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남 남해안의 송국리형 주거문화

        李宗哲 한국청동기학회 2010 한국청동기학보 Vol.6 No.-

        송국리형 주거는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주거로서, 다른 주거에 비해 가장 오랜 세월동안 축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전통성·지속성·보편성을 가지는 주거라고 할 수 있다. 전남의 남해안지역은 진도·해남권역, 탐진강유역권역, 고흥반도권역, 여수반도권역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여수반도권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권역은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호남지역의 송국리형 주거 문화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여수반도권역은 남강유역권과 인접해 있어 점이지대 혹은 문화적 동화나 융합의 성격이 강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안지역은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유물의 양과 종류가 매우 한정적이고 빈약하다. 현재까지 탐진강유역이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유물군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은 기원전 7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이미 대규모 취락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송국리형문화는 여수반도권역에서 기원을 전후한 시기까지 지속되고 있다. 제주도에서 나타나는 대규모 송국리형 취락은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전남 남해안지역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취락 형성기에 소위‘돼지코’형태의 주거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이를 방증한다. 그러나 물질문화에서는 제주도의 특색을 강하게 보이고 있어 취락형성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The Songgukri-type residence is a representative dwelling site of the Bronze Age in the KoreanPeninsular. Compared with other residential types, it was built for longer time. In other words,this dwelling site contains traditional, durable,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The south coast of Jeonnam province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he four ranges of Jindo-Haenam, the Tamjin River basin, the Goheung peninsular, and the Yeosu peninsular. The resi-dential type of the above three areas except the Yeosu peninsular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atof Songgukri, including the range of the Yeongsan River basin. The range of the Yeosu peninsu-lar was adjacent to the Nam River basin, so it is estimated that the region was a transition zone orboth regions shared strong cultural assimilation or fusion with each other.Quantities of various kinds of artifacts excavated in the south coast area are very limited. So far,the most varied and abundant remains have been unearthed in the Tamjin River basin. This areais estimated to have formed a large scale clustered-settlement around the 7th century B.C. ThisSonggukri culture had been continued in the range of the Yeosu peninsular until around thebeginning of A.D.The large scale Songgukri-type settlement on Jeju Island is presumed to be influenced by theresidential type of the south coast area and the Yeongsan River basin of the Honam area. Therewere lots of the pig’s nose-shaped types at the beginning of the settlement in Jeju Island, whichproves the influence of the residential type. However, artifacts found on Jeju Island show its ownmaterial culture, so a much more specific analysis is required for the clustered-settlement.

      • KCI등재

        청동기~철기시대 전북 지역의 정치세력

        李宗哲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58

        청동기시대의 정치세력은 개인이나 집단을 중심으로 사회적 교섭이나 활동 을 통해 사회적 위계를 형성하고, 주변 세력과의 연계망을 구축함으로써 정 치·경제적 구도를 완성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반해 철기시대는 전쟁, 이주, 문물교류와 문화적 파급 등 이전 시대보다 좀 더 동적인 정치세력의 설정과 상대적으로 구체적인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정치세력을 압 축·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북 지역에서 정치세력의 형성은 고창 지석묘 사회, 만경강 유역과 진안 용담댐 수몰지구의 송국리형문화 취락사회에서 먼저 이루어졌다. 특히 만경강 유역은 전주천을 배경으로 하는 동산동 취락, 진안 용담댐 일원은 여 의곡 취락으로 특정할 수 있다. 두 취락은 청동기시대에 거점취락으로서 지역 연계망을 통해 정치·경제·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정치세력은 철기시대에 들어와 「國」이라고 하는 구체적인 사회조직 과 위계체계로 공식화된다. 이러한 정치세력의 원초적인 중심지는 전주·완 주 혁신도시 일원으로 판단되며, 황방산을 배경으로 하는 이 지역 일대는 전 북 지역에서 가장 두드러진 정치의 오리진(Origin)이었다고 사료된다. 특히 청 동기시대에는 가까운 거리에 만성동 취락과 동산동 거점취락이 형성되어 있 었던 점을 고려하면, 그 전통성과 역사성은 더욱 공고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원과 익산 일원을 포괄하는 만경강 유역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의 동일 분포권으로서 토착민들 과 유이민들의 통합과 견재가 존재했던 지역적 역사성을 가지며, 무덤의 다 양성은 이러한 점을 뒷받침해준다. 특히 마한 54국 중 여러 「國」들의 형성과 궤를 같이할 뿐만 아니라 별읍인 소도의 존재가 결부되기 때문에 신지와 천 군의 관계 속에서 정치·사회적 관계가 주목된다. Political forces in the Bronze Age formed social hierarchy through social negotiations and activities centered on individuals and groups.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was completed by establishing a network with surrounding forces. In contrast, during the Iron Age, war, migration, cultural exchange, and cultural expansions can be identified as more dynamic and more specific than the previous period. the political forces of Jeonbuk province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formation of political forces in the Jeonbuk region took place first in the Gochang Dolmen society, the Songgukri Culture Village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and the Jinan Yongdam lake area. In particular, there is Dongsan-dong site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and Yeoegok site in the Jinan Yongdam lake area. The two villages are believed to have served as the center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Second, political forces are formulated into a concrete social and hierarchical systems in the Iron Age. The primary center of these political forces is considered to be the Jeonju-Wanju Innovation Citiy area. This region can be regarded as the most prominent origin of politics in Chonbuk. Third, the Mangyeong River basin is the same distribution area of bronze and iron culture representing Korea. In addition,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everal states of Mahan(馬韓)’s 54 countries. Especially related to Sodo(蘇塗),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s are no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forces and priests.

      • KCI등재
      • KCI등재

        묘삼수량에 미치는 기상요인의 영향

        李鐘喆,金明秀,卞貞洙,安大鎭 韓國作物學會 1985 한국작물학회지 Vol.30 No.3

        묘삼수량에 미치는 기상요인의 영향을 알고자 7개년간의 묘삼수량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상요인의 년차변이는 강수량이 가장 컸고 다음이 일조시수였으며 기온에서 가장 작았다. 평균기온의 년차변이는 6월에서 가장 컸고 4월에서 가장 작았다. 2. 묘삼소질별수량의 연차변이는 중량미달묘삼에서 가장 컸고 사용가능묘삼에서 제일 작았다. 3. 사용가능묘삼수는 묘삼생산총본수와 높은 정(+)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묘삼생산총본수는 1-3월간의 강수량과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사용가능묘삼수와 7월의 기온간에는 부(-)상관이, 5월의 강수량과는 정의 상관이 각각 인정되어 묘포에서의 수분관리는 5월부터 시작하여야됨이 시사되었다. Seven years data on the yield of ginseng seedling were investigated to define the relations between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yield of ginseng seedling. Variation of meteorological factors by years are showed in the order precipitation, hours of sunshine and temperature.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by years was biggest in June, whereas smallest figure in April. Variation of yield of ginseng seedling in different quality by years was biggest in number of short weighted seedling and least in that of usable seedling.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confirmed between number of usable seedling and number of total seedling, and between number of total seedling and precipitation from January to March, respectively.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recognized between the number of usable seedling and temperature in July but correlation between number of usable seedling and precipitation in May was positive. It suggests that water management in seedbed have to be started from May.

      • KCI등재
      • KCI등재

        인삼 연작장해 연구에 대한 고찰

        李鍾喆,金鴻鎭,吳承煥 韓國作物學會 198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4 No.S2

        인삼의 연작장해의 증상, 원인 및 방제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 연작장해의 증상은 인삼의 생장억제 근부에 의한 근수량 저하였으며 품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연작장해는 토양병원미생물과 인삼유체 분해산물의 식물에 대한 직접적인 독작용, 그리고 이들 유체 및 그 분해산물에 희한 토양내 전속화합물의 용해 또는 결합에 따른 전속이온의 식물에 대한 독작용 등이 상호 복합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3. 토양은 근부유발형과 근부억제형 토양으로 구분되며, 토양이화학성이 연작장해를 조장시키지는 않았다. 4. 연작장해의 방제법은 살균제에 의한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고, 훈증제(싸이론, 크로로피크린)를 처리하여 연작할 경우 고년근에서 근부병 발생이 심하기 때문에 훈증제와 길항미생물의 혼합처리가 효과적이다. 또 답전윤환이 가능한 논에서 3∼4년간 벼를 재배한 후 인삼을 연작하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ginseng replanting problems appeared to be decrease in root yields due to root rot and inhibition of root growth. Incitants of ginseng replanting problems have not been clearly elucidated, however, it appeared to be a complex phenomenon with several pathogenic soil microorganisms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soil due to decomposition of ginseng debris such as rootlets and shoots. Decomposition of ginseng debris may cause direct or indirect damage to the root. The effect of conventional fungicide on the control of the problems has not been recognized.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treatment with soil fumigants may solve the problems. Meanwhile paddy-rice and ginseng rotation system appeared to be the best way of solving the problems so far.

      • KCI등재

        병부과장식석검의 생산과 유통

        李宗哲(Lee Jongcheol) 한국고고학회 2019 한국고고학보 Vol.0 No.112

        본 글의 목적은 필자의 구고에서 시도하지 못하였던 병부과장식석검과 그 기본형 석검이 갖는 조형적상관관계를 새로운 근거를 바탕으로 좀 더 밀도있게 접근해 보고, 생산과 유통의 관점에서 생산지와 소비지에 대한 해상도를 좀 더 높이는 데 있다. 따라서 구고와의 중복은 되도록 피하고자 하였으며, 개선또는 개진된 내용에 한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석검 제작 이후 변형에 따른 변수가 가장 적을 것으로 여겨지는 병부를 대상으로 1:1 곡률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석검 제작 공정에 동일한 크기나 비율을 가진 U자 본틀이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3점의 병부과장식석검제작에 동일하거나 거의 차이가 없는 U자 본틀이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점과 같은 공방(또는 지역)에서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해석에 무게를 실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여수반도 출토 기본형 석검과 대조해 본 결과, 병부 곡률이 정확히 일치하는 결과를 얻음으로써두 형태의 석검이 조형적 특성뿐만 아니라 동일한 제작기술이 반영된 것임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여수반도의 지질과 영남 지역의 석재 산지에 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석재의 확보와 유통 문제도 간접적으로 추론해 볼 수 있었다. 지역을 달리하는 복수 이상의 곳에서 최대 또는 최장의 병부를 갖는 석검의 병부 곡률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게 확인되었다는 것은 지역 간 상호관계성을 지지해 주는 강력한 고고학적 증거로 볼 수 있다. 특히 동일한 곡률을 유지할 수 있었던 석검 제작기술의 완성도를 통해 U자 본틀과 같은 특정 제작도구와 전문장인의 해상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고고학적 자료의 부족과 분석적·기술적 한계로 인해 입증하지 못한 사항에 대해서는 향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argument, based on thearchae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tone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that the Yeosu Peninsula was the area featuringproduction and consumption sites, and that the Gimhae and Busan were regionswhere consumption took place. This conclusion is based on the evidence whichreveals that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and ordinary-shaped stonedaggers are closely related in terms of their f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procedures. Firstly, the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were preciselymeasured at a scale of 1:1, and the curvature rates of the dagger hilts werecomparatively calculated. Second, the measured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U-shaped template pads used for making the daggers were identical in termsof size and curvature rates. This indicates that the three stone daggers withexaggerated hilts that were analyzed had been manufactured using an identicalU-shaped template pad. The results also illustrate that they were producedin a single workshop or the same area. Third, the author then compared thecurvature rates of the hilts of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and ordinaryshapedstone daggers. The curvature rates were found to be identical, indicatingthat both types had all ben manufactured using an identical U-shaped templatepad. The majority of the ordinary-shaped stone daggers have been recoveredfrom the Yeosu Peninsula, making it possible to infer that this area was wherethe production of the daggers had taken place. The described results validate the hypothesis that these types of daggershad been produced in the Yeosu Peninsula and distributed to other regions,including Gimhae and Busan. This reasoning is based on typology. But it waspartly acknowledged that the Yeosu Peninsula could not necessarily be regarded as a production site based on research on the distribution of hornfels in theGoryeong area. Issues that could not be addressed due to the lack of archaeological dataand various technical limitations remain as task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근현대 한국의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채집·연구사 고찰

        김광식 ( Kim Kwang-sik ) 연민학회 2018 연민학지 Vol.30 No.-

        <나무꾼과 선녀> 설화가 한국에서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1898년 이후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채록된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분석해 시기적으로 그 변용양상을 검토하였다. 필자가 새롭게 발굴한 해방 전에 간행된 97종의 자료를 분석하고, 해방 후에 간행된 설화집과 선행연구를 참고해 그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본어로 발표된 자료는 중복을 제외하면 47편인데, 그 중에서 29편은 선행 자료의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카하시 도오루(22종)와 미와 다마키(5종)의 영향이 강했다. 1910년대에 간행된 두 설화집은 이후에 간행된 자료집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카하시의 영향을 받아 나무꾼 승천형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미와에 의해 수탉형, 임석재에 의해 시련 극복형이 채록되었다. 조선어로 발표된 자료는 18종으로 일본어 자료에 비해 한정적이지만 근대 초기에 보고된 설화 자료로 소중하다. 특히, 최남선, 이능화, 이광수 등 대표적 지식인이 채록했다. 한편, 해방 후에 간행된 주요 설화집에는 시련 극복형과 수탉형이 다수 채록되었다. 그러나 다카하시, 최남선 이후 나무꾼 승천형이 주로 지면으로 발표되고 1, 2차 교육과정 교과서(1955-72)에 나무꾼 승천형이 수록되면서, 그 영향을 받아 1990년대 이후에는 나무꾼 승천형이 확산되었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1980년대까지 복잡한 유형이 주를 이루었지만, 다카하시 이후의 서승(書承) 양상과 교과서의 영향으로 나무꾼 승천형이 증가하였고, 근년에는 선녀 승천형이 다수 채록 되었다. 도시화, 고령화, 연행의 감소 등으로 인해 복잡한 서사 유형을 대신하여 기본형이 중심을 이루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을 주시하고 다른 설화와의 관련 양상을 검토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Although the folktale of The Woodcutter and the Nymph has a long oral tradition, it was first recorded in Korea in 1898. This paper analyzes how the folktale changed in collections over time. The author first examines ninety-seven newly discovered collections published before libera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ir recording post-liberation. Twenty-two versions of the tale presented by Takahashi Toru and five versions presented by Miwa Tamaki in Japanese were influential, and their two collections particularly impacted those published after 1910. Although Takahashi’s version of the tale where the woodcutter ascends to heaven appears most frequently by far, Miwa’s version with a rooster and Im Seok-jae’s version where the woodcutter overcomes a series of trials were also recorded. Moreover, Im and Sohn Jin-Tae published papers clearl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versions of the tale. Although the number of materials presented in Korean is relatively limited compared to the Japanese at eighteen, they are valuable as modern sources, particularly as leading intellectuals Choe Nam-seon, I Neung-hwa, and I Gwang-su recorded them. In sum,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mainly recorded versions of the tale with the woodcutter ascending to heaven while Koreans recorded the versions of tale with the ascension and the rooster as well. While many folktale collections published post-liberation mainly recorded the trial and rooster versions of The Woodcutter and the Nymph, the ascension version saw more publication post-1990. The loss of oral memory and declining oral tradition following urbanization and an aging population has now resulted in the tale being reduced to its basics rather than retaining a complex narrative. There is a need to fundamentally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folktales in the seventy-some years since liberation and its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