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중재에 따른 쓰기 지식의 변환

        이정숙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9 No.-

        이 연구는 쓰기 지식의 속성이나 특질들이 실제적인 국면인 교수ㆍ학습에서 어떻게 변환되었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쓰기 지식의 소통과정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먼저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 학습자로 범주화하고, 각 요인들이 쓰기 지식의 추상적 수준에서 실제적 수준까지의 어떠한 변환구조를 가지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실제적 수준의 거시적 내용은 실제 미시적 구조에 관여하여, 일반적 교수. 학습의 구조 안에서 쓰기 과정과 전략에 따른 비계 설정의 원리와 함께 수렴되면서, 그에 따르는 쓰기 지식의 극단적 이동이 나타나게 된다. 즉, 교사의 언어적 지원(비계 설정)의 원리는 학습 목표에 따라 다시 구조화되는데, 크게 쓰기 지식에 따른 학습의 형태를 전략의 습득을 위한 수업과 전략을 활용하는 수업으로 나누어 각각의 쓰기 지식들을 구조화하였다. 미시적 변환은 쓰기의 과정과 전략을 이양하는 과정에서 전략적 지식과 텍스트 지식, 맥락적 지식 등이 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교사는 교육과정의 의도보다 교과서 단원 목표와 교과서 활동내용에 따라 충실히 수업을 전개하는 양상을 보이며, 쓰기 전략이나 맥락에 따라, 교사의 목표에 대한 해석이 다르거나, 각 전략의 이양과정에서, 혹은 교사의 교수적 의도와 지식의 강조 여부에 의해 쓰기 지식이 생략되거나, 왜곡되거나, 혹은 의도적 변환이 일어나게 된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clear how the writing knowledge is converted at the practical phase of teaching and learning. First, I categorize the factors involv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writing knowledge into the curriculum, textbook, teacher and student and then review how each factor is converted from the abstractive level to the actual level of writing knowledge. The knowledge of macro level is converted by being actualized as a principle at the micro level, and the micro structure is converged with the principle of scaffold setting followed by the writing course and strategy in the general teaching and learning structure, and then the extreme effect of writing knowledge occurs accordingly. In other words, the principle of teacher's linguistic support is restructured according to the learning goal, and we largely classify the learning form followed by the writing knowledge into two classes to acquire the strategy and make use of the strategy and then structure each writing knowledge. In the micro transposition, the strategic knowledge, text knowledge and contextual knowledge are comprehensively actualized when the writing course and strategy are transferred, and the teacher shows the aspect to faithfully operate the class according to the unit goal and activities of textbook rather than the intention of curriculum, and the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teacher's target may differ according to the writing strategy or context, or the writing knowledge may be omitted or distorted, or intentional transposition may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each strategy, or by the instructional intention or emphasized knowledge.

      • KCI등재

        쓰기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 반영에 관한 탐구

        임천택(Im, Cheon-t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고의 목적은 쓰기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 반영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쓰기 지식 중심의 교육 내용 구성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쓰기 지식은 일반 지식의 특성을 공유하는데, 그것은 체계적이고, 맥락적이며, 인지적 영역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그러나 쓰기 지식의 범주를 구분할 때는 일반 지식의 범주 구분과는 달리 쓰기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리에 근거하여 본고에서는 쓰기 지식을 사회․문화적 지식, 내용 지식,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초인지 지식으로 범주화 하였다. 교육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가르칠 수 있는 것, 안정적인 것,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것, 국어 교과와 쓰기 영역의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쓰기 지식 범주 중에서 교육 내용이 될수 있는 것은 사회․문화적 지식,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초인지 지식의 범주이다. 흔히 교육 내용으로 삼고 있는 전략 은 쓰기 지식 범주의 과정 지식이나 초인지 지식으로 대체할 수 있고, 기능 과 태도 는 교육 내용이기보다는 교육 목표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쓰기 교육 내용은 결국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쓰기 지식의 반영 양상을 살펴본 결과,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모두에서 지식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쓰기 교육 내용 체계와 학년별 교육 내용을 검토한 결과, 쓰기에 필요한 지식이 균형 있게 반영되지 못한 점, 쓰기 지식 교육 내용의 범주와 그 관계가 불투명한 점, 쓰기 지식의 습득과 활용이 어려운 내용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 점을 개선할 수 있는 쓰기 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의 논리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의 각 범주가 균형 있게 반영되어야 한다. 넷째, 학년별 쓰기 교육 내용은 목표로 제시되어야 하고, 그것은 명확히 나선형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haracter and a category of the knowledge in writing. And it investigates the education contents reflection aspect of the knowledge category where it gropes the education contents reflection direction of the knowledge in writing. Dividing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must reflect the quality of writing. This research regards to writing knowledge dividing knowledge social and culture knowledge, contents knowledge, conversation knowledge, process knowledge, and meta cognitive knowledge. As education contents the condition of the knowledge in writing must be a stable and education value, possibility of teaching, reflecting the quality of the writing and national language subject. Consequently, the fact that it is the possibility reaching the education contents category from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social and culture knowledge, conversation knowledge, process knowledge, meta cognitive knowledge. The one side strategy it will be able to substitute with a process knowledge or a meta cognitive knowledge. The skill and attitude correspond to an education aim. Consequently, knowledge finally must be center in writing education. This research tries to observe reflection aspect of the knowledge in the education contents of writing on the basis of present Curriculum. As a result that it emphasizes knowledge aim and a contents all. But dividing education contents category and that the relationship is opaque, the reflection of writing knowledge is insufficient, the contents system of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loose, the finding and application of the writing knowledge with difficult appeared are becoming problem point. It presented direction of improvement with after words for this problem point. First, the contents category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composed knowledge with the center. Second, the contents system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composed of the logic of the writing knowledge. Third, the contents system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reflected knowledge of each category with balance. The fourth, grade star education contents must be presented with aim and arranged a spiral clearly.

      • KCI등재

        내용 지식과 쓰기 성취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수현,이병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주제에 대한 내용 지식과 쓰기 성취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에 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선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주제에 대한 내용 지식은 쓰기 성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쓰기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선행 지식과 화제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주제에 대한 쓰기 성취와 특정한 내용 지식이 요구되는 쓰기 지식 간의 관계, 내용 지식의 수준과 쓰기 성취 간의 관계, 그리고 성별과 쓰기 성취도의 상호 작용 양상을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일반적인 주제에 대한 쓰기 성취와 특정한 내용 지식이 요구되는 주제에 대한 쓰기 성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나, 주제에 대한 내용 지식이 많은 집단과 적은 집단 사이에 쓰기 성취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축구에 관한 쓰기 성취별 집단과 성별 사이에 상호 작용이 나타나는가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쓰기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쓰기 과제는 특정 영역의 주제를 선정하는 것을 피해야 함을 의미한다. 글쓰기에 있어서 주제 변인이 클 경우 학생들의 쓰기 전략을 온전히 평가할 수 없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한 학생들에게 글쓰기를 위한 내용 지식을 제공할 때에는 지식과 기능의 구조를 공유하고 있는 절차에 집중하는 접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content knowledge and writing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re were no statistical relations between writing achievement of general and specific subjects.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writing achievement by a group with more subject knowledge and group with less knowledge. The result also shows no other interrelations of writing ability and gender: in general,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writing ability than male counterparts, while any gender with more knowledge about soccer showed higher level of writing ability on the subject. In other words,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soccer is the biggest factor that affects the writing achievement regardless of gender when it comes to writing on the subject of soccer. The study clearly proves that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a subject will mostly affect the achievement of writing on any subject that requires knowledge in certain areas. Any large subject variable factors can be turned into some difficulties when assessing the writing skills of students. However, when it comes to writing, the content knowledge is not separated from writing strategy. While content knowledge is highly related with writing achievement, such content knowledge cannot be learned through reading activity only. content knowledge is impossible to be acquired without concentrated learning process. Therefore, while providing content knowledge to students, it is better to focus on process that offers both knowledge and functions.

      • KCI등재

        모델텍스트를 활용한 협력 활동 한국어 쓰기 교수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임진숙(Lim Jin Suk)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이 연구는 모델텍스트 파악하기 단계의 협력 활동이 한국어 쓰기 지식을 균형적으로 포함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생산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들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었다. 두 집단에게 동일하게 모델텍스트를 제공하고 실험 집단에게는 쓰기 전 단계에 모델텍스트를 파악할 때 협력 활동으로 해결하도록 하고, 통제 집단에게는 개별적으로 파악하도록 하여 쓰기 수업을 진행한 다음 쓰기 결과물을 완성하도록 하였다. 쓰기 결과물 분석을 위해 상황ㆍ맥락적 지식, 주제ㆍ내용적 지식, 구조적 지식, 표현적 지식으로 나누어 한국어 쓰기 지식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모델텍스트 파악하기 단계를 협력 활동으로 활용한 쓰기가 개별 활동을 한 집단보다 쓰기 지식 사용이 유의미함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협력 활동이 쓰기 지식 중에서도 표현적 지식과 구조적 지식에 특히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반면에 상황ㆍ맥락적 지식과 주제ㆍ내용 지식에서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의 필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모델텍스트를 활용한 쓰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협력활동으로 쓰기에 대한 부담감도 줄이고 자신만의 쓰기 전략을 찾아내어 자기주도적 쓰기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델텍스트 활용은 단순히 모방과 답습으로 그칠 위험이 있으므로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쓰기정보와 지식을 체계화하고 구조화하여 쓰기에 필요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모델텍스트 파악하기 단계의 협력 활동이 쓰기 지식을 균형적으로 포함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생산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if collaborative activities at the stage of figuring out a model text would be effective for producing outcomes of a higher completion level containing the knowledge of writing in Korean in balance. For the research purpose, the investigator divided the subjects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nd provided them with a model text. In the pre-writing stage, the experiment group was asked to figure out a model text through collaboration, whereas the control group was asked to do so individually in a writing lesson before the completion of their writing outcomes. In an effort to analyze writing outcomes, the study set four criteria of writing knowledge, and they were situation and context knowledge, topic and content knowledge, structural knowledge, and expressive knowledge. Based on them, the investigator proved that writing based on collaborative activities at the stage of figuring out a model text would result in more significant usage of writing knowledge than writing based on individual activitie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collaborative activities had especially much influence on expressive and structural knowledge.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with situation and context knowledge and topic and content knowledge, which raises a need for their learn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arners accepted writing based on a model text positively, made an easier approach to a difficult task through collaborative activities in writing and thus reduced their burden with writing, and identified their own writing strategies to assist their self-initiated writing. There is, however, a risk that the utilization of a model text will remain at the level of simple copy or imitation. It is thus required to instruct students to systemize and structurize wri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by taking active par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organize knowledge needed in their writing.

      • KCI등재

        학문 목적 고급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재 분석

        박상경(Sangkyoung Park) 한국중원언어학회 2017 언어학연구 Vol.0 No.44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writing textbooks, and the consequence of this analysis will be useful to advanced level learners whose goal is to obtain higher education in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writing knowledge’ of the advanced level learners of Korean. With regard to writing, knowledge and quality of the writing are closely related. The less knowledge one has for writing, the more difficult one feels towards writing, which might lead them to avoid it out of fear. This paper focuses on advanced learners who will enter universities in Korea. Advanced academic writing text books are included for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by criteria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whether learners can acquire writing knowledge through textbooks shows that context knowledge and writing process knowledge are well presented, but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acquisition of content knowledge are very insufficient.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present writing knowledge that should be reflected in writing textbook for advanced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 KCI등재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이호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4 교과교육학연구 Vol.8 No.3

        구성주의 관점에서 학습은 교사가 가르친 그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학생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선행 개념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의 인지 구조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들이 사용한 선행 개념이 올바른 개념인지, 그리고 새로운 지식 생성 과정에 잘못된 점이 없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과학 교사는 학생들이 선행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을 하게 되는 과정을 관찰하여, 선행 개념이나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새로운 지식의 오개념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초등 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드러나는 선행 개념과 오개념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3명의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4개월 동안 관찰 중심의 질적 연구 형태로 수행하였다. 학생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STS 접근이 가능한 글쓰기 주제를 선정하여 120분 동안의 수업을 진행 하였다. 먼저 학생들과 교사가 글쓰기 주제에 관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거친 후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학생들은 글쓰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선행 개념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호흡과 순환>을 주제로 한 글쓰기에서 학생은 혈액과 조직 세포 사이의 기체 교환에 관한 선행 개념뿐만 아니라 폐포가 둥근 개념까지 연결지어 글을 구성하였다. 선행 개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전기>를 주제로 한 글쓰기에서 전자 대신에 분자의 용어를, 원자핵 대신에 원자의 용어를 잘못 사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글쓰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은 교사가 그것의 생성 배경을 추측할 수 있게 하여 오개념 수정에 방향을 제시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따라서 글쓰기는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이 가능하며 다음 학습으로의 등기 유발이 자연스러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learning is not always achieved as educators teach. Learners make up new knowledge on the basis of the prior knowledge they have, the one they obtained from experience before learning. This knowledge creation process isn't exposed externally as it is conducted within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Therefore, an educator has a difficulty in concluding whether the prior knowledge learners have is correct or not, and whether knowledgecreation process includes mistakes or not. That is why science teachers have to observe the process through which students learn by using their prior knowledge and understand whether the conception and new one are correct or not. According to these necessities, we investigated the prior knowledge and misconception exposed to wri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our months and three elementary pupils were tested. The subjects of writing which possibly induce interest for learners and are accessible from STS(Science-Technology-Society) concept, were chosen. The class was carried on for two hours. The educator and learners discussed the writing subjects before writing was conducted. The pupils conducted writing while making proper use of their prior knowledge to solve the given topics. In writing a composition on <respirationand circulation>, pupils linked with the topic the conception that alveoli are spherical and used the prior knowledge of the gas exchange between blood and cellular tissue, which showed that the prior knowledge are able to be observed much more concretely in writing than in the discussion before writing. We picked out the misconception the pupils had from the observation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y use prior knowledge. As an example, we observed that they took a molecule and an atomic nucleus for anelectron and an atom, respectively in writing on <electricity>. That is, we found out that writing is very useful in a viewpoint that educators are able to infer what causes misconception observed in writing and to correct it. So writing makes courses focus learners' activities and it can also become a useful tool for motivation.

      • KCI등재

        근대계몽기 지식, 여성, 글쓰기의 관계

        홍인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여성문학연구 Vol.24 No.-

        This thesis intends to explore how ‘knowledge of women’ and ‘knowledge desired by women’ were formulated in different ways within a newly forming knowledge system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This exploration is helpfu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among knowledge,women, and writing in the period. ‘Knowledge of women’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is considered to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s ‘a basic, elementary level knowledge’ which was provided to women by educational institutions. Second is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y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provided by textbooks written for women. Last is ‘home economics’ as introduced by formal education. This thesis shows three interpretations of women’s knowledge. First of all,women in the period learned modern knowledge, such as arithmetic, natural sciences, geography, Korean, and history, through a basic, elementary level knowledge and they began to find themselves as modern people. Moreover,the contents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 literacy in the textbooks for women suggest that only Hangul is used for women’s writing,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riting style of the time. Lastly, home economics was first introduced in the same period, but has been proved to have no close relation to women. Meanwhile, the knowledge pursued by women took the form of an ‘editorial’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Contributions from female readers in newspapers greatly increased between 1907 and 1908, caused by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The writing seems including formal Chinese sentences and subjects aiming at enlightenment. However,editorials were written in a formal way and appeared in public media, such as newspapers, to deal with public issue for the country. The writing of women in the period indicates that their intellectual desire was aimed at the public sphere. The true meaning behind writing an ‘editorial’ can be examined regarding the situation of women in the period. This is because they could only acquire literacy rather than écriture, which was not a real knowledge but an inadequate knowledge. Though writing seems elementary and casual, it was their first attempt to express what they truly wanted to say to society as they learned modern basic knowledge and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t is also considered to be evident that women were ‘Ontology of the between’,which was outside of women’s knowledge formed by men in a modern dichotomous way. 본 논문은 근대계몽기 ‘지식’이 새롭게 형성되고 재편되는 구도 속에서, ‘여성에 대한 지식’과 ‘여성이 원한 지식’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구도를 통해 근대계몽기의 지식, 여성, 글쓰기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근대계몽기에 제공된 ‘여성에 대한 지식’은 세 가지로 분류된다고 보았다. 그것은 첫째, 여성교육기관을 통해 제공되었던 ‘초등 수준의 기초 지식’, 둘째,여성 교재를 통해 제공되었던 ‘국한문’의 읽고 쓰기 능력, 셋째, 전문적인 학문으로 소개된 ‘가정학’이었다. 첫째, 본고는 초등 수준의 기초 지식을 통해당대 여성들이 ‘산수, 이과, 지리, 국문, 역사’ 등 근대적 지식 분류를 접하고,스스로를 근대적 존재로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둘째, 여성 대상 교재들이 담고 있던 국한문 리터러시의 교육 내용은, ‘한글’만이 여성의 글이라는 전통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해석하였다. 셋째, ‘가정학’이라는 전문적인 학문이 이 시기에 처음 소개되긴 했지만,가정학은 이때까지 실제 여성 대중과 상당히 거리가 먼 것이었음을 밝혔다. 한편 근대계몽기 여성들이 추구한 지식은 ‘논설’이라는 글쓰기였다. 국채보상운동을 계기로 1907년과 1908년에는 신문에 여성 독자투고가 급증하였다. 이들의 글쓰기는 형식적인 한문 문장과 계몽적 주제를 맴도는 상투적인 글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들의 글쓰기는 신문과 같은 ‘공적 매체’에, 국가에 대한‘공적 이슈’를 소재로, 논설이라는 ‘공적 양식’으로 쓰인 글이었다. 근대계몽기여성의 글쓰기는 곧 이 여성들의 지적 욕망이 강렬하게 공적 영역을 향하고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근대계몽기 여성들의 ‘논설’ 글쓰기의 의미는 이 시기 여성들의 상황을 고려할 때 비로소 제대로 읽을 수 있다. 이 시기 여성들에게는 제대로 된 ‘지식’이 아니라 ‘지식 미만’의 것이, ‘에크리튀르’보다는 ‘리터러시’의 획득이 겨우허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의 글쓰기는 초보적이고 상투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근대적 기초 지식과 국한문을 배운 그들이 최초로 시도할 수있는 ‘공적인 영역에 대한 자신의 말’이었다. 또한 이러한 여성 글쓰기는 근대계몽기 여성이 남성 주류 담론이 기획한 여성 지식과 근대적 젠더 이분법을벗어나는 ‘사이의 존재’임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해석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

        이수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2

        본고의 목적은 제2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의 교수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쓰기 지식의 범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는 데 있다. 쓰기 지식 중 내용 지식은 교사의 통제가 어려우며, 과정 지식은 교육의 내용이 아닌 목표에 가깝다. 반면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은 안정적이고 명시적인 지식으로 교수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바탕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41편을 통해 발표문이라는 맥락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정도와 다양한 언어적 오류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언어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표기 오류 범주에서는 맞춤법 오류가 두드러졌고 문장 오류 범주에서는 조사의 생략과 오류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구어 표현이 자주 등장하였다. 단락 단위의 결과를 보면 하나의 단락이 하나의 생각을 담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단락 내용의 일관성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상당 부분 있었다. 맥락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독자를 고려한 본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와 개관이 없고, 주제를 명확히 명시하지 않는 부분들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초급부터 맥락과 언어 구조를 중심으로 한 쓰기 지식 범주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초급 교재의 글쓰기 역시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교육 내용으로 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eachability of Writing Knowledge(consist of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inguistic Knowledge, Writing Process Knowledge) in the classroom for L2 learners and to analyze the presentation papers written by Korean learner of novice level. based on the category of Writing Knowledge. Content Knowledge can not be controlled by teacher. Writing Process Knowledge is near the objective of Writing class, not the educational contents. On the other hand,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stable and explicit as educational contents. In regard to high teachability,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proper as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41 presentation paper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rom an Linguistic Knowledge, there are lots of spelling mistakes or errors, drop of postpositional particle. inappropriate colloquial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consistency of content was not kept in a fair number of papers. Second, from an Context Knowledge, some papers has no overview considering the reader or did not specify the subject of papers. Through the presentation papers analysis, writing class based on the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Writing Knowledge need to be formed from novice level. Writing textbook also should reflec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educational contents

      • 쓰기 지식의 범주 및 변환 양상 연구

        강동훈(Kang, Dong Hoon) 한국어문교육학회 2014 어문학교육 Vol.48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쓰기 지식의 범주와 변환 양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쓰기 지식의 범주는 균형 있게 반영되어야 하며, 변환은 일정한 원리에 의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쓰기 지식의 범주는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사회·문화 지식, 초인지 지식으로, 변환 양상은 일치형, 확장형, 축소형, 간접형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교육과정에 제시된 1~2, 3~4, 5~6 학년군 쓰기 영역의 내용 성취 기준과 그 해설을 통해, 쓰기 지식의 범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명제적 지식과 관련해서는 담화 지식과 과정 지식이 비교적 균형을 이루고 있었으며, 방법적 지식과 관련해서는 과정 지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었다. 한편, 사회·문화적 지식과 초인지 지식의 경우 비교적 적게 분석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1~2학년군 교과서에 반영된 쓰기 지식의 변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축소형이 주를 이루었으며, 다음으로는 확장형이 많이 분석 되었다. 간접형과 일치형도 더러 분석되었는데, 체계적인 변환의 원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writing knowledge category and aspect of transposition that be reflected in amended curriculum period of 2009. Because writing knowledge category is reflect in balance, transposition is occur with systematically by certain principle. Through review of preceding research, writing knowledge category is analysed discourse knowledge, process knowledge, sociocultural knowledge, metacognition knowledge, and aspect of transposition is analysed concordant type, amplified type, reduced type, indirectness type. The results from analysing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as referred to in curriculum 1~2, 3~4, 5~6 district writing domain’s content achievement criteria and that explanation. Consequently, related to propositional knowledge relatively balanced discourse knowledge and process knowledge, and related to procedural knowledge many reflected process knowledge. Meanwhile, so sociocult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on is relatively few, that we know that supplementation is needed. Next, analysed that aspect of writing knowledge transposition reflected in 1~2 district. As a result reduced type is primary, second is amplified type. And indirectness type, concordant type is analysed occasionally, we know that principle of transposition is needed.

      • KCI등재

        하이퍼텍스트 특징을 활용한 글쓰기교육

        이희영(Hee-Young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3 No.6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latest progress in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affects the writing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contemporary era, collecting numerous pices of information online, and arranging them to create new knowledge is important. There is also a need to seek new methods for writing education to stay in tune with the times. To that end, this paper suggests an open writing model using hypertexts. This writing model consists of a total of five stages, which are use of information, compilation of information, open mutual discussion, search of additional information and writing to recreate knowledge. The final outcome of such writing is writing using footnotes. By describing the gist of the keyword and adding numerous footnotes, such writing opens up an infinite possibility of re-creating information into new knowledge. This method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the digital society to proactively use information and improve multi-disciplinary communication skills required today. This author applied such a model to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found that more than 82%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Through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and recreation of knowledge in writing, learners found distinct benefits and noted their horizons had broadened. Given this effect, the open writing model using hypertexts is meaningful in that it forms a learning community that goes beyond a one-way feedback from instructor to student and instead nudges students to realize collective intellect. Moreove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moves away from a top-down approach of the instructors passing down knowledge about writing and its rules, and towards a more proactive involvement by students in creating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