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수업과 보편적 학습설계 그리고 스포츠철학수업

        이학준,권욱동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좋은 수업이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 학습설계를 활용한 스포츠철학수업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스포츠철학수업에서 활용해온 수업방법에 대한 장단점에 대하여 성찰적 비판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모든 학생에게 적합한 좋은 수업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 학습설계를 살펴보고 그것을 스포츠철학수업방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철학수업방법으로 강의식 수업방법, 토론식 수업방법, 영화를 이용한 수업방법, 플립러닝 등을 살펴보았다. 좋은 스포츠철학수업방법은 새로운 수업방법이 아니라 학생 중심의 수업방법으로 학생과 교수의 상호작용이 행해지는 수업방법이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활용한 스포츠철학수업방법은 모두를 위한 수업이다. 이를 위하여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III)와 그것의 지침(7, 8, 9)을 활용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와 지침은 참여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학습 흥미 유발을 위한 수업 선택 제공, 학습 유지를 위한 선택 제공, 학습 과정에서 자기 조절을 위한 선택 제공 등의 지침을 스포츠철학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보편적 학습설계를 활용한 스포츠철학수업은 좋은 수업을 향해 가는 과정에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good teaching methods through discussion of sport philosophy teaching methods. For this purpose, first, the pros and cons of the teaching methods used in the existing sports philosophy class were examined through reflexive criticism. Second,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hich is a good teaching method suitable for the students was examined and applied to the teaching method of sports philosoph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examined the lecture class method, the discussion class method, the film teaching method, and the flip learning by the sports philosophy teaching method. A good sport philosophy teaching method is not a new teaching method but a teaching method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a student and a professor is performed by a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Second, sports philosophy teaching method us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design is learning method for all. To this end,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II) and its guidelines (7, 8, 9) were utilized.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principle(III) provides a variety of ways to participate, including support for learning interest, support for learning maintenance, and self-regulation support in the learning process. Sports philosophy teaching us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or good teaching.

      • 중국의 무용교수법 및 고전무용 “신운(身韻)” 교재의 동작 분석 -원소(元素), 단구(短句) 훈련을 중심으로-

        김동효 ( Dong Hyeo Kim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15 민족무용 Vol.19 No.-

        Chinese University and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es have produced many of talented dancers, and their efforts made Chinese dance propagated widely into the society so that not only professional dancers but also general people in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kids, students, and adults, are experiencing and enjoying dance as dance enthusiasts. It is easy to find the young dancers and enthusiasts learning Chinese Classic Dance, Folk Dance or Western Dance in the Chinese dance class(舞蹈培訓班) or dance-related organization, role of which is similar to dance academies or Culture Centers in Korea. If it weren`t for dance contests, they learn a combination movement made of dance elements. This teaching method and process is referred to as ‘Element Teaching Method(元素敎學法)’, ‘Phrase Teaching Method(短句敎學法)’, ‘Performance Combination Teaching Method(表演性組合敎學法)’. These are the method frequently used in the University, Secondary specialized school and in non-majors` class. This study especially examines the case of Classic dance ‘Shin-wun(身韻)’. The ‘Shin-wun’ is a typical training system of Chinese Classic Dance. Because Chinese Classic dance is not the ‘Classic’ that has come down from the Ancient times but the Dance that was combined with components of Ballet and Chinese Opera Dance by dance professionals after the establishment of New China, Chinese Dance might have needed the analytic and scientific teaching method for the effective dance education and dance systematization. The creation of ‘Shin-wun’ has helped establishing the systemization of Chinese Classic Dance and has had an effect not only on that dance itself but dance education and dance choreography, etc. According to the Chinese dance teaching materials in forms of books and DVDs, it is easy to find the aforementioned ‘Element Teaching Method’, ‘Phrase Teaching Method’, ‘Performance Combination Teaching Method’ are in u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inese dance teaching method and analyze teaching materials of dance movement which adapted these three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수학교과에서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 유형 분석: 학교 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유신복,김혜숙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미래교육학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ing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Method: Discrimina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Results: First, It was classified in 3 clusters: Cluster 1 is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are all high, Cluster 2 is Low Teaching Methods Cluster-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are all low, Cluster 3 is Instructor-Centered or Low Learner-Centered Cluster-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is high but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is mean or low. Clusters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were different among school levels. Second, Low Teaching Methods Cluster’ ratio increas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In case of general high school, the level was similar to that of middle school. Also In case of high school,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 ratio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Third, At all levels of the school, the subject-specific interests in Mathematics was in order of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 Instructor-Centered or Low Learner-Centered Cluster, Low Teaching Methods Cluster. Finally, At all levels of the school,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 had higher achievement.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 한정하여 학생이 인식하는 교수법 변인을 중심으로 교사의 수업 방법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수업방법 유형에 따라 교과 흥미와 학업 성취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학교 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전국 수준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학교 급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 학교급을 포함시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군집분석과 판별분석을 사용하였다. 첫째,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학 수업 방법은 3개의 군집인 즉 교수자중심 교수법과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모두 높은 군집1, 교수자중심 교수법과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모두 낮은 군집2, 교수자중심 교수법이 높으며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평균 수준 혹은 낮은 수준의 군집3으로 유형화되었는데, 학교 급과 학교 유형에 따라 프로파일 양상이 상이했다. 둘째, 군집2의 비율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일반고의경우에는 중학교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특목고는 일반고에 비해 수업에서 군집1의 비율이 높았으며, 일반고에서는 특목고보다 군집3이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모든 학교 급에서 수학 흥미는 군집1, 군집3, 군집2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학교 급에서 군집1이 군집2보다 수학성취도가 높았으며, 특목고에서는 군집3이 군집1과 수학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법이 교수자중심 및 학습자중심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급에 따라 다양하게 유형화됨을 확인하였으며, 대체로 학습자중심이든 교수자중심이든 교사의 수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학습자의 흥미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교과서의 민요 지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

        한윤이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3 No.-

        2015 use th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based o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9.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n the new the 5~6th grades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I looked at the first folk songs listed on six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and analyzed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folk song on those music textbooks. The teaching content of folk songs in expression area divided into singing, playing instruments, making music. I thoroughly investigated those sections. The most teaching content of singing was ‘singing by the way of Megigo Batgi’ and next was ‘singing while expressing Sigimsae’. The most teaching content of playing instruments was ‘singing while playing Jangdan’. The most teaching content of making music was ‘singing with changing the lyrics’. The most teaching content of korean folk songs in appreciation area was ‘listening to the music while understanding uses of music’. The teaching content of korean folk songs in the area of becoming music a way of life was most common to investigate and present the cultural heritage associated with korean folk songs. The teaching methods of korean folk songs were ‘teaching method using Guem’, ‘teaching method using Garaksunbo’, ‘teaching method using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method using Sonsigim’ and ‘teaching method using playing’. Also the teaching method that integrate singing, dancing, playing instruments was rarely used in six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It was founded that six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presented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based on the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09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about teaching korean folk songs. In addition, It was founded that those selected more divers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However Several issues remain such as unification of the terminology, clear distinction between korean folk songs and nursery rhyme, enlargement appreciation activity for teaching music concept, the application of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nd so on. In this study presented some Improvements but next studies should seek more specific solutions. 2015년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가 적용되는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 음악교과서의 민요 지도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였다. 먼저 출판사별로 민요 수록 현황을 살펴보았고 다음으로는 민요의 지도 내용을 고찰하여 음악 요소 및 개념별로 분석하였으며, 민요 지도 방법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방법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표현 영역의 민요 지도 내용은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노래 부르기는 ‘메기고 받으며 부르기’, ‘시김새 살려 부르기’와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고, 악기 연주하기는 ‘장단 치며 노래 부르기’를, 음악 만들기는 ‘노랫말 바꾸어 부르기’를 중점 내용으로 삼고 있었다. 감상 영역의 민요 지도 내용은 ‘음악의 쓰임을 이해하며 감상하기’가 가장 많이 제시되고 있었으며, 생활화 영역의 민요 지도 내용은 민요와 관련된 문화유산이나 문화재를 중심으로 조사 및 발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민요의 지도 방법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 중 구음을 활용한 방법, 가락선을 활용한 방법, 신체 표현을 활용한 방법, 손을 활용한 방법, 놀이를 활용한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일부 가․무․악 통합 학습과 같이 노래와 춤과 악기 연주를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법을 활용한 사례도 찾아 볼 수 있었다.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적절하고 적합한 민요 지도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여 제시하고 있었으며 이전 교과서 보다 다양한 내용과 방법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동일한 의미의 여러 용어가 사용되고 동일 악곡의 장르 구분에서 민요와 전래동요를 혼용하고 있었으며, 음악적 개념 지도를 위한 감상 지도 내용이 빈약하고 민요의 생활화 지도 내용이 획일적이라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 개선 방안을 간단하게 제시하였으나 앞으로 이에 대한 보다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19세기 서양인 선교사와 한국어 교수법 - 『한국학휘보(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의 구앵(Gouin) 직접교수법을 중심으로 -

        석주연(石朱娟) ( Suk Ju-ye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3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Gouin Direct Method was introduced as Korean Teaching Method by Swallen, one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and why he adopted it as a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t the time. Audio Lingual Method has been implicitly accepted as a secondly employed teaching method following Grammar Translation method which was firstly employe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in Korea. But I found Gouin Direct Method was applied before Audio Lingual Metho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history through examining Swallen’s papers published in the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1892~1898). Swallen thought Gouin Direct Method enable to supplement old Grammar Translation metho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at new method reflect the natural procedure by which thought was transformed into language and the naturalness of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Gouin Direct Method was noted not only for its verb-oriented skill but also its focus on pronunciation, accent, etc. It was Gouin Direct Method that enable Korean language teaching firstly to consider Korean pronunciation in its application to Korean teaching. Due to Swallen’s contribution to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1892~1898), which was issu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in Korea, we can figure out what kind of teaching method was employe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t the time and how significant it was in the history of Korean teaching.

      •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Teaching Method Following the Changes in Content Deployment Method in Textbooks

        Oum Hyun Suk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7 통일인문학 Vol.3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ontent deployment in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after Kim Jong-un assumed power. The author examined changes in the content deployment of first-year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ere published after Kim Jong-un took power and analyzed how such changes affected the teaching method. For this, the article reviewed periodical publications on North Korean education which were published around 2012 to examine the evaluation of the teacher's group which is directly affected the supplementation of the teaching method. The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in content deployment in textbooks as such changes require assessment on whether they require direct changes to the teaching method. The outcome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ly, changes in the content deployment methods of textbooks are made in various forms and approaches. Secondly, the way of describing contents has deviated from historical narrative.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is inevitable as the content deployment methods are transformed to enhance readability and to shift focus from knowledge transfer to activity-oriented manner. Moreover, British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teaching aids, and English the teaching method that came from outside helped to solve the thirst for new teaching method. However, it is not an easy task to change the teaching method for the vast majority of North Korean teachers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the ‘global education development trend.’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by each period of revision to identify current status and any change over time.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methodological aspect(how) while ex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what) and includ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data.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guidelin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a for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examination, it review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pieces centered on appreciation activities embodied in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of each period of revision. As a result, the chan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have drastically changed since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1st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textbooks were limited to using physical expressions and integrated activities. However, the revised music curricula and textbooks since 2007 presented more diverse and specific methods such as inter-curricular teaching, linking learning and arts, use of chuimsae, use of jeongganbo and gueumbo, use of various materials, use of visual, auditory, and physical activities, and use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re was also a phenomenon of integrating and expanding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trend was more prominent in the music textbooks than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used more diverse types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than the curriculum. Besides these positive changes, a need for improvement is recognized as there is a tendency to lean too much towards the use of physical expression and materials. These changes are the result of actively implementing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curricula of several periods of revisio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s expected to be achieved steadily. 본 연구는 국악 교수․학습 방법 중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개정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무엇을’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내용은 제외하고 ‘어떻게’에 해당하는 방법적인 부분만 연구 내용으로 제한하였으며,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먼저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통해 개정 시기별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과 이에 대한 지침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정 시기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구현된 감상 활동 중심 국악 제재곡의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초등학교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은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제1차에서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신체 표현을 활용하는 방법과 영역 또는 활동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법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2007년 이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교과 연계 지도, 예술 연계 지도, 추임새 활용, 정간보와 구음보의 활용, 다양한 자료의 활용, 시각적․청각적․신체적 활동 활용,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등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여러 유형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합하고 확대하여 활용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음악과 교육과정보다 음악 교과서에서 두드러졌으며 음악 교과서는 교육과정보다 더 다양한 유형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뿐 아니라 신체 표현 활용과 다양한 자료의 활용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은 여러 시기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라는 요구를 적극적으로 실천한 결과라 판단하며 앞으로도 꾸준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19세기 서양인 선교사와 한국어 교수법 –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의 구앵(Gouin) 직접교수법을 중심으로 –

        석주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Gouin Direct Method was introduced as Korean Teaching Method by Swallen, one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and why he adopted it as a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t the time. Audio Lingual Method has been implicitly accepted as a secondly employed teaching method following Grammar Translation method which was firstly employe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in Korea. But I found Gouin Direct Method was applied before Audio Lingual Metho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history through examining Swallen’s papers published in the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 (1892~1898). Swallen thought Gouin Direct Method enable to supplement old Grammar Translation metho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at new method reflect the natural procedure by which thought was transformed into language and the naturalness of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Gouin Direct Method was noted not only for its verb-oriented skill but also its focus on pronunciation, accent, etc. It was Gouin Direct Method that enable Korean language teaching firstly to consider Korean pronunciation in its application to Korean teaching. Due to Swallen’s contribution to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 (1892~1898), which was issu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in Korea, we can figure out what kind of teaching method was employe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t the time and how significant it was in the history of Korean teaching. 석주연, 2019, 19세기 서양인 선교사와 한국어 교수법, 183 : 433~455 19세기 말 한반도에서 활동했던 미국인 선교사 스왈른(Swallen)은 <한국학휘보 Korean Repository>(1892~1898)이라는 구한말 서구 외국인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기고와 발행이 이루어졌던 영문 잡지에 한국어 교수법과 관련한 기고문들을 남겼다. 이 기고문들은 한국어를 학습할 때 효과적인 언어 교수법인 구앵 직접교수법(Gouin Direct Teaching Method)을 제안하고 그 적용의 절차와 유용성을 기술하고 있다. 그의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제안은 동사 연쇄 중심의 교수법을 소개했다는 점, 한국어 발음 및 억양 등에 대한 관심을 환기했다는 점, 기존의 문법번역식 교수법을 보완하는 면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목표어인 한국어로 사고하는 방법을 강조하였다는 점, 한국어교육사에 있어 청각구두식 교수법 적용 이전의 한국어 교수법의 적용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등의 의의를 가진다. 그가 이러한 교수법을 제안한 동기와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19세기 말 서구의 언어 교수법 추세의 변화와, 당시 전제되었던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대안 제시라는 측면이 있었다. 구한말 외국인 선교사가 한국어 학습을 위해 당시 서구에서 유행하던 최신의 특정 교수법을 제안하고 적용 사례를 제시한 보기 드문 경우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 연구(硏究)의 성과(成果)와 방향(方向)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많다. 이는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대한 미숙함도 있지만, ``교수 방법, 모형`` 등에 대한 차이를 분류하고 체계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우 주목할 만한 연구도 많았으며, 이들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action with them will be connected to the expand of the new subject and range soon.

      • KCI등재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 硏究의 成果와 方向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ㆍ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