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실 자리배치에 따른 긍정적 교우관계 형성 분석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중심으로

        권현범,김종수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arrangement of a teacher’s student seat and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in classroom, which occurs frequently in school but without systematic studies. To accomplish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by 28 high school senior students in Daejeon city, Korea in 2016. To analyze the survey data, structure hole, betweenness, subnetwork, in-degree, out-degree in Netdraw program were used for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subnetworks formed naturally in the class and the students with the lowest intimacy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student seat in the physical classroom where the two subnetworks interact, it was confirmed that peer relationships were formed positively.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체계적인 기준 없이 이루어지는 교사의 자리 배치와 그에 따른 교우관계 형성의 관계성을 밝히려는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년에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문과반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교우관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하위네트워크, 구조적 공백, 친밀도가 가장 낮은 학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물리적 자리배치를 인접행렬로 변환하여 학생간 친밀도와의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위하여 Ucinet 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차이검정 통계를 위하여 SPSS Ver. 20.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학급 내 자연스럽게 형성된 하위네트워크가 4개가 존재하였고, 친밀도가 가장 낮은 학생 1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학생을 구조적공백을 가진 학생 주변에 위치시켰을 때 긍정적인 교우관계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병증에 따른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화문(火門) 처방의 분류와 분석

        권현범,박선동,Kwon, Hyun-Bum,Park, Sun-Dong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08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16 No.2

        東醫寶鑑(DongEuiBoGam)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valuable medical books for Korean traditional medicine. Since 許浚(Heo Jun), the best physician on his day, wrote 東醫寶鑑(DongEuiBoGam), it has been not only a guidebook for basic medical studies, but also a field manual for clinicians. 東醫寶鑑(DongEuiBoGam) is a medical encyclopedia which integrated more than 81 medial classics. And its contents is well organized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each disease. So today most clinics refer to 東醫寶鑑(DongEuiBoGam). But if we just read 東醫寶鑑(DongEuiBoGam) and use the prescriptions without understanding, the effect of medicine will be reduced by half. We should totally understand recipes in 東醫寶鑑(DongEuiBoGam) and be able to change the recipes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each patient's disease. So finding the common traits of the recipes in 東醫寶鑑(DongEuiBoGam) is very important. In this research, the recipes of the fire part(火門) of Various Disease vol. Ⅲ(雜病篇 卷之三)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raits of each herb in the recipes. And new classification of prescriptions according to the community of their traits is also suggested.

      • 지역별 교육연관표 작성에 관한 연구 : 중력모형을 이용

        권현범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지역별 교육연관표를 작성 것이다. 지역별 교육연관표를 통하여 교육인프라 구축 상태, 교육 교역량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출지역의 지역별 교육서비스업의 총생산량을, 이입지역의 지역별 인구규모, 공간거리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교육연관표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우선 지역별 교육량의 추정과 관련하여 서울·경기 지역이 전국 교육량의 대부분인 76.83%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도’보다는 광역시에서 더 많은 교육량을 지니고 있으며 공업지역 일수록 더 높은 교육량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별 교육량 유출·유입과 관련하여 몇 가지 의미 있는 현상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제주도가 가장 유출량이 적었다. 둘째 울산이 가장 교육량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부산으로 교육량이 많이 유출되고 있었다. 셋째 경남과 전남이 가장 높게 교육 교역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론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몇 가지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다. 우선 모형의 단순한 적용으로 교육의 미세한 부분까지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실제로 파라미터 값을 ‘1’로 하였기 때문에 독립변인의 가중치를 고려한 세심한 연구가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행연구는 독립변인의 선택과 그 독립변인의 가중치를 고려한 연구가 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s purpose is to figure out how much an educational quantity flows from one to another city as well as measure the particular area's educational quantity by using Gravity model. And then, this paper's ultimate purpose has to point into making a education-relation table by using the gravity model. In order to make this table, there need three independence variables for applying to the model. One is the educational service outcomes in each city. Another is the population in numbers. The other is the distance between both cities. This paper's conclusion remarks a major concept, educational quantity. This estimated figures could be used as an index appealing the cities' nature, which means how much educational infra-system each city has built in. According to this conclusion, Ulsan City is relatively needed more educational infra-system than others.

      • KCI등재후보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이용한 교육의 의미와 연구 영역 탐색

        권현범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6 교육혁신연구 Vol.2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research domain in educational research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 explore prospective research topics for future studies under the already studied material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itles of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that were published from 1988 to 2013, and analyzed accordingly through KrKwic and NetDraw research tools. First, titles of research papers were classified into separate morphemes and analyzed through KrKwic system. Pedagogical topics then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from ‘reference titles’, ‘common key words’, ‘34 morpheme common key words’, and ‘key words in period’. The relations among these key words were then interpreted by their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subnetwork, structural hole according to NetDraw system. Research findings first showed that the term, ‘education’ was a compound word mixed with the ‘school’ domain and ‘learning’ domain. Second, such pedagogical terms that had been used extensively by 2013 were mainly from the fields of ‘educational psychology’, ‘curriculum’, and ‘educational sociology’. Third, topic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efficacy’,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or ‘ideological education’ were suggested as prospective research topic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학술지 상에 나타난 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교육학 연구 의 주제 분야를 파악한 후 더 연구될 수 있는 교육학 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1988년부터 2013년까지 출판된 한국교육학회지, ‘교육학연구’에 나타난 제목을 대상으로 수집 하였다. 제목을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하여 ‘참조제목’, ‘공통키워드’, ‘34형태소공통키워드’, ‘시대 별키워드’로 분류하였으며, 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통키워드’와 ‘34형태소공통키워드’를 공분산 분석하여 네트워크 이미지로 나타냈다. 과거에 집중적으로 연구된 교육학 영역을 파악하기 위 하여, ‘참조제목’에서 ‘시대별공통키워드’를 공분산 분석하여 네트워크 이미지를 나타냈다. 더 연구될 분야는 하위네트워크와 구조적 공백의 개념을 이용하였다. 공분산 분석은 KrKwic을 사용하였으며, 네 트워크 이미지는 NetDraw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은 ‘학교’ 영역과 ‘학습’ 영역의 상호작용으 로 나타난 개념체로 ‘교육 공간에서 학생이 학습하도록 환경을 조장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까지 활발하게 연구된 교육영역은 교육심리, 교육과정, 교육철학 등이었다. 더 연구될 주제로는 ‘학 업’, ‘성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research domain in educational research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 explore prospective research topics for future studies under the already studied material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itles of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that were published from 1988 to 2013, and analyzed accordingly through KrKwic and NetDraw research tools. First, titles of research papers were classified into separate morphemes and analyzed through KrKwic system. Pedagogical topics then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from ‘reference titles’, ‘common key words’, ‘34 morpheme common key words’, and ‘key words in period’. The relations among these key words were then interpreted by their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subnetwork, structural hole according to NetDraw system. Research findings first showed that the term, ‘education’ was a compound word mixed with the ‘school’ domain and ‘learning’ domain. Second, such pedagogical terms that had been used extensively by 2013 were mainly from the fields of ‘educational psychology’, ‘curriculum’, and ‘educational sociology’. Third, topic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efficacy’,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or ‘ideological education’ were suggested as prospective research topics for future studies. 과 효능감’, ‘교육 환경 변화’, ‘이념과 사상교육’ 등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권현범 ( Hyun Bum Kwon ),천세영 ( Se Yeoung Ch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2

        이 연구는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개념을 이해하고 연구의 동향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스마트교육’으로 키워드를 입력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산출된 자료 393개의 자료 중 교육관련 학회지로 자료를 한정하여 추출된 196개의 자료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NetDra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스마트교육은 다른 유사한 개념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러나 이러닝, 사이버러닝, 유러닝 등의 다른 개념들과는 달리 스마트교육의 고유한 특성은 스마트디바이스의 휴대성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스마트교육의 연구 분야가 상대적으로 편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스마트교육은 사회과학과 기술과학 쪽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정부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세운 2011년부터 급격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추진 전략의 핵심인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관심과 연구 성과가 상대적으로 미진한 모습을 보였다. 넷째, 스마트교육은 교육학의 범주를 벗어난 여러분야로 확장 가능성이 있다. 스마트교육은 기존의 ICT 교육과 달리 학습자가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 장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스마트디바이스의 안정적 운용을 위하여 교과적인 측면에서 벗어난 교수환경 이외의 측면 이를테면 보안관련 연구 및 법적, 제도적 연구가 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smart education as well as the tendencies of the smart education`s research field. In order to carry out this purpose, I searched for each title of papers with typed the keyword ``the smart education`` from 2003 to 2012 on RISS, limiting these all conducted data into the extent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n applying them to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by using the KrKwic program. Finally, I used NetDraw program so as to showing the image of some networks. The study conducts some outcomes. First, smart education is on the extension to the other similar concepts such as e-learning, u-learning, cyber learning, and so forth. In spite of this fact, there is only a smart education`s particular feature. That is what it can have actively been accepted on the nature of the smart device`s portability. Second, the smart education`s research field is being studied partially among various academic fields. Smart education has relatively much been studied mainly on both social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Third, although smart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studied since 2011 when Korea Ministry of Education appointed the digital textbook as a core of a smart education field, digital textbook`s studies are not much more than others. Fourth, smart education has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o the various academic fields over pedagog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CT education types, it is surely said that Smart education has been exploring the new place where students can create a lot of new knowledge as well as share them. Therefore, we do develop the reason and the way to secure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run and operate a smart education in terms of both legal and society system.

      •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인식 속에 내재된 야간 자율학습의 의미

        권현범(Kwon, Hyunbum),김남순(Kim, Namsoon)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21 No.-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대부분 시행하고 있는 야간 자율학습은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육체적 혹은 정신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그 만큼 실질적인 자율학습의 의미와 영향에 관하여 충분한 학술적 연구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의 영어 학습자들이 야간 자율학습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의미와 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양적연구에서는 드러내지 못한 세밀한 부분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취지를 충분히 이해한 D 고등학생 4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한 명당 1시간씩 총 4회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은 학습자들이 야간 자율학습에 대하여 실제로 느끼는 인식 체계와 구체적인 관점을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 공간이며 둘째, 야간 자율학습에는 강제력이 작용하며. 셋째, 야간 자율학습은 학생에게 학습 습관을 형성에 도움을 준다. 넷째, 학생의 야간 자율학습 참여 태도는 감독선생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야간 자율학습의 분위기 형성은 환경과 상호작용 하면서 매우 역동적이고 가변적인 모습으로 조사되었다. 실질적으로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야간 자율학습이 되기 위하여 탄력적인 프로그램 운영, 학생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시간 운영 등의 교육행정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a social problem since the night self-study program, a special after-school program, started more than a decade ago in the high schools in Korea. Even some have experienced serious health problems or depression, and some tried even suicidal attempts. This study examined what has really happened in the night self-study program at a Korean high school, and provided suggestions to prevent any possible problems that might occur at the night self-study programs in Korea. Four participants were chosen randomly from a high school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interviewed four times in December, 2012.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opics related to the participants’perception of the program.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students viewed the night self-study program highly beneficial whereas they could receive immediate help from their peers or from the supervising teacher on the site. Second, the night self-study program tended to be compulsory, and, from that reason, students did not have much choice but to attend the program. Third, the program directed students toward cultivating good study habits due to the regularity of the program. Fourth, both students’and teachers’ attitudes changed a great deal, and fifth, there were dynamic but consistent flows of the on-going program every hour and throughout the semest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upport the findings of the study in future.

      • KCI등재후보

        스마트교육 개념을 도입한 중등학교의 효과 분석

        김종수,이재홍,권현범,Kim, Jongsu,Lee, Jaehong,Kwon, Hyeonbeom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8 한국교육논총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스마트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교육 개념을 적용한 고등학교와 아닌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스마트교육을 구현하는 학교는 어떤 학교이고, 스마트교육 개념은 학생들의 정서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교육 개념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알리미(www.schoolinfo.go.kr)에서 독립변인으로 학습효과, 정서효과의 항목을 추출하여 상대적으로 배경변인이 비슷한 세종시 한솔고등학교와 과천에 있는 고등학교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스마트교육의 개념과 특징 등을 문헌조사하여 스마트교육 개념을 도입하고 있는 세종시에 위치한 고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학교알리미에서 '결산자료', '전출입 및 학업중단 학생 수', '학교폭력 실태조사', '국가학업성취도 평가에 관한 사항'을 바탕으로 학습효과와 정서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교육 효과가 나타난 학교의 예산구조를 파악하여, 스마트교육 확산을 위한 예산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교 폭력 실태를 비교한 결과, 3년 동안 두 학교 모두 학교 폭력 사태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나, 세종시에 있는 한솔고등학교가 과천에 있는 고등학교보다 더 낮은 학교 폭력 피해율을 보였다. 국어, 수학, 영어 과목의 국가학업성취도 평가에서 3년 동안 세종시 한솔고등학교가 과천에 있는 고등학교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스마트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013년에는 두 개교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014년과 2015년의 2년에 걸친 조사에서 세종시 한솔고등학교의 수학과 영어 과목학업성취가 과천 고등학교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여주어, 표집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교육이 학업성취에 정적인 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수집의 한계와 표집의 제한성 등은 향후 스마트교육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좀 더 면밀하게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econdary school SMART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aper separated the high school which implements the smart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and the high school which did not apply the smart education concept, then figuring out the answer about what school is more effective, the influence of the smart education concept on the students'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between Hansol high school in SeJong city and Jungang high school in Gwachen city by using 'schoolinfo (www.schoolinfor.go.kr) SMART education.' This study first presented the SMART Education'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through reviewing some literature, and then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items included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effect. These items consist of the 'students academic score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number of students dropped out' and 'the damage rate of school violence' for the emotional item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Hansol high school indicates lower school violence rate than Gwachen high schools with the two school's violence rate decreasing. Moreover, students' score of Hansol high school is higher than high schools in Gwachen city. The SMART education school budget structure is 'Common type', which requires a lot of investment to 'Basic education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support', 'School general operating expenses' among education budget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