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말레이시아의 교육 허브 정책 분석

        고장완,문소라,위옥정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17 성인계속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고등교육의 국제화에 있어서 관심을 갖고 있는 교육 허브에 관한 논의를 증진시키고 말레이시아의 교육 허브 추진 과정과 관련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등교육 허브 관련 정책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말레이시아의 교육 허브 조성 과정을 교육허브 정책의 발표 및 시행, 추진 배경, 추진목표와 초점, 추진전략: 국가 계획/정책, 핵심부처 및 추진 주체, 그리고 쟁점 및 과제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말레이시아의 경우는 국가주도로 교육허브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특정지역을 선정하여 외국 고등교육기관을 유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유사한 교육 허브 정책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의 경우는 교육 허브에 대한 국가주도 전략이 좀 더 거시적이고 장기적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교육 허브 추진 방안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가 주도의 구체적인 지향점과 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외국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질 관리 체제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etency- Based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between Australia and Korea-The case of two Universities-

        고장완,백승수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s in two universities, both act as competency-based education leaders in each country at higher education level, Sydney University in Australia and Sungkyunkwan University in Korea. We reviewed the three- stage process, which refers to selecting core competencies, integrating core competencies into the university curriculum, and evaluating the results to analyz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found that two universities share commonalities in two aspects, namely utilizing internal and external agencies and adopting various methods to select core competencies. They also mapped each core competency to regular and extra courses. Meanwhile, Sydney University has more autonomy to incorporate core competencies into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assess competencies than SKKU. Related policy implications were addressed.

      • KCI등재

        전공계열에 따른 학생참여 및 지각된 학습성과의학년별 차이 분석

        고장완,박수미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1

        Purpos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behaviors and perceived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to analyze whether the results are different based on academic disciplines, grade level,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o achieve this purpos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of Learning(hereafter NASEL) developed by KEDI was employed. This study constructed a quasi-panel data including a cohort of 487 students(freshmen in 2011, sophomores in 2012, juniors in 2013, and seniors in 2014) based on three rounds of matched samples. A repeated measure ANOVA using the mixed model design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differences existed in the interaction effects of students in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by grade level. Findings/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grade levels exerted effects on all variables within the same academic discipline. That is,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the estimated averages of student activities including class participation,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integration of experiences increased.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among academic disciplines, findings revealed tha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only found in major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Val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 in the light of investigating the possible longitudinal effects of college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학생참여 변인들과 인문학적 소양, 전공역량 및 전문지식과 같은 학습성과가 전공계열, 학년, 전공계열과 학년의 상호작용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 학생참여 조사도구(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of Learning: 이하 NASEL)를 활용하였으며, 2011학년도 1학년, 2012학년도 2학년, 2013학년도 3학년, 2014학년도 4학년 학생들을 코호트로 하여 3차례에 걸친 결합표집을 통해 총 487명의 유사패널자료를 구축하였다. 전공계열과 학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혼합모형 설계를 통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모든 변인에서 계열 내 학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수업참여, 교수학생 상호작용, 경험의 통합 활동 등은 학년에 따른 추정평균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공계열 간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전공역량 및 전문지식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즉 공학계열은 인문계열과 사회경상계열, 자연계열에 비해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행동적인 측면과 지각된 학습성과에서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종단연구로써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한국 고등교육허브 분석: IGC를 중심으로

        고장완,위옥정,문소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a recent phenomenon in the landscape of higher education hub,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related issues in developing education hub in Korea,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y and practice related to education hub.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we divid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ducation hub in Korea into several major parts: announcement and implementation, background, objectives and focus, strategies (national plan/policies), key policy actors, and issues and challenges. The higher education hub in Korea, Incheon Global Campus, is located in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and has attracted four prestigious foreign universities from 2012 to 2014. Established to vitalize economy, promote education and training, develop a global partnership and expand regional influence, Incheon Global Campus has completed its first stage of development and is carrying out a second stage plan. The major challenges it has been facing are a shortage of students, a lack of diversity in the student population, and problems of quality assurance and accreditation. To resolve the above issues, this study suggested that Incheon Global Campus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ctively publicize to recruit top talent and introduce policies to enhance quality assur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국제화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 허브 조성 현황과 현재 나타나고 있는 관련쟁점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고등교육 허브 관련 정책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교육 허브 조성 과정을 교육허브 정책의 발표 및 시행, 정책 추진 배경, 추진목표와 초점, 추진전략으로써의 국가정책, 핵심부처 및 추진 주체, 그리고 쟁점 및 과제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고등교육허브인 인천글로벌캠퍼스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안에 조성되었으며, 지난 2008년에 송도글로벌대학캠퍼스 조성방안이 수립된 이후 2012년과2014년에 걸쳐 4개의 외국 대학이 개교를 하였다. 교육허브는 일차적으로 경제적 목적과 교육과 훈련, 국제파트너십창출을 위한 지역적 영향력 확대라는 목적을 가지고 추진되었으며, 현재는 1단계 계획을 완성하고 2단계 계획을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쟁점 및 과제로는 학생 수의 부족과 다양한 배경의 학생 유치의 어려움, 교육의 질보장 및 인증과 관련한 문제 등이다. 본 연구는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노력과 우수학생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실시, 국내외의 인증기관들로부터의 인증획득 등 질 보장을 위한 정책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대학특성 및 학습과정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고장완,박수미,유현숙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learning outcomes and college environment, class engagement,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integration of experiences,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impact of college environment and classroom engagement on learning outcomes, and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gration of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an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y region and establishment type. Using the data from 18,331 students in 29 universities in 2011, this study employed MAVOV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llege environment; in other words, college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also confirmed the indirect effects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class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medium of integration of experiences. What is more, there are differences in path-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y region and establishment type. Fi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provided academ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학습성과와 대학환경, 수업참여, 교수학생 상호작용, 경험의 통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환경과 수업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경험의 통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인 인과관계가 지역 및 설립유형별 대학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1년도 한국교육개발원 학습과정에 관한 조사에 응답한 전국 29개 대학의 학생 18,331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분산분석(MANOVA),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 다중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환경을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즉 대학환경이 학습성과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 및 수업참여와 학습성과 사이에 경험의 통합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확인했다. 그리고 지역 및 설립유형에 따른 대학특성별로 변인들 간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제한과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