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강시내,박지훈,남정희,Kang, Sinae,Park, Jihun,Nam, Jeonghee 대한화학회 2021 대한화학회지 Vol.65 No.6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화학공업과 2학년 2개 학급 43명을 대상으로 인성 역량 및 과학의 정의적 특성 검사지, 각 모둠별 논의 과정 음성 녹음본, 수업 되돌아보기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성 역량 검사 총점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은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9개의 하위 인성 역량 요소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의 정의적 특성 검사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은 총점에서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의 일관성을 제외한 7개의 하위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과학 수업은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applied science classes on the character competence and scientific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two junior classes of chemical industry majors in a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ith 43 participants, and character competence test, scientific affective characteristic test, group discussion voice recordings, reflection activity shee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lue for the total character competence test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ine lower character competence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cientific affective characteristic test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in total score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ven of the lower factors, excluding consistency in interest. Therefore, science classes with CoProC applied were effective in cultivating the character competence and enhancing the scientific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심리회복을 위한 산림치유캠프 효과

        강시내,이니은,서영은,박수일,연평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4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therapy camp on university freshmen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one week la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freshmen at C University in Cheongju City for two days and one night on September 23 and 24, 2023, at Wolak Mountain National Park with 13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people in the control group continued their daily life without receiving any treatment while the program was running. To measure psychological effect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Self-Esteem Scale (SES),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and Korean-version of Connectedness Nature Scale(K-CNS), and pre-, post-, and follow-up measurements. As a result,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 follow-up measurements of positive self-esteem (z=-2.04, p<.05) increased and pre-post measurements of negative affect (z=-2.04, p<.05) decreased, and in pre-measurements, follow-up measurements of natural connectedness (z=-2.66, p<.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This suggests that the forest therapy camp has an impact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university freshmen, and the necessity of participating in the forest therapy camp to improve self-esteem and positive affect was confirmed.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튜토리얼 설계 유형에 관한 연구

        강시내(Sinae Kang),신동희(Donghee Shi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튜토리얼은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에 기능 학습을 제공하여 사용자를 돕는다. 기존의 모바일의 전화걸기와 일정관리 같은 기본적인 기능에서는 튜토리얼이 제공되지 않았지만, 스마트폰의 앱으로 기능을 확장할 수 있게 되면서 경험한적 없었던 기술 학습이 요구된다. 스마트폰 앱에서 제공되는 튜토리얼은 새로운 경험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진입장벽을 낮추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앱들이 제공하고 있는 대표적인 튜토리얼 설계 유형을 분석했다. 또한, 사용되는 콘텐츠와 기능에 따른 효과적인 튜토리얼 유형을 조사하였다. 기능과 콘텐츠 별로 제공하는 튜토리얼이 다양하였으며, 그 사용의 범위도 넓었다. 이로써 향후 보다 편리한 스마트폰 앱튜토리얼이 설계 유형 효과에 대해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Tutorial helps to user it providing a learning function, before using the system. Although the tutorial is not provided mobile phone’s basic functions such as dialing and scheduling, smartphone can to extend function from the app. And tutorial is required about never experienced system. Tutorial meant to relieve the fear of new experiences and lower barriers to entry. In this study analyzed exemplary tutorial design type in smartphone app. And effective tutorial type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functionality, the range of using was extensive. Therefore, the type of smartphone apps tutorial research is needed on effectiveness.

      • KCI등재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읽기 처리과정 연구

        강시내(Si-Nae Ka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시선 추적기를 활용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보이는 읽기 처리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아동과의 차이점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을 질문의 유형별로 살펴보고 일반아동과 비교한 후,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어휘력, 읽기 처리과정, 작업기억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충청도 지역의 초등학교 2 학년에서 4학년에 재학 중인 단순언어장애 아동 12명과 일반아동 15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집단별 읽기 처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시선 추적기를 활용하여 읽기 시간과 시선고정 횟수, 평균 시선고정 시간을 측정하였고, 집단 간 이야기 읽기 이해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 질문 유형으로 구성된 읽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읽기 처리과정 및 어휘· 작업기억 간 상관관 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와 두 개의 작업기억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 시간과 시선고정 횟수, 평균 시선고정 시간, 총 시선고정 시간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유형에 따른 이야기 읽기 이해력을 분석한 결과, 그룹에 따른 주효과, 질문 유형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두 집단 모두 사실적 정보 이해, 텍스트 연결 추론, 빠진 정보 추론 순으로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수용 및 표현 어휘력과 읽기 이해력 사이에 매우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읽기 시간, 시선고정 횟수, 총 시선고정 시간 사이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글을 읽는 과정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아동 수준에 맞는 텍스트를 선정 및 배열하 고, 아동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읽기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과정의 처리과정을 분석하고 읽기 이해력을 담화수준에서 평가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proces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using an eye tracker.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how reading ability correlates with vocabulary, personal background knowledge, and working memory, which is known as the basis of language develop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children with SLI and 15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the 2n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groups, three kinds of questions were used and an eye tracker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process. Also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and two working memory task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with reading comprehens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SLI need significantly longer reading time and on average need more fixation tim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total time of fix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ly, children with SLI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in all three types of questions tasks. Thirdly, reading comprehen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Conclusion: Children with SLI showed longer reading time and longer mean of fixation time. This study design allowed us to better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n word or sentence by using the story at the level of discourse appropriate to the level of school age children in the task.

      • KCI등재

        치유의 숲 이용객의 인체보온지수와 기후적응성에 관한 연구

        강시내(Kang, Si Nae),연평식(Yeon, Poung Sik)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치유의 숲 이용객의 착의 현황을 조사하여 인체보온지수와 기후 적응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이는 산림치유의 효과 중 온열쾌적감을 위한 착의량과 기후적응성 향상을 위한 착의량 제시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대관령 치유의 숲, 장성 치유의 숲, 장령산 치유의 숲 이용객을 대상으로 201부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Excel,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상관분석을 하였다. 치유의 숲의 기온과 풍속을 통해 산출한 인체보온지수와 치유의 숲 이용객의 총 착의량 차이에 따른 기후적응성은 인체보온지수와 실제 착의량과 차가 클수록 추위적응력이 낮았으며, 추위대응행동을 적극적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체보온지수와 착의량의 차에 대한 자기건강인식은 유의 수준 5%에서 유의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유의 숲을 방문하는 이용객들에게 치유의 숲이 위치한 지역의 기온, 풍속 등 기상요소가 반영된 인체보온지수를 적용한 착의행동을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각 치유의 숲 방문객 인체보온지수와 실제 착의량의 평균 -0.2clo 범위의 차이를 가진 이용객들이 쾌적하다고 파악되었기에 치유의 숲 활동 중 착의행동조절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lothing for healing forest visitors to identify the clo-unit, clothing weight and climate adaptation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amount of clothing for thermal comfort and the amount of clothing for the improvement of climate adaptability among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The survey conducted 201 surveys of visitors to Daegwallyeong Healing Forest, Jangseong Healing Forest, and Jangnyeongsan Healing Forest.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Excel, SPSS 18.0 program. The climatic adapt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o-Unit calculated through the temperature and wind speed of the healing forest. It was also show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o-unit of actual clothing weight and the recognition of self-health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visitors to the healing forest should take an act of wearing a clo-unit that reflects weather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wind speed in the area where the healing forest is locat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visitors of each healing forest will be used to control the behavior of wearing clothes during healing forest activities, as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o-unit and -0.2clo (average) range of actual wearing is pleasant.

      • KCI등재

        우울 개선을 위한 국내 산림치유프로그램 유형 분석

        전진영,강시내,김진건,연평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patients with depression in the future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therapy programs related to depression in Korea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composi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analyze depression-related forest therapy programs, as a result of collecting thesis and winners of the program and forest therapy program competition developed by the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from 2008 to 2020, 49programs and 249 detailed programs were derived. The subject, activity goal, activity type, therapeutic approach, five senses, season, activity period, activity time, and activity lo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rvey for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composing depression-related forest therapy program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those with COVID-19 symptoms and those with each life cycle, an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were considered the most. As for the activity type, physical activity was most frequently used, psychotherapy was the most applied as the therapeutic approach, and various therapies were included, not just monotherapy, especially in programs that used two therapies simultaneously. Tactile elements are the most widely used as the five senses elements, most programs were operated in spring, summer, and autumn in the season, and the activity period and time were organized to take less than 120 minutes as multiple-time programs. Most activity sites were conducted outdoors using forest roads, and non-face-to-face programs were also develop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so far, depression-related forest therapy programs have been conducted for all ages who are likely to complain of depression or be exposed to depression rather than for patients suffering from depression.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a multi-faceted study is needed so that forest therapy programs suitable for depressive patients can be conducted through specia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s. 본 연구는 우울 개선을 위한 국내 산림치유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 활동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우울증 환자를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울 관련 산림치유프로그램 분석을 위해 국내 학위논문과 2018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하기관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및 산림치유프로그램 경진대회 입상작을 대상으로 수집한 결과, 49개의 전체프로그램과 249개의 세부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조사양식에 따라 대상자, 활동 목표, 활동 유형, 6대 요법, 오감, 계절, 활동 기간, 활동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 관련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대상자는 코로나 블루 증상자 및 생애주기별 대상자가 많았으며, 활동목표는 심리·정서적 영역이 가장 많이 고려되었다. 활동유형은 신체활동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6대 요법으로는 정신요법이 가장 많이 적용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시, 단일요법만이 아닌 다양한 요법이 포함되었는데 특히 2개 요법을 동시에 활용하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오감요소로는 촉각요소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계절은 봄, 여름, 가을에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활동기간 및 시간은 다회기성 프로그램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120분 이하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장소는 대부분이 숲길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비대면 프로그램도 개발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울 관련 산림치유프로그램은 우울증을 겪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 우울감을 호소하거나 우울증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전 연령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향후에는 우울증 환자에 적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의 전문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면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