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最近(2008) 프랑스 行政判例의 動向 및 分析 硏究

        전훈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09 행정판례연구 Vol.14 No.2

        D’abord, le nombre d'affaires enregistrées en 2008, en donnés brutes et en donnés nettes, est supérieur à celui de l’année dernière. L’ensemble des pourvois en cassation est dimiminué mais les contentieux des élections municipales et cantonales de mars 2008 sont nombreux. Malgré l’accroissement du nombre des affaires enregistrées, l’équilibre entre les entrées et les sorties, en données nettes, a été atteinte. Ensuite, dans les textes de cet article, les arrêts du Conseil d’Etat sont résumés par les domaines concernés dans l’ouvrage universitaire. Par une décision d’assemblée, le Conseil d’Etat affirme que la Charte de l’environnement a la valeur constitutionnelle et a annulé un décret pour méconnaissance de la Charte de l’environnement de 2004(note de Ⅱ-1). La section du Conseil d’Etat a jugé nécessaire, avant de finir le litige, de poser des questions à la Cour de Justice des Communautés européennes(CJCE). Le Conseil d'Etat ne peut connaître d’une contestation dirigée contre la décision de notifier un acte au titre des aides d’Etat, qui n’est pas détachable de la procédure d’examen par la Commission(note de Ⅱ-2). Dans l’affaire de Bounemacha, le Conseil d'Etat a jugé que la fermeture d’une salle dans un bâtiment d'une résidence universitaire pour y réaliser des aménagements nécessaires à sa sécurité, le CROUS n’a pas porté d’atteinte illégale aux libertés fondamentales de culte et de réunion(note de Ⅱ-3). Le Consei d'Etat affirme que la responsabilité de la puissance publique, une faute lourde commise dans l’exercice de la fonction juridictionnelle par une juridiction administrative est susceptible d’ouvrir droit à indemnité(note de Ⅱ-4). Enfin, on peut comprendre les efforts du Conseil d’Etat pour l’amélioration des délais de jugement par voie de l’équilibre entre les entrées et les sorties, le jugement rapides des pourvois en cassation, également l’importance des référés pour la protection effective des libertés publiques et l’harmonisation entre des normes européens et le droit français. 2008년 프랑스 국사원 소송국의 활동은 대체로 국민들의 행정재판을 통한 권리구제의 실질적 기대를 높이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전년에 비해 접수된 소송 건수가 증가하였지만 재판기간의 단축을 위한 노력으로 처리건수를 높임으로서 누적 판결수를 줄이고신규사건과 처리사건의 균형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다고 자평하고 있다. 특히 파기(상고)사건이 처음으로 감소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이 안정적이라 보기는 어렵다. 2008년 판결 중 주목할 만한 사안으로 2005년 3월 헌법 개정으로 헌법전문에 삽입된 환경헌장의 규범적 효력(헌법적 효력)을 처음으로 인정한 코뮌 앙시(Annecy) 사건이 있다(Ⅱ-1판결). 프랑스의 의회제정 법률과 정부제정 명령의 규범체계는 우리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나, 명령제정 가능영역에 대한 월권이 있는 경우 행정법원의 통제가 이루어지는 법치주의 원칙상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동 판결에서 처음으로 환경헌장 규정의 헌법적 효력을 전제로 하여 동 규정에 위반하여 제정된 정부명령(데크레)가 무효라고 한 점은 환경영역에 대한 입법자의 의무를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동체법원에 대한 국사원의 선결이송에 관한 판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Ⅱ-2판결). 국사원은 이슬람대학생모임의 대표자가 제기한 기본권보호(소원심사)형 긴급심리 항소심에서 행정소송법 제521-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긴급성요건에 대해판단하고 있다(Ⅱ-3판결). 그리고 국사원은 행정재판의 과도한 지연에 대한 국민의 권리침해를 인정하고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하고 있다(Ⅱ-4.판결).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차등화와 실험법의 확대 -2019년 프랑스 헌법개정법률안의 검토-

        전훈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영남법학 Vol.0 No.50

        In the course of efforts to bring “decentralization” to the constitutional level, the movement of french decentralization has given many implications and there have been many prior studies on constitutional revision in 2003. The theory of french decentraliz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actual law, including the Constitution, provided many implications for the bill of revision of korean constitution bill in 2018. In particular, the revision of the french constitution for decentralization in 2003 is seen as an exemplary blueprint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in Korea. French decentralization, led by the Decentralization Act in 1982, began its second Act with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2003 following the first Act of decentralization such as the Act for repatriations of competence among local governments in 1983, and since 2010, it has undergone changes in the third Act on moder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and reform of local finance and local elections. And the constitutional revision, submitted in August 2019, envisions another change in the content of decentralization shown in the 2003 constitutional revision. The government's constitutional revision bill, submitted to the House of Representatives(Assemblé Nationale) on Aug. 29, 2019, recognizes the differenti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allows local governments to intervene in the contents of state laws, although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limitations of the single country's legal system.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reports of the french National Assembly(Assemblée Nationale) and the Council of Sate(Conseil d’Etat) the Constitutional Court(Conseil constitutionnel)’s judgements, and other academic researches focusing on the changes in french decentralization policies after 2010,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e basic principle of decentralization known as the decentralization through the transfer of competence. In addition, regarding whether the differentiation of local governments is a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ity, it was reviewed that the differential transfer of competence by local governments to guarantee local autonomy does not conflict with the subsidiary principle shown in the Constitution by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2003. And th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legislative experiments in the 2019 constitutional revision bill, is understood not a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but as an active intentio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ays attention to th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the experimental law, easing the strict requirements of the current Constitution and acknowledging their involvement in the contents of state laws through self-governing legislation. Finally it’ needed to study about french constitutional revision of 2019, which prepares to revise the fourth Act of decentralization and second constitutional revision for decentralization, in order to find the development of our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지방분권을 헌법 차원으로 끌어 올리는 노력과정에서 프랑스 지방분권의 움직임은 많은 시사점을 주었고 1982년부터 2003년 개헌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가있었다. 프랑스 지방분권에 관한 이론과 헌법을 비롯한 실정법 내용들이 2018 년 우리 헌법 개정안에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특히 2003년에 있었던 지방분권을 위한 프랑스의 헌법 개정은 국내 개헌 준비과정에서 모범 청사진이되었다고 본다. 프랑스 지방분권은 1982년 지방분권법을 필두로 1983년 권한배분법 이후1999년 기초공동체협력법과 같은 지방분권 제1막에 이어 2003년 헌법 개정으로제2막을 시작하였고, 2010년 이후 지방행정의 현대화와 지방행정체제개편과 이를 뒷받침하는 지방재정과 지방선거 개혁에 관한 제3막의 변화를 거쳤다. 그리고 2019년 8월에 제출된 헌법개정안은 2003년 헌법 개정에 나타난 지방분권의내용의 또 다른 변화를 예정하고 있다. 2019년 8월 29일 하원에 제출된 정부의헌법개정법률안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차등화를 인정하고, 단일국가의 법체계의 한계로부터 벗어나지는 못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국가법령의 내용에 대한예외적 개입을 허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새로운 지방분권 개헌 준비과정에서 제출된 프랑스 하원과 국사원의 보고서와 헌법재판소의 판례 그리고 학자들의 연구자료를 검토하고, 2010 년 이후의 프랑스 지방분권 정책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2019년8월 개헌안에 포함된 차등화 혹은 다양화된 지방자치단체의 등장과 이들에 권한이양의 내용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와 평등원칙 그리고 지방분권의 기본원칙으로 알려진 보충성원칙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차등화는평등원칙에 대한 위반인지에 관하여 지방자치의 보장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이양의 차등화는 지난 2003년 개헌으로 헌법에 나타난 보충성원칙과 충돌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2019년 개헌안에서 그 요건이 완화된 지방자치단체의 입법실험 참여는 평등원칙에 대한 예외가 아니라 적극적의미로 이해되고 있다. 개헌안은 지방자치단체의 실험법 참여에 주목하고 현행헌법의 엄격한 요건을 완화하고 자치입법을 통해 국가법령의 내용에 대한 개입을 인정하고 있다. 지방분권 제4막이자 제2의 지방분권 헌법 개정을 준비하는프랑스 개헌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시의적으로나 내용 면에서 우리의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 검토의 실익이 높다고 본다.

      • KCI등재

        부르키니 착용금지에 관한 꽁세이데타의 기본권보장 긴급가처분결정(사건번호 제402742호, 제402777호)에 관한 평석

        전훈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9 행정법연구 Vol.- No.56

        Dans notre étude sur la note des jurisprduences, nous avons examiné l’ordonnances du Conseil d’Etat en appel. Au cour de l’été 2016, une treinte de maires de communes du littoral français ont interdit le port sur les palges de leur commune de vêtements islamique, dénomé “Burkini” ou de toute autre tenu d’inspiration équivalance. Deux requrants contre l’arrêté du maire de Villeneuve-Loubet autour de Méditerranée présnentent des requêtes devant le juges des référés du Tribuanal administratif de Nice sur le fondement de l’article L.512-2 du Code de Justice administrative(CJA). L’arrêté contésté est fait par le maire ayant la compétence du pouvoir de police municipale générale en vertu de l’article L.2212-1 et L.2212-2 du Code général des collectivités territoriales(CGCT). En vertu de l’article L.2123-23 du CGCT, le maire peut réglementer l’utilisation de plages et des activités de baignades. Selon nouveaux arrêté du maire de Villeneuve-Loubet, il est interdit de porter de vêtement non respecteux des bonnes moeurs et du principe de laïcité conscacré dans l’article 1er de la Constitution française, c’est le Burkini dans l’éspèce. Le Conseil d’Etat considère que les mesures de police que le maire d’une commune littoral édicte en vue de réglementer l’accès à la plage et la partique de la baignade “doivent être adaptées, nécessaires et proportionnées” au regard des seules nécessités de l’ordre public. En l’espèce de cet ordonnance, il n’y pas de trouble à l’ordre public de porter le burkini dans la plage et les juges des référés accentuent la conciliation entre l’ordre public et les libertés publiques, en l’occurence la liberté religeuse. Aprés la présentation des notes sur l’ordonnace du 26 août 2016, nous avons traduit cet ordonnance en coréen pour la référence du développement d’étude comparative notamment le sujet du recours provisoire en contentieux administratif. 본고는 2016년 여름 프랑스는 물론 유럽에서 사회적 이슈였던 부르키니 착용을 금지하는 자치단체장(꼬뮌의 시장)의 규칙이 시민들의 기본적 자유를 침해한다고 인정한 공세이데타(최고행정법원)의 긴급가처분 항고심 결정을 소개하고 평가하는 글이다. 프랑스의 기본권보장 긴급가처분은 공법인이나 공무수탁사인이 권한을 행사하면서 신청인의 기본적 자유에 대해 중대하면서도 명백하게 위법한 침해를 가했을 경우에 행정법원이 기본권 보장을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48시간 이내에 신속하게 명하는 긴급 가구제제도에 해당한다. 한편, 프랑스에서 자치경찰은 꼬뮌 단위에서 민선 단체장(시장)에게 인정되고 있으며, 지방자치법 관련조항에 따라 피신청인은 해안의 이용에 관련된 경찰규칙을 제정하였다. 문제의 경찰규칙에서 직접 부르키니를 언급하지는 않지만, 하절기 동안 선량한 풍속, 라이시테원칙, 공중의 위생과 해안의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 ‘올바른 복장착용’을 하지 않을 경우 해수욕은 물론 해변 출입을 금지하도록 한 것은 헌법이 보장하는 자유로운 왕래(이동)의 자유와 신앙의 자유에 침해를 가져올 긴급성을 갖추었다는 것이 꽁세이데타의 입장이다. 전통적으로 프랑스에서 경찰권 행사는 공공질서를 목적으로 한다. 공공질서는 공공의 안녕, 평온 및 위생이라는 실체적 구성요소로 설명되어 왔다. 그리고 도덕적 요소와 인간의 존엄성 등이 새로이 논의되고 있다. 부르키니의 착용금지는 이슬람이라는 특정한 종교와 프랑스 헌법 제1조의 라이시테원칙과의 갈등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문제는 공권력의 이러한 조치는 시민의 기본적 자유의 제한에 있어 비례성원칙과 공익과의 적절한 조정을 통해 나타나야 하는데, 꽁세이데타는 자치경찰권한을 행사하는 꼬뮌의 시장은 공공질서에 대한 위협이 확인되지 않은 이상 부르키니 착용금지 규칙은 오히려 시민들에 대한 과도한 해변출입의 자유와 신앙의 자유의 침해를 가져온다고 판단하였다. 상기 내용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본고는 꽁세이데타의 기본권보장을 위한 긴급가처분 항고심 결정문 전문번역을 통해 행정소송상 가구제 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 축적에 일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물에 대한 권리와 법 그리고 물의 관리

        전훈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가천법학 Vol.3 No.3

        Le droit relatif leau est un moyen lgitime dergler la question concernant lattribution de leau pour les individus ou les habitants du lit dun fleuve. Ce droit est soulev lorsque lapprovisionnement en eau puise dans un systme fluvial ne peut pas satisfaire les besoins des intresss. Le droit relatif leau est un droit en vertu duquel on peut prendre de leau partir dun courant naturel deau et la faire sienne. Qui peut obtenir le droit de leau? Pour cela, il y a deux types de principe en Amrique et certain professeur coren prsente des thses amricaines pour expliquer le fondement du droit de Sou-li-kwon. Lune est la thorie du principe de zone riveraine et lautre est celle du droit de lappropriation suprieure.On peut indiquer des sujets principaux poss sur la politique de gestion de leau ainsi comme lquilibre de la gestion de leau, lingalit rgionale de lapprovisionnement en eau et la privatisation et le contrle de la qualit de leau.On peut rsumer deux ides principales concernant le droit et la gestion de leau en Core: lune est un effort pour lamlioration et la systmatisation du rgime juridique sur leau tandis que lautre concerne la transformation du paradigme des politiques de la gestion de leau. Lutilisation et la gestion de leau en Core sont rgles par des textes lgislatifs relatifs leau en application des rgles du Code Civil, de la loi relative aux fleuves, de la loi relative la gestion de leau publique, de la loi relative leau thermale et galement de la loi relative aux barrages vocation multiple et autres. Ces interventions diverses des pouvoirs publics par voie de lois et rglements, au coup par coup pourrait-on dire, rsultent de la volontdu gouvernement dviter principalement la tragdie des biens publics (Tragedy of the commons). Mais cette disparit peut galement avoir pour effet pervers de rduire lefficacit du rgime de gestion de leau et gner la pleine coopration de la communaut sociale. 현재 한국은 물 부족국가로 분류되고 있고, 물의 수량의 부족 뿐 아니라 물 자원에 이용과 관리에 관한 법제적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에 있다. 그동안 물에 대한 정책과 법제는 이러한 수질오염의 방지와 함께 유한적인 물 자원의 이용에 관한 부분에서 이루어져 왔는데, 물 자원의 이용에 관한 권리인 수리권에 대한 연구가 중심을 이루어 왔다. 한편 이러한 수리권에 관한 민법규정과 각종 행정법규정은 미국의 수리권이용에 관한 이론이 주는 시사점을 많이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주목할 것은 어느 입장이든 간에 물을 일종의 권리의 대상 내지는 조절할 수 있는 권리의 부분으로 인정한다는 점과 공익적 요청에 따라 이에 대한 공권력의 개입이 정당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행 헌법 규정과 물과 관련된 개별 법률의 내용에 비추어 보면 물에 대한 권리나 물을 이용하는 권리는 공법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요청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물의 이용과 관리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는 것은 결국 물 관리 주체의 정책과 이를 뒷받침 하는 법제간의 격차와 괴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일부 견해는 이를 형평과 법적안정성을 추가하는 법과 합목적성과 효율성을 지향하는 경제의 긴장관계와 기후변화와 같은 자연환경의 변화와 같은 외생변수와 행정의 규제의 변화라는 규제모델의 변화라는 정책적 함의를 통해 설명하기도 한다. 한국에서의 물의 관리는 이른바 치수사업을 통해 다목적 댐 건설과 산업화에 따른 하천오염의 방지와 예방차원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수생태계의 관리로 전환되고 있는데, 이러한 물 관리정책은 종래 초기의 양적관리에서 물의 질적 관리로 다시 종합적인 유역관리체계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물의 관리에 대한 법제적 접근은 관련 법령의 체계화작업 만큼이나 현행 법령의 실행과정에서 제기된 형평의 문제에 대해 새삼 진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와 관련해 농업용수 사용에서의 형평성, 수돗물 공급과 이용에서의 지역 간 격차와 상수도공급의 시장화와 물이용을 둘러싼 행정규제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물의 관리에 대한 법적 규율은 기본적으로 공유지의 비극을 막기 위해 동원된 다양한 정부의 규제가 구성원들의 질서의 존중과 시장도구에 의한 보완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 오히려 비효율성을 증가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물에 대한 종합적 법제와 시스템화에 앞서 물에 대한 혹은 물을 이용하는 권리는 이제는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공정한 접근이 보장되어야 할 인권적 요소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일 것이다.

      • KCI등재

        공공서비스와 행정법 - 프랑스 공공서비스 이론을 중심으로 -

        전훈 유럽헌법학회 2022 유럽헌법연구 Vol.- No.39

        The notion of “french public service”(le service public in french) is essential in order to explain the french public law. The concept of public service, known as “Kong-yuk-mu” in korea, has been justified by french administrative jurisprudence and doctrines to prove the existence of administrative law. But the formation of the EU, the modernization of public policy have influenced the french public service doctrine since late 1990’s. On this study, we reviewed the conceptual consideration of “Public service” and the recent discussion of the role and mission of the State in public service legislation. The French law and system understood the public service as a content of the mission for administration, as a function and role that is the premise of the civil service system represented by Léon Duigit in the early and mid 20th century. Now, we are foreseeing a great change in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ommunity and public services for administrative duties to the State because of COVID-19. With the attitude of “On-go-ji-sin”(New knowledge by reviewing), we are able to evaluate the value of french public service theory through a new understanding of public service as a sense of solidarity and fair access to public service and the role of public administration. 국내에서는 “공역무”라는 용어로 더 알려진 프랑스 공공서비스(le service public)이론은 행정법을 설명하는 기본개념으로서 국사원(꽁세이데따)과 관할법원의 판례와 학설을 통해 발전되어 왔다. 프랑스에서 공공서비스는 공법인을 통해 일반이익의 실현하는 활동과 운영방식으로 설명해왔다. 하지만 공공 행정의 운영방식과 기법의 변화와 유럽법(경쟁법) 질서의 영향에 따라 20세기 후반 이후 전통적인 공공서비스 이론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공법의 등장과 행정(국가)의 역할과 임무를 설명해 준 프랑스 공공서비스 이론에 대해 검토하였다. 다만 이전 연구와의 차이라면 종래 ‘공역무학파’의 대표자 레옹 뒤기의 연구가 공공서비스 개념을 국가(행정)의 일반론을 설명하는 요소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는 점에 있다. 하지만 공공서비스가 계속적으로 평등하게 적응성을 가지고 공급되어야 한다는 점은 세기에 걸쳐 행정법원과 입법을 통해 확인되었다. 행정법원의 개입과 국가배상의 인정 근거로 제시된 공공서비스 개념은 주권적 주체로서보다는 그 기능과 역할로서 국가를 인식한 레옹 뒤기(L. Duguit)의 사회철학 사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유럽연합의 등장에 따른 공익서비스(일반이익서비스, GIS)개념은 프랑스 공공서비스법의 개념과 운영에 변천을 가져오고 있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자세로 안전과 생존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시민의 연대와 공평한 접근 대상으로서 ‘공공서비스’에 대한 규범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은 유의미한 작업이다.

      • KCI등재

        Preparation and in vivo characterization of dual release tablet containing sarpogrelate hydrochloride

        전훈,이효중,신범수,박천웅 한국약제학회 2018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48 No.3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epare and evaluate the once-a-day dual release tablets of sarpogrelate and to perform in vitro and in vivo characterization.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and cellulose-derived polymer were used as release modifier in immediate release (IR) and extended release (ER) granules, respectively. Dual release tablets containing 300 mg of sarpogrelate were consisted of IR and ER granules as the drug ratio of 100:200 (DRT-1) and 75:225 (DRT-2). In vitro release profiles of the dual release tablets were provided an initial burst release portion (up to 1.5 h), then followed by a constant extended release portion (for 24 h). The initial release rate of dual release tablets was controlled by ratio of IR and ER. Anplag ® (100 mg) three times and dual release tablets (300 mg) once were administrated to beagle dogs, and evaluated the pharmacokinetics. It was indicated that oncea- day DRT-1 showed equivalent Cmax and AUC with conventional drug, and also good correlation between in vitro release faction and in vivo absorption fraction. The present study had a potential of once-a-day sarpogrelate tablet for improved patience compliance, safety and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