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ative Study on Efficiencies of Naturally-Ventilated Multi-Span Greenhouses in Korea

        권순홍,정성원,권순구,박종민,최원식,김종순,Kwon, Soon-Hong,Jung, Sung-Won,Kwon, Soon-Gu,Park, Jong-Min,Choi, Won-Sik,Kim, Jong-Soon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2017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0 No.1

        This research analyzed the ventilation effect of the multi-span greenhouse based on the types of greenhouse structure, weather conditions, and locations inside the greenhouse. To compare and analyze the ventilation effects with different types of greenhouse, the uniform environmental conditions should be selected in advance. But these factors are not controlled and require tense many precision facilities and labor forces. Thus, the CFD simulation was used for the air stream to be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addition, for the ventilation effect analysis, the TGD (Tracer Gas Decay) was us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ventilation measurement method. The calculation error of ventilation rate using TGD was low (10.5%). Thus, the TGD is very effective in calculating the ventilation efficiency. The wind direction of 90 degrees showed the best ventilation effect. The ventilation rate also decreased along the air circulation path, and the rate was the lowest around the outlet. The computed fluid method (CFD) turned out to be a power tool for simulating flow behavior in greenhouse.

      • KCI등재후보

        Diphenyliodonium염 존재하에서 비닐 에테르의 광양이온 리빙 중합(I)

        권순홍,이연성,전현정,마석일,Kwon, Soonhong,Lee, Youngsung,Jeon, Hyunjeong,Mah, Soukil 한국섬유공학회 2002 한국섬유공학회지 Vol.39 No.4

        Photo-induced living cationic polymerization of isobutyl vinyl ether (IBVE) has been newly developed in the presence of diphenyliodonium iodide (DPII). Zinc iodide was used as an activator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 monomer conversion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resulting polymer reveals the living nature. The increase in both the polymer yield and its molecular weight until the original monomer was exhausted reveals that the propagating cationic species have the long lifetime due to the absence of termination or chain transfer process. It became also evident that a PIBVE-based block copolymer can be obtained by the subsequent monomer addition technique from this photo-induced system.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such as concentrations of DPII and zinc iodide, temperature, and duration of photo-irradiatio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 초기의 都城과 改都

        권순홍(Kwon Soonhong)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고대사 연구에서는 무관한 개별사실들을 하나의 이치로 읽어내는 연기적 사고가 필요할 때가 있다. 고구려 초기 역사의 쟁점 주제인 초기 도성의 천도시기 문제와 왕실교체시기 문제는 종래에 각각 별개의 주제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오히려 양자를 함께 고려했을 때 해석의 새로운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심세력의 교체는 중심지의 교체도 수반할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도성의 ‘이동’인 遷都가 아니라, ‘교체’로서의 改都라는 개념을 통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료 상에 나타나는 고구려 도성의 특징들을 바탕으로 졸본과 흘승골성, 국내 위나암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를 비정하였다. 종래에는 졸본과 흘승골성을 동일처 혹은 같은 지역 내의 평지성과 산성으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사료 상에서 졸본(홀본)과 흘승골성은 기능상으로도 구별됨과 동시에 지리적으로도 구분되었다. 졸본이 실제로 고구려 최초의 도읍이라면, 흘승골성은 4세기 이후 생성된 신화 속에서 신성성을 부각하기 위해 설정된 건도지였다. 또, 흘승골성이 외형상으로 ‘성같은 산’이었으므로 오녀산성에 비정된다면, 졸본은 오녀산성의 동쪽에 있는 혼강과 부이강의 합류지점, 즉 北甸子鄕 일대로 비정될 수 있었다. 한편, 고구려의 두 번째 도성인 국내 위나암성은 대체로 오늘날의 집안으로 비정해 왔다. 그러나 사료 상에 나타나는 위나암성의 지형적 특징과 유리왕 33년의 정복기사에 나타난 ‘西伐’이라는 표현으로 미루어 볼 때, 국내 위나암성은 오녀산성, 이때의 국내는 오늘날의 환인현 중심지 일대로 비정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이와 같이 졸본과 국내 위나암이 공히 환인 지역 내에 위치했다면, 사료 상에서 집안으로의 천도기사로 볼 수 있는 것은 산상왕 13년의 환도 천도뿐이다. 그러나 이 기사는 앞선 산상왕의 즉위과정에서 발생한 왕위계승 분쟁과 관련지어 볼 때, 요동의 공손씨에 의해 파훼된 평지성[故國]에서 방어산성인 환도성[新國]으로 옮겨간, 집안 지역 내에서의 천이에 다름 아니었다. 따라서 산상왕 13년의 천도기사는 환인에서 집안으로의 천도를 의미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산상왕 13년 이전에 이미 고구려의 도성은 집안에 있었던 셈이다. 사료 상에 등장하지 않은 천도에 대한 해석의 실마리를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 초기의 왕실교체에서 찾았다. 『삼국지』에 따르면, 고구려 왕실은 연노부에서 계루부로 교체되었는데, 그 시기에 대해서는 동명왕대설·유리왕대설·태조왕대설이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동명왕대설과 유리왕대설은 환인 지역 내에 연노부와 계루부가 공존하게 되는 역사지리적 난점을 극복하기 어렵다. 반면, 태조왕대설은 태조왕을 기점으로 한 고구려 왕실세계의 단층과 왕호가 갖는 시조적 성격 등으로 봤을 때, 상당한 설득력을 갖고 있다. 즉 고구려 초기의 왕실교체는 태조왕대 이루어졌고, 이때 중심세력의 교체는 중심지의 교체를 수반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태조왕의 즉위에 따라 고구려의 도성은 소노부의 중심지인 환인에서 계루부의 중심지인 집안으로 교체되었고, 이것이 곧 개도였던 것이다.

      • KCI등재

        고구려 ‘평양’의 변천과 전기 평양성의 위치에 관한 쟁점 검토

        권순홍(Kwon, SoonH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9 역사문화연구 Vol.70 No.-

        고구려의 세 번째 도성으로 알려진 평양에 관해서는 두 가지 해묵은 숙제가 있다. 하나는 427년 평양 천도 이전에 등장하는 ‘평양’의 위치이고, 다른 하나는 427년에 천도한 전기 평양성의 위치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이 두 가지 숙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먼저 전자에 대해서는 313년의 낙랑 축출을 기점으로 그 이전의 평양은 집안 지역으로, 그 이후의 평양은 현재의 평양 지역으로 비정하였다. 단, 고국원왕 13년(343년)에 등장하는 평양동황성의 위치는 알기 어려웠지만, 주목할 것은 ‘移都’와 ‘移居’의 차이를 유념하는 것이었다. 후자에 관해서는 기왕에 안학궁설, 청암리토성설, 대성구역 거점설이 제기되었는데, 안학궁설과 청암리토성설은 각각의 한계가 분명하였다. 특히, 고구려 도성의 구조를 산성+평지성으로 파악하려는 강박의 소산이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전기 평양성에는 평지 성곽이 없을 가능성과 함께 대성구역 거점설에 무게를 실었다. There are two long-standing issues regarding Pyongyang, which is known as the third royal city of Goguryeo. One is the location of Pyongyang , which appeared before the Pyongyang transfer in 427, and the other is the location of former period Pyongyang which was transferred in 427.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olve these two issues. In order to solve the former one, this article sets Pyongyang on the Jian area before the expulsion of Nangnang in 313, and Pyongyang on the present Pyongyang area after the expulsion. However, the location of the Pyongyangdonghwang fortress which appeared in 343 was hard to locat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ransfer of a royal city(移都) and transfer of a palace(移居) is worthy of notice. In order to solve the second issue, Anhak palace theory, Cheongam-ri fortress theory, and Daesung district theory were raised. The weak points of Anhak palace and Cheongam-ri theory were clear among these theories. These were especially outcome of obsession with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royal city of Goguryeo as a combination of mountain and flatland fortress. This article puts emphasis on the Daesung district theory and the possibility that there was no flatland fortress in the former period Pyongyang fortress.

      • KCI등재

        조선 전기의 고구려 초기 도성(都城) 위치 비정과 그 실상

        권순홍 ( Soon Hong Kwon ) 수선사학회 2015 史林 Vol.0 No.53

        The determination of early Goguryeo`` capital cities was not fully conducted until the first half Joseon. The first capital city, Jolbon of Goguryeo, was determined as today``s Seongcheon, Pyeongannam-do, and its second capital city, Fortress Guknae, was determined as today``s Uiju, Pyeonganbuk-do. Doubtlessly, Jolbon and Guknae are Huanren and Jian, north of River Yalu, respectively, and this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reasons why first-half Joseon``s determination of Goguryeo capital city location was so conducted. First, the location of Jolbon was forgotten, after Goguryeo fell. But it happened that the name of the river flowing through Seongcheon was Biryu-gang, the same name as Biryu-su mentioned in the Goguryeo founding myth. Thus, Seongcheon was determined as Jolbon, and Goguryeo Fortress, west of Seongcheon, was named Fortress Heulgol associated with Fortress Heulseunggol mentioned in the myth. In the case of Fortress Guknae, today``s River Hun, Yeomnansu, was wrongly identified as River Aihe, based on historical data to the first half of Joseon. On top of such identification, Fortress Guknae was identified as a location not far away from the northeast of the merging point of River Yalu and River Aihe. Thus, Goryeosa could express Uiju as Fortress Guknae. On top of this, Donggukyeojiseungram wrongly identified the boundary of Fortress Guknae as Fortress Guknae. These errors led to Fortress Guknae being identified as Uiju. The reason why Seogcheon was identified as Jolbon after all was that the river, running through Seongcheon, happened to have the same name as Biryusu mentioned in Goguryeo founding myth, leading to such misconception. The reason why Uiju was identified as Fortress Guknae was attributed to the combined errors of wrongly recognizing Yeomnansu as River Aihe, and of misreading the boundary of Fortress Guknae as Fortress Guknae. These misconceptions and errors could hardly hide certain intentions.

      • KCI등재

        불안의 실존론적 구성과 비본래성의 가능성

        권순홍(Kwon, Soon-Ho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8 No.4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의 제40절에서 불안이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과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함께 제시한다고 말한다. 불안이 주변 세계의 적소 전체성을 무너뜨림으로서 현존재를 개별화한다는 점에서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퇴락에서 벗어난 현존재에게 다시 불안이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것은 불안의 개별화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 글에서는 불안의 실존론적 구성과 그 기능을 풀이하되, 불안이 본래성의 가능성에 더해서 비본래성의 가능성마저 현존재에게 제시하는 까닭을 아울러 밝히고자 한다. 그 까닭을 밝게 드러내기 위해서는 불안의 구조계기와 그 실존론적 기능을 살펴야 한다. 우선 불안은 그것 앞에서 그것 때문에 불안해한다. 요컨대 불안은 불안거리, 불안의 까닭 및 불안해함 등 세 가지 구조계기로 구성된다. 불안거리는 불안의 기분을 현존재에게 가능하게 하는 선천적 조건을 뜻한다. 바로 피투된 세계-내-존재의 현사실적 존재가 불안거리이다. 불안의 까닭은 홀로 개별화된 현존재의 본래적 존재가능의 가능성이다. 현존재에게 본래적 자기기투의 도약대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불안의 까닭이다. 불안해함은 현존재가 불안의 실존론적 유정성을 어떻게 실존적으로 경험하는가를 말한다. 현존재는 무시무시함이나 안절부절못함의 기분에서 불안의 유정성을 실존적으로 경험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불안이 무시무시한 기분으로써 현존재를 어서 본래적 자기기투의 도약대에 올라서도록 위협한다는 점이다. 불안의 위협에 순응할 때, 현존재는 본래성의 가능성으로 그 자신을 기투한다. 그러나 불안의 위협 앞에서 도피할 때, 현존재는 비본래성의 가능성으로 후퇴한다. 다름 아니라 현존재가 비본래성의 가능성에 봉착하는 것은 바로 무시무시함 앞에서, 곧 불안의 위협 앞에서 세인의 일상적 공공성으로 도피할 때이다. 불안이 본래성의 가능성에 더해서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마저 현존재에게 제시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한편 불안은 현존재의 근본 유정성답게 가장 폭넓고 가장 근원적인 개시성으로 활약한다. 요컨대 불안의 근본 유정성에서 본래성과 비본래성의 두 가능성이 함께 개시된다는 말이다. 실로 불안의 개시성이 가장 폭넓은 것은 현존재의 실존을 그 두 가능성에서 개시하기 때문이다. 불안의 개시성이 가장 근원적인 것은 현존재를 고유한 자기로 개별화함으로써 그의 실존을 본래성의 가능성에서 개시하되, 피투된 본래적 세계-내-존재-가능으로 개시하기 때문이다. 피투성, 기투 및 퇴락성 사이의 구조 통일성에서 현존재의 존재를 염려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니라 바로 불안의 가장 폭넓은 근원전 개시성에서이다. The anxiety present the two possibilities of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to There-being. It is natural that it h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to him by individualizing himself through the destruction of the context of Being-destined(Bewandtnis) within the familiar public world of the one(das Man). But it seems to be contrary to the individualization of anxiety that it presents even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o him. This treatise aims at analyzing the existential constitution and function of the anxiety, and elucidating the reason why even the inauthentic possibility can be disclosed in the disposedness(Befindlichkeit) of anxiety as well. It is necessary that the three structural moments of anxiety and their respective existential functions must be analyzed in detail. The anxiety is anxious for something as well as about something. The phenomenon of anxiety is composed of the three moments of the anxiety-about, the anxiety-for and being-anxious. The anxiety-about means a priori condition making the anxiety possible in There-being. It is nothing but the thrownness into There(Da) or an open world. The anxiety-for means the possibility of the authentic ability-to-be(Seinkonnen) of individualized There-being. It functions as a springboard of the authentic project(Entwurf) of individualized There-being. Being-anxious indicates how There-being undergoes the existential disposedness of anxiety in the existentiell moods of uncanniness and homelessness.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 uncanny mood of anxiety threatens There-being so that he can throw himself onto the authentic ability-to-be. When he adapts himself to the threat of anxiety, he can throw himself on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But when he flees from its threat, he must retreat to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At last, when he flees from the threat of anxiety to the everday publicness of the one, he has to be faced with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he anxiety can present even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in addition 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to There-being because it plays an active part as the broadest disclosedness(Erschlossenheit) in his existence. The broadest disclosedness of anxiety means the existential power to disclose There-being’s existence in both possibilities of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The most original disclosedness of anxiety indicates that it discloses There-being’s existence only in his authentic thrownness and project. It is in the broadest, most original disclesedness of anxiety that There-being’s existence can be determined as the concern(Sorge) in the structural unity of its three moments called thrownness, project and falling respectively.

      • KCI등재

        현존재의 실존과 불안의 두 얼굴―근원적 불안

        권순홍 ( Soon-hong Kwo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8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불안 4부작 가운데 세 번째 논문이다. 현존재에게 비본래적 실존의 빌미를 허용하는 잠복한 불안과 달리 근원적 불안은 그를 본래성의 가능성으로 이끈다. 두 번째 논문에서는 잠복한 불안의 얼굴이 어떠한지를 다루었다면, 이 글에서는 근원적 불안의 얼굴이 어떠한지를 다루고자 한다. 요컨대 근원적 불안의 실존론적 구조계기와 그 기능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취지이다. 사실 두 불안의 경우 실존론적 구조계기와 그 기능이 다른 것은 아니다. 잠복한 불안에서나 근원적 불안에서나 공히 세계-내-존재의 피투성이 불안거리의 계기를, 세계-내-존재의 가능성이 불안의 까닭의 계기를, 현존재에 대한 무시무시하고 안절부절못하는 기분의 위협이 불안해함의 계기를 이룬다. 게다가 세 구조계기의 실존론적 기능도 다르지 않다. 불안거리는 불안의 선천적 가능성의 조건답게 현존재에서 불안의 기분을 환기하고 불안의 까닭은 그에게 본래적 실존의 도약대를 제공하는 한편 불안해함이 그를 그 도약대에 오르도록 위협하기는 잠복한 불안에서나 근원적 불안에서나 마찬가지이다. 그럼에도 둘 사이에서 굳이 차이를 찾는다면, 같은 세계-내-존재의 피투성일망정 잠복한 불안이 실존으로의 피투성을 불안거리로 하는 반면에 근원적 불안이 죽음으로의 피투성을 불안거리로 삼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불안거리의 이 작은 차이가 불안의 위력에서 메울 수 없는 큰 차이를 불러오고, 다시 이 힘의 차이가 실존의 ‘어떻게’를 본래성과 비본래성의 두 진영으로 갈라놓는다. 맨질량으로 보나 무게로 보나 몹시 묵직한 죽음의 짐에서 비례적으로 발생하는 근원적 불안의 위력은 확실한 죽음의 불확정성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배가된다. 이렇게 배가된 근원적 불안의 고강도 힘은, 불안의 까닭과 불안해함의 실존론적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한 채로 고작 비본래성의 빌미가 되고 마는 잠복한 불안의 저강도 힘과 반대로, 그 두 실존론적 기능에 충실하게 현존재를 본래성의 도약대에 오르도록 위협한다. This is the third of four papers dealing with the phenomenon of anxiety. Unlike the latent anxiety that becomes the motive for the inauthentic existence of There-being, the original anxiety leads There-being 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While the second paper has dealt with what the face of latent anxiety is like, this paper deals with what the face of original anxiety is like. In short,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clarify the existential constitution and function of original anxiety. In fac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existential constitution and func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anxiety. In two kinds of anxiety, a structural moment of anxiety-about is the thrownness of Being-in-the-World, a structural moment of anxiety-for is the possibility of Being-in-the-World, and a structural moment of being-anxious is the threat of an uncanny and unhomely mood of anxiety to There-being. In addition, the existential functions of the three structural moments of two kinds of anxiety are not different. In two kinds of anxiety, a moment of anxiety-about evokes the mood of anxiety in There-being as an a priori condition of possibility of anxiety, a moment of anxiety-for provides a springboard of the authentic existence for There-being, and a moment of being-anxious threatens There-being to step on the springboard. Nevertheless, if there is a smal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anxiety, it can be said that the latent anxiety makes the thrownness into the existence an anxiety-about, while the original anxiety makes the thrownness into the death an anxiety-about. This small difference in anxiety-about brings a big difference in the power of anxiety that can not be ignored, and again the ‘How' of existence can be divided into two camps of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ower of anxiety. The power of original anxiety that occurs proportionally in the heavy burden of death is exponentially doubled from the uncertainty of certain death. Contrary to the low-intensity power of latent anxiety, the high-intensity power of exponentially enhanced original anxiety threatens There-being to seize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by implementing two existential functions of anxiety-for and being-anxious.

      • KCI등재

        도성 관련 용어 검토 ― ‘도(都)’ㆍ‘곽(郭)’ㆍ‘경(京)’을 중심으로 ―

        권순홍 ( Kwon Soon-hong )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62

        This article is a deliberation on the terms refer to central city of East Asia, and begins with two ideas. First idea is that the difference in terms leads to difference in meaning. Second idea is that the city is a space produced by human being as a social product. This is the conclusion after reviewing terms based on these two ideas. Do(都) means exclusive space of power by the medium of religious service. The introduction of Gwak(郭) is to protect industry which is linked to maintenance of power. Gyeong(京) is related to social status order as a governance mean. Capital city(都城) eventually means exclusive space of power considering these terms. The space of Capital city(都城) is produced by the power of king. Therefore this space can be changed over the form of king's power. That change consequently brought change in landscape and the division of the terms for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