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교육에서의 학습자 인터뷰와 성찰 활동 분석을 통한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기반 수업 사례연구

        권종실,남창우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의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기반 학습 환경의 학습자의 인식 및 태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디자인 사고기반 학습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부산의 A대학교에서 2018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교육학과 전공선택과목을 수강한 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12주 동안 디자인 사고 기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해서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반 구조화된 인터뷰와 학생들의 집단 성질일지 및 개인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사고 기반 학습은 대부분의 학생이 처음 접하는 수업방식으로서 생소하게 느낄 수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제공되는 양식 및 교수자, 학습튜터의 형성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학습에 익숙해지며 학습활동이 원활이 진행되었다. 둘째, 팀 프로젝트 환경에 기반한 디자인 사고는 동료학습자 간의 상호과정이 주된 요인이며, 이러한 상호작용 과정은 동료 학습자간 의견을 수렵하고 발산하는 반복하는 순환 과정을 기반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조원들 간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아 주제 선정이 어려움을 겪는 등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새로운 방향으로 생각하게 되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디자인 사고 기반학습의 학습자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해 처음에는 다소 생소하게 느끼며, 학습방향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지만 수업이 끝난 후에는 인터뷰를 통해 ‘후배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수업’, ‘교육문제 해결에 추천하고 싶은 수업방법’ 등의 변화된 인식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자인 사고 기반의 학습 환경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수업체제적 기반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대학교육에서의 디자인 사고 활용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의 구조적 관계: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종실,남창우,최정아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4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digital technolog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their digital trans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420 university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2022'. The study's results revealed that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significantly relationship their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digital technology. Furthermore, students' self-efficacy toward digital technology significantly impacts their digital trans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 whereas their attitudes toward digital technology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dditionally,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was found to exert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 by partial mediating self-efficacy toward digital technolog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s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essential aspects of university-level digital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 협동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전략이 대학생의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권종실(Kwon, Jong Sil),남창우(Nam, Chang 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온라인 협동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전략이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실험은 부산 소재 4년제 대학교 교직을 이수하는 3~4학년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약 3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실험 집단은 분반 1, 분반 2로 구분했다. 분반 1은 과제해결 전략 제시, 예시지도안 제시 등의 전략적 스캐폴딩을 처치받았으며, 분반 2는 학습과정 안내, 성찰일지 제공 등의 메타인지적 스캐폴딩을 제공했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실재감 12문항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요인 1은 ‘인지적 학습과정’과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으로 구분되었다. 이것을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사전 학업성취도를 공변인으로 투입, 스캐폴딩 전략별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 요인 1 ‘인지적 학습과정’에서는 스캐폴딩 전략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요인 2 ‘자기주도적 학습지원’에서는 스캐폴딩 전략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협동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전략별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caffolding strategy on teaching presence. The research in this study conducted with 36 students in third and fourth grade in several universities in Busan, Korea who have completed course in teaching profession. The research has concluded in about three weeks. The subject groups are divided into class1 and class2, which are provided with strategic scaffolding and metacognitive scaffolding, respectively. After finishing this experiment, the post-test consists of questions on teaching presence. The pre-academic achievement was applied as a covariate to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questions containing a total of 12 about teaching presence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2 questions about teaching presence were into as following factors: factor 1; cognitive learning process; factor 2: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ing.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for searching difference depending on using strategic types of scaffolding, the results derived meaningful difference in using strategic scaffolding in factor 1(cognitive learning proces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factor 2(self-directed learning supporting).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difference occurs in influence on teaching presence depending on strategic types of scaffolding in online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 KCI등재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 학습 환경에서 성찰전략 유형이 예비교사의 집단응집력과 협력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남창우(Nam, Chang Woo)권종실(Kwon, Jong Sil),신동민(Shin, Do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는 디자인 싱킹 학습 환경에서 성찰 전략이 예비교사의 집단응집력과 협력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서는 부산 소재 A 대학교의 교육공학 관련 교직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교사 90명을 대상으로 2018년 3∼6월 12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디자인 싱킹 학습 환경에서 성찰전략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집단응집력과 협력적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실험 전·후로 학습자의 집단응집력 검사 및 협력적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고,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집단응집력 18개 문항의 4개 하위 요인 중에서, ‘집단의 과제 관련 통합’의 경우 집단 간(개인성찰 전략을 활용한 집단과 집단성찰 전략을 활용한 집단)의 평균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협력적 학습태도에 대한 16개 문항의 4개 하위요인 중에서 ‘보상 상호의존성에 대한 태도’의 경우 집단 간(개인성찰 전략을 활용한 집단과 집단성찰 전략을 활용한 집단)의 평균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 싱킹 기반 수업에서 집단응집력과 협력적 학습태도의 하위 변인에 기반한 맞춤형, 개별화된 다양한 학습전략의 설계, 개발 및 활용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flection strategies types on pre-service teachers’ group cohesiveness and their attitude toward cooperative learning in the design thinking learning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for 90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classe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A university, Busan Metropolitan City for 12 weeks (March-June, 2018).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reflection strategies types in the pre-service teachers’ 1) group cohesion and 2) their attitude toward cooperative learning in the Design Thinking environments, pretests and posttests of the two variables were implemented,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COVA)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the four sub-categories of the 18 item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group cohe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s of the two groups (one group using ‘individual reflection strategy’ and the other group using ‘group reflection strategy’) for ‘the Group Integration-Task’ among the four sub-categories of group cohesion. Second, in the case of four sub-categories of the 16 item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toward cooperative learn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s of the two groups for the average of ‘attitudes toward reward interdependence’ among the four sub-categories of attitude toward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develop and utilize diverse customized and individualize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 sub-variables of group cohesion and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in Design Thinking-based instru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대학생의 ICT 자아효능감과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탐색

        남창우,박영희,권종실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대학생들의 ICT 자아효능감과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 간에 어떠한 관계 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4년제 D대학교의 교육공학 관련 과 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들을 대상으 로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 검사와 ICT 효능감 검사를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 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의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과 ICT 자아효능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변인의 하위 영역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의 하 위 변인 중에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와 ‘자기주도학습기반 ICT 효능감’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 둘째, 대학생의 플립러닝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은 ICT 자아효능감의 2가지 하위 요인인 ‘자기주도학습 기반 ICT 효능감’과 ‘스캐폴딩기반 ICT 효능감’으로 설명된다는 연구 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토론 강좌의 수강 경험이 많을수록 ICT 자아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주도학습기반 ICT 효능감’과 ‘스 캐폴딩기반 ICT 효능감’이 모두 대체로 비례해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교육 에서 플립러닝을 본격적으로 도입할 때, 학습자의 이전 학습 경험과 ICT 효능감 수준 등 학습자 특성을 고 려한 개별화된 맞춤형의 교수설계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 기반 수업에서 성찰활동 분석을 통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태도 변화 탐색

        남창우(NAM CHANG WOO),권종실(Kwon, Jong Sil)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 기반 수업 경험을 통해 나타난 학습자의 인식 및 태도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부산의 4년제 A대학교 교육학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1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12주 동안 디자인 싱킹 기반 수업 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해서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 질적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반 구조화된 인터뷰와 학생들의 집단 성질일지 및 개인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싱킹 기반 학습은 대부분의 학생이 처음 접하는 수업방식으로서 생소하게 느낄 수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제공되는 양식 및 교수자와 학습튜터의 형성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학습에 익숙해지며 학습활동이 원활히 진행되었다. 둘째, 팀 프로젝트 환경에 기반한 디자인 싱킹은 동료학습자 간의 상호과정이 주된 요인이며, 이러한 상호작용 과정은 동료 학습자 간 의견을 수렵하고 발산하는 반복하는 과정을 기반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조원들 간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아 주제 선정 등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새로운 방향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수업이 끝난 후에는 인터뷰를 통해 ‘교육문제 해결에 추천하고 싶은 수업방법’ 등의 협력적 학습 역량을 길러주는 학습방법으로 인식하는 등 디자인 싱킹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자인 싱킹 기반의 학습 환경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체제적 기반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효과적인 디자인 싱킹 기반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ing learn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manifested through design thinking-based instructional experience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2 weeks of design thinking-based instruction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14 student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Busan.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ased on grounded theory were appli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learners’ personal and group reflective journals writ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design thinking learning was unfamiliar to most students as a first-time approach, but learning activities were facilitated and familiarized with learning through formative feedback of instructor and learning tutors with specifically provided forms. Second, based on design thinking team project environments are a major factor in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peer learners, and this interaction process is based on the iterative process of converting and diverting peer learners’ opinions. In this process, opinions among the peer learners were not narrowed, so they had difficulty in selecting subjects, but most learners thought in a new direction through this process. observing a positive change in the back. Third, after the class, learners were able to look at their changed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design thinking through interviews, such as recognizing them as learning methods that foster cooperative learning skills. The main results of study can be suggest that various institutional and system-based changes are needed for design thinking environments, and provide directions for effective design thinking-based instruc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다행복학교 교사의 ICT 활용능력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생 미디어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분석

        남창우 ( Nam Chang-woo ),권종실 ( Kwon Jong-si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다행복학교 교사의 ICT활용능력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부산교육종단 연구 1~3차년도(2016~2018년) 자료를 활용하고, 개인(학생)과 교사수준을 포함한 잠재성장모형을 적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ICT 활용능력 초기값은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초기값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ICT 활용능력 초기값은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 미디어 리터러시 변화율은 수업이해도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의 ICT 활용 능력과 학생 미디어 리터러시 간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볼 때, ICT의 매체 활용교육 뿐만 아니라 ICT를 활용한 교수체제 및 교육과정 설계 등의 교사의 ICT 활용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함의한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한 함의점으로는 다행복학교만의 특색있는 커리큘럼을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역량 강화,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실시, 다행복학교간 네트워크 강화 및 우수 프로그램 발표의 내실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ies affects thei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nd understanding in Dahaengbok schools and Busan Innovation School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student’s media literacy between the these variables. For this purpos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data from the first to the third year (2016 to 2018) provided by Busan Education Policy Institute were used, and an analysis of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 including the levels of individuals (students) and teacher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itial value of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the initial value of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ate of change in student’s media liter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students’ learning understanding.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ies and the students’ media literacy as mediated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improve ICT utilization abilities such as instructional system and curriculum designed using ICT as well as the competency utilizing ICT media in educa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ese findings propose to promote power of characteristic school curriculum based on Dahaengbok school curriculum related to its policy implications to imple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and to strengthen networks between Dahaengbok schools and plans for presentation for their model program.

      • KCI등재

        디지털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 효과 분석

        김반야(Kim, Ban-Ya),권종실(Kwon, Jong-Sil)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정보화정책 Vol.29 No.2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의 접근, 역량, 활용 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디지털정보화는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정보화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디지털정보화의 하위 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정보화 정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뒷받침하고 디지털정보화 정책 수립 및 추진 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덧붙여 이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3차 정보격차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i.e. access, skill, utilization)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re also tested. The ‘2020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referenc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in general, digital informatization contributes to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medi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magnitudes of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zation and mediation effect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for a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y and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that helps establish and promote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inform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부산 다행복학교 활성화 요인 분석

        남창우 ( Nam Chang-woo ),권종실 ( Kwon Jong-sil ),신동민 ( Shin Dong-mi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부산 다행복학교 활성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행복학교 학생의 학교 만족도와 자유학기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학생수준과 교사수준으로 구분하여 위계적선형모형(HLM)을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부산교육연구정보원의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4차년도(2019학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행복학교 학생들의 학교만족도 및 자유학기제 만족도 관련하여, 학생수준인 ‘진로진학 관련 활동 경험 여부’ 및 ‘진로진학 관련 활동 도움 정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행복학교 학생들의 학교만족도 및 자유학기제 만족도에 학생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학생수준의 ‘진로진학 관련 활동 경험 여부’ 및 ‘진로진학 활동 도움 정도’와 교사수준의 ‘자유학기제 수업방법 만족도’ 및 ‘다행복학교 운영지원 만족도’, ‘교육과정 재구성 활용 여부’, ‘교육활동’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행복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해 민주적 학교 문화를 조성하고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행·재정적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o revitalize in Dahaengbok schools for the operation of middle school‘s free grade system. To this end, it was intended to analyz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t Dahaengbok School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based on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by 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The analysis data were used from the 4th year (2019 school year)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level of experience in career-related activities’ and ‘degree of assistance in career-related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dahaengbok schools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and the free semester system. Second, 1) the individual level ‘experience in career advancement-related activities’ and ‘career admission activity help’ coupled with 2) teacher level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s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support for Dahaengbok schools’,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 and the teacher level variable on the school satisfaction and free semester system satisfaction of the Dahaengbok schools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are needed to create a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to support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the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the Dahaengbok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