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중등교사 전보제도 비교 연구

        김갑성(Kim, Kapsung),김미란(Kim, Meeran),김이경(Kim, Ee-gyeong),박상완(Park, Sang-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suggestion which can improve the teacher transfer system in Korea, through comparisons with and analyses of the purpose, the orientation, the standard, and the procedures of the teacher transfer system in Japan as well as their complementary system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the teacher transfer system in Korea is compared with the one in Japan in the four categories of the purpose, the orientation, the standard, and the procedure of the system. For each category,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are presented. The study found that the teacher transfer systems in the two countries are operated under similar purposes, standards, and procedures. However,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detailed representation of the purpose of the system,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principal in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 for a teacher transfer, the reflection of the appointed teacher’s opinion on the transfer procedure, and the experienced teachers’ right to choose the school to be transferred. Through the comparisons stated abo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presented: the simplification and actualization of the purpose of the teacher transfer system,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of experience by changing the standard of a teacher transfer, reinforcement of the principal’s right and responsibilities related to the teacher transfer, a reflection of the teachers’ opinions on the procedures and results of the transfer, and the proper utilization of the teacher transfer system for the resolution of educational disparities.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교사전보제도의 목적 및 방향, 기준, 절차, 정기전보의 보완 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사전보제도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전보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교사전보의 목적 및 방향, 전보 기준, 전보 절차, 보완 제도 등 네 가지 비교 준거를 도출하고, 각 준거를 토대로 우리나라와 일본의 교사전보제도를 비교하여 두 나라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나라의 교사전보제도는 비슷한 목적, 기준, 절차로 운영되고 있었다. 그러나 제도 목적 진술의 구체성, 전보 기준 적용에 있어서 학교장의 영향력, 전보 절차 중 전보 대상 교사의 의견 반영 정도, 경력 교사의 학교 선택권 보장 등의 측면에서 한국과 일본 간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비교 결과를 통해 교사전보 목적의 단순화 및 구체화, 교사들에게 전보를 통한 의도적인 다양한 경험 제공, 학교장의 교사전보 관련 권한 및 책임 강화, 전보 과정 및 결과에 교사들의 의견 반영,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교사전보제도의 적절한 활용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역량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고등학교 교사 역할 탐색

        허주,(Hur Ju)김갑성(Kim Kap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역량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교사 역할을 기능주의적 관점이 아닌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에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교사니까 해야 하는 일로 교사의 역할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학생, 교사-학부모, 교사-교사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교사 역할과 역할이 수행되는 조건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역량교육을 실천하는 고등학교 교사 3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역할 수행자(교사)가 인식하는 역량교육 실천을 위한 역할 및 학생, 학부모, 동료교사와의 관계와 맥락을 탐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도출된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지원과 소통이었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 동료교사와의 관계적 맥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는 학생의 특성과 교사의 연령대가 영향을 주었으며, 학교의 지리적 특성 또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에는 대학입시가 크게 영향을 주었고, 특히 학교의 최근 대학입시 성과가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는 교사들 간의 세대 격차가 영향을 주었고, 학년부 중심의 교무실 사용이 동료교사와의 긍정적 관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역량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교사 역할을 학교 구성원의 관계적 맥락 및 역할 수행의 조건에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하고, 그 맥락과 조건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 roles in a competence education setting through a symbolic interaction theory. Specifically, providing understandings of teacher roles based on teacher-student, teacher-parent, and teacher-teacher relationship was the main focus. Methods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focus-group interview with three high school teachers. The focus of FGI was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roles in competence educ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parents, and fellow teachers. Data was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The data showed two major roles of teachers in a competence education setting, which are support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symbolic interaction perspective, this finding shows that first,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eacher age as well as school’s remote location influenc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econd, in teacher-parent relationship, college admission was a big factor, and recent results of the school’s college admission was affecting teacher-parent relationship. Finally, teacher-teacher relationship was influenced by the age gap among teachers, and using office space based on grade level affected the relationship positively.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s of teacher roles in a competence education setting and school members’ relationship as well as the conditions for teachers’ role taking are presented.

      • KCI등재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남수경(Nam, Soo-Kyong),김갑성(Kim, Kaps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중 교사평가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및 외국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교사평가 내 비교과영역의 의미를 밝히고,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의 교사평가에서 활용되는 비교과영역의 평가지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교사평가지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비교과영역의 개념은 생활지도, 학급경영, 전문성 개발, 상급자나 동료,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나 협력, 기타 행정 능력 등으로 구성되며,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란 이와 관련된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주요국 사례 분석 결과, 미국과 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본의 비교과영역 교사평가의 비중이 높았으며, 3국의 비교과영역 관련교사평가 영역은 학생과의 관계와 수업 외 지도활동, 전문성 개발, 학습 환경 조성,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타 업무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비교과영역 개념 정의와 주요국의 교사평가 중 비교과영역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교사 평가영역으로 학생관리, 전문성 개발, 학습 환경의 조성,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타 업무 능력으로 선정하였고 각 영역의 평가기준(안)을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dices” that can be applied to teacher evaluation, which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carry out this task, literature survey and foreign cas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present the meaning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section in teacher evaluation. Then,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dices used in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ere analyzed to propose a Korean version of the indic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s defined as evaluation of teachers’ability to perform in the areas of life guidance, class management, specialty development, communication or cooperation with higher ranking teachers,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and other types of administration. Analysis of teacher evaluation in non-teaching areas showed that the share of non-teaching area was relatively higher in Japan in comparis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 the three countries consisted in relationship with students, supervision of extra-scholarly activities, specialty development,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s, and other capabilities. Based on literature survey, definition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and non-teaching area assessment in teacher evaluation in major countries, the following realms were proposed as indices (draft)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that can be applied to Korea: student management, specialty development,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nd other capabilities.

      • KCI등재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도덕적 리더십, 교사헌신, 학교조직 효과성 간 구조 분석

        국준봉(Junbong Guk),김갑성(Kapsu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4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도덕적 리더십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매개변수인 교사헌신을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세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6월부터 7월까지 전라북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49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중 427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서 SPSS 21.0과 AMOS 18.0을 사용했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Cronbach’s α값 측정, 빈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장의 도덕적 리더십 및 교사헌신은 학교조직 효과성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장의 도덕적 리더십은 교사헌신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장의 도덕적 리더십은 교사헌신을 매개로 학교조직 효과성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rect effect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moral leadership on school’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direct effect through teacher’s commitment. A total of 49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llabuk-do from June to July, 2020, of which 427 were utilized as data.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1.0 and AMOS 18.0 programs were used, and Cronbach"s α value measurement,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moral leadership and teacher’s commitment had a direct effect on the school’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moral 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on the teacher’s commitment. Third, the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moral leader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chool’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s commitment.

      • KCI등재

        조선시대 선악적(善惡籍)이 교사 양성과정에 주는 의미 탐색

        하동엽(Ha Dong yeop),김갑성(Kim Kaps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선악적의 활용과정에 담긴 의미들을 분석하여 교사들의 도덕성 함양을 위해 교사 양성과정은 공동체성을 지향해야 하며, 각 공동체는 공동체 특성에 맞는 도덕적 준거가 있어야 하고, 도덕적 준거를 반복적으로 활용할 형식인 의례(특별한 행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된 의미들을 바탕으로 국가적 차원에서는 교사 양성기관에 대한 특별한 인식을 통해 각 양성기관에서 도덕적 준거와 의례와 같은 특별한 행사를 위해 참고할 새로운 교직윤리를 정립해야 하며, 양성기관 교수 선발 시 도덕성으로 검증된 자를 선발하고, 교수들의 도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성기관 차원에서는 도덕성을 기록할 방안을 마련하고, 선발기관과 함께 기록을 바탕으로 도덕성이 부족한 자를 걸러내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을 판단된다. The analysis of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Seonak-jeok confirmed that in order to foster teachers morality,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must be oriented towards community, the community must have moral standard in the community, and the ritual(special event) of using moral conformity repeatedly. Based on the analyzed meanings, The provincial office should make a New Teaching Ethics and pick out validate of morality professor in a teacher training institute selecting and train continuously the professor for morality.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a plan to record morality in the institutional level and to consider ways to sort out those who lack morality based on records with the selection agency.

      • KCI등재

        위기상황에서 학교장 리더십 특성 연구

        이태화 ( Lee Taehwa ),김갑성 ( Kim Kapsung ),하동엽 ( Ha Dongyeop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조직이 위기에 처해있을 때, 이를 대처하기 위한 위기관리능력은 모든 조직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최근 코로나 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하여 학교는 그동안 시행된 적 없었던 온라인 개학으로 위기에 봉착하였다. 그동안 기업의 경우 위기상황에 직면했을 때, 최고경영자 즉 CEO에게 필요한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반면, 학교조직을 대상으로 위기상황에서 학교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에 관한 연구와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가 처한 위기상황을 블랜디드 수업을 통해 빠르게 코로나19 상황에 적합한 수업 방식을 정착한 경기도 소재 희망초등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해당 학교장의 리더십과 그 효과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연구 참여자로 희망초등학교 교사 8명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현상에 관한 탐구를 위해 참여 관찰, 심층 면담 두 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위기상황에서 나타난 희망초등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은 ‘과감하게 비전 결정하기’, ‘선제적 교수-학습환경기반 마련하기’, ‘디테일은 존중하기’, ‘조력자로서 기다리기’, ‘경청과 소통으로 교육 가치 공유하기’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해당 리더십을 통해 희망초등학교는 교사들의 자발적 헌신을 통한 온라인 수업이 빠르게 정착되었고, 교사 간 협력적 문제해결 관계가 형성되었으며, 학교장과 교사 간에 신뢰 관계가 형성되어 빠르게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리더십이 발휘 시 상황에 적절한 학교의 의사결정 방식 도입과 더불어 의사결정과정에서 단위학교의 자율성 허용 범위에 대한 논의를 제언하였다. When an organization is in crisis, the risk management ability to cope with it is a matter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rvival of all organizations. Due to the recent spread of the COVID-19, schools faced a crisis with online school openings that had never been implement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leadership and effectiveness of the principal of the school, starting from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and quickly settling the crisis situation of Hope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which is suitable for the COVID-19 situation through the Blended Learning. Therefore, 8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were finally selected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and two methods of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to study the phenomen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that emerged in a crisis situation are represented in five categories: ‘Decide on the vision boldly.’, ‘Laying the foundation for preemptive teaching and learning.’ ‘Respect the details.’, ‘Wait as the helper’, ‘Share educational values through listen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this leadership, Hope Elementary School quickly established online classes through the dedication of teachers,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relationship was formed between teachers, trust relationship was formed between the principal and teachers. As a result, the crisis was quickly overcome.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existing school's decision-making process through awareness of the change in situation when the principal's leadership is exercised and the extent to which the autonomy of the unit school is allow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학생의 수업 몰입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오희정(Oh, Huijeong),김갑성(Kim, Kaps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lass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 4th~9th year. We performed the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z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using 1,706 students’ 6 year term data from middle school first graders to high school third graders in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class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student s class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ppeared to be stable over time. Third, the student s class immersion at the previous time poi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ext time point and the previous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lass immersion at the next time point. As a result, when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lass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bidirectional relationships.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2010 4~9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생의 수업 몰입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 1706명의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6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변인별 기술통계, 상관분석,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학생의 수업 몰입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학생의 수업 몰입과 학업성취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셋째, 이전 시점의 수업 몰입은 다음 시점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도 역시 다음 시점의 수업 몰입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수업 몰입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양방향의 정적인 영향관계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 학생의 교과목 수요를 중심으로

        허주(Hur Ju),김갑성(Kim Kapsung),최수진(Choi Su-Jin),이승호(Lee Se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scussion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rom teachers’ perspective. Specifically, this study provide directions for teacher supply based on analysis of students’ subject choice, and suggestions for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credit system. Data was collected from 29,046 students from 400 high schools, which were randomly sampled, and analyzed in 4 cases with differentiated teacher classroom time and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Results showed, first, with 15.1 hours of teacher classroom time and 24.5 students per class, major subject area had more teachers than students’ need, but in most other subjects more teachers were needed. Second, with 15.1 hours of teacher classroom time and 14 students per class, most subject areas showed lack of teachers, and finally, with 12.0 hours of teacher classroom time and 24.5 and 14 students per class also showed shortage in number of teachers. These findings imply that current number of high school teachers are not sufficiently enough for the credit system. Additionally, with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matter of teacher supply is not simply about the number of teachers, but a realistic approach in terms of satisfying students’ need as well as reducing teacher classroom time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olicy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are suggested.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학생평가, 학사운영 등에 논의가 집중되어 있는 한계를 넘어 교사의 관점에서 고교학점제 관련 논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교과목 수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원수급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교사의 관점에서 고교학점제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400개 고등학교의 학생 29,046명을 대상으로 교과목 수요를 조사하고,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와 학급당 학생 수를 달리 적용하여 각각의 경우에서 필요 교원 수를 추산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주당 수업시수 15.1시간, 학급당 학생 수 24.5명을 적용하였을 시, 주요 교과목에서는 학생 수요에 비해 교사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의 교과목에서는 교사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당수업시수 15.1시간, 학급당 학생 수 14명을 적용한 경우, 거의 모든 교과목에서 교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주당수업시수 12.0시간, 학급당 학생 수를 각각 24.5명과 14명으로 적용한 경우에도 거의 모든 교과목에서 교사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의 고등학교 교수 인력으로는 고교학점제 시행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고교학점제에서 교원수급의 쟁점은 단순히 몇 명의 교사가 더 필요하다는 논의가 아닌, 적정한 교사의 평균 수업시수 및 학급당 학생 수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선 내용을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의 도입과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문적 자본 관점에 기초한 교원능력개발평가 고찰

        문지영(Moon, Jiyoung),노길명(Roh Gil Myoung),김갑성(Kim, Kaps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현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를 전문적 자본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시론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argreaves & Fullan(2012)이 제시한 경영 자본과 전문적 자본의 세 가지 차원(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의사결정적 자본)이 무엇이며 현재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문항 및 시행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전문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의 전문성을 평가한다고 보기 어렵다 둘째, 인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문항은 개별 교사의 역량 및 배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문항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사들의 협력과 집단지성을 유도하기 위해 평가 문항을 개선하고 무엇보다 단위 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평가의 조직루틴(organizational routine)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의사결정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개인 집단의 반성적 성찰이 이루어지도록 단위 학교의 자율과 창의성을 유도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 거리를 제시한다 첫째, 교직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원평가의 자율적 주체인 교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단위 학교의 조직루틴이 되어 교원들 스스로 평가의 주체가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의사결정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은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문항을 통해서 측정하고 판단하기 어려운 요소들이고 단기간에 축적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고민과 고찰은 다양한 관점의 후속 연구를 통해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etical improvement plan by critically examining the current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aimed at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capital. For this purpose, the three dimensions of management capital and professional capital proposed by Hargreaves & Fullan (2012) were examined, and the evaluation questions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current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urrent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evaluates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capital. Second, in terms of human capital,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need to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teachers competence and background. Third, in terms of social capital, the evaluation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should improve the evaluation questions to induce teachers cooperation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bove all,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he unit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as an organizational routine of evaluation. Fourth, in terms of decision-making capital, the evaluation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should induce the autonomy and creativity of the unit school so that reflection of individuals and groups can be done based on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discussion distances are presented: First, a new paradigm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recognized and continuous discussions should be made.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are autonomous subjects of teacher evaluation. Third, teachers should go to the direction of becoming the subject of evaluation by themselves as the organizational routine of the unit schoo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ecision-making capital and social capital are difficult to measure and judge through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evaluation and do not accumulat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consideration and consideration of this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follow-up stu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