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xtension and Sustainment of Body Schema Representation after the Tool Use-Reflected by the Changes in Peri-Personal Space

        ( Jae Moo Lee ),( Ji Hang Lee ) 한국체육학회 2015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5 No.1

        Purpose: Being able to use a tool like a body part is often considered as a reflection of mastery especially in the sports settings.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identify the changes taking place as a result of repeated practice with a given tool, - a tennis racket. Previous studies showed an extra activation of multisensory neurons when monkeys actively used a tool, and brain imaging studies identified related human brain areas. Because this activation coincides with the changes in subject`s peripersonal space, researchers hypothesized a spatial extension of ``body schema`` with a tool use. While these neurological studies strongly suggest the brain plasticity accompanying tool use, there aren`t many behavioral evidences suggesting the changes in body schema following the (extensive) tool use. Therefore, we have selected the sensory cross-modal congruency paradigm that`s been displaying the relatively consistent changes accompanying the tool use at the behavioral level. Method: Subjects with different tool use experiences (tennis novice, intermediate player, and expert athletes) were tested to confirm the cross-modal congruency effect. While visually fixating on a racquet head, subject had to respond to the tactile stimulus on the handle (either left or right) as fast as they could. As the tactile stimulation was initiated, the visual stimulus at the near or far locations introduced the congruency effects. If the locations of the visual target and the tactile vibration coincide (left-left, or right-right) the reaction time for such condition was hypothesized to be faster. However, such effect would only occur if this si taking place within the perimeter of subjects` perceived peripersonal space. Result: The expert players showed the cross-modal congruency effects at the location only reachable with the racket providing the support for the ``extension of body`` hypothesis. Also, this effect was immediate as the experiment began. Novice and intermediate players showed the cross-modal congruency effect only at the ``near`` position. There was a tendency of this effect at the ``far`` location among both groups, but the extent of this tendency wasn`t as robust as that of the expert players. In addition, the expert players tended to display slower reaction time when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Conclusion: The expert tennis players showed cross-modal congruency effect at the tip of the racket location. On the other hand, such effect of the novice and intermediate play groups mainly remained within the arm reach. These suggest the changes in body schema as a result of extensive practice and prolonged experience. The delayed reaction of the expert tennis players is somewhat puzzling. Having wide variety of motor and sensory experience might have delay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sages with increased alternatives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and response selection of expert players.

      • 최소 切削力型 正面밀링 커터의 加工에서 有效剪斷角에 대한 硏究

        金正顯 慶一大學校 1997 論文集 Vol.14 No.2

        On face milling operation a newly optimal tool, which can minimize the resultant cutting forces resulted from the cutting force model,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Cutting experiments using the new and conventional tools were carried out and the cutting forces resulted from those tools were analyzed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The performance of the optimized cutter was tested through surface roughness test. The measurement of chip thickness using the new and conventional tool were carried out. The feed directional cutting forces resulted from the newly designed tool are much reduced in comparision with those from the conventional tool. The effective rake from the conventional tool. The effective rake angle and the effective shearing angle resulted from the newly designed tool are much improved in comparision with those the conventional tool. By improving the effective rake angle and the effective shearing angle, machine tool vibrations can be reduced, and stable cutting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효과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학생수준 학교효과성을 중심으로-

        박정우 한국교육개발원 2024 한국교육 Vol.51 No.1

        Purpos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ools that can measure school performance or effectiveness is insufficient, and even if there is a tool, it is unclear whether it is properly used.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develop tools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tools for diagnosing school effectiveness. Approach: The first diagnostic tool was creat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the diagnostic tool was supplement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the validity of the final diagnostic tool was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in Daejeon and Sejong. Findings: The final school effectiveness diagnostic tool is a total of 30 questions that can measure students' core competencies,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Value: The school effectiveness diagnostic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o expand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school field and improve educational conditions.

      • KCI등재

        경찰관의 인식이 가정폭력 사건 대응방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위험성 평가도구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박순기,박정선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omestic violence risk assessment tool between the individual perception of police officers and the response of domestic violence inci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whether the policy being pursued by the police is showing the expected effect For the research, the survey answers collected through the “2019 Research on the Risk Assessment Tool for Domestic Violence Survey”, which was jointly conduct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Kyonggi University are used for analysis. Bootstrapp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Process Macr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gnitive factors of the police officers, other than gender stereotyp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ttitude to the risk assessment tool. In the case of two-way assault, the police officer’s cognitive factors can not predict whether to report the incidents officially or not, but the significant factor predicting the police officers’ response of domestic violence incidents is the attitude toward the risk assessment tool From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it is confirmed that among the cognitive factors of the independent police officers, the variables other than the gender role stereotyp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y of responses to domestic violence incidents indirectly through the attitude toward the risk assessment to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to improve police officers’ individual perceptions will be needed to reduce passive responses in domestic violence incidents, but it may be more effective to encourage police officers to trust and utilize the risk assessment tool. 본 연구는 경찰관 개인의 인식이 가정폭력 사건 대응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위험성 조사표에 대한 태도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년 경찰청과 경기대학교가 공동수행한 정책연구용역에서 지역경찰 512명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조사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해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찰관의 인식적 요인들은 가정폭력 사건 대응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부 인식적 요인들은 위험성 조사표에 대한 태도 변인을 매개로 하여 가정폭력 사건 대응방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경찰관이 폭력에 대해 비수용적이고, 가정폭력 사건을 덜 부담스러워하며, 유관기관과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성 조사표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지니게 되고 이는 가정폭력 사건에서 현장종결 대신 공식적인 사건접수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예측하게 해준다. 한편 경찰관이 가정폭력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위험성 조사표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하여 가정폭력 사건 대응방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경찰관이 가정폭력 사건에서 현장종결 방식을 줄이고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식을 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경찰관 개개인의 인식 개선 노력도 중요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활용하는 위험성 평가도구와 같은 실무 정책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태도를 높이려는 교육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멘토링 효과성 측정영역 및 지표 구인을 위한 탐색적 연구

        모상현,박정배,진은설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2

        This study as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mentoring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aims to offer the empirical foundation through pilot on measurement areas and indicators of mentoring effectiveness. The development of mentoring effectiveness scale based on measurement indicators provides a basis to identify various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mentees in a situation where a growing demand for the activation of a mentoring program and measuring mentoring effectiveness. For the construct of measurement tools were conducted survey for mentoring field staffs and opinion survey(delphi) for mentoring experts. As a result of surveys, we have founded 6 mentoring effectiveness areas; ​​psychological area, social area,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problem behavior areas, career areas, service satisfaction area and 57 measurement indicators. Based on the results was proposed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Hereupon, this study results are aimed at helping to utilize of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in the field by presenting the key indicators in each area. 본 연구는 멘토링 효과성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효과성 영역과 지표에 대한 탐색을 통해 멘토링 효과성 도구개발을 위한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는 최근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함께 효과성 측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표에 기초한 척도의 개발과 활용을 통해 다양한 멘티의 발달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측정요인 구인을 위해 멘토링 실무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전문가 대상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 학업성취 영역, 문제행동 영역, 진로 영역, 서비스 만족도 영역 등 6개 효과성 측정영역과 57개의 측정지표를 중심으로 멘토링 효과성 측정도구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영역별 중요 지표를 제시함으로 현장에서 효과성 측정도구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 서비스 기획과 개발 및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협업 향상을 위한 연구

        이람(Ram Lee),김영미(Youngmi Kim),류한영(Han Young Ryo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최근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 창출을 위한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들 간의 협업률이 증가함에 따라 팀 내의 효율적인 협력과 프로세스 성과 향상을 위해 여러 방면에서 유용한 온라인 협업 도구들(online collaboration tools)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프로젝트의 퀄리티와 속도 향상을 위한 도구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협업 도구들을 사용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협업의 효율적 향상이라는 효용가치는 구체적인 협업 프로세스 단계에 비해 매우 모호하다. 온라인 협업 도구들은 협업 전체의 방향과 질을 총체적으로 개선하기도 하지만, 특정 프로세스 단계를 중심으로 협업 능력을 가장 적합하게 향상시키기도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들이 온라인 협업 도구를 실질적으로 사용할 시에 협업 과정을 위해 의도된 기능과 서비스를 경험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이고 사용하는지, 얼마나 적극적으로 활용하는지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협업도구들의 주요 기능을 파악하고, 프로세스 단계별로 각각의 기능을 재분류하였다. 또한 각 프로세스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3가지 온라인 협업 도구들을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가 포함된 6그룹에게 사용해 보도록 하여, 사용한 사이트의 사례분석과 사후 인터뷰를 통해 온라인 협업도구의 실질적인 사용 경험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협업 향상을 위해 구현한 기능들이 현실적으로 올바른 역할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온라인 협업 도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useful various online collaboration tools are developed to attain effective cooperation and to improve process performance as the rate of collaboration work increases among planner, designer and developer to create new and various service. Accordingly many users utilize various tools to improve quality and enhance the speed of process. But the value of usefulness of collaboration attained through using online collaboration tools is more vague than concrete collaboration process phase. That is not becau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might improve direction and quality but becau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improve collaboration capability appropriately for the specific process phase. And more thi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that planner, designer and developer accept, use and utilize the function and service positively against the experience that they practically u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In this paper, major functions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were reviewed and re-categorized. Three(3) kind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modified were assigned to six(6) groups to use that consists of planner, developer and designer each. The usage experience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on that exampled site and interview of usage participan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alized function to improve collaboration was analyzed to verify the working status. Per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volutionary direction of usage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is identified and suggested.

      • KCI등재

        효과적인 협동학습을 위한 모둠 구성 도구 개발

        이경희,고주형,좌찬익,조정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협동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학습자의 여러 특성을 고려한 모둠 구성에 있다. 모둠 구성이란 원활하게 협동학습을 진행하기 위해 학습자들을 다양한 특성에 근거하여 모둠을 구성하는 것이다. 잘못된 도구의 선정으로 인해 모둠의 구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학생들의 불만이 수업으로 이어져 학습의 효과로까지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효과 향상 및 불링 경향성 진단을 함께 고려한 모둠 구성 도구를 구현하였다. 소시오메트리 설문을 통한 학생들 간의 학급선호도와 학생의 성적을 입력받아 교사의 주관에 맞게 모둠을 구성함으로써 학습 효과도 고려할 수 있고 더불어 불링 경향성도 진단할 수 있는 모둠 구성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사는 학습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수업 진행이 가능한 협동학습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우관계를 미리 파악해 학급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링에 미리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ollaborative learning to be effective is the selection of tools that constitute groups. Grouping is to facilitate collaborative learning, learners form groups based on various characteristics. If a group of students fails to form properly due to the selection of the wrong tools, problems can arise where complaints from students can lead to lectures and the effects of learning. In this paper, we have implemented a group of configuration tools that considered improving learning effects and diagnosing bulling tendency. We have proposed a group composition tool that can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earning effect and also diagnose the tendency of the bullring by constructing the group according to the teacher's preference by inputting the class preference and the student's grade through the sociometry survey. We expect that the teacher will be able to grasp the students' friendship in advance and cope with the bulling that can happen in the class, as well as the cooperative learning that can lead the clas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광역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최분희(Boon-Hey Choi),이창원(Chang-Won Lee)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7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7 No.1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대응키 위한 출산장려정책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우리나라 출산장려 정책에 대한 연구들이 효과성 평가에만 초점에 두고 있다. 따라서, 개별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및 성과가 좋은 정책에 관심과 노력을 집중하는 정책적 조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출산장려정책의 실질적 수단인 출산장려프로그램의 유형별 효과성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형별 프로그램을 출산장려정책으로 정의하고, 출생아 수의 증가 및 15세부터 49세까지의 가임여성의 인구이동(전입)을 정책성과로 규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6개 광역시 그리고 8개 도로 우리나라 15개 광역지방자치단체이며, 연구의 범위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된 출산장려프로그램과 동기간의 출생아 수와 가임여성의 광역지방자치단체간 전입 이동 현황으로 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지방자치단체의 경제적 지원은 출생아 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육・교육서비스 지원 및 일-가정 양립여건조성 지원 그리고 기타 출산장려 지원은 출생아 수 증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임여성들에게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과 가정의 양립 여건을 조성해 주는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인 지원서비스로 나타났다. 두 번째, 출산장려 지원 정책수단에 따른 가임여성들의 전입 영향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의 경제적 지원, 보육・교육서비스 지원과 가임여성의 전입과의 영향 관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출산장려 정책수단의 효과성에 대하여 방법론적인 문제 즉, 직․간접 지원 수단의 효과성으로 평가해 본 결과 간접적인 지원 수단이 효과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직·간접적인 정책수단이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접적인 지원 수단은 출산장려의 효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was purpor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ro-natal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For this, the research analyzed the effect of the child birth and care encouragement programs which were executed in 15 local governments since 2004, on the number of newborns and the number of the move of fertile women across local governments. The research mainly used secondary data. Additionally, the research used diverse literature and statistics including academic publications and government reports. The frameworks were drawn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various birth encouragement policies such as economic support, education/childcare support, and work/housework compatibility. Dependent variables were birth rates and move of fertile women across local government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natal programs, the research used multiple regression based on fix-effect model.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e different effectiveness of the pro-natal policies. The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support for fertile women did not statistically affect in the number of newborns in a significant way. This result implies that government’s economic support may be recognized as temporary benefits and, thus, uncertain support to bring up their children in the future by fertile women In contrast, childcare/education support services, work/housework compatibility support and other forms of birth encouragement di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 the number of newborns. Fertile women may considered as important the social support that enables them to participate inboth work and housework. Second, economic supports and childcare/education services did not have the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move of fertile women across local governments, whereas indirect supports, especially for fertile women in non-capital areas, such as work-and-housework compatibility programs did. Given general economic and social status of women at the best-fertility age, economic support may not be considered enough so as to move to the capital area. Finally, when assessed in terms of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pro-natal programs, direct/indirect supports were the most effective, which was followed by indirect support. However, direct supports did not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promoting birth, which may reflect that d direct supports are perceived as temporary. The research contributes to future research that intend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tools. It also help policy makers (re)design fertility promotion programs.

      • KCI등재

        유인적 정책수단의 효과 비교 분석: 문화콘텐츠제작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양혜원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incentive policy tools, such as subsidy, loan, loan guarantee, government investment, and horizontal instrument-mix, which have been used to support cultural content production and development in small business enterprises during the past eight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 loan guarantee is less effective than investment in terms of increasing the sales and ROS of beneficiaries. However, the effects of subsidy, loan, and horizontal tool-mix are equivalent to that of the investment GRS.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incentive tools is determined by to the extent which a tool is successful in selecting worthy constituencies and producing the desired actions.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incentive tool effectiveness,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an appropriate selection mechanism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본 연구는 보조금, 융자, 기술보증, 투자라는 유인적 정책수단 및 이들 수단 조합의 상대적 효과성에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콘텐츠 제작지원이라는 동일한 정책목표를 위해 2001-2008년까지 병행적으로 수행된 보조금, 융자, 기술보증, 투자조합 출자사업의 적용을 받은 기업들의 지원내역과 재무성과에 대한 미시자료를 사용하여, 정책수단의 유형에 따라 수혜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에 미친 차별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확률효과모형을 사용한 패널분석결과 기술보증수단이 수혜기업의 매출액과 ROS에 미친 효과가 기타수단에 비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투자, 보조금, 융자, 수평적 수단조합의 효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하위 5%의 극단값을 포함한 분석결과에서는 융자가 수혜기업의 매출액에 미친 효과가 기타 수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인적 정책수단의 효과성이 해당 수단이 역량 있는 대상을 선정하는 데 얼마나 성공했는지, 그리고 대상집단의 바람직한 행동을 얼마나 이끌어냈는가에 따라 결정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해 본 연구는 문화산업진흥을 위한 유인적 정책수단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대상집단의 선정(targeting), 각 정책수단의 집행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평가시스템 구축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3d Tool 기본 기능을 이용한 범용적 게임엔진용 사물 폭파 이펙트 연구

        김상중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3

        A game is a content that is fun through interaction. an effective balance of many interactions increases engagement. among such interactions, the feeling-of-hit in 3D games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that increase engagement. amid the factors that compose the feeling-of-hit, effect features are incredibly important, and the animation effect of blasting among those acts as a crucial factor. It could particularly maximize the feeling-of-hit when blasting is executed from an interaction due to object response. However, while a game engine must be used in the game making process, companies or teams each use different game engines, leading to an inefficient production process. Even worse, one must constantly cultivate thorough knowledge of engine software that is upgraded yearly. To eliminate such inconvenience and difficulti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production method that can create effects and be used for all purposes in the game engine by only utilizing a single 3D Tool employed. 게임은 상호작용으로 재미를 느끼는 콘텐츠이다. 많은 상호작용의 효과적인 균형으로 인해 몰입도가 높아진다. 그 중 3D 게임에서 타격감은 몰입을 증대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다. 타격감을 구성하는 요소 중 이펙트 효과는 매우 중요한데, 그 중 폭파 애니메이션 이펙트는 게임의 내에서 매우 타격감을 높여 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사물 반응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폭파가 이루어 질 때 타격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게임 제작 프로세스에서는 반드시 게임 엔진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회사마다 혹은 팀들마다 게임의 특성에 맞게 다른 게임엔진을 사용하고 있고 방법도 다 달라서 매번 엔진 공부와 같이 제작을 진행하여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작이 되고 있다. 심지어 매년 업그레이드되는 엔진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꾸준히 내용을 숙지해야 한다. 이러한 번거로움과 어려운 부분을 없애고자 하나의 3D Tool만 사용하여 효과를 내고 게임엔진에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