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소장 《遊三釜落屛》 연구

        조희영(趙禧瑛) 한국미술연구소 2010 美術史論壇 Vol.- No.31

        The 17th century landscape paintings have been researched focusing on individual analysis of each work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paintings such as Byulseoyugeo-do and Gugok-do, with Gyehoe-do as the center. These paintings provide various social cultural aspects of the 17th century, a period with lack of inherited paintings. Not only do they provide the style of the landscape painting development of the 17th century, but are also important in identifying the facts as the preceding style of the 18th century landscape painting. This paper focuses on the private collection Yusamburak screen(遊三釜落屛) to find out what various aspects of the 17th century landscape paintings are overlapped and in what forms. Yusamburak screen is an eight-fold screen created to commemorate sightseeing of Samburak, Hwasukyeon, Kosukjeong areas of Cheolwon, Kangwondo by Nam In faction people including Cho Kyung, Huh Mok, Lee Goe, Huh Lip, Lee Yeonnyeon in 1664. Each fold is composed of the title along with a screen made of the prose, work title, and drawing in that order similar to the screen composure of Gye-chuk. The fold 1, 2, 3 have the actual view of the sights visited during the trip, and the fold 4, 5, 6, 7, 8 express private estate of the participants. These forms of Yusamburak screen demands it to be an important resource as it reflects various aspects mentioned previously regarding the tendency of the 17th century landscape paintings in one painting. This paper would like to examine the composition and the production detail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sightseeing trip of Cheolwon, Kangwondo area related records first as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work. After that, by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 composition, and contexts of each fold, landscape painting trends and art historical significances, as well as the social economic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will be studied.

      • KCI등재

        17세기 중반 재이론災異論의 정략적政略的 활용과 정치적 갈등

        경석현 국립고궁박물관 2023 古宮文化 Vol.- No.16

        15~16세기를 거치면서 형성되고 굳어진 구언과 응지상소에 관한 정치적 관행이 17세기 중반 이후 변질된 것으로 보인다. 16세기 후반까지도 군주성학론을 요체로 하는 주자학적 재이론은 국정의 공론公論으로써 다수 신료의 지지를 얻었다. 그래서 설령, 국왕으로서 수용하기에 거북한 것일지라도, 신료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되었다면, 죄를 묻거나 벌을 주는 것이 더 큰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었기 때문에, 그래서 ‘극론極論일지라도 응지상소라면 용서해 주어야 한다.’는 오랜 정치 관행이 군신 간의 소통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이전까지는 ‘소통의 기제’로써 군신 간의 소통을 비교적 안전하게 이끌었던 구언과 응지상소가 17세기 중반의 정치적 격변을 겪으면서 그 정치적 효능이 이전만큼 발휘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As political practices of “soliciting suggestions”(求言) and “presenting a petition of remonstrance in response to the king’s order”(應旨上疏), which were formed and solidied throughout the 15th and 16th centuries, experienced political upheaval in the mid-17th century, the political ecacy of the “portents theory” (災異論) was no longer as effective as before.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the portents theory of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theory of monarchy had gained support from a number of subjects as part of public opinions on state affairs. In the mid-17th century, however, as political forces were divided and political theories were thus diverged, the portents theory was used politically according to each political party’s platform. For example, when discussing punishment for Prince Inseong ([1588-1628] the 7th son of King Seonjo [r. 1567-1608]) or posthumous honoring of the father of King Injo (r. 1623-1649) as King Wonjong (1580-1619), it was often the case that the portents theory, having lost its original purpose that it stood for, was put forward and discussed according to the platform of each political party. Some argued that calamities(災異) were brought about because Prince Inseong was not punished, and others insisted that they happened because Prince Inseong was about to be punished. These manipulations based on political agenda, had separated it from its original purpose. e same logic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posthumous honoring of the father of Injo. If the portents theory is utilized in such a strategic manner, that is, if it is politically used to attack rulers or opposing parties with presenting a petition of remonstrance in response to the king’s order, it could also trigger conflicts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 KCI등재

        [특집: 동아시아 상인 열전-상인(商人)의 창을 통해 역사를 보다-] : 다양한 유형과 다중의 신분 -15∼17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무역 속 상인-

        이백중 ( Bozhong Li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9 No.-

        15∼17세기 전반은 경제지구화(經濟全球化)의 早期 단계이다. 이 시기에 동아시아 세계(즉 아시아 동부 지역, 이는 통상적으로 말하는 동아시아·동북아시아·동남아시아를 포괄한다)의 국제무역은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다. 이 시기에는 서로 다른 국가와 서로 다른 종류, 서로 다른 신분의 상인들 이 동아시아 세계 속으로 들어와 동아시아의 무역은 다채롭고도 다양한 모습을 띠며 복잡하게 얽혀서 사태를 분명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모습을 보여 주고 있었다. 여기에 참여한 상인들은 여러 층위의 신분[多重身빈]이 다 있었으며, 서로 다른 시간, 서로 다른 지역, 서로 다른 상황에서 서로 다른 모습으로 출현해서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서로 다른 작용을 했다. 그 런 까닭에 이 시기 상인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들에 대한 각 방면의 여러 정황들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진행한다면, 早期 경제 지구화 시기 동아시아 국제무역이 가진 중요한 의의를 더욱 잘 이해하게 된다. The 15th through the mid-17th century is the early stage of economic globalization, or the age of early economic globalization. During this period, the East Asian World (the eastern part of Asia, including usually called East Asia,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witnessed an unprecedentedly vigorous growth in international trade. The different kinds of merchants from different areas, countries and ethnic groups were involved in the trade and played key role in the growth. These merchants had multiple identities and appeared with different colors in different times, places and occasions, and played different roles and worked at different capacities in the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trade. It is crucial, therefore, to make a study of the merchants and their characteristic features, if we want to know better of international trade in the East Asian World at the age of early economic glob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義勝記」의 주제 의식 고찰

        이연순(Lee Yeon-So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4

        본고는 滄溪 林泳(1649~1696)의 작품 「의승기」에 드러난 주제의식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의승기」의 창작 배경으로 17세기 중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창계의 생애와 학문에 대해 살피고, 「의승기」의 주제의식에 대해 두 가지 점을 밝혔다. 「의승기」가 창작된 17세기 중반 조선 사회에서는 병자호란을 겪은 사대부들이 벼슬을 거부하는 움직임을 보였고, 문단에서는 산문이 유행하며 문학의 향유층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시대에 창계는 어려서 누이들에게 언문 소설을 듣고, 조부께 窮理修心의 학문에 힘쓸 것을 家學으로 전수받으며 「의승기」 창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창작된 「의승기」는 16세기의 천군전과 다르게 地上에 국한한 공간을 설정해 천군을 지상의 존재로서, 도적은 바다의 주인으로 제시하며, 宦海를 도적의 제일 요해처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천군을 돕는 충신으로 敬을 대변하는 성성옹과 義를 대변하는 맹호연의 인물 형상을 조화롭게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창계의 「의승기」는 벼슬[宦]을 경계하며, 敬과 義를 조화롭게 추구한 주제의식을 드러냄으로써, 당시 병자호란 직후 오랑캐의 무력적 침입에 의해 무너진 자존감을 회복하며 아울러 정신적 불균형 상태를 조화롭게 만드려는 유자들의 정신적 회복 의지를 보여준 작품이라 파악된다. This paper looked at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exposed to 「Ui-Seung-Gi」(1664 works) written by Chang-Gyega Lim-Young(滄溪 林泳, 1649~1696). The first, I examined the creative background of the mid-17th century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then the life and learning of Chang-Gyega. The second, I analyzed the text of 「Ui-Seung-Gi」 and clarified the theme of 「Ui-Seung-Gi」 in two ways. As a result, I identified that 「Ui-Seung-Gi」 of Chang-Gyega is restoring self-esteem destroyed by barbarians invading and reveals the spiritual restoration by persuating harmonious state of mental imbalance.

      • KCI등재

        순천 송광사 천자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조각승 석삼(釋森)

        최선일 보조사상연구원 2022 보조사상 Vol.63 No.-

        This paper is a study on Buddhist monk Seoksam, who produced a wooden seated statue of Amitabha Buddha in Cheonjaam Hermitage, Suncheon.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is a 42.5cm-tall, small and medium-sized statue with a bald head. The Bodhisattva's upper body is slightly extended forward, and the two hands, which are made separately from the body, are placed against the thumb and the middle finger. The face of Amitabha Buddha has a large proportion of the entire body. But compared to the head, the shoulders are narrow, giving a determined feeling, and the height of the knees are low and wide, making them in a stable posture. The outter garment(大衣) covers entire body of Amitabha Buddha. According to a votive document, found inside Amitabha Buddha, the patron of this Buddha statue is Park Myung-gil. Park Myung-gil sponsored the creation of the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for commemorating his mother, who died in August 1640. A supervisor of this project was Seonteak(禪澤), and a supply manager was Inhea(印海). In addition monk sculptors for this project were Seoksam(釋森) and Hakhan(学閑). After creating, Seoksam worked with Ingyun(印均) for rendering the wooden tablet of Junggungjeon(中宮殿) Hall of Geumsansa Temple in Gimje in 1623. He rendered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in 1624 and the clay Guardian Kings in 1628 under guidance of Eungone(應元) in Songgwangsa Temple, Suncheon. In 1640 he made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in Cheonjaam Hermitage, Suncheon. In 1654, Seoksam and other two monks Myeongo(明悟), Jisun(智詢) became the supply managers for creating the wooden Ten King of Munsusa Temple in Gochang. He became a main patron for rendering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Hoejeogam Hermitage Yonggusan Mountain, Damyang. In addition, his monk sculptor school’s pedigree can be seen Eungone (1660-1636), Ingyun (1615-1655) → Seoksam (1623-1660), Hakhan (1640-1644). 본 논문은 순천 천자암에 소장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제작한 석삼(釋森) 스님에 관한 연구이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 42.5㎝의 중소형으로, 불신(佛身)과 따로 제작된 양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여래상은 신체에 비해 얼굴은 크고, 어깨는 좁은 편이며, 상체는 살짝 앞으로 쏠려 있다. 착의 형식은 양쪽 어깨에 대의를 통견으로 입고, 대의 자락이 팔꿈치와 복부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반대쪽 대의는 왼쪽 어깨를 완전히 덮고 수직으로 내려와 복부에서 일부 대의자락이 안으로 겹친 후, 나머지 자락이 결가부좌한 다리 위에 펼쳐져 있다.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이 불상 조성의 화주는 박명길이다. 박명길은 1640년 8월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위하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성을 후원하였다. 증명은 선택(禪澤)이고, 공양주는 인해(印海)이며, 불상을 제작한 화원(畫員)은 석삼(釋森)과 학한(学閑)이다. 조각승 석삼은 1623년에 김제 금산사 중궁전(中宮殿) 원패를 인균과 조성한 후, 응원(應元)과 1624년에 순천 송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1628년에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을 조성하고, 1640년에 송광사 천자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수화승으로 제작하였다. 1654년에 고창 문수사 목조시왕상 조성에 명오(明悟), 지순(智詢)과 공양주로 참여하고, 1660년에 담양 용구산 회적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성 시 화주(化主)로 참여하였다. 조각승 석삼은 응원(應圓, 應元:-1600경~1636-), 인균(印均, 仁均:-1615~ 1655-) → 석삼(釋參: -1623~1660-), 학한(學閑: -1640~1644-)으로 이어진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진주유씨가 묘 출토 언간>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진가휘,이래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2

        진가휘·이래호, 2022, <진주유씨가 묘 출토 언간>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어문연구, 194 : 89~125 본고는 유시정(柳時定)이 작성한 <진주유씨가 묘 출토 언간>의 내용을 통하여 언간의 시기를 추정하고 언간의 국어학적 특징을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진주유씨가 묘 출토 언간>은 유시정이 부인인 안동김씨에게 보낸 편지로, 언간의 작성자인 유시정의 생몰 연대와 안동김씨의 혼인 연도를 고려하면 1611~1658년 사이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발신자, 수신자, 이들과의 관련 인물들, 내용 등을 통하여 기존 연구에서 밝히지 못한 몇 언간의 작성 시기를 밝히고 보완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언급하지 않은 합용병서, 종성표기, 연철, 분철, 중철 표기, 주제격 보조사와 목적격 조사의 단일화 경향, 문장 종결 형식을 통하여 이 언간의 국어학적 특징을 밝혔다. <진주유씨가 묘 출토 언간>은 17세기 중반의 자료로 그 당시의 언어 현상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그 전 시기의 언어 현상과 후대의 언어 현상을 연결하는 보충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