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국장(國葬)용 제기(祭器)의 조성과정과 성격 -정조(正祖) 국장관련 의궤분석을 중심으로-

        구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2 한국문화연구 Vol.42 No.-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production process of ritual vessels(Jegi) used in the late Joseon Dynasty's King Jeongjo,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Jegi for the royal funeral were identified. The character of national funeral gradually changed from the sorrow to the delight as it approaches the last ritual of Bumyo. The offerings and rituals were also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time of the memorial(27 months), the ritual space (Binjeon, tomb, Honjeon), and rituals (Jeon, Sangsik, tea ceremony, Je). In this process, Binjeonjegi(the ritual vessels used at the royal coffin hall), Honjeonjegi(the ritual vessels used at the shrine for the spirit tablet), and the ritual vessels used at the tomb were mainly made of white porcelain, silver, and bronze. In addition, the remaining types of ritual were produced and completed for the Bumyo, the last stage of the ritual,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verted into the ritual for Jongmyo of Gilrye. The funeral vessels can be said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ritual and visualized. 본 연구는 조선후기 정조 국장에 사용된 제기의 종류와 조성과정을 살펴 흉례용 제기의 성격을 파악한 내용이다. 국상 의례의 성격은 종묘에 신주를 모시는 부묘란 마지막 의례를 향해가면서 점차 흉에서 길로 전환한다. 흉례의 시간(27개월), 의례 공간(빈전, 산릉, 혼전), 의식(전, 상식, 주다례, 제)의 변화에 따라 진설되는 제수와 제기들도 함께 연동되었다. 이 과정에서 빈전제기, 혼전제기, 산릉제기가 주로 백자, 은, 유주 재질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흉례의 최종 단계인 부묘를 위해 국장용 제기의 나머지 종류가 제작되어 완성되고, 동시에 길례의 종묘제기로 변환된다. 국장용 제기는 빈전, 혼전, 산릉 그리고 부묘란 공간과 의식의 성격을 제기의 기종과 재료란 물질을 통해 가시화한 의례기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朝鮮 後期 陽刻白磁 硏究

        구혜 한국미술사학회 2009 美術史學硏究 Vol.263 No.263

        본 논문은 조선후기 양각백자를 기술․양식․교류사․문화사적인 면에서 다각도로 조명하여 그 실체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후기 양각백자의 제작배경은 크게 세 단계로 파악된다. 중국과 일본의 양각기법에 대한 인식의 단계에서 양각백자가 국내로 유입되고 일부계층에서 이에 호응하여 구득하는 단계를 지나, 正祖 19년(1795)에 단행된 靑彩와 匣燔 금지령을 통해 소량 제작되던 양각백자가 확대 생산되는 단계로 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중국 福建省 德化窯와 漳州窯에서 제작된 양각백자와의 유사성과 당시 다수의 복건상인들이 국내로 표류해 오거나 상선이 경유한 점과 관련지어 중국 南方窯 생산 도자기들의 국내 유입 가능설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기술적 측면에서 조선후기 양각백자는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다양한 기법들이 사용되었다. 문양의 바탕면을 깎아내는 彫刻陽刻, 도범을 사용하여 기형과 문양을 동시에 찍어내는 壓出陽刻, 문양을 별도로 제작하여 붙이는 貼花陽刻, 태토보다 농도가 낮은 점액질상태의 白泥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듯이 문양을 표현하는 堆花陽刻의 4가지로 구분된다. 특히 퇴화양각의 경우, 이 기법을 이미 사용하고 있었던 중국과 일본에서 그 선례를 찾아 영향관계의 가능성을 밝힐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각 기종의 제작양상과 특징을 비롯하여 문양별 표현 양식에 대해 비교하였다. 食器 ․ 儀禮器類, 文房具類, 기타 生活器皿類로 나누어 고찰한 결과 양각백자만의 특성이 드러났다. 즉 양각기법은 조선후기 백자의 거의 전 기종에서 나타나며 다양한 기형과 문양을 갖추었는데, 전체적으로 최고급 품질이 유지되면서도 병, 연적은 선택적으로 대량생산되었다. 또한 잔 ․ 필통 ․ 연적의 특정 기형이나 퇴화양각한 십장생문 ․ 매화문에서는 중국 복건성 德化窯와 漳州窯와의 영향관계가 감지된다. 문양 표현양식에서 2차원적 평면이 갖는 표현한계를 극복하고 문양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문양에 따라 여러 방법을 변용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양각백자는 장식성향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그 변천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Ⅰ期는 18세기 중엽부터 국내에서 일부 생산되던 양각백자가 1895(1795년입니다.)년 정조의 청화 ․ 갑번금지책으로 인해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Ⅱ期는 양각기법이 기존의 생산양상을 유지한 채 청화장식과 차별화되는 고급 장식기법으로 자리매김하는 시기로 퇴화양각과 같은 새로운 기법이 시도되는 시기이다. Ⅲ기는 일부 기형이 일반수요로까지 확대되면서 태토와 문양에서의 질적 수준이 다양화되는 시기이다. 이 때‘又石 ․ 草隱’등 왕실관련 인척이나 관료들과 관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명문들이 남아 있어 중요한 편년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조선후기 양각백자를 보다 뚜렷이 규명하기 위해서는 대상 범위를 국내에만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동시기 중국, 일본을 비롯하여 유럽의 양각백자까지 넓히고, 백자를 넘어 다양한 재질의 공예에 나타나는 양각문을 분석한다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holistic examination of late-Joseon white porcelains with embossed designs, discussing them from technical and stylistic perspectives as well as from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history and the history of ceramics exchange in East Asia.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s with embossed designs in late Joseon took place through three successive stages. The first is the stage during which Korean potters became aware of the embossing techniques used in China and Japan. During the second stage, white porcelains with embossed designs of Chinese and Japanese origin were brought to the Korean peninsula, with some people owning them in their private ceramics collections. During the third and last stage, white porcelains with embossed designs, thus far produced only in small quantities, were mass-produced. This last phase of mass-production bega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with the ban in 1795 of underglaze cobalt-blue decoration and the use of saggers during pottery firing. Joseon white porcelains with embossed designs are quite similar to those produced in the Dehua Kiln and Zhangzhou Kiln in Fujian Province, China. Around that time, Fujian merchants were often diverted to the shores of Joseon or their ships called at Joseon ports, which explains the introduction of ceramics from southern Chinese kilns. Late-Joseon white porcelains with embossed designs were much more diversified in production techniques than they were previously believed to be. There were four major types of techniques: carved embossing (jogak yanggak), consisting in digging out the surface layer around a design to create relief; extrusion embossing (apchul yanggak) using a mold to shape the porcelain ware and surface designs at the same time; appliqué embossing (cheophwa yanggak) in which designs are separately created and affixed to the surface of the pottery; and white-slip embossing (toehwa yanggak) in which white slip of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pottery clay is used to draw designs on the surface. Examples of pottery wares embossed using white slip were found in China and Japan, suggesting that these two countries could have been the source of influence for Joseon potters. Meanwhile, late-Joseon white porcelains with embossed designs are divided, in this study, into three categories, tableware and ritual ware, stationery items and other daily ware. Embossing is a technique that is encountered in most types of late-Joseon white porcelains, and designs created using this technique are widely varied. Vases and water droppers are the most popular types of embossed white porcelains, showing also the highest quality of execution. Items such as cups, brush holders and water droppers and designs such as white slip-embossed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plum blossoms show the influence of the Dehua and Zhangzhou kilns. Wide-ranging techniques were used for embossed designs to creat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for greater expressivity. By surface ornamental technique, one can distinguish three different periods in the history of late-Joseon white porcelains with embossed designs. The first period is the one following the policy of King Jeongjo in 1795, during which embossed porcelains, which had been produced in small quantities since the mid-18th century, were finally produced on a massive scale. The second period is when embossed designs began to be recognized as a sophisticated ornamental technique, on an equal footing with blue-and-white decorations and yet distinct from them.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innovative techniques such as white-slip embossing were attempted by Joseon potters. During the third period, their quality standards became greatly diversified in response to the expanding market for embossed white porcelains. Inscriptions such as “Useok,” and “Choeun,” found on some of these porcelain wares , referring to the royal household and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re, for instance, highly use...

      • 동남아시아 페라나칸(Peranakan) 자기의 조형과 성격 : 문화적 혼종성과 창조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구혜인 ( Hyein Koo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페라나칸 자기는 19세기-20세기 초 중국 청대 경덕진에서 제작되어 싱가포르, 말레이반도, 인도네시아 등지에 소비된 법랑자기이다. 페라나칸 자기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백자 태토에 광물성 안료인 에나멜(법랑)로 그림을 그려 장식한 채색자기 중 하나인 법랑자기가 주류를 차지했다. 페라나칸 문화의 큰 특징은 유럽과 동남아시아 문화와 융합되면서도 동시에 중국 본토의 정체성도 잃지 않고 유지했다는 점인데, 페라나칸 자기 역시 중국 도자기 문화에 바탕을 두면서도 타문화의 영향을 받았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페라나칸 도자의 성격을 ‘문화 혼종성과 창조적 정체성’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페라나칸 자기는 경덕진에서 유행하였던 분채의 양식을 따르고 있고 소재도 중국의 길상소재인 봉황문, 모란문을 주로 사용하지만 분홍색과 밝은 청록색을 안료로 칠하여 중국이나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도자기와는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그리고 캄쳉이나 카트마우와 같은 특수 기형을 제작 주문하는 등 페라나칸 도자만의 기종, 문양, 안료 등이 어우러진 독자적인 도자문화를 이루었다. 물론 페라나칸은 생산지역이 아니라 소비지역이기는 하지만 중국 경덕진과 물리적인 거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인 수입이 아니라 주문 방식을 통해서 정착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한 도자문화를 주도적으로 형성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페라나칸 자기는 오늘날에도 상업도자기로 제작되거나 예술작품으로 활발하게 창작되는 등 여전히 애호되고 있어 페라나칸 자기의 의미는 아직까지 현재 진행중이다. The Peranakan porcelain was made in the early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n the Jingdezhen and consumed in Singapore, the Malay Peninsula and Indonesia. The great feature of the Peranakan culture is that it has been integrated with European and Southeast Asian cultures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ed mainland China’s identity, as well, which can be identified by the influence of Southeast Asia while also based on the Chinese ceramics culture. The Peranakan porcelain, which follows the popular style in Jingdezhen and uses mainly Chinese auspicious materials, but has been painted with pink and emerald colors, which are mainly used in Southeast Asian cities, creating an atmosphe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It also produced and ordered special deformities that are not found in China, such as Kamchat and Chufu, and achieved its own provincial advisoryization that combines the models, patterns and pigments of the Persian Gulf. Although it was not produced directly in the Peranakan region, attention is focused on the fact that it has formed a new provincial advisory system while losing its identity as a result of customizing and consuming ceramics that incorporate Southeast Asian elements in Chinese culture. The complex nature of Perranakan's identity and hybridity is still meaningful in that it is still loved today, such as being produced as a commercial tool or actively created as an artwork.

      • KCI등재

        조선시대 주준(酒樽)용 백자용준(白磁龍樽)의 문양과 왕실 의례와의 관계

        구혜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8

        White Porcelain Dragon Jars were regarded as the very highest quality ceramic vessels in the Joseon period. They were used to hold liquor or flowers in a variety of rites. This study focuses on White Porcelain Dragon Jars used to hold liquor. Illustrations in written manuals for ceremonies prove that the patterns on Joseon White Porcelain Dragon Jars varied according to type of rite. Until now, the fact that the patterns on such jars varied according to type of rite has been confined to the early Joseon period and mentioned only briefly; there has been no specific investigation of this phenomenon through the entire Joseon period. Consequently, I have been able to find 11 further illustrations of White Porcelain Dragon Jars in addition to the three previously known images, thereby casting light on the pattern differences, changes and arrangement methods of such vessels according to type of rite. Pattern differences among White Porcelain Dragon Jars depend more fundamentally on type of royal ceremony than on period of production. In particular, dragon jars used in each ceremony show more striking differences in terms not of dragons but of subordinate patterns; examples include the mountain patterns on the lower parts of dragon jars used in wedding ceremonies(garye) and the lotus petal patterns on the upper parts of dragon jars used for funerary ceremonies(hyungnye). White Porcelain Dragon Jjars are said to have been used to hold liquor during the Five Rites, but they were not used in all rites. Liquor jars and flower jars were used in the dongnoeyeon part of the garye or at royal banquets, while jujun were used for sokjeol rites among auspicious rites(gillye) and in spirit tablet shrines(honjeon) during hyungnye. For gillye and hyungnye held at royal tombs, liquor was held not in White Porcelain Dragon Jjars but in brass salloe jars; this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norms and ideology behind the use of certain royal ritual vessels with materials and patterns according to place. Future studies of White Porcelain Dragon Jars will need to be based on analysis of extant artifacts, like those of many studies conducted so far, combined with comparative analysis of such jars depicted in the illustrations of state rite manuals and a macroscopic view of royal rites. 조선시대 백자용준은 백자 중 최정점의 위상을 차지한 기물로써 다양한 의례에서 주준과 화준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례용 술을 담는 용도로 사용된 주준용 백자용준에 대해 주목하였다. 조선시대 주준용 백자용준의 문양과 특징이 의례에 따라 달랐다는 사실을 의례서의 도설을 통해 증명하였다. 그동안 조선시대 백자용준의 문양이 의례별로 달랐다는 사실이 조선 초기에 국한되어 간단히 언급되기는 했으나 조선 전시대를 통틀어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못했다. 이에 필자는 기존에 알려진 3건의 백자용준 도설 이외에도 11건의 백자용준 도설을 추가 발굴하여 백자용준의 의례별 문양차이와 변화, 진설방식과 특징 등을 밝힐 수 있었다. 백자용준의 문양 차이는 제작시기의 차이 라기 보다는 기본적으로 왕실 의례의 종류에 따른 것이다. 특히 각 의례에서 사용하는 용준은 용 보다는 오히려 다른 종속문양에서 눈에 띄는 차이가 있었는데, 가례용 용준 하부의 산문과 흉례용 용준 상부의 연판문을 들 수 있다. 백자용준이 주준으로써 오례에 사용되었다고는 하지만 모든 의례에 사용된 것은 아니다. 가례 중에서는 혼례의 동뢰연과 진연진찬의 주준과 화준, 길례에서는 속제용 주준, 흉례에서는 혼전용 주준으로 선별되어 사용되었다. 길례나 흉례시 산릉에서는 주준을 백자용준이 아닌 산뢰로 사용한다는 것은 왕실 의례기물들이 적재적소에 맞는 재질과 문양이 선택하여 사용하려는 규범과 의례사상이 있었다는 구체적인 사례가 된다. 향후 백자용준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많은 연구자들의 접근방식처럼 현전 유물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하면서 더불어 국가전례서 도설 속 백자용준과의 상호 비교분석과 왕실 의례란 거시적 조망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왕실 연향용 주기(酒器)의 종류와 운용체계 -의궤의 기용도(器用圖) 분석을 중심으로-

        구혜인 ( Koo Hyei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1 한국문화연구 Vol.40 No.-

        이 글은 조선후기 왕실 연향용 주기가 구성된 배경, 종류와 조형 그리고 소비와 수급체계를 살펴본 논문이다. 현전하는 유물이 드문 연향용 주기를 조사하기 위해 조선후기 의궤 기용도를 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당시 공예문화에서 주기가 갖는 성격과 의미를 파악했다. 주기는 왕실 연향을 상징하는 기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왕실 연향 절차에서 진작하는 순간이 의례의 핵심이고 왕실 구성원의 위차를 예를 통해 드러내는 중요한 기회이자 수단이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조선후기 연향의궤 속 기용도의 시작은 조선전기 국가전례서의 준작도설에서 찾을 수 있었다. 또 의궤 속 주기 중에서 잔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명칭의 수가 총 34개에 이를 만큼 다양하다. 각각의 명칭 안에는 기종, 구성, 재질, 장식 등의 풍부한 정보들이 조합되어 있다. 그 중에서 서배와 옥잔은 잔의 위계에서 핵심을 차지하고 있다. 연향용 주기의 공급과 사용양상에 대해 살펴본 결과 내하, 호조, 상의원 그리고 주원 등에서 주기가 조달되었다. 그리고 참석자의 위계에 따라 주기의 종류, 재질, 색 등이 엄격하게 구분되는데, 이에 비해 다정과 시접반의 기물들은 참석자 간 큰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대조된다. This article is a thesis that examines the background, types and format, and consumption and supply and demand systems of the liquor vessels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beginning of Kiyongdo in the Yeonhyangui-gw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found in the Junjackdosul of the national rituals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 addition, cups occupy the largest number of cycles in Uigwe, and the names are varied enough to reach a total of 34. In each name, the information such as model, composition, material, decoration, etc. are combined. Among them, Seobae and Okzan occupy the core in the hierarchy of the cup.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pply and usage patterns of liquor vessels, the liquor vessels were supplied from Nae-Ha, Hojo, Sanguiwon and Juwon. In addition, the type, material, and color of the liquor vessels are strict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the participants.

      • KCI등재

        순조~고종대 지밀방 궁녀의 삶과 직무 - 제조상궁 하씨의 사례를 통하여 -

        구혜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4 한국인물사연구 Vol.22 No.-

        The woman introduced in this article is identified only as Ha. She served as a court lady for more than seventy years from the reign of King Sunjo (r. 1800-1834) to that of King Gojong (1863-1907). She rose to the highest position among all court ladies, that of Jejo Sanggung, and was responsible for handling matters pertaining to all the property that belonged to the women’s section of the Royal Court under the control of the queen.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contain details about the date of her death, the location of her parents’ house, her duties and salary, and her complex network of cliques among other things. Her career at the royal court coincided with the period spanning the door-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Empire (Daehan, 1897-1910). During that period, the Joseon Dynasty underwent epochal changes. As the highest court lady, she had to carry out her duties by maintaining the traditions of the Royal Court while simultaneously adapting to the chang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Research on the life of Lady Ha has enabled researchers to shed light on the considerable role played by court lad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handicrafts of the Royal Court, the details of which have remained obscure until now. The results of research on her life as a court lady can be exploited in a variety of relevant research areas. Her story is not merely a story about an individual: Rather, it offers a glimpse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nfluence of a high-ranking court lady and the type of network of social relationships she maintained with others within the Royal Court. It is thought that the content of this article could also serve as a useful material for studies of women’s social activities, including those associated with fine art, during the Joseon Period.

      • KCI등재

        조선시대 吉禮·凶禮 공예품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구혜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0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on crafts used in Gilrye and Hyungrye rituals in the Joseon Dynasty are reviewed, and future tasks are suggested. Among the crafts for Gilrye, researches on ritual vessels, royal seals, investiture books and inner cases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 terms of comprehensive research by space, research was conducted on rityal crafts placed in Jongmyo, Gyeongmogung, Jinjeon, ancestor tombs, and Gungwon. Among the crafts used for funeral ceremonies, diver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alanquins, ceremonial objects, Bangsangshi, lights. And crafts used in the pavilion of the royal tombs during mountain tomb ceremonies and Myeong-Gi buried in the tombs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is analysi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were suggest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rase the material boundary of ceremonial crafts and create a contact point for various research fields. Second, ceremonial objects lacking cultural value or aesthetics, crafts with auxiliary functions, and crafts burned or buried also have thematic value to be studied. Third, research on ceremonial crafts of complex nature needs to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ritual. Fourth, research on craftsmanship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is incomplete compared to research on crafts, so it should be studied in depth. Fifth, since the purpose and symbol of the space is to be fulfilled only when crafts exist in the ritual space, the crafts in the ritual must be restored and put in place.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국가 오례 중 길례와 흉례에 사용된 공예품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길례용 공예품 종류 중 제기, 보, 책 등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길례 공간 중에서는 종묘, 경모궁, 진전, 산릉, 궁원에 배치된 공예품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와 함께 흉례용 공예품 중에는 발인의식에 사용되는 대여, 의장, 방상시, 횃불, 제등에 관한 연구, 산릉의식 중 왕릉과 시조왕릉의 정자각에 비치된 공예품과 명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위의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연구방향과 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의례용 공예품의 재질적 경계를 지우고 다양한 연구분야의 접점을 만들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재적 가치나 심미성이 부족한 의례기물, 의물이 아닌 보조 기능을 하는 공예품, 불태워지거나 매납된 공예품들도 연구의 주제로 삼을 가치가 있다. 셋째, 복합적 성격의 의례용 공예품은 의례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 넷째, 장인과 제작기술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의례공간은 공예품이 존재해야 그 공간의 상징성이 갖춰지는 것이므로 종묘를 비롯한 조선시대 주요 의례공간 내 공예품이 복원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국가제사용 도자제기陶磁祭器의 종류와 성격

        구혜 한국국학진흥원 2023 국학연구 Vol.- No.51

        This research is a study that illuminates the usage patterns of ceramic vessel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of Gilye, the royal ancestral ritual of the Joseon Dynasty, and extracts the inherent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within them, thereby providing a new perspective on ceramic vessels. In the major ritual of Gilye, ceramic vessels made from clay materials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ritual logic of revering the rusticity of nature. Additionally, in the Jongmyo ritual, vessels called “deung” used for containing meat stew without liver were made from earthenware material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country's founding and after the wars period, there was a temporary shift from using metal vessels to using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 vessels. This shift was primarily due to the convenience provided by clay as a material. In the ritual context, ceramic vessels had various characteristics and were used either “essentially” or “temporarily” depending on the ritual requirements. In contrast,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s, white porcelain vessels were used to symbolically reproduce the life of the deceased. The vessels placed in the Sokje of Munsojeon and Yeonghuijeon, such as the Hwaryongsajun and the Jada-gi of Sunwonjeon, exhibited a resemblance to the appearance during their lifetime. Moreover, ceramic vessels used in royal palaces and royal tombs, including Yukjanggung, also demonstrated diverse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the ceramic vessels of national ritua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