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Stereotypes among health professions in Indonesia: an explorative study

        Sri Darmayani,Ardi Findyartini,Natalia Widiasih,Diantha Soemantri 한국의학교육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32 No.4

        Purpose: Effective and efficient health services require efforts to increase collabora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One of the barriers to effective collaboration is stereotypes. Stereotypes represent perceptions or perspectives about a person or group of peopl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nd practitioners regarding stereotypes. Methods: This was a qualitative study using a phenomenology approach. A sample of health professions students from both preclinical and clinical stages, as well as health practitioners, was selected using a maximum variation sampling method. Primar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 total of nine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conducted. Results: Four themes were identified from this study, including the types of stereotypes, factors affecting stereotype formation, the implications of stereotypes, and how to overcome stereotypes. Stereotype formation was affected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other health professions’ roles, hierarchical culture, personal experience in receiving healthcare, and community view. Stereotypes among health professionals created obstacles to healthcare team communication and reduced self-confidence in certain health professionals. These stereotypes may be overcome through competency development and knowledge sharing among professionals as well as through education on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roles and competencies so that each profession possessed similar goals for patient safety. Conclusi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stereotypes negatively affected collaboration. Stereotypes were greatly affected by multifactorial causes. Therefore, understanding other professions’ roles and conduct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re important to overcome stereotypes.

      • KCI등재

        한국청년세대의 젠더에 대한 의식과 정치이념이 능력주의에 미치는 영향 : 성별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이희조,이명진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5 No.1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background factors underlying Korean young generation’s belief on meritocracy as a principle of justice, and compar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by gender. (1) Gender equality and gender stereotyping consciousness acted as main causes of belief on meritocracy. Under the condition of high gender stereotype, the impact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belief on meritocracy was diminished. When the result was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led to belief on meritocracy both in men and women, but gender stereotyping consciousness did only in men. In case of femal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belief on meritocracy wa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gender stereotype. (2) Political ideology did not affect young generation’s belief on meritocracy. As for gender results, however, the more conservative men were or the more progressive women were,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pursue meritocracy. 이 연구는 한국의 청년세대가 공정성 원리인 능력주의를 수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는 의식적 측면을 탐색하고, 해당 요인들의 영향을 남녀별로 비교하였다. 청년세대의 의식적 측면으로부터 젠더에 대한 의식과 정치이념이 능력주의에 가지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젠더에 대한 의식으로서 성 평등 의식과 성역할 구분의식은 청년세대의 능력주의로 이어지게 하는 주요 배경요인이 되었다. 성역할 구분의식이 강한 조건일 때 성 평등 의식이 능력주의로 이어지는 효과는 약화되었다. 남녀별 결과로 보았을 때, 성 평등 의식은 남성과 여성 모두의 능력주의에 대한 중시를 높였으나, 성역할 구분의식은 남성의 경우에만 능력주의 중시를 높였다. 남성이 아닌 여성의 경우에만 성 평등 의식이 강할수록 능력주의를 중시하는 영향관계가 성역할 구분의식이라는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되었다. 둘째로, 정치이념은 청년세대가 능력주의를 중시하는 것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를 남녀별 결과로 보았을 때, 남성은 보수적일수록 그리고 여성은 진보적일수록 능력주의를 중시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의 지각된 경제력이 브랜드 고정관념, 브랜드 애착을 통해 브랜드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예 ( Kim Miyea ),옥경영 ( Ohk Kyung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2

        파워는 사람들을 행동하게 하는 중요한 가치로 사회학, 심리학, 소비자학에 걸쳐 다방면으로 연구되었다. 대다수의 파워 논문은 파워를 사회적 자원으로서 단일 차원으로 연구해 왔기 때문에, 세분화된 파워의 종류에 따라 소비자의 정보처리방식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 면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워의 종류를 Lammers, Stoker, & Stapel (2009)이 제시한 개인적 파워중에서 돈에 의한 파워 즉, 지각된 경제력(perceived economic power)이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소비자의 지각된 경제력이 갖는 특성으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브랜드 고정관념, 브랜드 애착, 브랜드 지지행동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 방법은 SPSS 21.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초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 분석, 붓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지각된 경제력은 브랜드 고정관념,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브랜드 지지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소비자들의 지각된 경제력은 브랜드 고정관념을 통해 브랜드 지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지각된 경제력은 브랜드 고정관념과 애착을 통한 이중매개를 통해 브랜드 지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차원으로 연구되어 오던 파워를 돈을 원천으로 한 소비자의 지각된 경제력으로 세분화하고, 소비자의 지각된 경제력과 브랜드 지지행동과의 관계를 브랜드 고정관념과 브랜드 애착의 이중매개 모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심리적 자원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브랜드 전략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ower is an important value that makes people behave, and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in sociology, psychology, and consumer science. However, more detailed power is required, and a detailed analysis of how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is changing depending on the type of power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money, that is, perceived economic power, on consumer behavior among the personal powers suggested by Lammers, Stoker, & Stapel (2009).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makes us feel psychological confidence and self-efficacy, so we need to underst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economic power can affect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stereotyping, brand attachments, and brand support behaviors,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PSS 21.0 and AMOS 22.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description, and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stereotypes and attachments but did not directly affect brand support behavior. Second,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has a positive impact on brand support behavior through brand stereotypes. Third, perceived economic power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support behavior through brand stereotypes and brand attach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perceived economic power of consumers with money as the resour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and brand support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model of brand stereotypes and brand attachment. It can be used to understand consumers' psychological resources and derive brand strategies through these results.

      • KCI등재

        성역할 고정관념의 측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과학 교과서의 삽화 분석

        차정호,김소연,노태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이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과학 교과서 25권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을 분석하였다. 전체 19810개의 삽화 중 인물을 포함하는 3549개(17.9%)의 삽화를 선택하였다. 각 삽화에 등장한 남성과 여성의 빈도를 조사한 후, 각 인물의 활동 유형과 적극성 여부를 분석 하였다. 교과서에는 남학생과 남성이 여학생 또는 여성에 비하여 더 많이 등장하였는데, 특히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매우 컸다. 반면에 대부분의 학생과 성인이 나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적극적으로 묘사되었다. 남성의 직업 유형은 여성에 비하여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교과서에 등장하는 과학자는 대부분 남성이었다. In this study, 25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gender-role stereotyping. A total of 3549 (17.9%) illustrations including persons were selected from 19810 illustrations from the textbooks. The frequencies of men and women appearing in them were counted, and the types of activities and the characters of people in them were analyzed. Male pupils and adults appearing in the textbooks were more frequently than female, and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dults was very great. However, the characters of pupils and adults were found to be active regardless of their age and gender. The jobs of male adults were depicted to be more diversified than those of female. Scientists appearing in the textbook illustrations also were mostly male.

      • KCI등재

        범주 응집성과 기저율의 상호작용이 선호의 이유 추정에 미치는 효과

        도은영(Eun Yeong Doh),이국희(Guk-Hee Lee) 한국인지과학회 2020 인지과학 Vol.31 No.3

        복장이나 언행에서 유사성이 높고, 다른 범주와 구분이 용이한 군인이나 수녀들이 가진 속성은 일반화되기 쉽다는 범주 응집성 효과 연구에는 어느 정도 진전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범주 응집성 효과의 근본에 어떤 심리적 기제가 있는지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가 드물었기에 본 연구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응집성이 높은 범주(수녀, 군인, 비행기승무원)와 낮은 범주(통역사, 웨딩플래너, 플로리스트)를 선정한 후,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응집성이 높은 범주에서 [속성X]가 반복 관찰될 때가 응집성 낮은 범주에서 [속성X]가 반복 관찰될 때보다 해당 범주 구성원이 [속성X]를 선호할 만한 이유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정도(선호의 이유 추정 정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실험 2는 응집성이 높은 범주의 경우, 일상적으로 드물게 나타나는 [속성X](기저율 30%)이 관찰될 때는 선호의 이유 추정 정도가 높아지지만, 일상에서 자주 나타나는 [속성Y](기저율 70%)가 관찰될 때는 선호의 이유 추정 정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관찰하였고, 응집성이 낮은 범주의 경우, 일상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속성과 자주 나타나는 속성 모두 선호의 이유 추정 정도가 낮은 경향을 확인하였다. 즉 범주 응집성과 기저율의 이원 상호작용이 선호의 이유 추정 정도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가 심리학적 본질주의, 고정관념 형성에 시사점을 가진다는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Som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study of the category coherence effect, which states that the attributes of soldiers or nuns with similarities in dress and behavior, and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categories, are likely to be generalized.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fundamental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underlie this category coherence effect, and this study aims to fill this gap. For this purpos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after selecting categories with high coherence (nuns, soldiers, and flight attendants) and those with low coherence (interpreters, wedding planners, and florists). In experiment 1, we observed that the members of a category were presumed to have certain reasons to prefer [property X] (presumption of reasons for preference), with this presumption becoming stronger when [property X] was observed repeatedly in high-coherence categories than in the case of low-coherence categories. Experiment 2 showed that for the high-coherence categories, the presumption of reasons for preference was stronger when [property X], rarely seen in everyday life (base rate of 30%), was observed, while the presumption of reasons for preference was weaker when [property Y] (base rate 70%), frequently seen in everyday life, was observed. In the low-coherence categories, the presumption of reasons for preference tended to be weak for both rare and frequent attributes. That i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category coherence and base rate on the presumption of reasons for preferenc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essentialism and stereotyping.

      • KCI등재

        직장 내 성희롱법리에 대한 소고

        최윤희(Choi, Uni)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8 江原法學 Vol.55 No.-

        남녀고용평등법(현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 1999년 개정되면서 직장 내 성희롱 규정이 입법된 이래, ‘성희롱’이라 함은 “사업주 · 상급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 내의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와 관련하여 다른 근로자에게 성적 언동 등으로 성적 굴욕감 또는 혐오감을 느끼게 하거나 성적 언동 또는 그 밖의 요구 등에 따르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로 근로조건 및 고용에서 불이익을 주는 행위”로 규정된다. 이러한 성희롱 개념의 인정에 있어서는 ‘성적 언동’ 또는 ‘그 밖의 요구’의 의미가 중요한데, 행위자 자신의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언동내지 요구뿐만 아니라, 행위자의 왜곡된 ‘성의 정형화’에 근거한 언동으로서 피해자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언동과, 성의 정형화에 기인하여 행위자가 피해자에게 직무와 관련 없는 행위를 요구하여 성적 굴욕감 또는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모두 포함시키는 것이 합당하다. 우리의 경우 아직까지 사회전반적으로 ‘성의 정형화’라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므로, 미국의 홉킨스 사건 판결 이래 인정되고 있는 성의 정형화에 기한 성차별과 성희롱 인정기준은 우리 법의 해석에서 참고할 필요성이 크다. 아울러 성희롱이 발생한 경우, 이를 처리할 전담부서를 일정 규모 이상의 직장 내 뿐만 아니라 노동위원회 내에서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Sexual Harassment On the Job’ was first enacted and regulated in Korea by the revision of the Equal Employment Law (the current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Act) of 1999. According to the Law, the term "sexual harassment on the job" means that an employer, a superior or a worker causes another worker to feel sexual humiliation or repulsion by sexual words or actions by utilizing a position in the workplace or in relation with duties, or providing any disadvantages in employment on account of disregard for sexual words or actions or any other demands, etc. As for ‘sexual words or actions’ or ‘any other demands’, we tend to interpret sexual words or actions or any other demands are the tools the actor wants to use, for the purpose of being sexually engaged with the victim. However, to prove a sexual harassment, the purpose of the actor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e EEOC(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of the U.S.A.) Guideline makes it clear that the actor’s sexual purpose is not needed to establish a sexual harassment case. According to the Guideline, ‘Sexual Stereotyping’, which has become an important cause of sexual discrimination since Price Waterhouse v. Hopkins (400 U.S. 228, 1989), is also an important factor of sexual harassment. In the same line, we need to broaden the scope of sexual harassment in terms of sexual stereotyping words or actions or any other demands without proper job relevance, which cause the victim to feel sexually humiliated or repulsed. In addition to that, I would like to suggest make a department in charge of the ‘sexual harassment on the job’ related matters both within work places over certain number of employees, and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which is composed of experts in the area of both labor law and sexual harassment.

      • KCI등재

        남한 치과의사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고정관념이 서비스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경 ( Yu Kyoung Kim ),김용범 ( Yong Beom Kim ),노현종 ( Hyun Jong Noh ),명훈 ( Hoon Myoung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3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3 No.1

        Objectives: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is remarkably increasing nowadays and there are many social and cultural issues related to their settlements in Korea. Stereotyping of group is generally unique and has influences on emotions and behavi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tereotyping, emotion and service behavior of South Korean dentist towards North Korean refugee. Methods: Questionnaires for stereotyping, emotions and service behaviors were devis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wo-hundred and eighteen Korean dentists were randomly chosen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rimary component analysis were performed. Stu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done to elucidat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nstruct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Stereotyping, emotions, and service behaviors are significantly related each other construct. South Korean dentists` stereotyping and emotions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toward South Korean but service behavioral intentions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any demographic factor. Conclusions: The results imply that more contacts and education system are necessary to South Korean dentists to change their negative stereotyping and emotions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although their service behaviors are not affected at the moment.

      • KCI등재

        중국 "신녀성(新女性)"의 계보와 문학사의 정형화 문제 고찰

        김하나 ( Hana Kim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2 No.-

        문학작품에는 다양한 인간형상과 삶의 유형이 그려진다. 그러나 그것은 거대담론과 史官의 눈을 거쳐 정형화된 채 역사 속에 정리된다. 이 과정에서 복잡한 삶의 요소는 단일한 형태로 정형화되고, 그 외의 요소 및 삶의 유형은 타자화 되거나 배제된다. 여성의 삶 역시 ‘신여성’이라는 이름으로 정형화 과정을 거치면서 특정의 여성상이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상으로 인식되는 ‘오해’가 발생되곤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정형화는 정당한 것인가? 전통 가정에서 독립된 자아로서 자신의 욕망을 인식하고 사랑을 추구했지만, 사랑의 허위를 깨닫고 당당하게 홀로 떠난 ‘소피’는 신문화운동기 ‘노라’를 둘러싼 담론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그녀가 시도한 두 번의 ‘가출’은 좌익 평론가들에게 답을 찾지 못한 ‘방황’으로 규정되었다. 그래서 본고는 ‘장메이’를 통해 혁명에 투신한 여성의 삶을 살펴보았다. 혁명가로서 ‘여성성’을 거세한 장메이는 당 간부로 우뚝 섰음에도 불구하고 상사수 열매를 손에 쥐고 눈물을 흘린다. 잃어버린 사랑과 여성으로서의 나에 대한 그리움 때문이었다. 빙신은 자신의 여성성을 인정하고 자신에게 잘 맞는 일을 찾았으며, ‘번역’과 ‘과학적 육아’, ‘교육’ 등을 통해 사회에 참여한 야첸이라는 인물을 통해 ‘신여성’상을 제시했다. 이는 가정과 사회를 모두 조화롭게 끌어안는 이상적인 시도이자, 양성 간에 사랑과 배려로 구축한 이상적인 가정상을 모색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들’과 ‘딸’이 함께 만드는 행복한 세상을 꿈꾼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슈퍼맘’이라는 또 다른 정형화의 오류를 범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여성의 삶을 정형화하는 시도가 지닌 위험성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매우 자의적인 ‘신여성의 계보’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를 통해 한 시대의 여성을 한 가지 유형으로 정형화할 때 많은 요소들이 간과되어 버림을 발견하게 된다. 여성의 삶을 정형화할 때 이것이 오히려 여성 삶의 개별성을 함몰시키고, 제반의 문제들을 은폐시키며, 여성을 억압하는 또 다른 ‘폭력’이 될 수 있는 것이다. Various human shapes and types of life are depicted in a literature. However, those go through the eyes of meta-discourse and historiographer, and at last become stereotyped and recorded as a history. Meanwhile, complicated factors of life become stereotyped into a single form, and the other factors and types of life end up eliminated or excluded. Going through this stereotyping process under the name of ``new woman``, woman``s life usually result in misunderstanding that certain stereotyped woman``s images represent the woman``s image of one period. So then, can this ``stereotyping`` be justified? ``Shafei`` deeply involves with discourse on ``Norah`` of New Cultural Movement in China. She recognized her ambition as an individual self and pursued for love, but then realized the untrueness of love and imposingly went her own way by herself. However her two times of runaway were judged as a ``deviation`` by the leftist critics. Therefore, this thesis accordingly covers a life of a woman, ‘JiangMei’, who dedicated her life on revolution. ‘JiangMei’ achieved high status as the party``s executive by reducing the femininity of her own. Though, she shed tears with ``Acacia confusa’ in her hand, longing for the lost love and herself as a woman. BingXin acknowledged her femininity, and discovered a well-fitting career. Also, she presented images of ``new woman`` through ‘YaQian’, who participated in society through ‘translation’, ‘scientific parenting’, and ‘education’ etc. This could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harmonize both family and society, and a seeking for idealistic image of family formed with love between sexes and consideration. He dreamed of a Happy World that ‘sons’ and ‘daughters’ create together. However, this also excludes a shortcoming that it causes another stereotyping error; ‘Supermom’. This obviously is a very arbitrary ‘genealogy of new woman’. However, through these trials, we can find numerous factors overlooked when stereotyping a woman of one period into a certain type. stereotyping a woman’s life could rather destroy the individuality of woman’s life, and act as another ‘violence’ towards woman. Thus, awareness shall be demanded when writing or dealing with the literary history, or editing it as a text.

      • KCI우수등재

        성평등 실현구조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성역할 고정관념화 금지원칙을 중심으로 ―

        남정아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7 No.4

        No gender-based discrimination was prescribed by the 14th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of 1868 and the Amendments to the U.S. Constitution did not expect that the Equal Protection Clause would later be used as a basis for prohibiting legal obstacles imposed on women. The history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continues for a long time, and is evolving into various forms. For this reason,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needs special consideration, especially to make the scrutiny of constitutional review strict. Since the 1970s, the principle of anti-stereotyping principle has been advocated by Ginsburg as an argument for realizing gender equality. This article reviews the problems and screening criteria of discrimination by gender in general, and details the anti-stereotyping principle of the United States. It noted that another assessment of discrimination by gender is being made through the anti-stereotyping principle, which prohibits social stereotypes of gender roles. The anti-stereotyping principle has broken down the traditional division of rol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home (male-bread winner, female-caregiver model) into the logic to realize gender equality. The U.S. Supreme Court's 1970s cases did not include the rules on pregnancy in the system of equality protection because it viewed pregnancy-based discrimination as not gender-based discrimination. Despite the above initial attitudes, the Court gradually became aware of the relevance of discrimination by pregnancy to discrimination by gender. This paper reconsiders the application of the anti-stereotyping principle to abortion through concurring and dissenting opinions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S., which stated that the discipline for pregnant women was a typical point of stereotyping the role of sex and that the anti-abortion law was unconstitutional. In doing so,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the argument of the principle of violating equality protection could be used as a scrutiny of constitutional review for laws regulating women's pregnancies and abortions through the anti-stereotyping principle. 법의 평등보호를 처음으로 선언한 1868년의 미국 연방헌법 수정 제14조는 성별을 근거로 한 차별금지를 포함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미국 연방헌법 수정 제14조의 개정권자들은 훗날 평등보호조항이 여성에게 부과된 법적인 장애를 제거하는 근거로 사용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이렇듯 여성에 대한 차별의 역사는 오랫동안 지속 되어 왔고, 아직도 다양한 형태로 진화 중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별에 근거한 차별행위는 특별한 검토가 필요하고, 특히 위헌심사의 잣대를 엄격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미국에서는 1970년대 이후 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논증으로 긴즈버그에 의해 성역할 고정관념화 금지원칙이 주장되기 시작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성별에 의한 차별의 문제와 심사기준을 원론적으로 검토하고, 미국의 성역할 고정관념화 금지원칙을 자세히 다루는데 있다. 이 글은 성역할의 사회적 고정관념을 금지하는 성역할 고정관념화 금지원칙을 통해 성별에 의한 차별행위에 대한 또 다른 평가를 이루어지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미국의 성역할 고정관념화 금지원칙은 가정 내에서 남녀의 전통적인 역할 구분의 이분법(남성-부양자, 여성-내조자)을 타파하여 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미국 연방대법원의 1970년대 판례가 임신에 관한 규율을 평등보호 체계 내에 포섭하지 않은 것은 임신에 근거한 차별은 성별에 의한 차별이 아닌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초기의 위와 같은 태도에도 불구하고 연방대법원은 점차 임신에 의한 차별과 성별에 의한 차별의 관련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이 글은 임신한 여성에 대한 규율이 바로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지점이라는 것과 낙태금지법에 대하여 성역할 고정관념화 금지원칙에 따라 위헌 주장을 피력한 연방대법원의 동조의견 및 소수의견을 통해 성역할 고정관념화 금지원칙의 낙태에의 적용국면을 재조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성역할 고정관념화 금지원칙을 통해 여성의 임신과 낙태를 규율하는 법에 대한 위헌성 논증에 평등보호원칙 위반이 원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다중사회정체성 맥락에서 평가자 집단 유형이 동남아이주민들의 자기고정관념화에 미치는 영향

        황지현,김도영,신희천,이주연,김혜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1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alience of ethnic identity and the evaluator group on the implicit as well as the explicit self-stereotyping of the Southeast-Asian immigrants in the context of multiple social identities. Furthermore,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 of the salience of ethnic identity and the evaluator group on the self-stereotyping of the Southeast Asians was mediated by the salience of Koreans'stereotypes on the competence of the Southeast-Asian immigrants'. To examine these hypotheses, we asked the Southeast-Asian migrant participants to evaluate their own competence using both the implicit and explicit measures, in a hypothetical job interview situation in which the nationality of the evaluator and the salience of national identity was varied. The results showed that as expected, participants for whom the Southeast-Asian identity was made salient evaluated their competence less favorably when they thought the evaluator was a Korean (i.e., when their social identity was salient) than when the evaluator was a Southeast-Asian (i.e., when their personal identity was salient). In contrast, the self-evaluation of competence of the participants for whom the Korean identity was made salient was not different in terms of the nationality of the evaluator. Furthermore,the results of the implicit self-stereotyping demonstrated the same pattern as the explicit measures. However,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lience of Koreans' stereotypes regarding the competence of the immigrants for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dentity salience and the evaluator group on self evaluation of competence, did not obtain any significant result.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다중사회정체성 맥락에서 정체성의 특출성과 평가자 집단 유형이 동남아이주민들의 자기고정관념화에 미치는 영향과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남아이주민 실험 참여자들에게 한국 혹은 고국에서의 생활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도록 하여 정체성(한국인 대 동남아인)의 특출성을 조작한 뒤, 평가자 집단 유형(한국인 평가자 대 동족의 평가자)이 제시된 취업장면 시나리오를 읽고 암묵적·명시적 자기 유능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예상대로 동남아인 정체성이 특출해진 참여자들은 면접장면에서 평가자가 동족일 때보다 한국인 평가자일 때 자기 유능성(자기 면접점수/ 자기 유능성)을 더 낮게 평가하였다. 반면 한국인 정체성이 특출해진 참여자들은 평가자 집단 유형에 따른 자기 유능성 평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정체성의 특출성과 평가자 집단 유형에 따른 자기고정관념화는 명시적 측정에서 뿐만 아니라 암묵적으로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다회귀분석 결과, 평가자가 한국인일 때 동남아인 정체성이 특출해진 참여자의 자기 면접점수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동남아이주민의 유능성에 대한 지각된 한국인들의 고정관념이 유일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남아이주민들의 자기고정관념화가 동남아이주민의 유능성에 대한 지각된 한국인들의 고정관념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을 일부 지지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