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상청 주변의 지형 및 지표면 조도를 고려한 기본풍속 산정 방안 연구

        김진호,김준영 한국풍공학회 2017 한국풍공학회지 Vol.21 No.4

        Recently, as the wind induced damages are on the increase, design wind speed was applied design of structure. Also, in order to estimate the design wind speed , the yearly maximum wind speed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gency is used. However, it provides the highest of the observed wind speeds increase or decrease by terrain effect or surface roughness. For these reasons, when performing extreme analysis using observation wind speed, the effect of the surface roughness and terrain be corrected for use. The maximum yearly wind speed was the maximum of the wind speed before correction and the maximum of the corrected wind speed should be used to ensur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aily maximum wind speeds of 60 weather observation stations across the country with more than 40 years of observation data were corrected to basic wind spee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topography and surface roughness. Besides, the maximum annual wind speed of the corrected maximum wind speed was selected, and the wind speed of the reproduction period was calcula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Plus, the annual maximum wind speed was selected using the daily maximum wind speed before correction, and the selected annual maximum wind speed was corrected to compare with the calculated wind speed. As a result, the maximum difference of 4.2m/s was observed on the basis of the centurial reconstruction period wind speed, and the average difference was about 0.33m/s. 최근 강풍으로 인한 시설물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구조물 설계 시 설계풍속을 반영하고 있으며, 설계풍속 산정 시 기상청에 서 제공하고 있는 연최대풍속 년도별 풍속 자료를 활용한다. 하지만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연최대풍속은 지형이나 지표면조도에 의해 할증되거나 감소된 관측풍속 중 최댓값을 제공하고 있어 실제 기본풍속 조건에서의 연최대풍속과는 상이하기 때문에 기상청에 서 제공하는 연최대풍속을 활용하여 통계적 빈도분석을 수행할 경우 풍속이 과소 또는 과대평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0 년치 이상의 관측자료가 있는 전국 60개 지점의 기상관측소의 일최대풍속을 지형 및 지표면 조도에 따라 기본풍속 조건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일최대풍속 중 연최대풍속을 선별하여 빈도분석을 통해 재현기간 풍속을 산정하였으며, 보정하기 전의 일최대풍속을 이용하여 연최대풍속을 선별한뒤 선별된 연최대풍속을 보정하여 산정된 재현기간풍속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00년 재현기간 풍속 기준 으로 최대 4.2m/s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약 0.33m/s의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수치 예측 알고리즘 기반의 풍속 예보 모델 학습

        김세영(Se-Young Kim),김정민(Jeong-Min Kim),류광렬(Kwang-Ryel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3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을 위해 지난 20년 동안 풍력 발전에 관련한 기술들이 축적되어왔다. 풍력 발전은 자연적으로 부는 바람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적이다. 이러한 풍력 발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자연 바람의 세기를 정확도 높게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풍속을 평균적으로 얼마나 정확하게 잘 예측하는지도 중요하지만 실제 값과 예측 값의 절대 오차의 최댓값을 최소화시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 발전운영 계획 측면에서 예측 풍속을 통한 예측 발전량과 실제 발전량의 차이는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므로 유연한 운영 계획을 세우기 위해 최대 오차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풍속 예측 방법으로 과거 풍속 변화 추세뿐만 아니라 기상청 예보와 시기적인 풍속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경향 값을 반영하여 수치 예측 알고리즘으로 학습한 풍속 예보 모델을 제안한다. 기상청 예보는 풍력 발전 단지를 포함하는 비교적 넓은 지역의 풍속을 예보하지만 풍속을 예측하고자 하는 국소지점에 대한 풍속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상당히 기여한다. 또한 풍속 변화 추세는 긴 시간동안 관측한 풍속을 세세하게 반영할수록 풍속 예측의 정확도를 높인다. Technologies of wind power generation for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technology have been accumulated over the past 20 years. Wind power generation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conomical because it uses the wind blowing in nature as energy resource. In order to operate wind power generation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predict wind speed changing every moment in nature. It is important not only averagely how well to predict wind speed but also to minimize the largest absolute error between real value and prediction value of wind speed. In terms of generation operating plan, minimizing the largest absolute error plays an important role for building flexible generation operating plan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predicting power and real power causes economic lo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wind speed prediction using numeric prediction algorithm-based wind speed forecast model made to analyze the wind speed forecast given by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pattern value for considering seasonal property of wind speed as well as changing trend of past wind speed. The wind speed forecast given by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s the forecast in respect to comparatively wide area including wind generation farm. But it contributes considerably to make accuracy of wind speed prediction high. Also,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as the rate of wind is analyzed in more detail, the greater accuracy will be obtained.

      • KCI등재

        인공위성 고도계 해상풍 검증과 해상상태편차와의 관련성- 이어도, 마라도, 외연도 해상풍 관측치를 중심으로 -

        최도영,우혜진,박경애,변도성,이은일 한국지구과학회 201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9 No.2

        The sea surface wind field has long been obtained from satellite scatterometers or passive microwave radiometers. However, the importance of satellite altimeter-derived wind speed has seldom been addressed because of the outstanding capability of the scatterometers. Satellite altimeter requires the accurate wind speed data, measured simultaneously with sea surface height observations, to enhance the accuracy of sea surface height through the correction of sea state bias. This study validates the wind speeds from the satellite altimeters (GFO, Jason-1, Envisat, Jason-2, Cryosat-2, SARAL) and analyzes characteristics of errors. In total, 1504 matchup points were produced using the wind speed data of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and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buoys at Marado and Oeyeondo stations for 10 years from December 2007 to May 2016. The altimeter wind speed showed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about 1.59 m s-1 and a negative bias of –0.35 m s-1 with respect to the in-situ wind speed. Altimeter wind speeds showed characteristic biases that they were higher (lower) than in-situ wind speeds at low (high) wind speed ranges. Some tendency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 gradually increased with distance from the buoy st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altimeter wind speed, an equation for correction was deriv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altimeter wind speed on the estimation of sea surface height was addressed by presenting the effect of the corrected wind speeds on the sea state bias values of Jason-1. 해상풍은 장기간동안 인공위성 산란계와 마이크로파 복사계를 주로 활용하여 관측되어왔다. 반면 위성 고도계 산출 풍속 자료의 중요성은 산란계의 탁월한 해상풍 관측 성능으로 인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인공위성 고도계 풍속 자료는 해수면고도를 산출하기 위한 해상상태편차(sea state bias) 보정항의 입력 자료로서 활용됨에 따라 높은 정확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고도계(GFO, Jason-1, Envisat, Jason-2, Cryosat-2, SARAL) 풍속을 검증하고 오차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 마라도, 외연도 해양기상부이의 풍속 자료를 활용하여 2007년 12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총 1504개의 일치점 자료를 생성하였다. 해양실측 풍속에 대한 고도계 풍속은 1.59ms-1의 평균제곱근오차와 –0.35ms-1의 음의 편차를 보였다. 해양실측 풍속에 대한 고도계 해상풍 오차를 분석한 결과 고도계 해상풍은 풍속이 약할 때 과대추정되며 풍속이 강할 때 과소추정되는 특징을 보였다. 위성–실측 자료 간의 거리에 따른 고도계 풍속 오차를 분석한 결과 구간별 오차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거리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고도계 풍속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분석된 오차 특성을 기반으로 보정식을 유도한 후 고도계 풍속을 보정하였다. 보정 전후의 풍속 자료를 활용하여 해상상태편차를 산출하였으며 Jason-1의 해상상태편차에 대한 해상풍 오차 보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건축물의 사용성 평가용 1년 재현기대풍속과 풍향계수의 추정

        조현주,류혜진,하영철 한국풍공학회 2019 한국풍공학회지 Vol.23 No.1

        In KBC-2016, the wind speeds for 100 years return period for calculation of structural safety of buildings were specified by region. However, the wind speed for return period for serviceability evaluation is not specified definitely. It is necessary for a more reasonable serviceability evaluation to specify the wind speed for 1 year return period. In addition, because of geographical features of Korean peninsula, wind speed should be strongly effected by wind directions and region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ccount for the wind directional effec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ind speeds for 1 year return period and wind directional coefficients estimated basically daily maximum wind speed date of 10 years at 75 regions in Korea. For daily maximum wind speed, Weibull's probabilistic distribution has been used. In final, the characteristics of variation of directional wind speed were analysed by comparisons of the directional wind speeds for 1 year return period in this study with those of the previous results of research. KBC-2016에서는 건축물 구조안전성 검토를 위한 100년 재현기대풍속은 지역별로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성 평가를 위한 재현기대풍속은 지역별로 명확히 제시하고 있지 않다. 보다 합리적인 사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1년 재현기대풍속을 규정할 필요가있다. 또한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상 풍속은 풍향과 지역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풍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최근 10 년간의 일최대풍속을 이용하여 75개 지역 풍향별 1년 재현기대풍속 및 풍향계수를 추정하였다. 일최대풍속의 확률분포는 Weibull분포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의 풍향별 1년 재현기대풍속과 선행연구결과를 비교하여 한반도의 풍향별 풍속의 변화 경향도 파악하였다.

      • KCI등재

        최근 기상자료에 의한 지표면조도구분별 돌풍률 평가

        김병조,하영철 한국풍공학회 2015 한국풍공학회지 Vol.19 No.2

        Design wind speeds for estimating wind loading of structures were based on the 10 minute mean wind speed or the gust wind speed having 3 second averaging time. The 10 minute mean wind speed might be applied to estimate wind load of buildings and the 3 second gust wind speed might be applied to high frequency structures such as claddings. The gust wind speed is affected by the conditions of surroundings, so it convenient to estimate gust wind speed by the product of gust factor and 10 minute mean wind speed. This study estimates gust factor suitable for the surface roughness categories, which is reflecting a severe change of surface roughness by rapid urbanization process and recent abnormal weather by global warming. Wind speed values are established from data of 10-minute mean and 3 second gust wind speed collected at 68 meteorological offices recent past 40 years from 1973 to 2012 and surface roughness categories are used previous study result. For estimating gust factor, it is assumed that the range of maximum monthly value of mean wind speed has limited from 16m/s to 18m/s and gust factors have constant value, if wind speeds are below 16m/s or over 36m/s. By the results of study, it is known that gust factors of surface roughness category C are similar to those of B and gust factors of surface roughness category D are different from other categories. Therefore, empirical formula of gust factor on surface roughness category B and C was suggested on the same type and on surface roughness category D was suggested on different type. 구조물의 풍하중을 산정할 때의 설계풍속은 10분 평균풍속 또는 가스트풍속(3초평균풍속)을 적용한다. 건축물의 경우 10분 평균풍속 사용하고 있으나, 외장재 등과 같이 고진동수를 가지는 구조물의 경우에는 가스트풍속을 사용한다. 가스트풍속은 기상대 주변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0분 평균풍속에 돌풍율을 곱하여 산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의 기상변화와 경제 발전에 따른 기상대 주변의 지표면상태의 변화를 반영하여 지표면조도에 알맞은 돌풍률을 평가한 것이다. 해석자료는 최근 40년간(1973년~2012년)의 전국 68개 기상관측소의 기상자료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지표면조도구분을 활용하였다. 돌풍률을 추정할 때 평균풍속의 월최대값 범위는 16m/s~36m/s로 하였고, 16m/s 이하와 36m/s 이상에서는 돌풍률을 일정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지표면조도구분 B지역과 C지역의 돌풍률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고, 지표면조도구분 D지역은 다른 지역의 돌풍률과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지표면조도구분 B, C지역의 돌풍률은 통합하여 평가하였고, 지표면조도구분 D지역만 따로 분류하여 돌풍률을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An Application of a Wind Pressure Sensor to Measure Wind Speeds of Bridge Members

        Jae Kyu Park,KI Nam Hong,Kyu San Jung,Yeong Mo Yeo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6

        본 논문은 풍압센서를 이용하여 풍속이 교량부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풍압센서는 프로토(Proto) 타입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였다. 풍압센서를 통해 측정된 풍속을 풍향-풍속계에서 측정된 풍속과 비교하였으며, 총 6개의 풍압센서를 주탑과 거더에 각각 설치하여 10분 평균 풍속 측정을 수행하였다. 풍압 측정 방향은 북동쪽과 남동쪽 방향을 주로 측정하였다. 풍압을 풍속으로 변환하기 위해 항력을 구하는 식을 사용하였으며, 주탑과 거더의 고도 보정은 도로교설계기준에 제시된 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풍압센서의 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에 센서를 설치하여 시험하 였다. 데이터 측정결과 바람은 주로 남동쪽에 불어오는 것을 확인하였고, 풍압센서를 통해 변환된 풍속과 풍향-풍속계를 통해 측정된 풍속을 비교한 결과 풍압센서를 통해 변환된 풍속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지만, CH3에서 측정된 풍속은 매우 유사한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풍압센서는 교량부재의 풍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용되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tries to find the efficient way of measuring the wind speeds of bridge members with a prototype wind pressure sensor. We installed six wind pressure sensors at the tower and the girder of a bridge and calculated the average wind speeds per 10 minute of the northeast and the southeast winds. We used the equation for converting wind pressure to wind speeds and the Korean high way design code for revising the altitude of the tower and the girder. For the sensitive analysis of our measurement, we conducted the same test by installing the sensor on a car. From the test, we find that the winds are more likely to come from the northeast and the speeds converted from wind pressure are greater than one measured by wind speed sensor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wind speeds between two methods at CH3. Therefore, we argue that the method of measuring wind speeds covered from wind pressure is effective in evaluating the wind speeds of a bridge member.

      • KCI등재

        Wind Risk Assessment for Building Cladding Considering Changes to Future Wind Speeds in South Korea

        Ham Hee Jung,Choi Seung Hun,Lee Sungsu 한국풍공학회 2019 한국풍공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대한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 풍속의 변화를 예측하고, 건축물 외장재에 대한 풍해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미래의 기후변화로 인한 풍속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P 시나리오와 HadGem3-RA 모델을 사용한 풍속 변화 예측치에 관한 이전 연구의 결과가 활용되었다. 강풍에 대한 위험도는 임의의 풍속에 대한 손상확률인 강풍 취약도 모델과 강풍이 발생할 확률인 강풍 위험 모형의 결과를 합성곱하여 평가 되었다. 강풍 취약도 모델은 몬테카를로 모사(Monte-Carlo simulation)를 사용하여 개발되었으며, 강풍 위험모델은 과거 태풍에 대한 자료와 몬테카를로 모사를 사용한 강풍의 발생확률 분석에 관한 이전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강풍 위험도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미래 풍속의 변화로 인한 건축물의 강풍 위험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서울보다 남쪽 지역인 부산에 미래 강풍이 더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 하에서 부산에서의 미래 풍속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강풍 위험도의 변화 역시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미래 강풍으로 인한 피해를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 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의 강풍 위험도 평가를 국가 차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강풍 위험에 대한 공간적 확장과 더불어 피해 대상물에 대한 강풍 취약도의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quantitatively assesses the risk of wind damage to building cladding by predicting future changes in wind speed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In order to predict changes in wind speed due to future climate change, the results of a previous study that predicted changes in the wind speed in South Korea using the HadGem3-RA model and the RCP scenarios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re utilized. The wind risk was then assessed using a convolution of the wind fragility model, representing the probability of failure due to an arbitrary wind speed, and the wind hazard model, representing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trong wind speed. The wind fragility model was developed using a Monte-Carlo simulation, while the wind hazard model was taken from a previous study that analyze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yphoon-induced strong wind speeds around South Korea using past typhoon historical data and the Monte-Carlo simulation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wind risk assessment, the changes in wind risk due to future changes in wind speed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From the results, the high wind speeds occur more in the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where typhoons mostly pass, than they do Seoul. In additionally, there is no change in the wind risk for Busan because the changes in the wind speed are insignificant under both RCP 4.5 and RCP 8.5.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edicting and preparing for future wind-induced damag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arget structures for wind fragility assessment as well as the assessment areas of the wind hazard to evaluate wind risk for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최신 풍속자료를 반영한 기본풍속 산정

        최상현,서경석,성익현,이수형 한국방재학회 201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0 No.1

        Recent increase in the strength and frequency of typoons due to climate change claims reconsideration of the design wind load in existing design codes f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in which the basic wind speed is estimated based on meteorological data by mid 1990s. In this paper, based on wind speed data at 76 observatories in Korea from 1961 through 2008, the basic wind speeds which can be utilized in designing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including buildings and bridges are estimated using the statistical process. The return period of the wind speed for each location is determined using the Gumbel distribution. The results for considered locations are compared to the existing design codes. Also, for design applications, the wind speed map, which classifies the country into four basic wind speed zones, is proposed using the resulting basic wind speeds.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태풍강도가 강화됨과 동시에 빈도가 늘어나는 추세이나, 설계기준에 제시된 풍하중 산정식은 1990년대 중반까지 측정된 풍속자료를 근거로 하고 있어 재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1961년부터 2008년까지 전국 76개 관측소에서 측정된 풍속자료를 기초로 통계적 수법을 이용하여 건물, 교량 등 토목구조물의 내풍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풍속을 산정하였다. 풍속의 재현기대값은 Gumbel의 적률법에 의해 구하였으며, 풍속측정 지점의 100년 재현기대값을 근거로 지역별 기본풍속을 제안하였다. 지역별로 구해진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 및 설계기준에 제시된 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검토하였으며, 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주요지역의 설계기본풍속을 4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농업 관련 시설물의 내풍설계를 위한 기본풍속도의 제안

        하영철,김병조 한국풍공학회 2014 한국풍공학회지 Vol.18 No.3

        For estimating wind loads on agricultural facilities, basic wind speed at each region in Korea is required. However, basic wind speeds for wind resistant structural design of agricultural facilities are not established in Code. This paper proposes a basic wind speed map corresponding to a return period of 30 and 50 years for estimating windloads on agricultural facilities in Korea. The rapid urbanization process by industrial and economic development since19070s in Korea causes to a severe change of surface roughness and recent abnormal weather by global warming causesto increasing the intensity of strong wind and Typho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ose phenomena. Wind speed valuesare established from data of annual-maximum 10-minute mean wind speeds collected at 69 meteorological officesrecent past 40 years from 1973 to 2012. They were standardized homogeneously to an altitude 10m above the surfaceroughness category C. Surface roughness category was determined by surrounding surface conditions of meteorologicalstation in 1999 and 2012. The data were statistically reduced using extreme value analysis procedures based onGumbel’s distribution, and the expected wind speeds corresponding to a return period of 30 and 50 years (it is calledas basic wind speeds) were calculated for each region. The equivalent wind speed contour line to a return period of30 and 50 years were drown up interval of 2m/s to the map of Korea. The basic wind speed map of this study shallbe used to estimate wind loads on agricultural facilities. 농업 관련 시설물의 풍하중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각지에서의 기본풍속이 필요하다. 그러나 농업 관련 시설물의 내풍설계를 위한 기본풍속은 기준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 이 논문은 농업 관련 시설물이나 기타시설물에대한 풍하중 평가를 위한 재현기간 30년, 50년 기본풍속도를 제안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성장으로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지표면상황이 변하였고,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인해 태풍 등의강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들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풍속자료는 최근 40년간(1973년~2012년) 전국 69개 기상관측소의 10분간 평균풍속의 연최대값을 사용하였고, 기상관측소가 위치한 주변지역의 지표면상황을 반영해 지표면조도구분을 판정하여 지표면조도구분 C인 평탄지형 지상 10m 높이의 풍속으로 균질화한 후 Gumbel적률법에의해 재현기간 30년, 50년 풍속을 추정하였으며, 그 값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지도에 등풍속선을 2m/s 간격으로 그려 기본풍속도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본풍속도는 농업 관련 시설물이나 기타시설물의 풍하중을 산정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8풍향에 대한 지역별 풍향계수 추정

        황규석,길용식,정석원 한국풍공학회 2011 한국풍공학회지 Vol.15 No.4

        100 years return period wind speed is generally used for design basic wind speed which is applied regardless of wind direction. However, it is not true that wind speeds blown from all directions are identical in reality. Taking into account this condition, previous studies proposed wind directional factors or basic wind speeds which are based on meteorological observations with respect to 16 wind directions. However, these factors or speeds about 16 wind directions would make too many cases which designers should review. In addition, it might be too complicated if these factors or speeds are used in the codes strengthened for detailed design. To compensate this disadvantage, wind directional factors about eight wind directions were evaluated which are available to be applied in practice. 설계기본풍속은 100년 재현주기 풍속값으로 모든 풍향에 대하여 동일한 풍속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로 바람은 모든 방향에 대하여 동일하게 불어오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기존 연구결과는 기상관측자료에 기인하여 16개 풍향에 대한 풍향계수 또는 풍향별 기본풍속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16개 풍향에 대한 풍향계수는 설계자가 검토해야 할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 그리고 정밀설계를 위한 설계기준 강화시 16풍향에 대한 풍향계수는 기준에 도입하기 너무 복잡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해석기법 중에 본 논문에서는 실무적으로 적용이 용이한 8풍향에 대해서 풍향계수를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