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남아시아 페라나칸(Peranakan) 자기의 조형과 성격 : 문화적 혼종성과 창조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 The Formation and Character of Peranakan porcelain in Southeast Asia: Focusing on cultural hybridity and creative ident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페라나칸 자기는 19세기-20세기 초 중국 청대 경덕진에서 제작되어 싱가포르, 말레이반도, 인도네시아 등지에 소비된 법랑자기이다. 페라나칸 자기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백자 태...

      페라나칸 자기는 19세기-20세기 초 중국 청대 경덕진에서 제작되어 싱가포르, 말레이반도, 인도네시아 등지에 소비된 법랑자기이다. 페라나칸 자기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백자 태토에 광물성 안료인 에나멜(법랑)로 그림을 그려 장식한 채색자기 중 하나인 법랑자기가 주류를 차지했다. 페라나칸 문화의 큰 특징은 유럽과 동남아시아 문화와 융합되면서도 동시에 중국 본토의 정체성도 잃지 않고 유지했다는 점인데, 페라나칸 자기 역시 중국 도자기 문화에 바탕을 두면서도 타문화의 영향을 받았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페라나칸 도자의 성격을 ‘문화 혼종성과 창조적 정체성’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페라나칸 자기는 경덕진에서 유행하였던 분채의 양식을 따르고 있고 소재도 중국의 길상소재인 봉황문, 모란문을 주로 사용하지만 분홍색과 밝은 청록색을 안료로 칠하여 중국이나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도자기와는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그리고 캄쳉이나 카트마우와 같은 특수 기형을 제작 주문하는 등 페라나칸 도자만의 기종, 문양, 안료 등이 어우러진 독자적인 도자문화를 이루었다. 물론 페라나칸은 생산지역이 아니라 소비지역이기는 하지만 중국 경덕진과 물리적인 거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인 수입이 아니라 주문 방식을 통해서 정착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한 도자문화를 주도적으로 형성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페라나칸 자기는 오늘날에도 상업도자기로 제작되거나 예술작품으로 활발하게 창작되는 등 여전히 애호되고 있어 페라나칸 자기의 의미는 아직까지 현재 진행중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eranakan porcelain was made in the early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n the Jingdezhen and consumed in Singapore, the Malay Peninsula and Indonesia. The great feature of the Peranakan culture is that it has been integrated with European and Sou...

      The Peranakan porcelain was made in the early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n the Jingdezhen and consumed in Singapore, the Malay Peninsula and Indonesia. The great feature of the Peranakan culture is that it has been integrated with European and Southeast Asian cultures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ed mainland China’s identity, as well, which can be identified by the influence of Southeast Asia while also based on the Chinese ceramics culture.
      The Peranakan porcelain, which follows the popular style in Jingdezhen and uses mainly Chinese auspicious materials, but has been painted with pink and emerald colors, which are mainly used in Southeast Asian cities, creating an atmosphe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It also produced and ordered special deformities that are not found in China, such as Kamchat and Chufu, and achieved its own provincial advisoryization that combines the models, patterns and pigments of the Persian Gulf. Although it was not produced directly in the Peranakan region, attention is focused on the fact that it has formed a new provincial advisory system while losing its identity as a result of customizing and consuming ceramics that incorporate Southeast Asian elements in Chinese culture. The complex nature of Perranakan's identity and hybridity is still meaningful in that it is still loved today, such as being produced as a commercial tool or actively created as an artwor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