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PG를 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Aphididae, Homoptera)의 기주 식물체별 조직내 섭식행동

        서미자,장진영,강은진,강명기,김남성,유용만,윤영남,Seo, M.J.,Jang, J.K.,Kang, E.J.,Kang, M.K.,Kim, N.S.,Yu, Y.M.,Youn, Y.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4

        복숭아혹진딧물의 섭식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고추, 무, 배추, 가지, 참외 등 5종류의 기주식물에서 EPG기술을 이용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구침이 식물체 표면에 접촉된 후 전기적 연결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맨 처음 potential drop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된 시간, 구침의 세포간극내에서의 활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potential drop의 수, 전기적 연결신호가 나타난 시점부터 체관부를 섭식하는 순간까지 소요된 시간 등을 조사한 결과 Potential drop 수에서는 기주들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나머지 요인에서는 기주식물들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참외나 배추보다는 고추, 무, 가지에서 즘 더 기주선호성과 관련된 섭식패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investigate feeding behaviour of the greenpeach aphid (Myzus persicae) on several plants, DC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EPG) technique was used. We chose 5 plants including pepper, melon, cabbage, radish, and eggplant which were known as major host Plants of this species. This study was focused whether feeding patterns of the aphid were different and which plants would be the most preferable among 5 host plants. The time from initial proboscis contact with a each leaf until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as a measure of the time taken for the stylet penetration, the time from electrical contact to the first potential drop as a time consumed until intracellular sampling, the number of potential drops per an hour during periods of regular intercellular pathway probing, and the time from electrical contact to tile first phloem specific pattern indicating the time taken to reach and attempt to feed upon the phloem were analysed. As a result, except the number of potential dro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y of feeding patterns among 5 plants. However, the feeding patterns related on host acceptability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from Pepper, radish, and e99r1an1 than melon and cabbage.

      • KCI등재

        저온저장이 포식성 천적인 참딱부리긴노린재와 갈고리뱀잠자리붙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서미자,김정환,서보윤,박부용,이상구,김광호,조점래,Seo, Meeja,Kim, Jeong Hwan,Seo, Bo Yoon,Park, Bueyong,Lee, Sang Gu,Kim, Kwang Ho,Cho, Jum Ra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2

        참딱부리긴노린재의 약충과 성충 모두 $5^{\circ}C$ 조건에서 30일 이상 50%의 누적생존율을 나타내며 저장이 가능하였다. 생존율이 가장 높았던 저장 온도인 $5^{\circ}C$에서의 저장기간별 참딱부리긴노린재의 산란수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4주까지의 저장은 산란수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주간의 저온저장된 참딱부리긴노린재 성충은 담배가루이 4~5령 약충을 포식하는데 포식량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참딱부리긴노린재 약충과 성충은 $5^{\circ}C$ 조건에서 3주간의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갈고리뱀잠자리붙이 성충은 꿀물을 제공하며 $5^{\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20주(140일)까지 50%의 누적생존율을 나타내며 저장이 가능하였지만, 2주 이상의 저온저장은 산란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갈고리뱀잠자리붙이의 진딧물 포식량은 감소하였으나. 5주까지의 저온저장은 진딧물 포식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딱부리긴노린재와 갈고리뱀잠자리붙이 두 종 천적의 단일 저온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생물학적 방제의 유용한 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was available to store both nymphs and adults of Geocoris pallidipennis at $5^{\circ}C$ for 3 weeks without negative effects on their survival, fecundity, and Bemisia tabaci predation. Fecundities of G. pallidipennis showed the tendency to be decreased with increasing cold storage duration, but up to 4 weeks, storage at $5^{\circ}C$ didn't affect their fecundity. When Micromus angulatus adults were stored at $5^{\circ}C$ with honey solution as preys, it was possible to store up to 140 days showing approximately 50% of cumulative survival, but over 2 week cold storage was not suitable for their fecundity. With the increase of cold storage duration, the aphid predation by M. angulatus decreased, but it could be possible to cold store until 5 weeks without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phid predation. Thus, short term cold storage of G. pallidipennis and M. angulatus could be useful for inundative biological strategies.

      • KCI등재

        논산 딸기 하우스에서 색상별 끈끈이 카드에 유인된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hripinae, Thysanoptera)의 포획효과

        서미자,김선진,강은진,강명기,유용만,남명현,정석기,윤영남,Seo Mi-Ja,Kim Sun-Jin,Kang Eun-Jin,Kang Myong-Ki,Yu Yong-Man,Nam Myeong-Hyeon,Jeong Suk-Gee,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1

        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대만총채벌레를 효과적으로 예찰하고 유인 포획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논산의 수확 중인 딸기재배 비닐하우스에서 수행하였다. 끈끈이 트랩의 색상으로는 노란색, 파란색, 흰색을 이용하였으며, 끈끈이 트랩의 설치 높이는 딸기의 캐노피 수준에 맞추어 지상에서 50cm(Upper)와 10 cm(Lower)인 곳에 수직으로 설치를 하고 지면(Ground)에 뉘어 놓았다. 각각의 높이에서 각 색상별 끈끈이 트랩에 유인 포획되는 대만총채벌레는 매우 많은 차이를 나타냈으며, 파란색의 끈끈이 트랩에 가장 많이 유인 포획되었다. 또한 설치 높이를 달리한 경우에는 지상 50 cm높이에 설치한 끈끈이 트랩에서 가장 많이 유인 포획되었다. 그렇지만, 각 시험 구획별로 딸기 꽃에 서식하고 있는 대만총채벌레의 개체군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tch of garden thrips, Frankliniella intonsa, on sticky traps was assessed by color and height in commercial plastic vinyl house strawberry crops grown on 40-cm-high trellises. Yellow, blue and white sticky cards were tested for color attractiveness, and upper (50 cm), lower (10 cm above the floor) and ground were for height. At each height, trapped thrips on yellow, blue and whit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lue sticky card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raps on yellow and white. The trapped thrips were also significantly greatest at 50 cm above the floor, less at lower and ground.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opulation of garden thrips on the flower in each tested site.

      • KCI등재

        꽃매미 알 기생천적인 꽃매미벼룩좀벌의 대량사육기술: 산누에나방과 꽃매미 알 활용 방법

        서미자,김정환,서보윤,박창규,최병렬,김광호,지창우,조점래,Seo, Meeja,Kim, Jeong Hwan,Seo, Bo Yoon,Park, Changgyu,Choi, Byeong Ryeol,Kim, Kwang Ho,Ji, Chang Woo,Cho, Jum Ra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4

        꽃매미벼룩좀벌(Anastatus orientalis)을 실내에서 대량사육 할 수 있는 대체기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꽃매미와 썩덩나무노린재(Halyomopha halys),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참나무산누에나방(Antheraea yamamai), 귀뚜라미(Verlarifictorus spp.), 집파리(Musca domestica), 산누에나방(Antheraea pernyi) 총 8 종의 알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꽃매미 알과 산누에나방의 미성숙 알에서는 꽃매미벼룩좀벌의 산란과 우화가 확인되었으나 그 밖에 종의 알과 번데기에서는 산란을 확인할 수 없었다. 대체기주로 선발된 산누에나방은 참나무 잎으로 사육하였으며, 7월과10월 상순에 번데기를 수확하여 우화 후 4~5일경에 복부가 불룩한 산란 직전의 암컷 성충만을 선발하여 $1{\sim}5^{\circ}C$ 냉장고에 보관하였으며, 저온에 보관했던 암컷의 복부를 절개하여, 암컷 한 마리당 150~200개의 알을 얻었다. 꽃매미 알과 산누에나방의 미성숙 알에서 꽃매미벼룩좀벌의 발육기간은 각각 평균 36.8일과 36.1일이었으며, 24시간동안 암컷 한 마리가 산란한 알의 수는 각각 평균 4.2개와 3.4개로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꽃매미벼룩좀벌 암컷 성충의 수명은 벌꿀을 먹이로 제공 하였을 때, 평균 64.3일까지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누에나방의 미성숙 알을 대량으로 확보하고 벌꿀을 먹이로 제공하면 꽃매미벼룩좀벌을 실내에서 대량사육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야외방사를 통해 꽃매미의 생물적 방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ggs, immature eggs, and pupae of 8 different insects (Halyomopha halys, Riptortus pedestris, Lymantria dispar, Antheraea yamamai, Verlarifictorus spp, Antheraea pernyi, and Musca domestica) including Lycorma delicatura were used to select the alternative host for laboratory mass rearing of A. orientalis. Except L. delicatula's eggs and immature eggs of A. pernyi, other 7 tested insects were not parasitized by A. orientalis. A. pernyi was reared with oak tree leaves and its cocoons were harvested on mid-July and early October. On 4 or 5 days after emergence, only female adults showing swollen abdomen were collected and stored at $1{\sim}5^{\circ}C$. We could get 150~200 eggs per one female by dissecting the female's abdomen. For examining the possibility for laboratory mass rearing of A. orientalis with A. pernyi's immature eggs, developmental periods from egg to pupa between the two different hosts were compared. Developmental periods were 36.1 days on immature eggs of A. pernyi and 36.8 days on an original host's eggs, respectively. The number of parasitized eggs by A. orientalis' female for 24 h was 3.4 on immature eggs of A. pernyi and 4.2 on an original host's egg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period and parasitization between the two hosts. By supplying honeyed water to newly emerged female parasitoids, it was able to maximize their longevities up to 64.3 days after emergence. Therefore, our results support potential for laboratory mass-rearing of A. orientalis using A. pernyi's immature eggs as an alternative host.

      • KCI등재

        3종의 살충제에 대한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의 섭식행동 비교

        서미자,양정오,윤창만,윤영남,김길하,Seo, Mi-Ja,Yang, Jeong-Oh,Yoon, Chang-Mann,Youn, Young-Nam,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3

        Acetamiprid, spinosad, thiamethoxam 3종류의 살충제에 대해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 타입간의 섭식행동을 EPG기법으로 분석하였다. 3종류의 살충제를 추천농도로 처리한 후 6시간동안 기록한 EPG waveform을 가지고 약제에 반응하여 최초로 구침을 빼기까지 소요된 시간, 전체 기록시간동안의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 구침활성이 일어나는 시간, 직접적인 섭식행동인 체관부 섭식시간 등을 조사, 비교분석하여 타입별 살충제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살충제간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3가지 살충제 모두 기록 시작 후 살충제에 반응하여 구침의 활성에 변화를 보이는 전체시간을 측정한 결과, B biotype이 Q biotype에 비해 구침의 활성시간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관부를 흡즙하는 시간은 반대로 적게 나타났다. 살충제에 반응하여 구침을 빼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B타입이 Q타입보다 빨리 나타났는데, 이는 살충제에 좀 더 빠르게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담배가루이 biotype B는 Q타입보다 식물체에 처리된 살충제를 빠르게 감지하며 섭식을 덜 함으로써 3가지 살충제에 대해 감수성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feeding behaviors of 2 biotypes (type B and Q) of tobacco whitefly, Bemisia tobaci, were monitored using EPG technique on tomato and pepper plants treated 3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whiteflies, for examples, acetamiprid, spinosad and thiamethoxam. After treatment of three insecticides with recommended concentrations to tomato and pepper plants, EPG waveforms were recorded during 6 hours.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feeding behaviors investigated were as follows; time consumed by withdrawal of proboscis, total non-penetration time, total stylet pathway pattern time and total phloem feeding time. There was somewhat difference among 3 insecticides teste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total duration showed the stylet pathway activity due to the reaction against all tested insecticides, the Q biotype showed fewer time than those from the B biotype. The B biotype showed more frequent stylet pathway activity patterns during whole recording time and a shorter phloem ingestion time than those from the Q biotype. In result of prior up (non-penetration) time representing the reaction against the insecticide treated, the time of B biotype was more faster than that of the Q biotype, so it was considered that the B biotype was more sensitive to the tested insecticides. Therefore, our results revealed a clear difference in feeding behaviour between the B and Q biotypes of B. tabaci. Also, it was investigated that B biotype was susceptible to the 3 insecticides.

      • KCI등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um) 성충 부속지의 외부 미세구조 관찰

        서미자,김기덕,김남성,박수진,채순용,윤영남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99 농업과학연구 Vol.26 No.2

        온실가루이의 외부형태적 특징을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관찰하였다. 우선 이들은 포탄모양의 알을 산란하는데 짧은 갈고리모양의 구조에 의해 잎 뒷면에 붙어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촉각의 길이는 0.3㎜로 전체가 6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첫마디는 굵고 짧으며 둘째 마디부터 가늘고 긴 채찍모양을 하고 있다. 끝마디인 6번째 마디의 끝에는 길이가 10㎛정도의 가늘고 비교적 긴 감각기를 가지고 있어 기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식물체의 표면을 탐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바로 밑부분에는 길이가 7-8㎛정도의 비교적 굵은 감각기 2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감각기는 반대편에는 존재하고 있지 않은 비대칭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두개의 모양이 서로 상이함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의 기능은 주로 기주식물을 탐색하거나 후각기능의 화학적 감각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섭식행동이 이루어지는 온실가루이 구기는 전형적인 piercing-sucking type으로, 구침이 길게 잘 발달되어 있다. 구기의 끝부분은 10여개의 미세감각기가 분포고 있어 식물체 표면을 탐색하고 맛을 보는 미각기능을 하고 있으리라 추측할수 있다. 구침은 종종 구기에서 분리되기도 하지만, 구침을 잡아주는 지지대가 기부쪽에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침은 두 개의 반원형이 붙어 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다른 흡즙형 구침과는 달리 톱날모양의 구조를 볼 수 없었다. 한편 온실가루이의 다리 끝에 붙어 있는 발톱은 식물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 보이는 두 개의 갈고리 형태의 발톱과 그 사이에 중앙지지대 형태의 구조인 paranychium을 포함하여 3갈래의 구조를 하고 있다. External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um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antennae of the greenhouse whitefly was 6 segments, rod-shape, and 0.3mm length. On the 6th segment, there were many sensilla for searching host-plant as olfactory receptor. The mouthpart of the greenhouse whitefly was a piercing-sucing type, then its stylet was well developed for piercing plant leaf tissue. Claw of the foreleg was a 3-war hook shape including paranychium for attaching plant surface to pierce and lay egg.

      • KCI등재

        토양에서 분리한 곤충병원성세균 Bacillus thuringiensis 의 혹명나방과 벼애나방에 대한 실내살충효과검정 및 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서미자,백채훈,강미형,이건휘,이두구,이규성,윤영남,유용만,Seo, Mi-Ja,Paik, Chae-Hoon,Kang, Mi-Hyung,Lee, Geon-Hwi,Lee, Du-Ku,Lee, Kyu-Seong,Youn, Young-Nam,Yu, Yong-M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1

        For biological control of larva of Cnaphalocrocis medinalis and Naranga aenescens do considerable damage to crops by folding and scraping the leaf tissue of rice, a large number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have been obtained from soil samples in Korea and the pesticidal activity was assayed against two insect pest species described above. Among 53 Bt isolates tested in bioassay, 18 and 13 isolates showed over 90% mortality against C. medinalis and N. aenescens, respectively. Some isolates (11 isolates including CAB141) presented dual activity against C. medinalis and N. aenescens. These isolates showed over 96% control effect in pest control in laboratory against larvae of C. medinalis. Also, it was investigated that pupation, pupal length, and adult emergence of larvae exposed to Bt suspension decreased. Especially, the pupal length of C. medinalis after being fed corn seedling leaves treated Bt suspension for 10 days, were much smaller than that of control. 벼에 발생하여 잎을 가해하여 피해를 주는 혹명나방(Cnaphalocrosis medinalis)과 벼애나방(Naranga aenescens)의 곤충병원성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방제를 위해, 국내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들을 대상으로 생물검정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Bt 53균주 중, 약 18개 균주가 혹명나방에 90% 이상의 살충률을 나타내었고, 13개 균주가 벼애나방에 살충활성을 보였는데, 두 종 모두에 90% 이상의 살충률을 보이는 균주도 CAB141균주를 비롯해 11균주나 확인되었다. 이러한 균주들은 혹명나방에 대한 실내방제실험결과, 96%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한 Bt 포자현탁액에 노출된 유충의 용화율, 용길이, 우화율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혹명나방의 경우, 번데기 길이에서도 정상개체와 처리 후 생존개체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Effect of temperature on reproduction and parasitism of the egg parasitoid, Anastatus orientalis (Hymenoptera: Eupelmidae)

        서미자,김정환,서보윤,박창규,최병렬,김광호,지창우,조점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22 No.4

        Anastatus orientalis is a solitary endoparasitoid of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eggs.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longevity, fecundity, and sex ratio of A. orientalis on different temperatures to establish the optimal temperature condition for laboratory mass rear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s development and longevity between 15 °C and the rest of temperature conditions (20, 25, and 30 °C), among which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average number of eggs laid by A. orientalis was higher at 20 and 25 °C,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fecundity between the two temperatures. More females emerged at 15 and 20 °C than higher temperatures. Parasitisms of A. orientalis varied with host egg ages and densities. Even in 14 day old eggs of L. delicatula, parasitoids successfully emerged from 92.3% of the parasitized eggs. On the other hand, parasitism was lowest (13.8%) on just before hatching eggs. Parasitism was negatively dependent on host density. Oviposition behavior for A. orientalis primarily occurred at 1400–1600 h, not at 2400–0800 h. The majority of this parasitoid's emergence occurred at 0800–1000 h, largely before noon. These results may be useful for controlling the adequate time for supplying host eggs and release density of this parasitoid as well as for potentially predicting the accurate time for securing parasitoid adults in laboratory mass rearing of A. oriental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