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의 치료적 재서술 방안 -로티의 신실용주의를 중심으로-

        이태윤 ( Tae-yun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1

        본 연구에서는 로티의 신실용주의 철학에 기대어 도덕교과서의 내용 서술 방식을 치료적으로 재서술해 보았다. ‘치료적’이란 가치·덕목의 실재를 상정하지 않기에 실재를 찾으려는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는 철학적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재서술’이란 도덕교육을 위한 영속적이고 중립적인 틀을 부정하고, 오직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 속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언어를 끊임없이 새롭게 서술함으로써 세상에 대처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2009개정 도덕교과서는 가치·덕목의 의미에 토대 하고 가치·덕목의 실재를 가정하며, 가치·덕목을 정답적인 형태로 서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필연적으로 각각의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만일 학생들이 가치·덕목의 이 해에 실패하면 이어지는 학습에서 곤란을 겪을 수밖에 없고, 도덕적인 정서와 실천 행위의 과정이 유사-인지적인 형태로 흐르게 할 가능성이 충분하며, 가치·덕목이 상충하거나 양립불가능할 경우 그것은 행위의 지침으로 기능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도덕교과서를 치료적으로 재서술하는 방식을 통해 해소할 수 있다. 반토대적 서술은 가치·덕목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인 탐구 없이 도 삶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재서술의 방식을 제공해주고, 반표상적 서술은 도덕학습의 장을 교실에서 학생들의 실천 현장으로 옮길 수 있게 하며, 문학적 서술은 타인의 고통이나 감정을 보 다 깊이 상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치료적 재서술을 위한 단원구성의 틀을 제안하고, 4학년 <7.힘을 모으고 마음을 하나로>의 내용을 치료적으로 재서술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If teachers are questioning the use of moral textbooks, it lies in the ways of description. I tried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the philosophy of neo-pragmatism of Rorty. For this, I analyzed the philosophy of the Rorty in the form of therapeutic redescription. First, I look at the description of moral textbook and found the problems. Second, I found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redescription through the philosophy of the Rorty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rapeutic redescription. Third, I suggested a case applying this Argument. Descriptional ways of 2009 revision moral textbook has three characteristics. It describes that grounded in the meaning of value and virtue. It describes that assumes the existence of value and virtue. It describes value and virtue to a form of answers. These ways have three problems. If students fail to understand the value and virtue hindered in subsequent learning. Emotional and moral behavior flow into similar-cognitive process. If it conflicts to balance, value and virtue will not be the guidelines of the act. The problems are solved with a therapeutic redescription. Anti-foundational redescription helps coping with the world without exploration of the value and virtue. Anti-representational description allows students to transfer from the field of theoretical inquiry to the field of learning in the classroom. Literary description helps to imagine the pain and feelings of others.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suggested framework of sections and redescribed it therapeutic ways

      • KCI등재

        유아의 그림 표상 재 기술에 미치는 실행기능의 영향

        박희숙(Park, Hee-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존재하지 않는 사람과 집을 그리도록 했을 때 그림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고정된 순서를 보이는 것과 작업 기억의 측면인 실행 기능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Karmiloff-Smith의 표상 재 기술 모형은 처음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암묵적 지식으로 출발하여 점점 언어화할 수 있는 명시적 지식으로 바꾸어가는 변화 과정을 설명해 준다. 또한 발달은 영역 특수하며 어떠한 아동도 한 영역의 내부와 여러 영역 들 모두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표상되는 지식을 가질 수 있다고 하였다. 사람 그림과 집 그림을 그리는 순서가 고정되어 있는 4~6세 유아들 211명을 대상으로 사람, 집, 머리 두 개 달린 사람, 날개 달린 집, 존재하지 않는 사람과 집을 그리도록 하며, 또한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과제 4가지를 적용하였다. 이후 유아들이 보이는 그림 순서의 고정성이 실행기능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 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그림 순서의 고정성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행기능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그림 표상의 고정성 및 표상의 변화는 실행기능과 관련되는 부분이 적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 그림의 표상에 미치는 보다 심도 있는 이해와 교육현장에 필요한 이론의 필요성을 논의 하였다. Karmiloff-Smith proposed the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model’. It describes a process through which children elaborate their knowledge from unconscious and implicit levels to conscious explicit levels. The model also assumes that children in perfectly explicit levels are able to express their own representation of knowledge verball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armiloff-Smith’s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RR) model(1990, 1992, 1999) in the drawing domain. Also, How the executive functioning relate to children"s development of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First, 211 children (4- to 6-year-olds) to make six drawings of a familiar and novel topics. From these drawings each child was measured for procedural rigidity and representational differences. Thereafter 80 5-year-olds children who can not manipulate their drawings with flexibility were selected. They were administered to a session using 5 tasks and four executive function task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that Children had procedural rigidity in drawing and the influences of executive function in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were not strong. Further research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qualitative aspects in RR and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learning processes based on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 KCI등재

        하태범의 White 연작에 나타나는 재현적 재서술

        김명신(Myeong-Shin Kim) 현대미술학회 2015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9 No.1

        이 글의 목적은 하태범의 White 연작을 재현적 재서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제작에 사용되는 미디어와 흰색의 의미 변화를 조명하는 것이다. 하태범은 White 연작에서 재난 및 참사 보도 사진, 구호 활동과 관련한 TV 홍보영상이나 사진 등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이미지를 흰색의 입체 조각 및 다양한 미디어로 모방한다. 작가는 그러한 이미지들에 대한 자신의 시선과 감정을 흰색으로 재현한다고 밝힌다. White 연작에는 두 가지의 재현적 측면이 있다. 하나는 사물과 공간의 재현으로 가시적 측면, 다른 하나는 시선과 감정의 재현으로 비가시적 측면이다. 각각은 조각이라는 매체와 흰색의 선택으로 나타난다. 작가의 미디어 선택은 보도사진이나 영상, 홍보를 위해 사용되는 사진이나 영상 등 재현의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과정에서 흰색의 의미에도 변화가 생성된다.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입체 설치 작업과 흰색은 작가의 스타일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로 진부해진 보도사진을 재서술하는 작용을 한다. 작가는 대중 매체에 의해 주어진 이미지들과 그 이미지들에 대한 자신의 시선과 감정을 재현하는 가운데 색과 크기, 매체 등 재현방식에 변화를 주어 기존 이미지와 유사하면서도 결과적으로는 다른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기존 이미지를 재서술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렇듯 재현적 성격이 강하되 재현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와 다른 결과물을 생성하는 것을 ‘재현적 재서술’이라는 어휘로 서술하고자 한다. 본고는 ‘재현적 재서술’이 모방에서 오는 익숙함 즉 재현적 측면에 더하여 기존의 것이 지니는 진부하거나 관습적인 면을 다르게 서술함으로써 우리의 고정된 시각이나 태도에 유연함을 더해 줄 수 있는 설득력을 지닌다고 본다. This thesis aims to illuminate Taebum Ha’s White Series in the view of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and illuminate the change of meanings of media and white color used in his art works. Taebum Ha imitates images of journalistic photography of disasters, TV promotion films which are being publicly consumed using white statues and various media. He said the color ‘white’ represents his own view and emotion. White series has two representational aspects. The one is a visible aspect which represents object and space of the images. The other is a non-visible aspect which represents his view and emotion. And each appears as the medium of statue and the color of white. His selection of media depends on the images that is to be represented and this affects the meaning of white. Persistently used statue, installation, and the color white are key elements of his style. And they contribute to redescribe the journalistic photography. Thus, in the mean time of redescribing those images given by public media and his own view and emotion, he accidently redescribes them by giving some changes in color, size, media to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I’ll name this aspect of action or art works as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which includes strong character of representation and redescription at the same time.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seems to have persuasive power giving us flexibility in our attitude or view of the life and the world by adding new aspects to familiarity which comes from imitation of old and friendly things of our world and life.

      • KCI우수등재

        아동의 그림 표상 발달과정 및 언어화를 통한 표상의 촉진

        박희숙(Hee Sook Park) 한국아동학회 2013 아동학회지 Vol.34 No.6

        Karmiloff-Smith was first to propose the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model’. It describes a process through which children elaborate their knowledge from the unconscious and implicit levels to the conscious and explicit levels. The model also assumes that children in perfectly explicit levels are able to express their own representation of knowledge verb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Karmiloff-Smith`s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RR) model(1990, 1992, 1999) within the drawing domain. Additionally, how verbalization training influences children`s development of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in drawing were also examined. First, 331 children (4- to 6-year-olds and an older comparison group of 7- to 9-year-olds) were asked to create six drawings of both familiar and novel topics. From these drawings, children were measured for procedural rigidity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Thereafter 80 5-year-olds children who were not able to manipulate their drawings with flexibility were selecte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wo control groups. A group of verbalization training was given a session using 5 task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children who practiced verbalization in the training group showed more advanced levels of representation than their previous levels in the pretest.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verbalization is likely to facilitate children`s reorganization of implicit knowledge within the drawing domain and to transfer this toward explicit forms. Further research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learning processes based on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 KCI등재

        Redescription of Veigaia tibbetsi Farrier, 1957 (Acari: Mesostigmata: Veigaiidae) based on the specimens found from the Korean Peninsula

        금은선,정철의 국립생물자원관 2019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8 No.2

        Mites in the family Veigaiidae, order Mesostigmata, subclass Acari are widely distributed in subsoil habitats. They are mostly free-living and predaceous on small arthropod eggs and larvae, and prefer habitats with rich organic matters including litter and humus layers of forest soil. The genus Veigaia Oudemans, 1905 of the family Veigaiidae (Acari: Mesostigmata) is one of the ubiquitous genera from the Holarctic Region. Until now, only two genera and five species of the family were recorded from Korea. Here we provide a report of the species Veigaia tibbetsi Farrier, 1957 with detailed redescription. Even though V. tibbetsi had appeared in some ecological literature,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is species in Republic of Korea. This species was mostly found from pine forest (Pinus densiflora) of northeastern mountainous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Gangwon and Gyeongbuk Provinces. We provided som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Veigaiidae, which will help to further exploration of acarine biodiversity.

      • KCI등재

        Redescription of Veigaia tibbetsi Farrier, 1957 (Acari: Mesostigmata: Veigaiidae) based on the specimens found from the Korean Peninsula

        Keum, Eunsun,Jung, Chuleui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8 No.2

        Mites in the family Veigaiidae, order Mesostigmata, subclass Acari are widely distributed in subsoil habitats. They are mostly free-living and predaceous on small arthropod eggs and larvae, and prefer habitats with rich organic matters including litter and humus layers of forest soil. The genus Veigaia Oudemans, 1905 of the family Veigaiidae (Acari: Mesostigmata) is one of the ubiquitous genera from the Holarctic Region. Until now, only two genera and five species of the family were recorded from Korea. Here we provide a report of the species Veigaia tibbetsi Farrier, 1957 with detailed redescription. Even though V. tibbetsi had appeared in some ecological literature,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is species in Republic of Korea. This species was mostly found from pine forest(Pinus densiflora) of northeastern mountainous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Gangwon and Gyeongbuk Provinces. We provided som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Veigaiidae, which will help to further exploration of acarine biodiversity.

      • KCI등재

        아동의 수 보존 개념에서의 표상 재 기술 과정

        박희숙,최경숙 한국인간발달학회 2009 人間發達硏究 Vol.16 No.1

        The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model suggested by Karmiloff-Smith describes a process through which children elaborate their knowledge from unconscious and implicit levels to conscious explicit levels. The model also assumes that children operating at explicit levels are able to express their own representation of knowledge verbally.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dentify the developmental levels of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in number conserv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bility to conserve numbers amongst 234 children aged 5 to 6 years. The materials used were linear arrays of 2×2㎝black cardboard squares. One of the two arrays in a pair always contained 4, 8 or 20 squares. Each child was asked about the equality of the arrays. Of 234, 89 of the conservers could be classified into one of three levels (I, E1, E3) which were described by Karmiloff-Smith without E2.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in number conservation.

      • KCI등재

        현대시 비평문의 구성 형식과 교육적 활용 방향 - 작품 재기술(再記述) 유형을 중심으로 -

        강민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3 No.-

        This study discusses a format of written criticism about modern poetry and presents an educational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format as a method to develop poetry criticism writing ability of students. To achieve this, aimed to discuss the structure of poetry-redescription because redescripion is basic function of criticis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criticism written by critics, poetry-redescription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repertory’ which is a resource or a ground of interpretation. And the type of poetry-redescription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tory organization based on time axis, Analytic description and synthesis, Deductive appication of main interpretative logic. To utilize the format of written criticism about modern poetry in the classroom, it is required to make the students be conscious of critical writing procedure, and be well-informed of poetry-redescription types. The format of written criticism discussed in this study will lighten the burden of students who write critical essay, and offer a frame which enables students to demonstrate their critical originality in a confident attitude. 이 연구는 학습 독자의 시 감상문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현대시 비평문의 구성 형식을 밝히고 그 교육적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 감상문의 장르적 관습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 독자들이 비평문을 포함한 수용 텍스트의 일반적인 구성 형식을 이해할 경우 감상문의 체계성이 높아지고 해석 내용도 풍부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전제이다. 비평문의 여러 기능 중 ‘작품에 대한 재기술’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먼저 작품 재기술의 구조를 논구하고자 하였다. 비평가들의 비평문을 검토한 결과 해석의 자원이나 근거가 되는 ‘레퍼토리’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재기술이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작품 재기술의 방식은 시간축에 준거한 이야기 구성, 분석적 기술과 종합, 주요 해석 논리의 연역적 적용이라는 세 유형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밝힌 현대시 비평문의 구성 형식을 문학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학습 독자들의 감상문 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레퍼토리의 발견에서부터 시에 대한 나름의 의미 부여, 궁극적인 메시지 제시에 이르는 일련의 단계와 재기술 유형별 활용 방법을 숙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힌 시 비평문의 구성 형식은 학습 독자가 감상문을 쓸 때 느끼는 인지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주체적이고 자신 있는 태도로 비평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로티와 푸코의 반정초주의적 성향과 재서술 개념

        김성수(Soung-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미셀 푸코와 리차드 로티는 철학계의 이단아라는 꼬리표가 붙어 다닌다. 푸코는 사회학자나 역사학자로 분류되는 것이 더 옳다는 말이 있다. 로티는 동료 철학자들 ― 심지어 신실용주의자로 분류되는 퍼트남에게서 조차도 ― 로부터 유아론적 상대주의자이며 문학평론가라고 공격을 받았다. 이런 평가는 푸코와 로티가 스스로 자초한 면이 있는데, 그들은 일부러 자신들의 철학을 다른 철학자들과 각기 다르게 표현했다. 그러나 그들의 사유에는 첫째로 인식론적 ‘반정초주의(anti-foundationalism)’라는 공통점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로티는 인식론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푸코는 인식론적 내용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그들에게 있어서 이는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그들의 사유 체계 내에 면면히 스며들어 있었다. 둘째로 그들에게는 ‘재서술(redescription)'이란 일종의 메타텍스트적인 공통개념이 있다. 재서술은 각자 자신의 관점에서 자신의 사유를 세상에 언어로 투영하고 서술해 나가면서, 이에 따라 자신의 삶을 영위해 나가는 ‘자유로운 서술자’라는 의미일 것이다.―이 둘은 모두 전래의 철학에 반기를 드는 내용이라 평가될 수 있다. 푸코와 로티의 이런 면들은 반정초주의적 관념론과 재서술주의라고 호칭할 수 있다. 그들은 추구하려 했던 것은 기본적으로 전통 철학의 사유 방식에서 자유롭게 되고, 본질주의적•합리주의적인 관점과 행위로부터의 자유였다. 따라서 두 사람에게 보편적이고 불변의 토대가 있다는 사유와 그 사유에서 나온 세계는 하나의 관점에서 나온 세계에 불과하다. 물론 이런 반정초주의적 성향은 허무주의, 회의주의, 상대주의 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푸코와 로티 스스로도 이를 잘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즉 인간 지식 전체를 소설로 만들어 버렸던 푸코와 로티 역시 소설가들일 따름이며, 이를 자신들도 인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푸코와 로티의 반정초주의적 경향은 인간의 지식이 현재적이며, 통시적으로 완전하게 절대적일 수는 없다는 면을 드러내고, 더 나아가 인간에게는 세상을 늘 새롭게 해석하며 지식을 만들어 온 원동력으로서의 해체적 창의주의와 창조적 서술주의가 있어왔음을 강조하려 했던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It is not odd that Michael Foucault and Richard Rorty could be called as a heretic for many philosophers. There is a saying that Foucault should be counted as a sociologist or historian. Rorty was vehemently attacked by his fellow philosophers including other neo-pragmatist such as Putnam. In fact, this was a result of what they did. Their thoughts were so much different from traditional main stream philosophy. And so, in some sense, they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s well. However, firstly, their common sense could be told as ‘epistemological anti-foundationalism’. Rorty does not take epistemology itself and Foucault hardly mention any epistemological reference though. It seems that this thought was so natural for them, since this reside in their each thought system. Secondly, in addition, there is an idea which can be named as ‘redescription’ as a meta-textual notion. For them, it means that people can reflect their own thoughts and perspectives to the world for their own lives. In this sense, all people could be called a free redescriber to write each of their stories.―Obviously, both of two seems to be a concept which rise against traditional philosophy. I would like to say that these are anti-foundational idealism and redescriptionism of Foucault and Rorty. What they wanted to pursue is free from traditional philosophical thought system and one strict perspective and action in the context of essentialism and rationalism. For them, the thought that there is the universal and unchanged epistemological foundation, and the world which is reflected by this thought, are nothing but a result which is from one perspective. Of course, this anti-foundational tendency could be interpreted as some kind of nihilism, skepticism, relativism, etc, and I am sure that they already know this. In other words, Foucault and Rorty who treated all human knowledge as Fiction(that does not mean ‘fiction’ in literature but Fiction since all human knowledge have been made by humans) knew that they are one of the Fiction writers as well. Hence, the anti-foundational tendency of Foucault and Rorty actually presents that, on the one hand, human knowledge is neither permanent nor absolute, and on the other hand, human beings generally have that there are de-constructive creationism and creative predicatism as the power source of human knowledge. Certainly, this is one way of interpretation of human.

      • KCI등재

        아동의 그림 표상에 미치는 그림 순서 고정성의 영향

        박희숙 ( Park Hee-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3

        Karmiloff-Smith의 표상 재 기술(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모형은 아동들이 발달하면서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암묵적 지식을 명시적 지식으로 바꾸어가는 표상의 변화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모형에 입각해 만 4~9세 331명을 대상으로 그림표상의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그러한 표상의 발달과정에 존재하는 고정성을 만드는 제약의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아동들에게 총 6개의 그림, 즉 `사람`,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사람`, `존재하지 않는 사람`과 `집`, `날개달린 집`, `존재하지 않는 집`을 그리도록 하여 그림 그리는 순서의 고정성 및 그림의 변형 내용에 있어 연령차와 변화과정을 보았다. 그 결과 그림 그리는 순서가 사람과 집 그림에서 4~6세의 저 연령아동이 7~9세의 고 연령 아동들에 비해 더욱 고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전형적 순서로 그림을 그리는 암묵적 그림 표상이 나타난 후 그러한 암묵적 표상을 서서히 재 기술하여 명시적 그림 표상에 이르는 과정으로 발달함을 살필 수 있었다. 이러한 표상의 변화과정을 기반으로 한다면 교육적 차원에서 표상재 기술 과정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진다면 아동들이 자신의 표상을 유연하게 변형하면서 지식을 온전히 사용할 수 있는 자발적이고 구성적인 학습을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Karmiloff-Smith was first to propose the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model`. It describes a process through which children elaborate their knowledge from the unconscious and implicit levels to the conscious and explicit levels. The model also assumes that children in perfectly explicit levels are able to express their own representation of knowledge verb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Karmiloff-Smith`s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RR) model(1990, 1992, 1999) within the drawing domain. We tested Karmiloff-Smith`s(1992) claim that preschool children represent such knowledge as sequentially fixed lists by examining the extent to which they could vary their usual routine for drawing a picture of a man by adding a second head and drawing a picture of a house by adding a wing. First, 331 children (4 to 6-year-olds and an older comparison group of 7-to 9-year-olds) were asked to create six drawings of both familiar and novel topics. From these drawings, children were measured for procedural rigidity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We found more flexibility on the `man` task has previously been claimed, but a substantial number of young children did display a degree of inflexibility on the `house` task. We conclude, therfore, that this data provide only qualified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internal constraints on the flexibility of drawing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