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억과 시냅스 가소성

        강봉균 한국뇌학회 2001 한국뇌학회지 Vol.1 No.1

        신경계를 갖는 생물체는 환경과의 교류를 통하여 유용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환경적응과 생존에 필요한 적절한 행동을 창조해낸다. 기억은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구분된다. 또한 기억은 심리학적 구분에 의해 서술기억과 반사기억으로 나뉘는데, 현대 생물학의 급속한 발전과 다양한 연구방법의 도입에 의해 심층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종설에서는 바다 달팽이인 군소(Aplysia)와 같은 간단한 동물이 어떻게 학습과 기억의 심리학적 현상에서 대두된 어려운 난제를 푸는데 이용되어져 왔는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기억은 어디에, 어떻게 저장되는가? 기억은 분자 수준의 기본적인 규칙이 있는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은 서로 다른 과정을 거치는가?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반사기억의 분자 메커니즘인 장기 시냅스 촉진은, 서술기억의 형성에 중요한 해마구조에서 밝혀진 장기 시냅스 강화와 유사한 점들을 공유하고 있음이 많은 증거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시냅스 가소성이 신경계에서 진화적으로 잘 보존되었음을 볼 때, 다양한 종류의 기억들을 서로 연관시킬 수 있는 분자 및 세포 수준의 체계도를 추정하여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기억들을 규정하는 학습정보의 복잡성에 따라 동원되는 시냅스의 개수가 결정되며, 또한 각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시냅스 가소성 외에도 시냅스간을 연결지어주는 초 시냅스 가소성의 존재를 예측해 볼 수 있다. The organisms having the nervous system communicate with the environment and utilize profitably information derived from it, hence creating the appropriate behavior for both adaptation and survival. Learning and memory can be psychologically classified into declarative and reflexive memory, which can now be approached with the powerful methods of modern biology. Memory is also divided into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based on the length of memory retention. In this review, I show how a simple organism like the marine snail Aplysia can contribute to the clarifications of some previously intractable questions in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emory: Where and how is memory stored? Is there any molecular grammar of memory? Are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different processes? Some of the recent works on this field are reviewed and discussed in the molecular and cellular terms regarding these questions. A body of evidence shows that long-term facilitation(LTF), a cellular mechanism of a reflexive memory, has many features common in long-term potentiation(LTP), another form of synaptic plasticity in the hippocampus that is important in processing in declarative memory. I suggest a hypothesis that there may be a molecular or cellular hierarchy that binds together the diverse memory forms, based on the notion that synaptic plasticity is evolutionarily conserved in the nervous system. The number of synapses that are recruited may determine the degree of complexity in a learned information defined by the different types of memory. Furthermore, the synapses may be bound to one another by supersynaptic plasticity, thereby encoding complex information.

      • KCI등재

        폴리에틸렌필름 명칭 및 종묘종류가 가을감자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강봉균,강영길,강시용 한국작물학회 2003 한국작물학회지 Vol.48 No.3

        Normal seed tubers and plug seedlings raised from stem cutting and mini-tubers (10±3g) were planted or transplanted on August 20,2001 in bare soil or under transparent and black polyethylene film mulch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ulch material and seedling type on the growth and tuber yield of fall-grown potato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in Jeju region. Total tuber number per plant was 4.6 regardless of mulch treatment, and direct planting seed potatoes resulted in the greatest tubers (5.14)/plant and followed by transplanting seedlings raised from cutting and mini-tubers (4.15 and 5.15 tubers/plant). Transparent and black polyethylene film mulches increased total tuber yield by 16 and 8%, respectively, and average tuber weight by 14 and 12%, respectively, compared with no mulch (21.16 t/ha and 72.2 g/tuber). Transplanting plug seedlings raised from cutting resulted in the greatest tuber yield, followed by transplanting plug seedlings raised from mini-tubers and direct planting seed potatoes. 제주지역에서 상위급 씨감자 가을채종재배 시 폴리에칠렌(PE)멀칭이 감자의 생육 및 수량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일반종서, 경삽 및 소서 플러그묘를 2001년 8월 20일에 직파 또는 정식한 후 무멀칭, 투명 및 흑색 PE멀칭재배를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 총서수는 멀칭처리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4.6개 내외였으나, 종묘종류별로는 직파구에서 5.14개로 가장 많았고 경삽묘 및 소서묘정식구에서는 각각 4.15, 5.15개였다. 2. 총서수량은 무멀칭구에서 21.16톤/ha이었는데, 투명 및 흑색 PE멀칭에 의하여 각각 16, 8% 증수되었고, 경삽묘정식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소서묘, 직파구 순이었다. 3. 평균서중은 무멀칭구에서 평균 72.2g이었고 투명 및 흑색 PE멀칭에 의하여 각각 14, 12%증가되었는데, 멀칭효과는 경삽묘정식구에서 가장 컸었다.

      • 심방 세동을 동반한 신경색 환자 치료 1예

        강봉균,김민수,최병관,김순애,임지현,이정상,김경수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8 東國醫學 Vol.15 No.1

        신경색은 신동맥 및 분지동맥의 폐색에 의해 발생되며, 비교적 빈도가 드물다. 다양한 임상 증상과 검사실 소견을 보일 수 있어 때때로 진단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초기 치료 지연에 따른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주요 원인으로 심장 판막질환과 심방 세동 및 심부전 등의 심장질환과 고혈압, 대동맥 박리 등의 혈관 질환과 외상에 의한 경우이며, 그 외 다양한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영상 진단 기법의 발달로 과거에 비해 조기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다. 저자들은 좌측 측복부 통증으로 내원한 고혈압 병력이 없는 성인에서 발생한 신경색 환자에 신동맥내 혈전 용해제 치료를 시행한 1예를 경험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renal infarction usually occurs by renal artery and branch arteries occlusion. Renal infarction has relatively low incidence. It is difficult to diagnosis because of various clinical manifestrations. So might be happen serious medical complication. Most common cause include valvular heart disease, atrial fibrillation, heart failure, hypertension, aortic dissection and trauma are reported. According to developing imaging technology, It is possibile that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nal infarction. we report a case of renal infarction in a healthy man without hypertension that treated with intraarterial urokinase infusion and ⅳ hepar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