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통번역 수업 연구 : 다중문식성에 기반한 교수․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권문화,이경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for multinational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literacy and to present specific example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tivit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survey o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targeting 42 multinational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presented a model of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classes by dividing them into ‘basic building’ and ‘translation practice by gen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asks for observation, learning, criticism, and application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classes. In the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preted and translated original materials of various genres such as dramas, songs, fairy tales, and poetry.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ese classes can be found in that they were able to take an interest in the language and culture of learners of other nationalities. In addition,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as reconstructed by inputting subtitles or dubbing in the media, and in this process, learners were able to experience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literacy and practice media literacy.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is study presents a class case of one semester and does not deal with the effect of class or specific interaction examples of learners. 이 연구는 다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수업을 다중문식성의 이론에근거하여 설계하고, 통번역 활동의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위해 본 연구는 42명의 다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통번역 수업에 대한요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통해 한국어 통번역 수업의 모형을 ‘기초 다지기’와 ‘장르별 번역 연습’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각 단계에서 관찰과 학습, 비평, 적용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번역 과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한 학기에 걸쳐 이루어진 한국어 통번역 수업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은 드라마, 가요, 동화, 시 등 다양한 장르의 원본 자료를 통번역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모국어와 모국 문화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었다. 또한 나아가다른 국적 학습자의 언어와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수업의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통번역한 결과물은 미디어 내에 자막을 입력하거나 더빙하는 방식으로 재구성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다중언어와 다중문화에 대한 문식성을 경험하고, 미디어 문식성을 실천할 수 있었다. 다만 이 연구는 한 학기의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 수업의 효과나 학습자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예를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영역 이중언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권문화(Quan Wenhu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고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이중언어 교육에 초점을 맞춰 연구 성과의 현주소와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8월부터 자료 수집및 분석을 시작하였으며 2019년 1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검색된 다문화 관련 이중언어 교육 분야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구체 적으로는 ‘다문화’ 및 ‘이중언어 교육’이라는 주제어를 중심으로 2008년부터 2018년 까지 진행된 연구에 대해 연도별,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 하였다. 본고는 분석 대상 논문의 연구내용에 초점을 두고 교수학, 정책 및 현황과 언어권 별 연구 동향을 살폈다. 분석 방법은 분석틀에 근거한 기존의 연역적 접근 방식과 더불어 논문 핵심어에 대한 자연어 처리 과정을 거쳐 연구 과정의 객관성을 제고하고 연역적 분석결과를 귀납하였다. 분석결과, 아직 교육의 일선에서 실행 가능한 교수학 및 내용학에 대한 연구가 미진함을 알 수 있었고 아직 다문화 영역의 이중언어 교육의 실제가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지만 본고의 분석 결과를 통해 다문화 구성원들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이 충분히 확인되었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다각적으로 제안하였음에 의미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and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chievement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studies. This study bega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August 2018, and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on bilingual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 fields until January 2019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Specifically, the research focused on the keywords ‘multicultural and ‘bilingual education conducted from 2008 to 2018 and carried out research according to the year,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search contents of the papers, and examines the trends in curriculum, policies and status, and research trends by nationality.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existing deductive approach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Then, through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process was enhanced and this method induces the result of deductiv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practical parts and content studies at the education field. The actual situation of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area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But this study confirms the need for this type of research and proposes various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y.

      • KCI등재

        조선족 대학원생의 언어 정체성에 대한 질적 탐구

        권문화,전옥,이정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1

        본고는 중국에서 초등교육과 중등교육과정에서 이중언어교육을 경험하고 학업목적으로 한국에 입국한 조선족 대학원생 1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여 그들의 언어 정체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인터뷰 내용에 대한 분석 방법은 주제 분석법에 의거하여 언어 정체성의 외적 측면과 내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외적 측면은 문화적 측면과 언어 환경적 측면으로, 내적 측면은 언어 태도를 중심으로 핵심 주제를 도출하였다. 외적 측면에서는 조선족이 이중언어 화자로서 문화 생활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고 이중언어교육 환경이 지역을 변인으로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내적 측면은 조선족이 조선어, 한국어, 한어에 대한 인식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조선어는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친밀감 유지 등 통합적 측면에서 중요하고 한국어와 한어는 학문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인지적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도구적 측면에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의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조선어 사용이 위축되는 현상이 있지만 조선족으로서의 민족적 자긍심은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조선족의 언어 정체성에 대한 구체적인 관점을 제공하고 추후 한국 사회에서 조선족이 가지게 될 실천적 역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선족의 이중언어 화자로서의 장점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실천적인 언어 행위는 조선족의 능동적인 노력과 한국 사회의 조선족에 대한 이해가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graduates by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14 Korean-Chinese graduat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ilingual education in China and have entered Korea to extend their studies. Based on the thematic analysis, the interview focused on the external aspects of language identity—cultural, linguistic, and environmental—as well as on the internal ones, which involve key themes emphasized by language attitudes (cognition, emotion, behavior), inductively. On the external side, it was found that the Korean-Chinese would make flexible choices about their cultural life and that bilingual education methods differed by regional variables. The internal aspects were grasped by the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Chinese Korean, Korean, and Chinese. The Chinese Korean language is important in integrating aspects such as maintaining intimacy with community members. However, Korean and Chinese are important tools for participating in cognitive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was a phenomenon in which the Chinese Korean language was reduced due to the negative recognition of Korean-Chinese in the Korean society, nevertheless, the national pride as Korean-Chinese was still maintained.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a concrete perspective on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and suggests the possible practical roles of Korean-Chinese in Korea. The Korean language’s bilingualism and practical language actions to create social values should be accompanied by active efforts of the Korean-Chinese and by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s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중 이중언어 화자로서 조선족의 언어 정체성 구성 요인 탐구

        권문화 ( Quan Wenhua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5 No.-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language identity among Korean-Chinese living in Korea.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parts: Language use and identity in China and Korea. First, five factors were recognized to affect their Language identity in China. Furthermor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each factor and the importance of speaking two languages to the respondents. As a result, a regression model shows about 47% relation. Next, seven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their language identity in Korea. The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bilingualism and each factor. However,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variables except for academic background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importance of bilingualism. This suggests that Korean society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shows a lack of research frame on the identity and language use of Korean-Chinese and other group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conclusion, this study clarified the components of which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residing in Korea consists. However, a further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is still needed to make the significance of Korean-Chinese bilingualism better recognized. (Kyung Hee University)

      • 해외 대학 한국어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수업사례 연구

        지서원(Seowon CHI),권문화(Wenhua Quan),찬와이밍(Wai Meng Chan)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2022 高凰論集 Vol.70 No.-

        본 논문은 싱가포르대학교의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1학기동안 진행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의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가 수업에서 배운 주제들을 교실 수업과 연계하여 교실밖에서도 배운 지식을 적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은 학습자들이 직접 정한 주제에 대한 내용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료를 취합하고 자료를 조사한 후 주제와 관련된 직업의 종사자 또는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하는 것이다. 이 수업은 최종적으로 13주차 동안 준비한 내용 및 인터뷰 내용을 발표한 후 동료 평가와 교수자의 최종 평가로 구성되었다. 프로젝트 수업 후, 교사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1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문화를 더 깊게 알게 되었고 학습자들의 고유문화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어서 13주간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수업의 주제를 선정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주제선정 시 교사가 좀 더 많은 자료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프로젝트 수업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싱가포르대학교 한국어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제2언어 환경에서 고급 학습자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의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나다:나오다’와 ‘出:出來’의 대조 분석 연구

        탄샤오루,권문화,이정희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2 No.-

        본고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유의어 쌍 ‘나다:나오다’의 의미를 구별하여 사 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나다:나오다’ 그리고 그와 대응되는 중국어 유의어 쌍 ‘出: 出來’의 의미 성분 분석 및 의미적 선호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국어교육학적인 유의어 개념에 기반해 ‘나다’와 ‘나오다’의 의미 중 ‘출현’의 의미를 가진 항목들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의미 성분을 분석한 후 더 명확한 의미 차이를 밝히기 위해 말뭉치를 활용한 의미 선호 대조 분석 을 진행하였다. 동시에 대응되는 중국어 유의어 쌍 ‘出:出來’와의 대조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나다:나오다’의 의미 변별 시 겪는 어려움을 제시하였다. 3장의 의미 성분 분석 결과 사전에서는 ‘나오다’는 ‘出來’와 대역되고 있지만 ‘나다’와 의미가 더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 4장의 의미 선호 분석을 진행한 결과, ‘나다:出’과 ‘나오다:出來’의 대역 관계는 공기 명사의 의미에 따라서 달라지며 ‘出:出來’는 ‘나다:나오다’ 만큼 의미 차이가 명확하지 않다. 이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유의어 교수· 학습 과정에서 ‘나다:나오다’는 제시하는 단계에서부터 유의하여 설명해야 하고 사전을 활용 한 의미 분석법 외에 모어인 중국어와의 대조, 말뭉치를 활용한 용례 검색 등의 방안을 제안 하였다. This study argued a method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distinguish and use the meaning of the Korean synonym pair ‘나다:나오다’. The semantic component analysis and semantic preference analysis of the Chinese synonym pair ‘出:出來’ corresponding to ‘나다:나오다’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cept of synonyms in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items with the meaning of ‘appearance’ were selected among ‘나다’ and ‘나오다’. Then, after analyzing the semantic components, in order to show more clear meaning differences, a comparative analysis of semantic preference is made by using corpus. At the same time, the contrast with the corresponding Chinese synonym pair ‘出:出來’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face in differentiating the meaning of ‘나다:나오다’. As a result of the semantic component analysis in Chapter 3 showed that ‘나오다’ is a substitute for ‘出來’, but the meaning is more similar to ‘나다’. As a result of the four semantic preference analysis to clarify this phenomenon, the corresponding translation relations between ‘나다:出’ and ‘나오 다:出來’ depends on the class of meanings of co-occuring nouns and the semantic differences of ‘出:出來’ is not as clear as ‘나다:나오다’. Therefore, in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of synonym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나다:나오다’ should be explained carefully from the stage of presentation, and sematic differential technique using a dictionary, there are other methods such as contrasting with native Chinese and searching for examples using a corpus.

      • KCI등재

        교재 분석을 통한 재외동포 학습자 대상 한국어 입문 교재 개발 방향 연구

        이혜민,권문화,이정희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72 No.-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KHL) education, particularly highlighting Korean alphabet instruction as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ing.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local community’s language, serving as a bridge for specific individuals, groups, families, and communities. KHL learners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traditionally targeted learners, necessitating tailored educational approaches and customized learning materials. Despite preschool and elementary students comprising over 63% of global Korean language school enrollment in 2019, research on education for this demographic lags behind that for adults. Additionally, existing textbooks often overlook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young learners. This paper pursues the following objectives: 1) Identifying KHL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to integrate them into Korean alphabet instructional materials. 2) Examin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crucial insights in introductory-level textbook development. 3)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ongoing research on Korean alphabet education for KHL learners. Against this backdrop, chapter 2 explores heritage language Korean education, Korean alphabet instruction for child learners, and features specific to Korean language schools. Chapter 3 analyzes 10 selected textbooks, drawing on established criteria to identify and discuss their unique features. This analysis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HL education.

      • KCI등재

        Precautionary effects of Red Liriope platyphylla on NGF secretion and Aβ42 deposition under the preclinical stage of Alzheimer's disease in Tg2576 mice

        최선일,김지은,이영주,권문화,정영주,황대윤 한국실험동물학회 2013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29 No.4

        Red Liriope platyphylla (RLP) has been manufactured from Liriope platyphylla (L. platyphylla, LP) roots using steaming process and investigated as a curative agent for treatment of diabetes, obesity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To examine the precautionary effects of aqueous extract RLP (AEtRLP) on the preclinical stages of Alzheimer’s Disease (AD), alterations of the key factors influencing AD were investigated in Tg2576 mice after AEtRLP7 treatment for 4 months. Aβ-42 peptides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rain of AEtRLP7-treated Tg2576 mice compared to vehicle-treated Tg2576 mice,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on improving behavioral defects were not observed in the same group. The concentration of nerve growth factor (NGF) in serum was also higher in AEtRLP7-treated Tg2576 mice than vehicle-treated Tg2576 mice. However, the phosphorylation of TrkA and Erk among the downstream effectors of the high affinity NGF receptor was significantly lower in AEtRLP7-treated Tg2576 mice. A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in the expression level of downstream effectors within low affinity NGF receptor.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EtRLP7 can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production and deposition of Aβ-42 peptides during the early progression stage of AD in the brain of Tg2576 mice through increased NGF secre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