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딸기온실에서 점박이응애의 화학적방제와 생물적방제 효율 비교

        정효진,강주완,이현승,장호중,박정준,Jeong, Hyo Jin,Kang, Ju-wan,Lee, Hyun Seung,Jang, Hojung,Park, Jung-Joon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1

        환경친화적 생물적방제를 위해 수출딸기온실에서 해충인 점박이응애 밀도 감소 효율을 화학적방제와 생물적방제로 나누어 동일한 크기의 동일한 온실에서 각각 비교하였다. 생물적방제 온실은 점박이응애의 천적인 칠레이리응애만을 이용하였고, 화학적방제 온실은 일반 화학합성 농약을 이용하여 점박이응애의 밀도를 조절하였다. 화학적방제 온실에 비해 생물적방제 온실에서 점박이응애 모든 태의 밀도가 낮게 관찰되었으며, 생물적방제를 위한 비용이 화학적방제에 비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출딸기의 주요해충인 점박이응애의 방제에 칠레이리응애를 이용한 생물적방제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biological control of two-spotted spider mites (TSSM), Tetranychus urticae, in exported strawberry greenhouses, the TSSM density reduction efficiency of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measures was compared in commercial, exported strawberry greenhouses. In the biological control greenhouse, only Phytoseiulus persimilis, a natural enemy of TSSM, was released, and the chemical control greenhouse was only sprayed with commercial chemical pesticides. The density of each developmental stage of TSSM was higher in the chemical control greenhouse than in the biological control greenhouse. The management costs were lower for the biological control greenhouse than the chemical control greenhou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SSM using P. pesrsimilis in exported strawberry greenhouses.

      • 설하신경 기원의 신경초종 1례

        양해동(Hae Dong Yang),강주완(Ju Wan Kang),김성수(Seong Soo Kim),진윤미(Yoon Mi Jin)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8 No.2

        Schwannoma is a relatively rare benign tumor which may occur from nerve sheath of the peripheral, sympathetic and cranial nerves and so on except optic and olfactory nerves which have no nerve sheath themselves. Although it occur most frequently in the head and neck region especially in the acoustic nerve, the schwannoma originated from the motor nerves including hypoglossal nerve is very rare.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schwannoma originated from hypoglossal nerve in a 47-year-old female. We report this case with literature review.

      • KCI등재후보

        온도가 농약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농약사용량 예측 모의실험

        모형호 ( Hyoung-ho Mo ),강주완 ( Ju Wan Kang ),조기종 ( Kijong Cho ),배연재 ( Yeon Jae Bae ),이미경 ( Mi-gyung Lee ),박정준 ( Jung-joon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6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4 No.1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개체군 증감모형은 해충방제를 위한 초발생예찰과 연속적 해충변동 양상의 파악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예측은 농약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에 적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현대 해충방제전략의 화두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도변화에 따른 해충의 농약효과에 따른 사충률의 변화를 개체군 모형과 결합시켜 모의했다. 감수성 점박이응애를 강낭콩을 기주로 20, 25, 30, 35℃에서 Acrinathrin-Spiromesifen 혼합제와 Azocyclotin 유기주석계농약에 노출시켰다. 생물검정 결과 점박이응애의 사충률은 온도와 농약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점박이 응애의 개체군 밀도변동 모의는 DYMEX를 이용했으며, 모의결과 농약의 종류별로 기후변화에 따른 초기방제 시기와 방제횟수에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됐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해충방제 전략과 농약 선발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Pest population density models are very important to monitor the initial occurrence and to understand the continuous fluctuation pattern of pest in pest management. This is one of the major issues in agriculture because these predictions make pesticides more effective and environmental impact of pesticides less. In this study, we combined and predicted the mortality change of pest caused by pesticides with temperature change and population dynamic model. Sensitive strain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with kidney bean leaf as host was exposed to mixed acaricide, Acrinathrin-Spiromesifen and organotin acaricide, Azocy-clotin, at 20, 25, 30, and 35℃,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tality of T. urticae among pesticides and temperatures. We used DYMEX to simulate population density of T. urticae and predicted that the initial management time and number of chemical control would be changed in the future with climate change. There would be implications for strategies for pest management and selection process of pesticide in the future corresponding climate change.

      • KCI등재

        부비동염이후 발생한 경막하 농양 1례

        변정희,황인경,박은경,강주완,김동수,장광천,Byun, Jung Hee,Hwang, In Kyung,Park, Eun Kyung,Kang, Ju Wan,Kim, Dong Soo,Jang, Gwang Cheon 대한소아감염학회 2014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1 No.1

        부비동염은 흔하고 일반적으로 소아에서는 양성질환인 경우가 많다. 경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항생제로 인해 소아의 부비동염의 두 개강 내 합병증은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생명에 위협적일 수 있다. 두 개강 내 합병증은 정맥동 혈전, 안와 합병증, 뇌수막염, 뇌수막하 농양 등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소아에서 심각한 예후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뇌수막하 농양을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급성 부비동염 치료 중이던 15세 남아가 3일간의 발열, 두통을 동반한 편마비 증상으로 내원하여 뇌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뇌수막하 농양으로 진단되어 항생제 투여 및 신경학적 수술로 치료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current paper reports on a case of subdural empyema secondary to frontal sinusitis in an otherwise healthy child. Sinusitis is a common and benign condition in most pediatric cases. Because of the widespread use of antibiotics, intracranial extension of pediatric sinusitis is rarely seen today; however, complications (e.g., cavernous sinus thrombosis, orbital infection, meningitis, and subdural empyema) are potentially life threatening. A 15-year-old right-handed male presented with a 3-day history of fever, headache, and left-sided palsy.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right-sided subdural empyema with right frontal sinusitis and maxillary sinusitis. A postoperative inpatient neurological consultation was requested 2 months post-surgery due to motor function defici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early and accurate diagnosis of subdural empyema leads to prompt treatment and a favorable outcome for the patient.

      • KCI등재

        2010년, 2016년 거주환경에 따른 소아청소년의 흡입 알레르겐 감작률 추세에 대한 횡단면적 역학연구

        이혜숙 ( Hye-sook Lee ),홍성철 ( Seong-chul Hong ),이근화 ( Keun-hwa Lee ),김정홍 ( Jeong Hong Kim ),강주완 ( Ju Wan Kang ) 대한보건협회 2017 대한보건연구 Vol.43 No.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거주환경에 따라 제주지역 소아청소년의 흡입 알레르겐 감작률의 변화 추세를 알아보고자 2010년과 2016년에 6년 간격으로 횡단면적 역학조사를 하였다. 연구방법 : 제주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 13개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6년 전과 동일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IRB 승인 후 학생 및 보호자가 모두 서면으로 동의한 경우에 한해 흡입 알레르겐 18종에 대해 피부단자시험(Skin prick test)을 하였다. 피부단자시험에 유효한 최종 분석 대상자는 2010년에는 1,549명, 2016년에는 1,087명이었다. 연구결과 : 흡입 알레르겐 감작률은 43.7%(2010년)에서 51.8%(2016년)로 크게 증가하였다. 2010년도에 비해 2016년도에 유의하게 높은 감작률을 보인 알레르겐은 D. pteronyssinus(33.8%/39.6%), D. farinae(25.0%/31.6%), 일본삼나무(15.8%/20.5%), 큰조아제비(3.1%/8.2%), 우산잔디(1.4%/3.3%), 오리나무(0.5%/2.6%), 참나무(1.1%/2.1%)이었다. 거주환경에 따른 감작률은 감귤지역이 50.2%(2010년)에서 55.4%(2016년)로 가장 높았으며, 도심지역은 40.9%(2010년)에서 49.4%(2016년), 해안지역은 36.3%(2010년)에서 46.9%(2016년)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일본삼나무의 감작률은 감귤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2.61배(2010년), 2.97배(2016년)의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Alternaria의 감작률은 해안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3.45배(2010년), 2.12배(2016년)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집먼지진드기류는 2010년도에는 감귤지역이 1.52배 높은 위험도를 보였으나 2016년 도에는 지역별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동일 지역 내에서도 거주환경에 따라 흡입 알레르겐 감작률은 차이가 있었으며, 6년 전보다 감작률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거주환경에 따른 맞춤형 알레르기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trends and changes related to aeroallergen as they relate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school children in Jeju Province, using a cross-sectional study with a span of 6 years, from 2010 to 2016. Methods : The same study method employed 6 years ago was applied to the students from 1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Jeju Province. The skin prick test was performed for 18 types of aeroallergen under the approval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nd the consent of the subjects and their parents. The subjects for the effective final analysis were 1,549 in 2010 and 1,087 in 2016.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nsitization rates of aeroallergen were on a sharp increase: from 43.7% in 2010 to 51.8% in 2016. As for the sensitization rate, the risk degree for Japanese cedars showed 2.97 times in 2016, compared to 2.61 times in 2010. That for Alternaria showed 2.12 times in 2016 to 3.45 times in 2010. The allergens of the high sensitization rate were listed in the order of D. pteronyssinus, D. farinae, Japanese cedar, Timothy grass, and Alternaria. Conclusions :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akes meaningful significances in the sensitization rates of aeroallergen, showing high increase in sensitization rates. This suggests that allergic disease prevention and care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cope with each residenti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