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유옥전>의 서사 전략과 형상화 양상

        박민정 ( Park¸ Min-je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3

        <주유옥전>은 ‘첫날밤 신랑 피살담’을 모티프로 한 계모형 가정소설에 주인공의 군담이 결합된 필사본 고소설이다. 조선 후기에는 소설의 상업화 및 통속화로 모방·혼용·변용 등의 방식으로 소설이 제작되었다. <주유옥전>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첫날밤 신랑 피살담’의 모티프에 후반부에 주인공의 군담을 결합시켜 제작한 소설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작품의 경개와 구조를 확인하고 서사 전략과 그에 따른 형상화 양상, 그리고 서사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첫째, 작품의 경개와 구조에서는 ‘첫날밤 신랑 피살담’과 군담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양상을 보인다. ‘첫날밤 신랑 피살담’의 손자인 주유옥을 중심으로 서사를 전개하며 그의 영웅적인 행적을 탁월하게 부각했기 때문이다. 특히 후반부에 본격적인 영웅 서사가 그려지는데, 이 과정에서 신원 설화, 표류담, 군담 등의 화소를 활용하여 영웅의 ‘고난-극복’을 반복해서 보이고 있다. 둘째, 서사 전략과 형상화 양상이다. 먼저 이 작품은 현실과 초월을 교차하면서 인물의 능력을 제고하고 있다. 주유옥의 생장 과정에서는 초월계가 작용하고, 그의 영웅적 행위가 펼쳐지는 부분에서는 현실적인 합리성을 강조하면서 작품을 형상화하고 있다. 다음으로 시공간의 확장 전략을 통해 인물의 영웅성을 강조하고 있다. 주유옥이 신원 사건을 해결한 공로로 양주 목사로 임명되어 돌아오는 중 표류하여 청나라에 당도한다. 이것은 국제적인 시공간으로 사건이 확장됨을 의미한다. 바다에서 부러진 돛대에 의지해 표류하다가 청나라에 당도한 것은 사건의 흥미성을 높이고 주인공의 영웅성을 부각하기 위한 방편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이산 및 기봉 전략을 통해 가족공동체를 중시하였다. 청나라에서 주유옥이 대원수로 발탁되어 호왕에게 승리하는 영광을 얻지만 그것으로 충족된 행복을 누릴 수는 없었다. 이산한 가족을 만나는 것이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이한 방법으로 가족을 상봉하여 행복을 추구하도록 했다. 떠돌면서 영웅으로 부각되었을지라도 가족을 재봉하여 모든 사건이 갈무리되도록 한 것은 가족공동체를 중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서사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이다. <주유옥전>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여러 이야기를 알고 있는 작자가 주인공의 영웅 서사를 완성하기 위해 다양한 화소를 결합하여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영웅담을 창안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호국과의 전쟁에서 잠수군이나 수뢰포를 활용하여 전쟁을 수행하는 것은 다른 영웅소설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설정으로 볼 수 있다. <주유옥전>이 기존에 있었던 화소를 활용하여 새로운 군담 영웅소설을 지향한 것은 평가할 만한 일이다. 하지만 다양한 화소를 혼용하는 과정에서 과장과 우연적 서사 진행으로 인과성이 부족한 것은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JuYuokjeon is a manuscript version novel that combines war narratives with the stepmother type family novels based on the narrative of 'First Night Groom Kill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novels were produced by imitation, mixing, and transformation as the commer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novels. JuYuokjeon is also a novel that combines the narrative of 'First Night Groom Killing' with war narrative. In the study, the outline and structure of the novel were figured out, and the narrative method and the literary figuration were examined. The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novel as narratives were described. First, the narrative of 'First Night Groom Killing' and war narratives are seamlessly combined since the narrative unfolds centered on Ju Yuok as the grandson in the narrative of 'First Night Groom Killing' and his heroic deeds are outstandingly highlighted. In this process, the hero's hardship and overcoming adversity are repeated using motifs such as 'A-rang tale,' drifting tales, and war narratives. Second, in terms of the narrative method and the literary figuration, the novel intersects reality and fantasy, enhancing the character's abilities. There are fantastic elements during Joo Yu-ok's growth, and rationality is emphasized in his heroic actions. The heroism of the characters is emphasized through the expansion of space and time. Ju Yuok is appointed the officer of Yang-ju for his contribution to solving the complex problem, and the story is expanded into international space and time as he comes to the Qing Dynasty due to drift on the way to Yang-ju. The element that he comes to the Qing Dynasty after drifting on a broken mast at sea increases the interest and highlights the heroism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family community is emphasized through the separation and 'Ki-Bong' approach. In the Qing Dynasty, Ju Yu-ok is appointed as the Great Marshal and is honored with victory over King Ho. But he can not enjoy happiness due to separated families, so he reunites his family and pursues happiness. Even though he becomes a hero, that the story is closed by family reunion emphasizes the family community spirit. Thir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novel as narratives were examined. It is presumed that the author, who knew several stories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reated a new heroic novel by combining various motifs to accomplish the main character's heroic narrative. In particular, the novel has uniques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heroic novels to wage war using submarines and torpedoes. It is worthwhile that JuYuokjeon tries to make a new war-hero novel using the existing motifs. However, it is a limitaton that the lack of causality due to exaggeration and accidental narrative progression in the process of mixing various motifs.

      • KCI등재후보

        고소설과 신소설의 관련성 연구

        오윤선(Oh Yoon-s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5 No.-

        신소설과 고소설의 관련성을 계모형 가정소설을 통해 알아보았다. 계모형 신소설은 계모형 고소설의 서사구조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고, 여성을 대상으로 한 계모의 모함내용도 대동소이하다. 하지만, 계모형 신소설에서는 갈등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있었다. 사건의 해결은 외국문물을 접한 개화인의 도움으로 경무청에서 해결한다. 당대의 현실을 반영할 뿐 아니라, 앞으로 지향해야할 계몽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 선과 악의 대립이 개화와 보수로 대변된다든가, 외국문물과 외국인은 무조건 본받아야 할 존재로, 외국유학은 권장할 일로 그려진다. 신소설이 쓰여진 당시 간행된 신문 중 《독립신문》을 살펴보면, 소설 속에서 주장되는 내용이나 그려진 이야기들이 당대의 현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당시 소설가들의 관심은 ‘사실성’과 ‘계몽성’에 있는데, 신문의 기사들에 의하면 소설의 내용이 어느 정도 사실을 그리고 있으며, 신문논설에서의 계몽내용들이 소설 속에서 이야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작가의 머릿속에서 구현된 계몽의 내용이 실제 소설에는 일상으로 그려지기 힘든 부분들이 있었다. 이성으로는 그러해야 한다고 이해를 하지만, 실제 생활이나 심정적으로는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것이다. 이는 작가가 당대의 계몽내용을 사실성 있게 그려내고자 했으나 벌어온 틀이 고소설의 서사구조였던 까닭에 낳은 한계라고 볼 수 있겠다. In this thesis, I researched the relation between sinsoseol and gososeol focused on the stepmother-type novel. The stepmother-type sinsoseol succeed to gososeol's structure. Stepmother's conspiracy for heroine in sinsoseol is similar to gososeol's. In the contents, there are new attempts in the stepmother-type sinsoseol. That narratives reflected the real world in those days and also actualized the enlightenment. The enlightenment represents the good and the conservation stands for the evil. In those days, Dongnip sinmun had been published. In the novels, the motif and advocacy of the enlightenment are very similar to that paper. At that time, writers concerned about the 'reality' and 'enlightenment'. I can say that they described their concern in the novels according to the paper. However the enlightenment as a concept could not express in the novel as a real life. It is the natural result, because the authors tried to describe the enlightenment realistically borrowing the narrative structure from gososeol.

      • KCI등재

        <황월선전> 이본 연구

        김민조 한국고소설학회 2003 古小說 硏究 Vol.15 No.-

        <황월선전>은 계모형 고소설 작품 중 하나로, 19세기 후반 무렵 창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의 현존 이본 38종 중 29종을 검토하였다. 先本은 1890년 필사되었으며, 예언적 태몽, 계모에 대한 긍정적 언급, 축소되지 않은 편지글, 제문 등이 구비된 이본④, 김광순 소장 45장본 <황월션젼권지단>이 잠정적 善本이라 판단된다. 필사본은 결말부의 주요 단락인 벌주단락과 천벌단락의 유무와 변이에 따라 4 계열로 나뉘며, 활자본은 필사본과는 별개의 계열을 이룬다. <황월선전>은 善한 계모소생 월생, 惡하다고만 할 수 없는 계모 박씨, 善하다고만 할 수 없는 전실딸 월선을 등장시켜, 계모와 전실소생의 갈등과 화해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악한 계모의 일방적인 전실자식 모해를 그리는 여타의 계모형 고소설 작품들과 비교할 때, 이러한 <황월선전>의 작품세계는 繼母에 따른 가정 내적 갈등이라는 문제에 보다 현실적으로 접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계모는 악하며 진정한 가족이 될 수 없다는 독자의 통념이 개입되면서, 작품이 본래 지니고 있던 다양한 담론의 가능성은 사라지고, 계모형 고소설 유형에 고착되는 방향으로 變改된 이본 계열이 출현한다. 이와 같은 <황월선전>의 이본변이 양상을 통해, 계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계모형 고소설의 독자층 의식의 주류를 이루며 점차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Hwangwoelseon-Jeon(황월선전)> belongs to stepmother type Korean old novel. It is supposed to be created before late 19th century. Among 38 kinds of dissimilar editions of <Hwangwoelseon-Jeon>, 28 have been checked over in this study. The oldest copy was transcribed by hand in 1890. <황월션젼권지단>, composed of 45 sheets, Owned by Kim Kwang-soon(김광순 소장 45장본), is estimated the closest to the original text because this different version ④ satisfies all the requisites such as a foreseeable dream of conception, positive comments over the stepmother, not being summarized contents of the letter, a funeral oration, and so on. A copied book classifie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the variation of drink-punishment and heavens' judgment paragraphs in the end. However, a printed book consists of separate departments comparing with a transcription. In <Hwangwoelseon-Jeon>, there are one kind stepmother's offspring, not always bad stepmother, and not all kind children of a former wife. Because of the characters, <Hwangwoelseon-Jeon> basically contains various discussions about conflict and compromise especially between the stepmother and the children of a former wife. However, deeply intervened readers' common ideas that the stepmother is bad and she cannot be a true family member, possibilities of various discussions disappeared. So, the copies of <Hwangwoelseon-Jeon> had modified in the direction of sticking to the stepmother type old novel. Considering variation of different versions, it proved that negative recognition about stepmother was the main stream of old novel readers' consciousness and this inclination had intensified.

      • KCI등재

        『비극소설 압록강』 연구

        조재현(Cho, Jae-Hyun)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5 No.-

        「Bigeuksoseol amnokgang」 is manuscript of Hangeul classical novel, be owns abou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Jangseogak Library. It’s?a vocabulary?and a style is presumed that it was manuscrip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1912. This work was made from a narration of 「Hwangwolseonjeon」’s heroine?Hwangwolseon to IHwasun’s narration, and a narration of 「Eoryongjeon」s hero Eoryong to IHwayeong’s narration. 「Hwangwolseonjeon」 was made by novelization of 「Hwanghwairyeop」 narration, and 「Eoryongjeon」 is classical novel of a war made to apart from a brother and a sister. Therefor, 「Bigeuksoseol amnokgang」 peculiarity was pointed to IHwayeong, IHwasun’s suffering and it’s overcome. 「Bigeuksoseol amnokgang」 was seems to change from classical novel’s narration of hero to the others characters’s narration. In traditional families’s restoration, the story of meet and part to brother and sister(Whole blood) of 「Bigeuksoseol amnokgang」 can show us to the children generation’s narration is a idealistic vision. 「Bigeuksoseol amnokgang」 show not only keeping Confucian values and overcome to suffering the younger generation. The meaning is the conservative views’s reation of literature, has an object in prepared with a colonial peculiarity’s ‘a new familism’.

      • KCI등재

        박경리 장편소설의 ‘계모’․‘자매’ 유형 변화와 그 의미—『재귀열』, 『은하』, 『김약국의 딸들』, 『나비와 엉겅퀴』를 중심으로

        조윤아 대중서사학회 2020 대중서사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박경리의 장편소설에서 ‘계모’와 ‘자매’ 유형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고전소설과 신소설에 등장하던 ‘부정적인 계모’의 패턴이 박경리의 장편소설에도 반복적으로 나타났는데, 후기 장편소설에서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중점적으로 분석한 작품은 『재귀열』(1959), 『은하』(1960), 『김약국의 딸들』(1962), 『나비와 엉겅퀴』(1969) 등이다. 『은하』에 등장한 계모는 한국의 고전소설이나 신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유형이다. 새롭게 ‘엄마’라는 역할과 지위를 얻었으나 여전히 가정의 구성원 되기를 거부하면서 전처의 딸과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악행을 저질러 전처의 딸을 위기에 빠뜨린다. 그러나 『나비와 엉겅퀴』에서 젊은 계모는 오히려 전처의 딸로부터 악의적이고 병적인 괴롭힘을 당한다. 이 계모는 양육과 교육의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죄의식을 보이는 선한 인물로, 결국 전쟁 중 폭격을 당하여 어린 친딸을 남겨둔 채 죽음에 이르는 희생자가 되고 있다. 한편, 『재귀열』과 『김약국의 딸들』에 등장하는 친자매는 결속력이 강하지는 않지만 한 인물이 위기에 빠졌을 때 조력을 자처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와는 달리 『나비와 엉겅퀴』에서 자매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결속력을 지닌 관계이다. 이복자매인 이들은 서로 성장을 저해할 정도로 결박함으로써 결국 파국에 이른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젊은 계모’를 희생자의 위치에 자리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통념에서 벗어나고 있는 점,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자매 갈등관계를 증폭시키면서 인간 본성의 문제를 더욱 첨예하게 다룬 점 등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대작을 남기고자 하는 작가의 의지가 분명한 상황에서 기존에 반복되었던 인물 유형의 변화들이 장편소설에 어떻게 나타났는지 그 일면을 파악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전남대 소장본 『위문강일기』의 서사 특성 연구 - 계명대 소장 새 이본 소개를 겸하여 -

        채윤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3 한국학논집 Vol.- No.92

        본 논문은 전남대 소장본 『위문강일기』의 서사 특성을 처음으로 논의한 것이다. 『위문강일기』는 계모형 가정소설 『문성기』의 이본이다. 본고는 먼저 『문성기』의 새로운 이본으로 계명대 소장본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전남대 소장본의 경우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위문강일기』로 제목을 수정하고 『위문강일기』의 서사단락을 제시하여 이 자료가 낙질본임에도 불구하고 계모형 가정소설의 핵심 서사구조를 온전히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자료를 대상으로 서사 특성을 논의할 만하다고 판단하였다. 『위문강일기』의 서사 특성은 크게 세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계모와 전처소생의 갈등을 첩과 적자의 신분 갈등으로 예각화하여 다룬다. 계모의 욕망으로 인해 첩과 적자의 신분이 각각 정실과 서자로 전도되고 이로부터 전개되는 계모 박대담은 전처소생을 서얼 신분으로 길들이기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둘째 여주인공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된다. 이 작품은 여주인공의 서사를 통해 수난과 성취의 낙폭을극대화시키고 여주인공이 작품의 핵심 문제인 친모의 신분 복권 및 계모 징치를 주도한다. 셋째 가부장에 대한 다각적인 비판이 이루어진다. 이 작품은 가부장을 일관되게부정적으로 형상화하는 한편 남녀 주인공이 가부장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고무엇보다도 지배층 남성이 가부장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하도록 한다. 『위문강일기』는 결과적으로 가부장적 가족질서를 복원하는 계모형 가정소설의 관습적인 틀을 답습하는 한계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종일관 현실주의적 세계관을 유지하는 가운데 당대 사회 문제인 처첩과 적서 갈등을 계모와 전처소생의 관계로 치환하여 다루면서, 문제의 원인을 계모보다 가부장에게서 찾으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현실 비판적 문제의식과 대응방식이 여타 계모형 가정소설과 변별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