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근탕을 투여하여 호전을 보인 제 2형 당뇨병 증례 1례

        강은진,류혜랑,김영균,김경민,Kang, Eun-jin,Ryu, Hae-rang,Kim, Young-kyun,Kim, Kyoung-mi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8 No.5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how fasting blood sugar (FBS), postprandial 2 h Glucose (PP2h), and glycated hemoglobin (HbA1c) of a patient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can be reduced by treatment with Galgeun-tang herbal medicine. Methods: The patient was administered herbal medicine to reduce serum glucose levels. The prescribed herbal medicines included Galgeun-tang and Galgeun-tang-gami. Results: The therapeutic outcomes were control of blood sugar and glycated hemoglobin (HbA1c) levels and decreased insulin administration. Conclusion: The herbal medicine, Galgeun-tang, appears to be a valid treatment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Serum glucose (FBS/PP2hrs) and HbA1c were well controlled and insulin administration was decreased. Galgeun-tang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daily glucose levels in a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KCI등재

        실내조건에서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 Coleoptera: Coccinellidae)의 각 발육단계에 친환경농자재가 미치는 영향

        강은진,강명기,이희진,이대홍,석희봉,김다아,길미라,서미자,유용만,윤영남,Kang, Eun-Jin,Kang, Myong-Ki,Lee, Hee-Jin,Lee, Dae-Hong,Seok, Hee-Bong,Kim, Da-A,Gil, Mi-La,Seo, Mi-Ja,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무당벌레(H. axyridis)는 세계적으로 진딧물의 포식자로 널리 알려지면서 농생태계내에서 진딧물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인자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농약의 사용을 억제하는 정부정책과 소비자의 요구 등으로 인하여 친환경농업이 확대되면서 친환경농자재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자재의 사용은 무당벌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살충성친환경농자재(IEFAMs)의 경우 무당벌레의 각 발육단계에 대하여 대부분 안전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살균성친환경농자재(FEFAM)의 경우에도 FEFAM A를 제외한 다른 종류들은 무당벌레에 대하여 영향이 적다. 토양미생물친환경농자재(EFAMSM)인 EFAMSM C와 H는 무당벌레 알의 부화율을 떨어뜨릴 수가 있으며, EFAMSM A와 F는 1령 유충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EFAMPE)는 EFAMPE A와 D는 무당벌레 알에 치명적인 독성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외의 다른 조사된 농자재들은 무당벌레에 비교적 독성이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Harmonia axyridis) has been commonly used with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control of several kinds of aphids in agroecosystems. Also,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have been commonly applied in crop fields because the government held down pesticide application and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s are gradually increased with consumer's desires.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s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n crop fields. The insect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EFAMs) might be saff against each developmental stage of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Fung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EFAMs) had a miner effect to each developmental stage of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with the exception of FEFAM A.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useful soil microorganisms (EFAMSMs) C and H might be down the hatching rate of eggs, and EFAMSM A and F had a killing effect to 1st instar of lady beetles.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plant extracts (EFAMPEs) A and D might be suffered effect a deathblow of egg hatching with lady beetles. Otherwise, there was a miner effect to lady beetles with the rest of tested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 KCI등재

        Metaflumizone을 포함한 몇 가지 약제의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한 독성검정

        강은진,강명기,서미자,박선남,김철웅,유용만,윤영남,Kang, E.J.,Kang, M.G.,Seo, M.J.,Park, S.N.,Kim, C.U.,Yu, Y.M.,Youn, Y.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2

        파를 가해하는 대표적인 해충인 파밤나방은 남부지방에서 피해가 심하며, 파 이외에도 많은 과채류 및 채소류를 가해함으로서 매년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파밤나방은 세계적으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도 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많은 살충제들이 등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곤충에 서로 다른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는 약제인 metaflumizone과 chlorfenapyr, indoxacarb, flufenoxuron, emamectin benzoate 등 4종의 살충제들을 선별하여 실내와 야외 포장에서 파밤나방에 대한 살충력을 살펴보고 이를 평가하였다. 약제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된 파밤나방은 알과 1령에서 6령까지의 유충, 그리고 번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밤나방 알에 대한 시험에서 알에는 직접적인 독성작용을 하지 못하지만, 알에서 깨어난 유충이 알껍데기를 먹음으로 해서 결과적으로는 파밤나방의 개체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알에서 부화한 24시간 후의 1, 2령 유충들은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매우 높았으며, 유충의 영기가 높아질수록 치사율이 감소하였다. 한편, chlorfenapyr와 emamectin benzoate의 경우에는 어린 유충에서 노령의 유충에 이르기까지 고른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었고, fluffnoxuron의 경우에는 어린 유충에는 치사율이 낮았으나, 노령 유충으로 성장하면서 치사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포장에서 살충제를 살포한 포장에서 약제 처리 10일 후 방제가를 조사한 결과 처리한 약제 모두 87.2에서 90.5%로 비교적 높을 방제가를 보이고 있었다. The Welsh onion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has attacked Welsh onion and is now the most important pest of Welsh onion in southwestern Korea. The beet armyworm has a wide host range, occurring as a serious pest of vegetable and fields. The relatively high abundance of beet armyworm has stimulated frequent application of insecticides to foliage. Insecticide resistance is a major problem in management of this insect. Accordingly, pesticide application for the control of beet armyworm was tried in both the open field and in laboratory, using 4 synthetic compounds such as metaflumizone and chlorfenapyr, indoxacarb, flufenoxuron, emamectin benzoate. In the laboratory, each developmental stages from eggs, larva to pupa was tested against 4 insecticides. Against the eggs of welsh onion beet armyworm,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ach other. These tested chemicals no killing effect to eggs. However, the population of 1st larva hatched from eggs were reduced because they eaten the egg shell with residual insecticides. The tested insecticides were taken very high mortalities to 1st to 3rd larva of Welsh onion beet armyworm. Otherwise, there were decreased the death rate from 4th to 6th larva. On the other hand, their value of control effects were relatively good against Welsh onion beet armyworms in the field between 87.2 and 90.5% on 10 days after insecticide application.

      • KCI등재

        진딧물 기생봉 목화면충좀벌과 진디면충좀벌의 기주와 온도에 따른 생물학적 특성 비교

        강은진,변영웅,김정환,최만영,최용석,Kang, Eun Jin,Byeon, Young-Woong,Kim, Jeong-Hwan,Choi, Man-Young,Choi, Yong-Se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진딧물 기생봉인 목화면충좀벌과 진디면충좀벌의 기주를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로 하여 15, 20, 25, $30^{\circ}C$에서 사육하면서 기주섭식수, 기생수, 우화율, 성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이 기주일 때 $15^{\circ}C$, $25^{\circ}C$에서 목화면충좀벌의 기주섭식수(5.4, 9.7마리)가 진디면충좀벌(2.0, 2.9마리)보다 많았으며 복숭아혹진딧물이 기주일 때 2종 기생봉 간 기주섭식수의 차이는 없었다. 목화진딧물에 기생한 목화면충좀벌의 기생수가 $15^{\circ}C$에서 11.1마리, $30^{\circ}C$에서 21마리로 진디면충좀벌의 기생수(7, 12.3마리)보다 많았으며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시켰을 때는 $20^{\circ}C$와 $25^{\circ}C$에서 목화면충좀벌의 기생수(12.1, 17.1마리)가 진디면충좀벌(6.1, 10마리)보다 더 많았다. 목화진딧물을 기주로 했을 때 $30^{\circ}C$에서 목화면충좀벌의 우화율(83.3%)이 진디면충좀벌(69.4%)보다 높았으며 복숭아혹진딧물에서는 우화율 차이가 없었다. 목화진딧물에서 사육했을 때 진디면충좀벌의 암컷비율이 $15^{\circ}C$에서 75.2%, $30^{\circ}C$에서 73.9%로 목화면충좀벌의 암컷비율(19.5, 48.6%)보다 높았으며 복숭아혹진딧물에서 사육했을 때는 목화면충좀벌의 암컷비율이 $15^{\circ}C$에서 65.3%, $25^{\circ}C$에서 90.0%여서 진디면충좀벌의 암컷비율(34.4, 78.8%)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목화진딧물에서 2종 기생봉간 산란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의 차이는 없었고 복숭아혹진딧물에서는 $20^{\circ}C$에서 목화면충좀벌의 발육기간(19.9일)이 진디면충좀벌(16.5일)보다 길었다. This study compared the Aphelinus varipes and Aphelinus asychis in terms of how they parasitized the cotton aphid, Aphis gossypii and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Host-feeding, parasitism, emergence, the proportion of females and development time were all studied at 15, 20, 25 and $30^{\circ}C$ in controlled climate cabinets. When A. gossypii were provided for the two aphid parasitoids, the number of aphids killed by host-feeding for A. varipes (5.4 and 9.7 aphids) at $15^{\circ}C$ and $25^{\circ}C$ was higher than those for A. asychis (2.0 and 2.9 aphids). At $15^{\circ}C$ and $30^{\circ}C$, the parasitized A. gossypii were higher in A. varipes (11.1 and 21 aphids) than in A. asychis (7 and 12.3 aphids). The emergence rat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 varipes (83.3%) and A. asychis (69.4%). The proportion of females was higher for A. asychis (75.2 and 73.9%) than for A. varipes (19.5 and 48.6%) at $15^{\circ}C$ and $30^{\circ}C$,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evelopment time between the two parasitoids. When M. persicae were provided for the two parasitoid species, the host-feeding number and the emergence rate of two parasitoids were not different at all four temperatures. The M. persicae were more highly parasitized by A. varipes (12.1 and 17.1 aphids) than by A. asychis (6.1, 10 aphids) at 20 and $25^{\circ}C$. The proportion of females for A. varipes (65.3 and 90.0%) was higher than that for A. asychis (34.4 and 78.8%) at $15^{\circ}C$ and $25^{\circ}C$. The development time from oviposition to the adult emergence of A. varipes (19.9 d)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A. asychis (16.5 d) at $20^{\circ}C$. Development time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or both in two parasitoid species.

      • KCI등재

        환경요인이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의 초시무늬 변이에 미치는 영향

        강은진,조창욱,박초롱,윤규식,강민아,권혜리,서미자,유용만,윤영남,Kang, Eun-Jin,Jo, Chang-Wook,Park, Cho-Rong,Yoon, Kyu-Sik,Kang, Min-A,Kwon, Hae-Ri,Seo, Mi-Ja,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4

        지리적 환경적으로 다른 두 지역에서 채집한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의 월동개체군에 있어, 평균기온이 높고 일조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지역에서 멜라닌 계통의 색상패턴이 발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같은 지역에서 계절적 차이에 따른 무당벌레의 색상패턴별 발생양상 또한 유충시기를 평균기온과 일조시간이 긴 시기에 노출되었던 개체군에서 멜라닌 계통의 색상패턴 발현율이 높게 나타나, 온도나 일조량과 같은 환경조건이 무당벌레의 색상패턴형성에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re was different between two differential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 areas on elytra color expression patterns of the multicolored Asian lady beetles (Harmonia axyridis). Especially, it was investigated that expression rates of melanic patterns (conspicua, spectabilis and axyridis) relatively increased in overwintering populations collected in highly mean temperature and longer cumulative daylength area. In addition, in the same collection site, the seasonal difference had influenced on color patterns of H. axyridis. Although these effects didn't were not observed in the laborator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or cumulative daylength might be factors that gave an effect on color pattern formation.

      • KCI등재

        김종삼 시의 ‘메시아주의 없는 메시아성’과 초월적 정의

        강은진(Kang, Eun-Jin)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7

        김종삼 시의 중요한 원천이 되는 종교성, 내지 종교에 대한 사유는 그리스도교에 입각한 정통적 해석만으로는 규명이 어려운 복합적이고 이질적인 성격으로 나타난다. 표면적으로는 그리스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지만 김종삼 스스로도 자신을 무신론자라고 했으며 신을 말하는 시편들에서조차 반그리스도교적인 세계관이 빈번히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에 김종삼 시의 종교성을 ‘무종교적 종교성’이라고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종삼 시에서 신의 자리는 ‘비어 있음’, 즉 공백의 형태로 존재한다. 공백은 공백 그 자체로서 존재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시에 드러난 ‘없음’의 연쇄는 김종삼 시의 주체성이 발현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한다. 신의 공백은 주체의 극한 육체적 고통과 결부된 상황에서 더욱 강조된다. 주체가 신에게 바란 것은 지상에서 고통받는 인간과 함께 하는 신의 매우 소박한 공감과 위로였다. 인간의 고통은 인간 스스로가 해결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신의 공백은 단순한 비어 있음이 아니라 신의 방치 내지 외면과 같은 것이다. 신의 공백 앞에서 주체는 신이 해야 할 역할을 인간에게서 구하고자 한다. 즉 신이 죽은 자리에 신적인 권위를 가진 또 다른 인간 주체를 등장시킨 것이다. 이러한 인간 주체는 신의 힘이 아니라 인간 자신의 의지로 현실을 극복하고 초월하려는 위버멘시적 주체성의 발현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체는 실제로 신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종종 환상 체험의 형태로 대리 표출되는 양상을 보인다. 시 「외출」은 주체가 스스로를 ‘초능력의 괴물체’로 인식하며 죽은 신들의 권위에 대한 회의적 태도를 드러내는 대표적인 예이다. 김종삼 시의 종교적 주체는 탈인간적, 혹은 초인적 주체를 지향하지만 지상과 천상, 인간과 신의 ‘사이’에 존재하는 자이다. 김종삼 시에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인간 예수에 대한 관심은 그리스도교의 교의과 관계없이 김종삼이 예수를 ‘사이’의 존재로 동일시했기 때문이다. 그리스도교에서 신의 죽음이 인간과 신을 동시에 소외시키는 ‘이중적 케노시스’라고 할 때, 김종삼 시의 주체 역시 죽음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벗고 초월성을 획득하려는 욕망의 추동 속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신이 될 수 없는 인간 주체는 신과 인간의 ‘사이’에서 회의하는 주체가 될 수밖에 없다. 김종삼은 이러한 회의에 대한 확신의 표징을 신에게서가 아니라 ‘죽은 인간들’에게서 찾고자 했다. 여기에 결부되는 것이 ‘메시아주의 없는 메시아성’이다. 종교적인 메시아주의를 초월하는 곳에서 메시아성이 성립하며, 이는 곧 미래 혹은 정의의 도래와 같다. 이러한 맥락에서 김종삼 시에 공백으로서 존재성을 드러내는 신, 내용 없는 아름다움으로 점철된 세계, 그리고 회의하는 주체의 구조는 결국 도래할 정의에 대한 명령으로 향한다. 시공을 초월해 죽은 자들과의 연대감을 드러내고, 신을 부르는 대신 죽은 인간들을 부르며 그들에게 구원을 청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정의의 도래와 결부되어 있다. 결국 김종삼 시의 메시아주의 없는 메시아성이 향하는 궁극의 연대성은 죽음으로만 도달 가능한 인간 공동체에 있었으며, 종교의 테두리를 넘어서는 초월적 정의의 도래를 의미했던 것이다. The thought of religion is an important source of Kim Jong-sam’s poetry. It has complex and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icult to identify from an orthodox Christian perspective. Therefore, Kim’s poetry can be defined as a poem of ‘religiousness without religion’. In Kim Jong-sam’s poem, the position of God exists in the form of ‘empty’, that is, void. The void reveals its existence as the void itself. The chain of ‘nothing’ revealed in his poetry is an important trigger for the expression of subjectivity. The void of God is further emphasized in situations associated with the subject’s extreme physical pain. He hopes that God can empathize with and comfort the suffering of human beings while being with them. Because the sufferings cannot be solved by human beings themselves, God’s void is like God’s neglect of humans. He seeks to obtain from humans the role that God should play. In other words, in the place where God died, another human subject with divine authority appeared. Such a human subject is a ubermensch that seeks to overcome and transcend reality through the will of man, not the power of God. However, since these subjects cannot actually act as God, they often express their desires in the form of fantasy experiences. The religious subject of Kim Jong-sam’s poems aims for a superhuman subject, but exists between humans and God. The interest in the human Jesus, which is often revealed in Kim Jong-sam’s poems, is because he identified Jesus as a being of ‘between’. In Christianity, the death of God is a ‘double kenosis’ that alienates humans and God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of Kim Jong-sam’s poetry also lies in the desire to overcome human limitations and attain transcendence through death. However, he cannot be a god and he has no choice but to become a subject of doubt between God and humans. Kim Jong-sam sought to find a sign of his confidence in this skepticism, not in God, but in ‘dead humans’. This is connected to ‘Messianicity without messianism’. Messianicity is established where it transcends religious messianism, which means the arrival of justice. In this context, in Kim Jong-sam’s poetry, the God who reveals his existence as a void, the world filled with beauty without content, and the structure of the skeptical subject are ultimately directed towards the command of justice to come. Exhibiting solidarity with the dead across time and space, and calling on the dead instead of calling on god to ask for their salvation is tied to the arrival of this justice. In the end, the ultimate form of solidarity pursued by ‘Messianicity without messianism’ expressed in Kim Jong-sam’s poem is a human community that can only be reached through death, and it means the arrival of transcendent justice beyond religion.

      • KCI등재후보

        유아용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리더십 분석

        강은진 ( Eun Jin K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유아용 애니메이션 속에 나타난 리더와 리더십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2007년 1월부터 4월까지 방송된 총 30편의 애니메이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니메이션 속의 리더들은 ‘협력적 문제 해결’을 하는 유형이 ‘개별적 문제 해결’을 하는 유형보다 많았으며, ‘군집적 문제해결’을 하는 유형도 있었다. 둘째, 애니메이션 속 리더들의 연령은 모두 아동이며, 혼성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애니메이션 속 리더들은 공유적 리더십을 보여주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리더들은 ‘모험과 도전을 하는 리더’, ‘전문성과 정보력을 지닌 리더’, ‘의사소통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리더’, ‘동료들을 동기화하는 리더’, ‘마법을 사용해 다른 인물들을 지원하는 리더’, ‘호기심은 많지만 실수투성이인 리더’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its of leader and leadership portrayed in animations for young children. In order to study, thirty animations that have been on the air from January to April, 2009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 in animation have tendency to solve some problems more cooperatively than individually. Second, the leaders in animation have tendency to be young children and the mixed. Third, the leaders in animation have tendency to use ‘the shared leadership skill``. Finally, the traits of the leaders in animation are those: ‘adventurous leaders``, ‘expert leaders``, ‘leaders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leaders who motivate their followers``, ‘leaders who support their followers by magic``, and ‘leaders who are full of curiosity but trouble-maker``.

      • KCI등재

        김종삼 시의 행 구조 연구 - 1950년대 초기시를 중심으로 -

        강은진 ( Kang Eun-jin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69

        김종삼 시는 시행의 분절과 배치에서 매우 독특한 양태를 보인다. 시행의 분절이 리듬 형성의 방법으로 활용되는 일반적 경우와는 달리, 김종삼 시의 시행운용은 리듬적이기보다는 의미론적 방법론에 가깝다. 통사구문를 음절 단위로 극단적으로 파괴한 앙장브망의 경우, 시행 분절은 낯섦과 어긋남이라는 세계인식이 시적 형식으로 구현된 형태로 드러난다. 이 때 시행은 불안정한 율독과 시각적 파괴성을 극대화하여 텍스트 형태의 그로테스크함을 증폭시킨다. 이러한 파괴적 시행구조가 전후시기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또한 시행들의 조합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꾀한 형태시들은 파편화된 공간을 시각화함으로써 부재와 불안을 드러낸다. 「돌각담」과 「길」은 부재의 공간기호가 사용된 대표적인 예이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김종삼 시의 공간성은 시작품의 의미적공간 외에 문자 바깥에 존재하는 상징적 처소로 활용된다. 특히 특정한 음율이 작품 전반을 지배하는 시편들에서 이 텍스트의 공간은 감각적 신비와 아우라를 창출한다. 이러한 시들에서 이례적으로 넓은 행간과 고도로 절제된 시행들은 상승과 하강의 심상을 따라 위상학적으로 배치된다. 김종삼은 텍스트의 빈 공간과 시행들의 구조와 그로부터 발생되는 보이지 않는 감각까지 모두 통합하여 한 편의 시로 만들어냈던 것이다. In general, the segmentation of lines in verse is performed as a method for forming rhythm. However, in the case of Kim Jong-sam`s poetry, this is closer to semantic methodology rather than rhythm. For enjambement, dividing the sentence into syllables, segmental lines of the poems reveal the strangeness of and disagreement with the recognition to the world. At the same time, the segmentation of lines amplifies the grotesqueness by maximizing unstable reading and visual destruction of the text, as well. In addition, the pattern poetry produces visual effects through a combination of lines and reveals emotions such as absence and anxiety by visualizing empty spaces in the text. Furthermore, the spatiality of his poems is based on a symbolic place that exists outside the letters, rather than a semantic space. This use of symbolic space creates a sensuous mystery and aura in Kim Jong-sam`s poetry. The very short but wide spaces between the line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opological images of rising and falling in the poetic meanings. In conclusion, Kim Jong-sam`s poetry is intense and emerges from a sense of poetic structure, the segments of lines, and the empty spaces in the text.

      • KCI등재

        유아의 연령, 성별, 경험 공유 여부가 어머니의 대화기술에 미치는 영향

        강은진(Kang Eun-Jin),박혜경(Park Hye-Kyoung),박찬형(Park Chan-H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9

        본 연구는 어머니와 유아가 나누는 과거 경험에 대한 대화를 중심으로, 유아의 연령, 성별, 경험 공유 여부가 어머니의 대화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4ㆍ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64쌍이었다. 유아와 어머니가 가정에서 자연스럽게 나눈 두 가지의 대화(어린이집에서 있었던 일과 부모님과 함께한 특별한 일)를 수집하여, 어머니의 발화수와 화제 수, 그리고 대화기술의 세 가지 범주(촉진 유형, 대화촉진 기능, 내러티브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대화 기술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대화 기술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대화 주제의 공유경험여부에 따른 어머니의 대화 기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공유경험 상황보다 비 공유경험 상황에서 어머니가 좀 더 다양하고 많은 대화기술을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age, gender, and unshared or shared experiences on maternal reminiscing style in mother-child conversation about the past. Sixty-four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were asked to talk about two past events the children had experienced. Results showed that mothers reminiscing style differed by young children's age and gender, even though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mothers talked their children about unshared experiences, mothers tend to use more diverse conversational skills.

      • KCI등재

        영아의 보육교사와의 애착안정성 정도와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

        강은진(Kang, Eun-Jin),이진화(Lee, Jin-Wh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9

        본 연구는 영아와 보육교사의 애착안정성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만 2세반 영아 233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에 의해 교사와 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상, 하 집단으로 나눈 139명을 대상으로 영아의 성별과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와 교사의 애착정도성 정도에 따른 상·하집단에 따라 전반적인 사회적 유능성 뿐만 아니라 모든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아의 성별에 따라 놀이의 참여와 시도를 제외한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아와 교사의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집단과 성별은 각각이 사회적 유능성에 주효과는 있으나, 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를 위한 적합한 조기 보육환경 마련을 위해 영아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애착관계증진프로그램 개발 등의 방안들이 모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infant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and teacher and infant attachment security. The subjects were 233 young children from daycare centers in Seoul.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subjects’ level of social competence and their level of attachment security.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two-way ANOVA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s’ level of social competence differed according to two groups divided by the level of attachment security. Second, children’s gender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makes a difference in their level of social competence. Lastly,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children’s gender and attachment security on their soci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support and improve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with their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