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수업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직무특성 및 건강이 사고경험에 미치는 영향

        권미화,이재신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health on accident experience by analyzing the data of transportation workers according to age. The analysis used data from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KWCS)’. A total of 1,997 transport workers data were finally analyzed, and correlation analysis, crossove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ge of the transport workers and the accident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workers and the experience of the accident,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older worker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order of 'at mistake someone else hurt', 'musculoskeletal problem', 'cardiovascular problem' and ‘repetitive movements of hands or arms’, the model explaining power was 56.9%(p <.01). In the case of non-older workers,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safety', 'at mistake someone else hurt' and ‘labor union’, the model explaining power was 21.8%(p <.01).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prevent accidents of transportation workers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variables such as health and job characteristics besides age.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운수업근로자의 직무특성과 건강이 사고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사고예방과 고령운수업근로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997명의 운수업근로자 자료를 상관분석과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운수업근로자의 연령과 사고경험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수업근로자의 특성과 사고경험과의 관계에서 고령근로자의 경우, ‘직무수행 중 실수 시 타인이 다침’, ‘근골격계 문제’, ‘심혈관계 문제’, ‘손이나 팔의 반복동작’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에 대한 모델 설명력은 56.9%였다(p<.01). 비고령근로자의 경우에는, ‘우울 및 불안장애’, ‘직무와 안전과의 관계’, ‘직무수행 중 실수 시 타인이 다침’, ‘노동조합 여부’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 설명력은 21.8%였다(p<.01). 따라서 추후 운수업근로자들의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연령 이외에도 건강과 직무특성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재가 치매대상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권미화,이재신,차태현,유두한,김희,김수경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1

        목적 : 본 연구는 치매예방 및 치료를 위해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인지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의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 션과 지필형 워크북으로 구성되었다. 효과성 검증은 경도인지장애 및 경증치매대상자 60명을 두 집단으 로 무작위 배정하여 사전-사후설계의 적용을 통해 인지기능, 시지각 능력,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에 워크북 기반의 공통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주 1회 20회기 진행하였으며, 홈 프로 그램으로 실험군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인지훈련, 대조군에는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훈련을 매일 20 분씩 반복적으로 제공하였다. 결과 : 효과성 검증에서 실험군은 인지기능(기억력: Seoul Verbal Learning Test-Eldery; SVLT-E, 주 의집중력: Digit Span Test; DST, 언어능력: Short-form Korean version Boston Naming Test; S-K-BNT, 집행기능: Korean-Color Word Stroop Test; K-CWST), 시지각 능력(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MVPT-V), 일상생활수행능력(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K-IADL)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도 주의집중력을 제외한 영역 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집단 간 비교에서 실험군의 중재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저비용으로 반복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 중재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향 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training program based on a smart device applica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mentia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the development stages of a cognitive training program and a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an application and a paper-based workbook. To verify the effectiveness, 60 subjec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and th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daily living ability were compared through a pre-post design. The two groups conducted a workbook-based common cognitive training program held 20 times a week. As a hom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cognitive training using an application, and the control group provided cognitive training using a workbook for 20 min each day. Result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Seoul Verbal Learning Test-Eldery (SVLT-E), memory; Digit Span Test (DST), attention; Short-form Korean version Boston Naming Test (S-K-BNT), language ability; Korean-Color Word Stroop Test (K-CWST), executive function), visual perception ability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MVPT-V)), and daily living ability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K-IADL)). In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reas excluding attention, whereas the interven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comparing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Conclusion: In this study, an application-bas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that can be repeatedly applied at low cost wa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In this wa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and expect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s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in the community.

      • KCI등재

        Organic cation transporter-mediated drug–drug interaction potential between berberine and metformin

        권미화,최영아,최민구,송임숙 대한약학회 2015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38 No.5

        Berberine, the main active component of theherbal medicine Rhizoma Coptidis, has been reported tohave hypoglycemic and insulin-sensitizing effects and,therefore, could be combined with metformin therapy. Thus, we assessed the 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sbetween berberine and metformin. We investigated thein vitro inhibitory potency of berberine on metforminuptake in HEK293 cells overexpressing organic cationtransporter (OCT) 1 and 2. To investigate whether thisinhibitory effect of berberine on OCT1 and OCT2 couldchange the pharmacokinetics of metformin in vivo, wemeasured the effect of berberine co-administration on thepharmacokinetics of metformin at a single intravenousdose of 2 mg/kg metformin and 10 mg/kg berberine. InHEK293 cells, berberine inhibited OCT1- and OCT2-mediated metformin uptak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manner and IC50 values for OCT1 and OCT2 were 7.28and 11.3 lM, respectively. Co-administration of berberineincreased the initial plasma concentration and AUC ofmetformin and decreased systemic clearance and volumeof distribution of metformin in rats, suggesting that berberineinhibited disposition of metformin, which is governedby OCT1 and OCT2. Berberine inhibited thetransport activity of OCT1 and OCT2 and showed significant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s with metformin inin vivo rats.

      • KCI등재

        작업치료(학)전공 대학생들의 치매관련 경험이치매인식과 진로희망에 미치는 영향

        권미화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erience on completed dementia-relatedsubjects, clinical practice, volunteerism, and social services regarding the cognition of dementia in occupationaltherapy major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ementia policy due to an aging population. The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direction of education that can raise the interest in dementia and geriatricoccupational therapy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Chungnam, Chungbuk, andKyungbuk.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one month from May 1, 2018, and 207 participants participated. 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conducted for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Dementia knowledge and policy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dementia-relatedexperiences, and dementia-related experiences and dementia knowledge and policy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correlated. In addition, dementia-related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dementi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hopes for dementia-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6.4%. The influence ofvariables on career hopes showed the need for dementia education, policy awareness, experience using socialservices, dementia-related subjects, and gender. Conclusion: To increase interest in dementia knowledge and related polic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occupational therapy,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ways to provide various dementia-related experiences withinthe curriculum. Through this, directions for careerists hoping to achieve social change will be suggested, with thehope that it will help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geriatric occupational therapy. 목적 : 본 연구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치매관련 정책 및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작업치료(학)전공 대학생들의 치매관련 교과목이수 및 임상실습, 자원봉사, 사회서비스 등의 경험이 치매에 대한 인식과 진로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소재의 4개 대학교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0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독립 t-검정, Pearson’s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치매관련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에서 치매지식과 치매관련 정책인식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치매관련 경험과 치매지식 및 정책인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치매관련 경험과치매인식은 치매관련 기관으로의 진로희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모델의 설명력은 26.4%였다. 진로희망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은 치매관련 교육의 필요성, 정책인식, 사회서비스 이용경험, 교과목이수,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학)전공 대학생들의 치매지식과 관련정책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회적 흐름에 맞춘 다양한 진로방향을제시하고, 나아가 치매 및 노인작업치료의 전문성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봉 기대승 한시의 산수전원 의식 연구

        권미화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9 No.-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consciousness of landscape and pastoral through his Chinese Poems, on the premise that the literature implied the Ki Dae Seung’s whole life as an intellectual. For Kobong, nature was a space of cultivating its original virtues, a space of self-reflection and healing the tired and difficult minds, and a space of exploring the discipline of the study in his latter years. For Kobong, nature was recognized as an indicator of the ideal world and the existen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so it was intended to pursue the true pursuit of the industrial power through the landscape and pastoral as the medium. The oriented aspect was expressed in three ways: the observation of the purport of nature, the pursuit of Taoism, the longing of an impoverished and happy way. Kobong sought to learn the natural ness of the universe through the union with the landscape and the nature, and he sought to discipline the Holy Spirit. He also sought to escape the dizzy ingenuity of nature whenever he did not agree, and aimed for a transcendent ideal world out of turmoil. The goal of the transcendent ideal world was expressed in his Chinese Poem with the longing of the “Fairyland” which was intended to pursue true happiness through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true self”. The true happiness was expressed as the longing of an impoverished and happy way in his poems, and the pastoral was a world that wiping away the dirty and cumbersome world dust. It was the world that returned to his true character, and also the world liberated from the unreasonable reality. Kobong wrote the poems of the pastoral which oriented the idea of “put up with poverty and enjoying episteme”, and he nicely sublimated the joy of seclusion. 본 논문은 고봉 기대승의 문학이 선비로서의 삶의 전체를 내포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그의 한시 작품을 통하여 산수전원 의식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고봉에게 있어서 자연은 본래의 덕성을 함양하려는 養性의 공간이었고 환로에서의 지치고 힘든 마음을 치유하는 자아성찰과 치유의 공간이었으며 말년에 田居하면서 爲己之學의 학문을 탐구하는 은거의 공간이었다. 고봉은 자연을 질서와 조화를 갖춘 至高至善의 이상세계로, 우주만물의 존재의 본원을 찾아가는 지표로 인식하였기에 산수전원을 매개로 진정한 道心을 추구하려 하였다. 고봉의 한시에서 산수전원의 지향 양상은 자연의 旨趣에 대한 觀照, 道家적 탈속에 대한 추구, 安貧樂道의 삶에 대한 동경 등 세 가지로 표현되고 있다. 고봉은 산수자연과의 합일을 통하여 우주본연의 道를 터득하려 하였고 성정을 수양하려 하였다. 또한 宦路에서 뜻이 맞지 않을 때마다 자연을 찾아 어지러운 현실세계를 벗어나려 했으며 혼탁한 속세를 벗어나 초월적인 이상세계를 지향하였다. 고봉의 초월적 이상세계에 대한 지향은 한시에서 仙界에 대한 동경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결국 ‘眞我’를 발견하는 과정으로 진정한 樂을 추구하고자 함이었다. 고봉의 眞樂은 한시에서 安貧樂道의 삶에 대한 동경으로 표현되는데 전원은 고봉에게 있어서 더럽고 번잡한 속세의 먼지를 씻어 버리고 자기 본연의 모습을 찾아가는 세계이며, 부조리한 현실로부터 해방된 세계이다. 고봉은 한시에서 安貧樂道를 지향하는 전원생활의 樂을 시로써 읊고 있으며 산수 간에서 逍遙하는 隱居之樂을 멋으로 승화시켰다.

      • KCI등재

        읍면동 통합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권미화,이기영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ublic social workers’ capability and organizational ․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performance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hereinafter referred to as ICM) of Eup, Myeon, Dong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outh Korea. For the same, 191 Eup, Myeon, Dong administrative districts in which the public social workers were performing the ICM,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study, from the regions selected for the 2017 Busan region Eup, Myeon, Dong administrative districts welfare hub reform project, to which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collected and the final 157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erformance level of Eup, Myeon, Dong administrative districts ICM was above average and higher the level of the capability, organizational․environmental factors(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network) of the person in charge, and the regions which participated in the 2016 Eup, Myeon, Dong administrative districts welfare hub reform project, showed higher level of ICM performance.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ICM at Eup, Myeon, Dong districts are suggested as follows. The capa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supplementing the number of workers in Eup, Myeon, Dong administrative districts, improving the understanding the work of the management, building a public-private cooperative network system, systematic resource management networking of the applicable departments in charge at the state and province. 본 연구는 최근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인 읍면동 복지허브화사업 추진으로 읍면동에서 통합사례관리를 직접 수행하게 되는 환경 변화에 따라 실제 읍면동 현장의 사례관리 수행수준을 살펴보고 어떤 요인들이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부산지역 읍면동 복지허브화사업 선정지역인 192개 읍면동 중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191개 읍면동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여 최종 157부를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읍면동 통합사례관리 수행수준은 중간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담당자 역량과 조직․환경적요인(조직특성, 네트워크)의 수준이 높을수록, 2016년도 읍면동 복지허브화사업에 참여한 지역일수록 통합사례관리 수행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읍면동 통합사례관리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담당자 역량강화, 읍면동 인력충원, 관리자의 업무 이해 제고, 민관협력 네트워크 체계 구축, 구(군) 담당부서의 체계적인 자원관리 네트워킹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작업치료(학)전공 대학생들의 치매관련 경험이 치매인식과 진로희망에 미치는 영향

        권미화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5

        목적 : 본 연구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치매관련 정책 및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작업치료(학)전공 대학생들 의 치매관련 교과목이수 및 임상실습, 자원봉사, 사회서비스 등의 경험이 치매에 대한 인식과 진로희망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소재의 4개 대학교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 라인을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07명 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독립 t-검정, Pearson’s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결과 : 치매관련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에서 치매지식과 치매관련 정책인식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치 매관련 경험과 치매지식 및 정책인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치매관련 경험과 치매인식은 치매관련 기관으로의 진로희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모델의 설명력은 26.4%였다. 진로 희망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은 치매관련 교육의 필요성, 정책인식, 사회서비스 이용경험, 교과목이수,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학)전공 대학생들의 치매지식과 관련정책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회적 흐름에 맞춘 다양한 진로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치매 및 노인작업치료의 전문성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erience on completed dementia-related subjects, clinical practice, volunteerism, and social services regarding the cognition of dementia in occupational therapy major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ementia policy due to an aging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direction of education that can raise the interest in dementia and geriatric occupational therapy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Chungnam, Chungbuk, and Kyungbuk.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one month from May 1, 2018, and 207 participants participated. 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for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Dementia knowledge and policy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dementia-related experiences, and dementia-related experiences and dementia knowledge and policy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addition, dementia-related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dementi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hopes for dementia-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6.4%.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career hopes showed the need for dementia education, policy awareness, experience using social services, dementia-related subjects, and gender. Conclusion: To increase interest in dementia knowledge and related polic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ways to provide various dementia-related experiences within the curriculum. Through this, directions for careerists hoping to achieve social change will be suggested, with the hope that it will help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geriatric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노인근로자의 직무특성 및 여가활동참여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권미화,이재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2

        목적 : 본 연구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직무특성 및 여가활동참여 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도구로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총 50,007명의 자료 중 7,076명의 노인근로자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 필요한 문항만 을 선별하여 더미변환 후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근로자는 참여하지 않는 노인근로자에 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무특 성, 건강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근로자의 특성에서 여가에 참여하는 노인 은 직무만족, 성별, 교육정도, 직종 순으로 근골격계 질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변수들에 대한 설명 력은 19.6%였다. 여가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은 성별, 교육정도, 직무만족, 고용형태, 주당 근무시간 순 으로 근골격계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에 대한 설명력은 14.5%였다. 결론 : 노인근로자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통하여 작업치료분야에서도 노인의 작업영역 및 요소에 대 한 폭을 넓히고, 노인의 여가참여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 으로 성공적 노화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제공 시 경제활동 및 여가활동의 참여여부 등을 고려하 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elderly workers over 65 years of age with leisure activities. Methods: This study,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KWCS)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OSHRI) was analyzed. A total of 7,076 elderly workers' data were analyzed and crossove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worke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health compared to the elderly work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 with musculoskeletal diseases,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leis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gender,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ord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19.6%. The elderly who did not participate in leis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usculoskeletal diseases in order of gender, education level, job satisfaction, employment type and weekly working hou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14.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variables such a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and job characteristics when occupational areas and components of the elderly in the future occupational therapy field and provid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