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을 이용한 모형 기반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학습참여 유형과 학습성과 분석

        김희란(金喜蘭)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R을 이용하여 모형 기반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model-based latent profile analysis)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를 유형화함으로써 대학생 학습활동을 이해하는 것이다. 전국 4년제 일반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K-NSSE(Korea-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1,178명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학습참여 유형이 추출되었으며, 잠재집단들은 표본 수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유사한 축을 가지는 타원형 분포를 띄는 모형(VEE, Ellipsoidal, Variable volume, Equal shape, and Equal orientation)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 유형은 특징에 따라 ‘적극형’, ‘보통형’, ‘소극형’으로 명명되었다. ‘교수와 상호작용’ 변인이 유형 분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적극형’ , ‘보통형’, ‘소극형’ 순으로 대학생활을 통한 역량 함양 정도, 교육만족도, 대학몰입도를 높게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이 학습참여에 적극적일수록 학습성과가 높다는 선행연구결과를 지지하였으며 인지적 학습성과뿐만 아니라 정의적 학습성과 또한 학습참여의 적극성 정도와 관련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 대학생의 학습지원과 관련하여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learning activ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by applying the model-bas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classifying the typology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1,178 data were collected from 4-year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responded to the K-NSSE assessment via onlin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ree types of learning engagement were developed. The fittest model of latent groups was the ellipsoidal model with variable volume, equal shape and orientation among groups. The learning engagement was classified into active, ordinary, and passive types. The participants of active type showed higher scores on GPA, perceived competencie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mmersed level in college activities than other types. The results supported previous study outcomes that the more undergraduate students are active in their learning engagement, the higher their achievements are, and that the level of active engagement is associated with emotional learning outcomes as well as cognitive outcomes. Implications of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regarding supports for 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

        조선 유학자의 사회개혁론과 대동사회의 인식 양상 연구

        김희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The purpose of this paper has been constructed on a study of cognitive perception of the Daedong society (Ideal Society) which is shown in reformism among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Era.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fucius philosophy in the Joseon period in which the Wee-Min(爲民) and An-Min(安民) ideas held the central place, Neo-Confucianism was predicated on criticism and acceptance of Taoism and Buddhism. This points to the social extension of Neo-Confucianism through its criticism and acceptance of Taoism and Buddhism. Furthermore, from the fact that Silhak scholars’ critical understanding on Taoist thoughts was pervas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can be proven that Silhak was academically affiliated with Taoism. For this, analyses of the study are divided into three domains. First, social meanings that the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conciliatory world view retain are examined by compar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Confucius ideas in Joseon. This approach gives an explanation for an ideological negotiation (conciliation)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at is presented from the point of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in the Koryo Dynasty to the development of it in the Joseon Dynasty. Second, discursive argument over social reform, as well as institutional reform led by bureaucratcy in the early years of Joseon, is analyzed around the concepts of Wee-Min and An-Min. This process attempts to investigate social meanings of reform which proceeded in the complexity of political dynamics. Third, the perceptive study of the Daedong Society materialized in the reformism by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performs a task to isolate a Taoist world view embedded in their political philosophy.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 유학자의 사회개혁론에 나타나는 대동사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爲民과 安民의 개념이 중심이 된 조선시대 유학사상의 발전과정에는 도가와 불가사상에 대한 성리학의 비판과 수용이 전제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은 도가와 불교사상에 대한 성리학의 비판적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성리학의 외연 확대를 말하는 것이기도 한다. 이 점에서 조선 후기 실학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이루어진 도가사상에 대한 비판적 해석의 수용은 도가와 실학사상의 학문적 연계성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상기의 주제를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첫째, 유가, 불가, 도가의 융화(融化)적 세계관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의미를 조선 유학사상의 발전과정과 비교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이것은 고려시대 성리학의 수용에서부터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전과정 속에 나타나는 유가와 도가, 불가사상의 교섭(융화)을 규명하는 작업이 된다. 둘째, 조선 초기 지식인 관료들에 의해 이루어진 제도의 정비와 사회개혁에 대한 논의를 安民과 爲民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조선시대 활발해진 언론과 공론의 정치문화 속에서 강화된 安民과 爲民의 논리는 정치적으로 새로운 이해관계(역학관계)의 권력구도를 형성하는 동시에 사회개혁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셋째, 조선 유학자들의 사회개혁론에 나타나는 대동사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다. 이것은 조선 유학자들의 정치철학에 기능하고 있는 도가적 세계관에 대한 의미를 사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도가적 세계관의 수용과 변용은 이상사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불어오는 계기가 된다.

      •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교육과정 분석

        김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이화교육논총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of the connec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For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up: 1. how is the connection of the objective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 2. how is the connection of the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 3. how is the connection of the activity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y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6TH CURRICULUM(1998) an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PRACTICES' on the basis of THE 7TH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OF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1998). The method of the study is kum hei jeong's mathematic activity analytical criteria data(2001) by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y'. To measure the connec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 are re-adjusting those to be included the contents in THE 6TH CURRICULUM and THE 7TH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To analyze the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researchers who had majo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participated as a supplementary memb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objective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connected to have a common obtect as in the following logic-mathematical thinking' and 'the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mathematics' and 'the ability of the problem solution of the daily life'. Second, the connection of the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are as follows. 1. classification ; kindergarten were consist of contents to classify with one or two criterion,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enlarged contents to two-three classify from one criterion. 2. seriation ; kindergarten were consist of contents to put with one criterion,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3.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oncepts of numbers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presented activities to compare the size, to count the number by step 4. addition and subtraction ; kindergarten were enlarged to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5. measuring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To use word connected with measuring' was the same level with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but kindergarten was presented to the normal and abnormal measuring 6. time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presented activitys to contents to order the time, but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as the contents of visual education. 7. space and geometry I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kindergarten include location concepts, but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as the name of the space concept and geometry 8. statistics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kindergarten analyzed the collect data by making graph, but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analyzed the chart by recording number. Third, the connection of the activity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are as follows. 1.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connected with the simple disentanglement of the entangled materials and a regulation, but others weren't 2.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oncepts of numbers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are connected with the counting the number, the cognition of number, addition and subtraction, but they weren't connected with the 1:1 correspondence, a rough calculation, a formula, a part and the whole. 3. measuring , they weren't presented to the normal and abnormal measuring 4. time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5. space and geometry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connect with investigation of a solid figure, a shape naming, a geometrical shape composition, drawing a shape, but they weren't connect with location, approximation, in and outside, projective geometry. 6. statistics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connected each other, but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asn't contents about expended probability and statistics.

      • KCI등재
      • Eaton-Lambert 증후군과 항이뇨 호르몬 과다 분비 증후군을 동반한 소세포 폐암 1예

        김희,김선운,김인기,이형준,김양욱,주영돈,손창학 인제대학교 1999 仁濟醫學 Vol.20 No.1

        종양수반 증후군은 암의 원발 부위 또는 전이 이의의 부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이라 증후를 일컬으며 진단 전에도 나타날 수 있다. 이 중 Eaton-Lambert 증후군은 드물게 나타나는 신경학적 종양수반 증후군이며, 항이뇨 호르몬 과다 분비증은 종양에 의한 항이뇨 호르몬의 이소성 분비에 의해서 생기며 이 두 가지 종양수반 증후군이 소세포 폐암에서 병발할 예는 매우 드물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 등은 최근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된 56세 남자 환자에서 Eaton-Lambert 증후군과 항이뇨 호르몬 과다 분비증이 동반된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paraneoplastic syndrome refers to the ability of some tumors producing signs and syndromes at a distance from the site of the primary tumor or its metastasis. Eaton-Lambert syndrome has a rare neurologic menifestations and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IADH) is developed by ectopic secretion of antidiuretic hormone. The small cell lung cancer which is accompanied by above two paraneoplastic phenomenon is very rare and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56-year-old male who has samll cell lung cancer accompanied by Eaton-Lambert syndrome and SIADH.

      • KCI등재

        율곡의 수양론과 계몽의 일상성 의미 연구 - 『동호문답』ㆍ『성학집요』ㆍ『격몽요결』을 중심으로

        김희 (사)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2 No.-

        This paper tries to examine social meanings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sugichiin, that has been emphasized in Yulgok’s thoughts, in relation to enlightenment for social reform. Yulgok suggests royal politics of chido (治道) for jesegumin (濟世救民) through 『Seonghakjibyo』. This corresponds to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a yangmin theory in 『Donghomundap』 that suggests a gyeongse theory of anmin (安民). In this regard, Yulgok’s suyang theory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order to to understand and interpret Yulgok’s gyeongse theory based on awareness of the current affairs of gonghyo (功效). Considering Yulgoks’ thoughts through saying, “For King, there is no more important learning to change his disposition”, he refutes social and political effects of the suyang theory of sugi (修己). He thinks that importance of changing disposition does not applies only to the King, but all people. In other words, Yulgok perceives changing of people’s disposition regardless of social status, which is gonghyoseong (功效性) of the suyang theory, as the universal value of social meanings. Such his thought, cultivating moral characters intrinsic to people properly, is reflected on Donghomundap, Seongwangjibyo, and In this context, an interpretation of the suyang theory of sugichiin (修己治人) that Yulgok emphasizes is in need of expanding its significance rather than focusing on personal effort into building one’s character. And this approach involves with the necessity for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perspectives of 『Gyeongmongyogyeol』 Yulgok’s idea, reforming people’s consciousness for the better world, in 『Gyeongmongyogyeol』 is different from an idea of reforming in 『Donghomundap』 and 『Seonghakjibyo』 based on sugichiin (修己治人) of Confucian tradition. To the extent that significance of reforming consciousness for new changes in daily life is emphasized through the suyang theory of sugi, 『Gyeongmongyogyeol』 is equivalent to Yulgok’s new political awareness that leads to specialize the meanings of sugi. Therefore, an analysis of social meanings that 『Gyeongmongyogyeol』has can be a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to examine in social aspects meaning of sugi reflected on Yulgok’s thoughts in connection with enlightenment in daily life. 본 논문은 율곡의 사상체계 속에서 일관되게 강조되어 왔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수양론을 사회개혁을 위한 계몽의 정신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율곡은 제세구민(濟世救民)의 실현을 위한 치도(治道)의 왕도정치를 『성학집요』를 통해 제시한다. 그리고 이 논의는 제도의 개혁을 통해 안민(安民)의 경세론을 제시한 『동호문답』의 양민론(養民論)이 확대, 발전한 것에 해당한다. 이 점에서 인간 기질의 변화에 관한 율곡의 수양론은 공효(功效)의 시무(時務)의식에 기초한 율곡의 경세론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에 있어 중요한 내용이 된다. 더욱이, “제왕의 학문은 기질을 변화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없다.”는 말로 수기(修己)의 수양론이 갖는 사회적, 정치적 효과에 대한 실리적 의미를 논설하고 있는 율곡에게 있어 인간 기질의 변화에 대한 중요성은 군주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신분의 높고 낮음으로부터 벗어나 인간 기질의 변화에 관한 수양론의 공효성(功效性)을 사회적 의미의 보편적 가치로 인식하고 있는 율곡에게 있어 인간 본연의 덕성을 바르게 함양하는 것은 『동호문답』과 『성왕집요』를 거쳐 『격몽요결』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적용되는 내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율곡이 강조하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수양론에 대한 해석은 개인의 인격수양에 한정되지 않는 논의의 확대 가능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것은 지금까지 선행된 『격몽요결』에 대한 접근과 해석의 관점이 보다 폭넓고, 활발하게 논의될 필요성을 대변하는 것이 된다. 율곡에게 있어 『격몽요결』의 집필은 전통 성리학의 수기치인(修己治人)에 토대한 『동호문답』과 『성학집요』의 저술활동과 공유 가능한 공통의 내용을 갖는다. 하지만 군주와 제도에 의거한 민의 정치를 강조하는 것과는 달리 새로운 사회의 창출을 인간 의식의 계몽을 통해 시도하는 『격몽요결』은 『동호문답』, 『성학집요』과 다른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이것은 일상의 생활세계에 대한 새로운 변화에 관한 인간 의식의 개혁이 갖는 중요성을 수기(修己)의 수양론을 통해 강조한다는 점에서 『격몽요결』은 수기(修己)의 의미를 보편의 사회적 가치 속에서 특화시킨 율곡의 새로운 정치의식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고찰하는 『동호문답』과 『성학집요』와 다른 목적성을 갖는 『격몽요결』의 의미 비교는 율곡이 강조하는 수기(修己)의 보편적 가치와 의미를 사회적인 측면에서 고찰하는 동시에 일상의 계몽의식에 대한 율곡의 새로운 정치적 견해를 고찰하는 논의의 과정이 된다.

      • KCI등재

        조선 유학자의 도가철학 이해와 養民의 경세론

        김희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6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도가철학 이해에 나타나는 양민(養民)의 경세론(經世論)을 위민(爲民)과 안민(安民) 개념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養民의 經世論이 가지고 있는 사회, 경제적 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새로운 왕조 국가의 탄생과 더불어 가속화된 행정 및 사회구조 개혁의 시행은 반대급부 당대 사회가 해결해야할 사회적 문제의 현안을 표면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것은 새롭게 탄 생한 국가의 정치적인 명분의 정당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民의 지지를 받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점에서 온전한 民의 삶과 더불어 民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은 조선사회 를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하지만 성리학적 이념에 기초한 이상사회의 모습과 달리 성리학적 명분론에 기초한 신분제 사회의 질서 속에서 괴리된 民의 삶은 과도한 국가의 부역과 조세로 인해 곤궁해 진다. 더욱이 여러 번의 士禍와 양란(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인해 피폐해진 民의 삶은 사회, 경제적으로 위태로운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점에서 이이와 박세당, 서명응, 이충익, 홍석주와 같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현실사회의 문 제들을 타개하고 온전한 民의 삶을 위한 실효성을 가지는 개혁을 노자사상의 비판적 수용을 통해 진행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조선시대 선진적인 유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사회개혁론 속에 기능하는 爲民과 安民에 기초한 養民의 經世論은 정주학에 기초한 성리학적 세계관으로부터 벗어 나는 내용을 가진다. 더욱이 실학사상의 형성과정과 계보를 함께하는 爲民과 安民에 기초한 養民의 經世論에는 사회구조에 대한 새로운 개혁에 대한 의지와 더불어 주체적인 民의 삶을 위한 ‘참다운 삶’에 대 한 사회적인 요구가 전제되어 있다. Based on a concept of Wee-Min and An-Min,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Rearing people’s administration theory and its meaning in terms of the social-economic facet. Along with the birth of a dynasty, accelerated administration and reconstructing social structure are major social problems that the contemporary society in a trade-off resolves. It means not only legitimacy of a political cause of the new nation but also people’s support towards it in a way of the social-economic aspect. In the contemporary Joseon society lives of the people, nevertheless, experienced a quite another ideal society comparing to being based on a concept of Confucianism. In other words, their lives became more difficult social-economically, resulted from excessive forced labor as well as taxation from the nation, and the wars, Japanese invasion and the Mancho invasion. In respect to this, Confucianists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Lee-Yi, Park se-dang, Seo myong-ung, Lee chung-yik, Hong seok-ju claimed substantive reform to tide over the contemporary society’s problems through practical thoughts, criticizing and accepting Taoism. In their reformism, the administration theory for the people based on Wee-Min, An-Min shows new contents beyond the conventional Neo-Confucianism that the contemporary bureaucratcy retained. In this context,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fucianists’ administration theory for the people founded on Wee-Min and An-Min presupposes reform-mindedness for the social fabric in addition to social needs for people’s ‘real lives’, namely autonomous lives.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사회의 자기의식 강화와 장자 무기(無己)의 변증논리 비교 연구

        김희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5 No.-

        본 논문은 힘의 논리가 기능하는 위계적인 형태의 소통구조가 갖는 제한성을 인간 정신 의 활동성에 대한 제한성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로 하는 소통방식의 확대는 우리의 생활세계 속에서 기능하는 새 로운 일상의 공간(場)을 창출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으로 대변 되는 새로운 차원의 네트워크 세계로 우리의 일상을 이끌어 가고 있다. 이 점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포함하여 현대의 의사소통 방식이 갖는 제한성을 비판하는 논의들은 현실적으로 설득력을 갖지 못하는 진부한 논의로 인식되어지는 한편 그 결과 우 리은 생활세계에서 일어나는 위계적인 형태의 소통행위로 인한 인간소외의 여러 양상들에 대해 무감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문제는 민주적인 형태의 소통구조를 가능하게 만든다는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 로 하는 소통방식에도 여전히 정치적인 힘의 논리가 기능하는 위계적인 형태의 담론화 과 정이 기능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것은 사회적 의미체로 인간의 의사소통 행위뿐만 아니 라 인간의 정신활동이 갖는 문화의 의미 또한 쇠퇴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인간의 자기의식이 강화되어 가는 것에 대해 사회의 가치와 질서의 관념 속에 기능하는 정치적인 측면의 목적론적인 사고에 대한 비판을 통해 설명한 장자의 철학사상 은 오늘날 우리사회가 주목하고, 해결해 나아가야할 디지털 미디어 사회의 소통행위에 대 한 문제의 본질을 해명하고,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논의의 토대가 된다. 그리고 이것은 일상의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새롭게 재편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사회 의 의사소통행위가 갖는 위계적인 형태의 담론화 과정이 갖는 제한성을 자기의식의 강화 와 함께 하는 주체 분열의 문제와 연계하여 고찰하는 논의가 된다. This paper tries to study limitations that a communication structure in hierarchical patterns retain in connection with limitations of meaning of human consciousness activity. An expansion of new commucative method with the digital media has resulted in creation of an unique daily space. And it leads our daily lives to a next level of the network representativ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Internet of Things(IoT). In the middle of the consideration that a critical discussion is outdated with no practical convincibility, our society could hardly provide a pragmatic alternative to acts of hierarchical communication followed in daily lives, and also to different aspects of human alienation. However, the thing is a contemporary structure of communication based on the digital media still preserves a discursive process in hierarchical patterns affected by political power. Such structure is largely responsible for imparing not only acts of people’s communcation ability but also cultural meanings that their mental activity ha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on Chuang Tzu’s ideas criticizing a process of reinforcement of self-consciousness through teleological thinking that, in terms of a political aspect, functions in social value and order may be a foundation so as to clarify essentials of different problems in the digital media and explore practical alternatives for those. Also,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limitations of the discursive process in the hierarchical forms, which acts of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media society on a basis of daily lives carry, along with a matter of reinforcement of self-consciousness as well as self-disruption.

      • KCI등재후보

        문화교섭의 관점에서 본 『화엄경』의 중국적 변용에 관한 연구

        김희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8

        This paper investigates a formation process of the early Chinese Buddhism around 『Avatamska Sutra』, which is one of Mahayana Buddhism scriptures, and analyzes its meaning in a perspective of cultural interaction. 『Avatamska Sutra』 mainly emphasizes practicability of ‘sanggubori(上求菩提)’ and ‘hahwajoongsaeng(下化衆生)’ in terms of a view of Avatamska, that is to say ‘everything comes from one’s mind(一切唯心造)’. On this wise, the 『Avatamska Sutra』 making fundamental meaning on salvation and practicability in a mahayanist viewpoint is representative of the Chinese principal scriptures along with the Lotus Sutra』 of Tiantai Buddhism. However, examining a process of sinicized transformation of Indian Buddhism, it is considered that Avatamska view of the world based on the mahayanist doctrine has not been discussed thoroughly in terms of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the Chinese society. This could indicate that explanatory discussion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hinese Buddhism built around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Indian Buddhism opacifies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hinese Buddhism in which the formation as well as transition process of the Chinese Buddhism li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tries to explore Chines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Indian Buddhism in respect of cultural interaction, and analyze factors of cultural eclecticism in the early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Buddhism. This procedure eventually involves with examining analogically mahayanist features of the Chinese Buddhism through existing discussions of a plight and existence part of 『Avatamska Sutra』 and a jeonsaenggosa part of Buddha. 본 논문은 대승불교 경전의 하나인 화엄경을 중심으로 초기 중국불교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문화교섭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엄경은 ‘모든 것이 마음에서 이루어진다(一切唯心造)’는 화엄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상구보리(上求菩提)’와 ‘하화중생(下化衆生)’의 실천성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대승적 차원의 구원성과 실천성을 종지로 삼는 화엄경은 천태종파의 법화경 과 함께 중국불교를 대변하는 주요 경전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불교의 중국적 수용과정을 살펴 볼 때 대승교의를 종지로 삼는 화엄의 세계관이 중국사회에서 형성되고 발전하는 양상을 명료하게 설명하는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것은 인도불교의 한역(漢譯)을 중심으로 중국불교의형성과 그 발전의 양상을 설명하는 논의만으로는 중국불교의 형성와 대승불교로의전환성을 갖는 초기 중국불교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인도불교의 중국적 수용과 변용을 문화교섭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초기 중국불교의 형성과정에 기능하는 문화절충주의의 요소들을 분석한다. 이것은 초기 중국불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기존의 논의들(화엄경 역경, 화엄경 성립, 붓다 전생고사)을 통해 유추 가능한 중국불교의 대승적 특징을 문화교섭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내용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