        산사태 연구에서 풍화대 안에 분포하는 점토광물의 함유량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산사태 발생과 관련된 지하 구조를 파악하고 미끌림 면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지구물리탐사를 수행하는데 특히 전기비저항 단면이 많이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풍화대에 분포하는 카올리나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와 같은 점토광물에 의한 전기전도도의 증가효과(전기비저항의 감소효과)를 해석하기 위해 병렬모델 아치의 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점토의 전기전도도는 광물의 종류 및 그 비표면적과 양이온 교환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간극수의 전기비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매질의 전체 비저항과 지층인자는 작아지는데 카올리나이트에 비해 몬모릴로나이트가 훨씬 작게 나타난다. 또한 공극률이 커지고, 고결인자가 작아질수록 지층인자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점토광물에 대한 병렬모델 아치의 방정식을 현장자료에 적용하기 위해 2014년 땅밀림 산사태가 일어난 충남 태안 신진도리에서 수집되어 처리ㆍ해석된 전기비저항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존의 실험식에서 카올리나이트의 함유량에 따라 결정되는 계수들을 활용하여 풍화대의 전기비저항 값들을 계산하고 이들을 전기비저항 수치모델링에 포함시켰다. 점토 함유량을 변화시켜 만든 여러 개의 이론자료들 중에서 현장자료와 가장 근접하는 모델자료를 선택하여 이에 입력된 점토 함유량 10%를 이 지역의 풍화대에 대한 점토 함유량으로 추정하였다. 땅밀림 연구에서 처음 시도된 전기비저항 자료를 이용한 점토 함유량의 추정기법은 차후 점토함유량 외에 전기비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공극률, 포화도, 간극수의 전기비저항)들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이들을 수치모델링에 먼저 포함시켜 수행할 때 더욱 그 신뢰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Clay mineral content of weathered zone is a key parameter for landslide studies.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is usually performed to delineate the geometry of complex landslides and to identify the sliding surface. In clay-bearing weathered zone, parallel resistivity Archie equation i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ductivity added (resistivity reduced) by clay minerals of kaolinite and montmorillonite, which is dependent on their specific surface area and cation exchange capacities (CEC). A decrease of overall resistivity and apparent formation factor is observed with increasing pore-water resistivity, significantly in montmorillonite. Formation factor is found decreased with increasing porosity and decreasing cementation factor. Parallel Archie equation was applied to the electrical resistivity data from the test area (Sinjindo-ri, Taean-gun, Chungcheongnam-do, Korea) which experienced land creeping in the year of 2014. A panel test with varying clay-mineral contents provides the best fit section when the theoretical section constructed with the assumed contents approaches the field section, from which the clay-mineral content of the weathered zone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0%. Resistivity interpretation schemes including the clay mineral contents for land creeping studies explored in this paper can be challenged more when porosity, saturation, and pore-water resistivity are provided and they are included in the numerical resistivity modeling.

      • KCI등재

        이매방 살풀이춤의 ‘여형화(女形化)’에 대한 논의

        기화 ( Kim Ki-hwa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1

        우리는 이매방의 춤을 이야기할 때 ‘아름답다’, ‘교태적이다’, ‘농염하다’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수사(修辭)는 그의 춤이 다분히 여성적인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매방의 살풀이춤이 여형화의 양식체계로 구축되어 있음을 논의하였다. 춤에서 ‘여형화’란 남성이 여성의 모습으로 춤을 추는 형식, 혹은 양식이라고 할수 있다. 이매방의 춤은 다음과 같은 여형화의 특성을 보인다. 첫째, 이매방의 살풀이춤은 경극의 ‘화단’이나 가부키의 ‘게이세이’와 같이 화려하고 교태스런 배역 특성을 보인다. 둘째, 살풀이춤의 복식은 남성과 여성의 구분을 두고 있으되 상당히 장식적인 여성성을 지향하고 있다. 셋째, 이매방의 양성 지향적인 성 정체성은 탐미적인 미의식으로 확장되어 여형화 된 춤 양식 체계로 환원되었다. 넷째, 이매방 살풀이춤의 기법은 가공된 여성의 신체상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즉, 응축된 근육의 밀도 높은 작용을 통해 신체를 ‘축소’하거나 ‘왜곡’하여 관능적이고 요염한 여성성을 신체상으로 구현하여 춤에 반영하였다. 이상으로 미루어 이매방 살풀이춤은 남성이 추는 여성의 춤, 혹은 기방춤을 전형 특성의 하나로 구축하고 있다고 하겠다. When we talk about Lee Mae-bang's Salpul-i chum, we use the expressions ‘beautiful’, ‘exciting’, and ‘congested’. This knowledge was attached because his dance has a feminine attribute. This study discussed that Lee Mae-bang's Salpul-i chum is constructed as Yeohyeonghwa's aquaculture system. First, Lee Mae-bang's Salpul-i chum exhibits gorgeous and cunning character, such as Peking Opera's 'Huā dàn' or Kabuki's 'Keisei'. In dance[chum], ‘Yeohyeonghwa’ can be said to be a form or style in which men dance in the form of women. Lee Mae-bang's dance show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Yeohyeonghwa. Second, Salpul-i chum's costumes differentiate between men and women, but aim for a highly decorative femininity. Third, Lee Mae-bang's bisexual sexual identity has been stylized into a feminine attitude through aesthetic pursuit. Fourth, Lee Mae-bang Salpul-i chum's technique expresses the processed female body image. In other words, Salpul-i chum expresses the body of a sensual and fascinating woman by 'shrinking' or 'distorting' the body through the dense action of condensed muscles. In this regard, Lee Mae-bang is said to be constructing a male dance or gibangchum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Jeonhyeong[original form].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시행된 각막인레이 삽입술의 초기 임상결과 보고

        문경(Moon Kyoung Kim),이제훈(Jei Hoon Lee),박시윤(Si Yoon Park),지용우(Yong Woo Ji),이형근(Hyung Keun Lee),서경률(Kyoung Yul Seo),응권(Eung Kweon Kim),태임(Tae-im Kim) 대한검안학회 2016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5 No.2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after implantation of a corneal hydrogel inlay (Raindrop Near Vision Inlay) with concurrently performing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to correct presbyopia Methods: Raindrop inlay (ReVision Optics, Inc., Lake Forest, CA, USA) was implanted at non-dominant eyes of 10 patients with presbyopia. Concurrent LASIK was performed for patients who have refractive error. Ophthalmologic evaluation included visual acuities at near, intermediate and far distance, higher-order aberration and complication cases. Subjective satisfaction was assessed by patient questionnaire. Results: Compared to preoperative visual acuity, uncorrected near vision acuity (p=0.045) and far vision acuity (p=0.126) of inlay implanted eye was improved at one year after oper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MS total, coma and trefoil aberration between pre-operative and six month post-operative values. Almost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ask assessment at near, intermediate and far distance. However, two patients removed inlay at six months after operation due to subjective discomfort and another two patients removed inlay at one year after operation due to myopic shift. Conclusions: Raindrop inlay implantation with concurrent LASIK effectively correct presbyopia. However, further long-term investigation about subjective discomfort and refraction change should be needed for confirmation of efficacy and safety.

      • KCI등재

        뇌 손상 정도 및 전두엽 손상 유무에 따른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주관적 정신병리

        경근(Kyoung-Keun Kim),주열(Yeol Joo),진성(Jin-Sung Kim),이종범(Jong-Bum Lee),오룡(Oh-Lyong Kim),서완석(Wan-Seok Seo),배대석(Dai-Seg Bai),구본훈(Bon-Hoon Koo)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0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6 No.1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이하 TBI)환자에서 외상의 심각도와 전두엽 손상 여부에 따른 정신과적 증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998년 7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TBI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들을 손상의 심각도에 따라 경도 뇌손상군(mild TBI, 이하 MTBI)과 중등도 뇌손상군(moderate TBI, 이하 MOTBI)으로 나누고, 이를 전두엽 손상 유무에 따라 각각 전두엽 손상군(frontal lobe injury, 이하 FLI)과 비전두엽 손상군(non-frontal lobe injury, 이하 NFLI)으로 구분하였다. 각 군에 대해 병록지 자료 수집 및 SCL-90-R과 MMPI를 시행하였다. SCL-90-R에서 뇌 손상이 심한 경우 정신증 척도가 높고 증상을 더 많이 호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두엽 손상 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MMPI의 경우에는 경조증 척도가 뇌손상의 심각도와 전두엽 손상 여부 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따라서 뇌손상의 정도가 증가하는 경우 인지기능의 저하에 따른 경조증 증상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Objectiv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ccording to their severity and existent of frontal lobe injury. Methods:S110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ere selected for study. After classifying patients into mild traumatic brain injury(MTBI) group and moderate traumatic brain injury(MOTBI) group with Glasgow Coma Scale score,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frontal lobe injury(FLI) group and non frontal lobe injury(NFLI) group. Psychological tests were administered using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K-WAIS), Symptom checklist 90 revised (SCL-90-R) an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Results:Psychoticism score and positive symptom distress level in SCL-90-R was higher in MOTBI group than MTBI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jury severity and existent of frontal lobe injury in hypomanic scale score of MMPI. Conclusion:Careful evaluation of psychotic and affective symptoms are warranted for TBI patients with increasing severity and existent of frontal lobe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