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영화시대의 리얼리즘에 대한 성찰: 바쟁의 리얼리즘 다시 읽기를 통한 우회

        강수경,강경래 문학과영상학회 2015 문학과영상 Vol.16 No.2

        Over the past decades, digital technology, through its altered features in its relation to the represented objects, has challenged traditional notions of cinematic realism. One of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models in this context would be Andre Bazin’s emphasis on indexicality in photographic images or the capacity of photographs to evidence the past presence of the pre-filmic event. Noticing that there have been increasing scholarly efforts to reread Bazin’s understanding of realism, this essay seeks to reexamine how realism in film studies has changed along with recent developments in digital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we refer to Daniel Morgan’s recent study of cinematic realism, which indicates conceptual complexities embedded in the Bazin’s discussion of realism. By suggesting that Bazin’s realism is an effort to convey a certain ambiguity of reality, which is in effect realism itself, Morgan shifts away from the traditional notion of realism, thereby shedding a new light on the discussion of realism and digital technology. It is through Morgan’s suggestion that cinematic realism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perceptual realism” that digital technology has greatly increased through its technological advance. Also, he highlights that spectators render screen images “realistic” in the context of viewing, thereby bringing spectators to a crucial position in the formation of meaning. Based upon Morgan’s understanding of Bazin’s cinematic realism, this essay seeks to understand how digital technology has expanded the notion of realism. In addition, this essay refers to other scholarly discussions of digital images such as works by Lev Manovich, Stephen Prince, and Gabriel Giralt. In so doing, we seek to showcase how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have maintained, and altered, the boundary of the traditional notion of realism.

      • KCI등재

        공격적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과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안문석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2

        This paper analyses and evaluates the Lee Myung-bak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by using offensive realism. While defensive realism argues that states pursue an appropriate amount of power to secure their survival, offensive realism holds that they seek to maximize relative power. On the basis of this argument, offensive realism doubts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prefers containment to appeasement and takes precautions against nationalism. The Lee government has a negative attitude to North-South economic cooperation and carries out the contain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stimulated the North's nationalism by often mentioning the issue of human rights and the possibility of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disregarding the warning of offensive realism that states should be careful about promoting nationalism in enemies. On the other hand, the Seoul government strives to balance North Korea's military force equipped with nuclear capabilities by advancing strategic weapons system and demands that the North should take some actions for denuclearization, following the assumption of balance of power valued by defensive realism. In sum, the Lee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by and large, follows the assumptions of offensive realism, but acts on defensive realists' arguments in terms of military and nuclear strategies. Meanwhile, the Seoul government's policies caused by offensive realism have resulted in deadlock, the delay of confidence-building and strengthening enm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y, therefore, need to be reviewed thorough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two Koreas' relationship. 이 논문은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neorealism)의 이론적인 틀을 바탕으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분석, 평가한다. 방어적 현실주의(defensive realism)는 국가가 안보확보를 위해 '적절한 양의 힘’(appropriate amount of power)‘을 추구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은 권력의 최대화(power-maximizing)를 추구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입장을 바탕으로 공격적 현실주의는 국제협력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유화정책보다는 봉쇄정책을 선호하고, 민족주의의 심화에 대해서는 강한 경계를 촉구한다. 공격적 현실주의가 제시하는 명제를 중심으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평가한다면, 우선 이명박 정부는 남북경제협력에 대한 회의적 태도를 견지하며 봉쇄정책을 선호하는 공격적 현실주의의 주장을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공격적인 태도로 북한인권문제와 급변사태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은 공격적 현실주의가 경계하는 민족주의의 심화를 자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에 비해 압도적 우위에 있는 경제력을 바탕으로 전략무기체계를 선진화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상대적 국력의 최대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있는 측면이 있고, ‘개혁·개방·3000’을 통해 비핵화 선행조치를 요구하는 것도 북한 국력에 대한 약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읽힐 수도 있겠으나 이들 정책은 핵실험을 실시한 북한에 대한 세력균형 추구, 즉 방어적 현실주의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공격적 현실주의 명제에 따른 남북관계 경색, 남북교류와 협력을 통한 신뢰관계 구축의 지연, 남북한 상호간의 적대감 확대 등은 한반도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측면에서 비판의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특집논문 : 현대영화 이론 연구 ; 정적 리얼리즘: 린 램지(Lynne Ramsay)의 영화

        정찬철 ( Chan Chul Ju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1 현대영화연구 Vol.7 No.1

        Lynne Ramsay`s works are linked to the social realism the Free Cinema, British New Wave, and Scottish films of the 1990s mounded. They belong to the British social realism in that Ramsay`s use of landscape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surface and moral realism as which Andrew Higson defined the British realism; Scottish realism because Ramsay`s interests in young people`s lives, especially their brutality and kindness, associate with the tradition of children realism of the 1990s Scottish films. In the strict sense of the British and Scottish realism, however, Ramsay`s work is not social realism. Going beyond the two cinematic tradition, Ramsay`s films move towards a certain kind of realism. This essay defines this realism as ``still`` realism. The aim of this essay is to show how Ramsay moulds the still realism by analysing her use of sound, close-up, and slow-motion in her shot films and first feature film: <Small Deaths>, <Kill the Day> and <Gasman>, and <Ratcatcher>.

      • KCI등재

        후기 마이클 더밋의 철학과 실재론-반실재론의 분류

        이윤일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1 No.-

        Michael Dummett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ritish philosopher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Dummett’s main philosophical project is to demonstrate that theory of meaning can provide a definitive resolution of metaphysical debates, for example, the debate between realism(scientific realism, platonism in mathematics, etc.) and anti-realism(phenomenalism, intuitionism in mathematics, etc.). In his former philosophy, he thought that metaphysical debates were properly understood as debates about logical laws. So he equated acceptance of bivalence principle with realism, and the denial of bivalence with anti-realism. His global anti-realism insists that the meaning of sentence is tied directly to what we count as evidence for it. But in his later philosophy, the denial of bivalence brings with it only a very attenuated form of anti-realism. So. the classification of realism and antirealism is subdivided into 4 category as follows. 1. A realist view of some class of statement plus a reductive thesis = sophisticated realism. 2. A realist view of some class of statements which are non-reductive class(bare true) = naive realism. 3. Anti-realism that is the result of some reductive thesis = reductive anti-realism. 4. Anti-realism which is non-reductive = outright anti-realism. We can see that for this classification, he used the ‘reductionism’ as a principle of division. In this essay, I claim that we should not value Dummett’s philosophy as an advocate of global anti-realism. Rather, we should see his work for the way in which it maps the semantic area, explo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various theories of meaning. For this purpose, I will summarize a forming trace of his philosophy first, and then investigate his later major book mainly, The Logical Basis of Metaphysics. According to his later philosophical view, all the metaphysical issues turn on questions about the correct meaning theory for our language. So, we should investigate how our language actually functions, and how we can construct a workable systematic description of how it functions. The answers to metaphysical questions will determine the answers to the metaphysical ones. Therefore, the questions which Dummett raised about the correct theory of meaning for our language are questions about what exists. In this aspect, I will evaluate him as a renewer of metaphysics in post-analytic philosophy. And I hope that in Korean philosophical academy society, the incorrect thinking that Dummett is an advocate of global anti-realism will be changed. 마이클 더밋은 20 세기 후반 영국의 분석철학을 대표하는 탁월한 철학자였다. 지금까지 우리 학계에서 더밋은 도널드 데이비슨의 진리조건적 의미 이론에 맞서 검증주의적 의미 이론(verificationistic theory of meaning)을 제창하고, 이런 의미 이론을 바탕으로 반실재론(anti-realism)이라는 형이상학적 입장을 정립한 인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후 더밋은 자신의 전기 철학 중 일부 내용을 수정하거나 포기하고, 자신을 전반적 반실재론자라고 보는 상식적 평가에 대해 재고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의 사상적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글로는 1982년에 쓴 논문 ‘실재론’과 1991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형이상학의 논리적 기초』가 있다. 특히 이 책은 이전까지의 더밋 철학의 전반적 면모를 가장 잘 정리하여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목부터가 의미심장한 함축을 담고 있다. 후기 분석 철학의 전개 과정에서 형이상학의 갱생을 이처럼 노골적으로 알리는 책 제목은 없었던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후기 더밋 철학의 이런 변화가 아직 우리 학계에서 검토된 일이 없으므로, 그 방향 전환에 대해 소개하고, 그 전환에 따라 실재론, 반실재론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이 더밋의 후기 철학 내에서 어떤 위상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 결과 논자는 후기 더밋 철학에서의 실재론-반실재론 지도가 전기 철학에서와는 다른 모습으로 그려졌다는 것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후기에 가서 더밋은 자신을 어떤 특수한 종류의 반실재론을 옹호하는 자로서 보아주기보다는, 다양한 의미 이론의 강점과 약점을 탐구하면서 그 바탕 위에서 여러 형이상학적 입장의 수용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에 종사하는 자로서 보아 줄 것을 요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전기 철학에서의 이가 원리의 부정과 반실재론 간의 긴밀한 연관은 후기에 갈수록 느슨해 졌으며, 실재론-반실재론이라는 각박한 이분법에서 벗어나 각 형이상학적 입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실재론적이거나 덜 실재론적인(또는 더 반실재론적이거나 덜 반실재론적인) 경향을 띠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이 글을 통하여 논자는 그간 우리 학계에서 발표된 더밋 철학에 관한 논문들에서, 더밋을 마냥 반실재론만을 옹호하는 철학자라고 규정했던 상식적 평가도 재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 KCI등재

        구조적 실재론의 인식론적 함축

        강형구 대한철학회 2023 哲學硏究 Vol.167 No.-

        In this paper, I aim to critically examine Laidman's position, which seeks to strengthen the standpoint of structural realism from an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to an ontological structural realism. In my opinion, the attempt to strengthen structural realism to the ontological dimension cannot be philosophically justified, as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itself can remain a sufficiently robust realism. In response to this, one might argue that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structive empiricism. Indeed, Van Frassen attempted to demonstrate in his 2006 paper that even from the perspective of empiricism, the concept of “structure” as posited by structural realism can be incorporated. However, such attempts by constructive empiricism to incorporate structural realism are bound to fail for two reasons. First, constructive empiricism still cannot evade the demand of the “no miracle argument,” whereas structural realism does not face this problem. Second, based on historical case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serves as a crucial element in the advancement of fundamental science, while constructive empiricism fails to fulfill such a function. Therefore,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is clearly distinct from constructive empiricism, and it can be considered a metaphysical research program that possesses relative superiority compared to constructive empiricism. 본 논문을 통해 나는, 인식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에서 존재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으로까지 구조적 실재론의 입장을 강화시키려는 래디먼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내가 생각할 때 구조적 실재론을 존재론적 차원까지 강화시키는 시도는 철학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으며, 인식론적 차원의 구조적 실재론은 그 자체로 충분히 강력한 실재론으로 남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인식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은 구성적 경험론과 사실상 별 차이가 없는 것 아닌가 하는 반론이 제기될 수 있고, 실제로 반 프라센은 2006년에 발표된 그의 논문에서 경험주의의 입장에서도 구조적 실재론이 말하는 ‘구조’의 개념을 포섭할 수 있음을 보이려 했다. 하지만 구조적 실재론을 포섭하려는 이와 같은 구성적 경험론의 시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에서 실패할 수밖에 없다. 첫째, 구성적 경험론은 여전히 ‘기적을 거부하는 논증(No Miracle Argument)’의 요구를 회피할 수 없는 반면 구조적 실재론은 그렇지 않다. 둘째, 과학사적 사례 연구에 의하면, 인식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은 기초적인 과학의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기능하는 반면 구성적 경험론은 그러한 기능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인식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은 반실재론적 입장에 위치한 구성적 경험론과는 분명하게 구분되며, 이는 구성적 경험론에 비해 상대적인 우월성을 지니는 형이상학적 연구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리얼리즘’의 가능성 연구: 신형상 미술에서 제기되는 리얼리티의 양식화 문제

        김영호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문화 Vol.0 No.19

        Since the mid-1970s, a new genre of fine art has emerged; it was called figurative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n the context of realism, the possibility of the figurative art settled as a genre reflecting the phenomena of our time beyond a collective art trend. As is well known, 'realism' in the visual art has been defined as 'an attitude and means of art attempting to represent and describe the objective reality as it is.' The disputes surrounding the realism have unfolded through the discourse about the concept of 'reality' and the means of its expression, while having always been centered on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real,' 'being,' 'fact,' 'truth,' 'essence,' 'actuality' etc. In the case of fine art, a critical realism emerged in France in the 19th century; it aimed at 'expressing the history and reality in a true and objective way. Since then, realism has mutated into, or branched off, Socialism Realism, Surrealism, Nouveau Realisme, Hyper-realism, Photo-realism, Realisme Fantastique, and the like. At last, the theories of hyper-reality and simulation put forwarded by Jean Baudrillard in the early 1980s demolished the concepts and interpretations about the conventional actuality and images fundamentally, upholding the ecosystem of the realism art to a dimension quite different from before. Thus, if the nature of art could be defined as incessant meditative activities for the changing reality and being, it can hardly be doubted that the theme 'what is realism' would continue to be discussed. The reason why a new potential of realism should be discussed is that we believe realism would b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for our future in today's reality when definitions and the order of modernity are being overcome anew in our Korean art history. Such efforts are in line with the new discourse about realism among the art critics in Asia. A new possibility of realism may be found in the belief that the concept of reality can be accommodated in a more expanded system of aesthetics. 이 논문은 197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새로운 형상미술이 하나의 집단적 경향 차원을 넘어 시대상을 반영하는 양식으로의 정착 가능성을 리얼리즘의 문맥에서 고찰하려는 것이다. 주지하듯 시각예술의 영역에서 리얼리즘이란 ‘객관적 현실을 가능한 한 충실하게 재현·묘사하려는 태도와 창작방식’으로 정의되어 왔다. 리얼리즘에 대한 논쟁은 ‘리얼리티’의 개념과 그 표상방식을 둘러싼 담론을 거치며 진행되었고 리얼리티 논쟁의 중심에는 언제나 실재(real), 존재(being), 사실(fact), 진실(truth), 본질(essence), 현실(actuality)과 같은 철학적 개념들이 혼재되어 있었다. 미술의 경우 19세기 프랑스에서 등장한 비판적 리얼리즘이 ‘시대와 현실을 진실하고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으며 하나의 미술양식으로 출발한 이래, 사회주의 리얼리즘, 쉬르 레알리즘, 누보 레알리즘, 하이퍼 리얼리즘, 포토 리얼리즘, 레알리즘 판타스틱 등으로 변태와 분화를 계속해 왔다. 급기야 1980년대 초, 장 보드리야르가 내놓은 하이퍼리얼리티와 시뮬라시옹 이론은 기존의 실재와 이미지를 둘러싼 개념과 해석방식을 근본적으로 해체시키면서 리얼리즘 미술의 생태계를 전과 다른 차원으로 옮겨놓고 있다. 이렇듯 예술의 본성이 변화하는 현실과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의 활동이라 정의할 수 있다면 리얼리즘 논의는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주제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리얼리즘의 새로운 가능성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한국미술에서 근대에 대한 정의와 질서가 새롭게 극복되기 시작하는 오늘의 현실에서 미래를 위한 대안의 하나로 제시될 수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력은 최근 아시아 지역의 평론가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는 새로운 리얼리즘 담론과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 리얼리즘 양식의 새로운 가능성은 리얼리티의 개념이 보다 확장된 미학체계에 수용될 수 있다는 신념에서 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방기(1945∼1950) 북한 문학의 “고상한 리얼리즘” 논의의 전개 과정 고찰 -『문화전선』, 『조선문학』, 『문학예술』 등을 중심으로

        오태호 ( Tae Ho Oh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6 No.-

        본고는 해방기 북한문학의 창작방법론을 조망할 수 있는 『문화전선』(1946. 7∼1947. 8) 5권, 『조선문학』(1947. 9/1947. 12) 2권, 『문학예술』(1948. 4∼1950. 7) 19권을 통해 ``고상한 리얼리즘``의 전개과정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 성과들이 안막, 안함광, 한효 등 몇몇 이론가의 특정한 텍스트만을 대상으로 ``고상한 리얼리즘``의 확정 과정을 검토하고 있다면, 본고는 ``고상한 리얼리즘`` 이전과 이후를 조망하기 위해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1946. 3. 25)``의 기관지를 검토함으로써 더욱 입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고상한 리얼리즘``은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투쟁을 통해 인민 대중들을 긍정적으로 교양하려는 목적으로 1946년 말에 제기되면서 북한 문학의 도식주의적 성향의 시발을 알린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1947년 김일성의 신년사와 더불어 동년 1월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제1차 확대상임위원회``의 결정에서 ``고상한 사상성``과 ``고상한 예술성``을 천명한 뒤, 한국전쟁 무렵까지 북한문학의 창작방법론으로 공식화된다. 이때 ``고상한 리얼리즘``은 긍정적 주인공론에 기초한 혁명적 낭만주의로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가까운 창작방법론으로 인식된다. 이렇듯 ``고상한 리얼리즘``은 전쟁 이후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 고정되면서 해방기에 북한 유일의 창작 방법론으로 규정된다. 해방기에 북한문학의 담론적 지침이 획일화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결론적으로 『문화전선』 창간호부터 이어진 북한의 ``새로운 창작방법론``의 모색이 ``혁명적 로맨티시즘→고상한 리얼리즘(+혁명적 로맨티시즘)=→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의 전개과정을 담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This paper concretely and empirically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nobel realism`` through 『Cultural Front line』(July 1946∼Aug. 1947) 5 volumes, 『Joseon Literature』(Sep. 1947∼Dec. 1947) 2 volumes, and 『Literary Arts』(April 1948∼July 1950) 19 volumes, which enable us to foresee creation methodology of North Korean literature during Liberation period. If it is said that existing study results looked into definitive processes of ``noble realism`` with only certain texts of a few theorists such as An Hamgwang, Han Hyo, etc., this paper can be said to have had more three-dimensional accesses by examining the bulletins of BukJoseon Literature & Arts Total Union (March 25, 1946) to foresee trends before and after ``noble realism``. ``Noble realism`` seems to have been proposed in the end of 1946 for the purpose of positively reforming the populace through heroic struggle and is evaluated to have started schematic trends of North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together with New Year`s message of Kim Ilseong in 1947, ``Noble Idealism`` and ``Noble Artistry`` was publicly notified according to decision of ``The first standing committee of BukJoseon Literature & Arts Total Union``, the realism becomes public as creation methodology of North Korean literature to around the Korea War. At that time, ``noble realism`` is realized as revolutional romanticism based on positive heroism and as creation methodology close to social realism. Like this, ``noble realism`` is prescribed as the only North Korean creation method during Liberation period as it is established as ``Social realism`` after the war. It analyzed the process in which discursive guideline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re unified during Liberation period and, in conclusion, North Korean creation process handed down from includes 『Culture Front Line』 first issue includ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volutional romanticism→noble realism(+revolutional romanticism)=→social realism``.

      • KCI등재

        해방기(1945~1950) 북한 문학의 ‘고상한 리얼리즘’ 논의의 전개 과정 고찰 - 『문화전선』, 『조선문학』, 『문학예술』 등을 중심으로

        오태호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6 No.-

        This paper concretely and empirically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nobel realism' through 『Cultural Front line』(July 1946~Aug. 1947) 5 volumes, 『Joseon Literature』(Sep. 1947~Dec. 1947) 2 volumes, and 『Literary Arts』(April 1948~July 1950) 19 volumes, which enable us to foresee creation methodology of North Korean literature during Liberation period. If it is said that existing study results looked into definitive processes of 'noble realism' with only certain texts of a few theorists such as An Hamgwang, Han Hyo, etc., this paper can be said to have had more three-dimensional accesses by examining the bulletins of 'BukJoseon Literature & Arts Total Union (March 25, 1946) to foresee trends before and after 'noble realism. ‘Noble realism’ seems to have been proposed in the end of 1946 for the purpose of positively reforming the populace through heroic struggle and is evaluated to have started schematic trends of North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together with New Year's message of Kim Ilseong in 1947, 'Noble Idealism' and 'Noble Artistry' was publicly notified according to decision of 'The first standing committee of BukJoseon Literature & Arts Total Union', the realism becomes public as creation methodology of North Korean literature to around the Korea War. At that time, 'noble realism' is realized as revolutional romanticism based on positive heroism and as creation methodology close to social realism. Like this, ‘noble realism’ is prescribed as the only North Korean creation method during Liberation period as it is established as 'Social realism' after the war. It analyzed the process in which discursive guideline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re unified during Liberation period and, in conclusion, North Korean creation process handed down from includes 『Culture Front Line』 first issue includ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volutional romanticism→noble realism(+revolutional romanticism)=→social realism’. 본고는 해방기 북한문학의 창작방법론을 조망할 수 있는 『문화전선』(1946. 7~1947. 8) 5권, 『조선문학』(1947. 9/1947. 12) 2권, 『문학예술』(1948. 4~ 1950. 7) 19권을 통해 ‘고상한 리얼리즘’의 전개과정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 성과들이 안막, 안함광, 한효 등 몇몇 이론가의 특정한 텍스트만을 대상으로 ‘고상한 리얼리즘’의 확정 과정을 검토하고 있다면, 본고는 ‘고상한 리얼리즘’ 이전과 이후를 조망하기 위해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1946. 3. 25)’의 기관지를 검토함으로써 더욱 입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고상한 리얼리즘’은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투쟁을 통해 인민 대중들을 긍정적으로 교양하려는 목적으로 1946년 말에 제기되면서 북한 문학의 도식주의적 성향의 시발을 알린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1947년 김일성의 신년사와 더불어 동년 1월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제1차 확대상임위원회’의 결정에서 ‘고상한 사상성’과 ‘고상한 예술성’을 천명한 뒤, 한국전쟁 무렵까지 북한문학의 창작방법론으로 공식화된다. 이때 ‘고상한 리얼리즘’은 긍정적 주인공론에 기초한 혁명적 낭만주의로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가까운 창작방법론으로 인식된다. 이렇듯 ‘고상한 리얼리즘’은 전쟁 이후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 고정되면서 해방기에 북한 유일의 창작 방법론으로 규정된다. 해방기에 북한문학의 담론적 지침이 획일화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결론적으로 『문화전선』창간호부터 이어진 북한의 ‘새로운 창작방법론’의 모색이 ‘혁명적 로맨티시즘→고상한 리얼리즘(+혁명적 로맨티시즘)=→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의 전개과정을 담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 KCI등재

        유치진의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과<목격자> 공연

        김재석 한국극예술학회 2021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1

        이 논문에서는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을 통해 유치진의 1930년대 후반기 리얼리즘 연극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의 모호성에 대한 당대 예술인들의 비판과 유치진의 대응, 그리고 <목격자> 공연에 주목하였다. 유치진은 <춘향전>(1936)을 공연하면서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이라 주장 했으나, 여타 극단이 공연한 <춘향전>의 낭만성과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춘향전>의 각색 의도에 나타난 바를 종합해보면,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작품이 지녀야 할 조건의 첫째는 이상을 추구하는 의지적 주동인물의 존재이며, 둘째는 느슨한 인과관계에 의한 극 전개, 셋째는 이상적 결과의 제시 의한 낭만성 부각이다. <춘향전>을 공연할 당시 유치진은 “이런 것이 존재 될 수 있는지 없는지 나는 모릅니다”라고 밝힐 정도로 리얼리즘과 로맨티시즘의 결합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그는 리얼리즘과 로맨티시즘의 관계에 대한 임화의 설명을 차용함으로써 이론의 모호한 부분을 메우려 하였다. 그러나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의 실체를 <춘향전>으로 분명하게 보여주지 못한 탓에 유치진에 대한 비판이 계속 이어졌다. 그는 ‘리얼리즘의 심장’을 강화하는 로맨티시즘 효과를 <개골산>(1938) 창작에서 보여주고자 하였으나, 임화로부터 리얼리즘 연극으로 자격 미달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맥스웰 앤더슨의 <윈터셋>(Winterset)을 <목격자>(1938)로 제목 바꾸어 공연에 착수하면서, 유치진은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의 미국 연극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시각에 따라 <윈터셋>을 분석해보면, 이상을 추구하는 의지적 주동인물인 미오(Mio)가 있고, 인과관계가 느슨한 극 전개와 미리암네(Miriamne)를 위시한 여러 인물들이 죽음을 각오하고 진실을 외치는 이상적 마무리에 의해 작품의 낭만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치진의 <윈터셋>의 충실한 재현을 목표로 공연하지 않았고, 식민지조선의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극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미오와 트록의 대결구도로 극을 단순화 시켰으며 운문 대사를 버리고 산문 대사로 공연하였다. <목격자>는 불리한 위치에 놓인 자신의 처지를 역전시켜보려는 유치진의 의도에서 공연되었다. 유치진은 사코-반제티 사건과 연계성을 가진 리얼리즘 연극 <윈터셋>을 선택하여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작품의 지향점을 평론가들이 알게 하였다. 그 후 사코-반제티 사건을 지우고 자신의 의도에 맞추어 연출된 <목격자>의 공연을 통하여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은 본래 대중성이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그들이 인정하게 만들었다. 유치진의 기획 의도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목격자> 공연은 1930년대 후기 유치진 리얼리즘 연극이 자가당착에 빠져 새로운 길을 모색할 동력을 상실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치진이 자가당착의 상태에 놓이게 된 것은 연극대중화 전략의 변화에 따라 리얼리즘 연극의 소재를 바꾸는 방식으로 창작을 지속 해온 결과이다. 그가 지키겠다고 강조하고 있는 ‘리얼리즘 연극 창작’과 연극 대중화를 위한 그의 ‘공연우선주의’는 상호 충돌할 수밖에 없는 이질적 입장이다. <윈터셋>은 사코-반제티 사건이 발생하게 된 문제의 근원과 사회적 치부를 직시하는 작가의 리얼리즘 정신...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Yoo Chijin's realism plays in the late 1930s through romanticism based on realism. To this end, the focus is on the contemporary artists' criticism on the ambiguity of romanticism based on realism, Yoo Chijin's response and the performance of MokgyeokjaWhile performing Chunhyangjeon(1936), Yoo Chijin claimed that it was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but he failed to explain clearly how it was different from Chunhyangjeon performed by other theater companies. To sum up what appeared in his intention of adapting Chunhyangjeon, the first of the conditions that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must have is the existence of a willing protagonist who pursues ideals,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the play by loos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third is the emphasis on romantic nature by presenting the ideal results. At the time of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Yoo Chijin lacked an understanding of the combination of realism and romanticism to the extent that he said, "I don't know if it could exist or not." He tried to fill the ambiguity of the theory by borrowing Im Hwa's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sm and romanticism. But the criticism on Yoo Chijin continued because the substance of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was not clearly shown in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He wanted to show the romanticism effect that reinforces 'the heart of realism’ with Gaegolsan (1938), but was criticized by Im Hwa for lacking qualifications as a realism play. As Yoo Chijin changed the title of Maxwell Anderson's Winterset to Mokgyeokja (1938) and embarked on the performance, he explained that it was an American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Analyzing Winterset according to his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the romantic nature of the work is highlighted by the willing protagonist of pursuing ideals, Mio, the development of a play with a loos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ideal finish of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Miriamne, preparing for death and shouting the truth. He did not perform Winterset with the aim of its perfect reproduction ; he simplified the play by the confrontational plot between Mio and Troc, discarded the verse lines and used prose lines in the performance. Mokgyeokja was performed with the intention of Yoo Chijin to try to reverse his unfavorable position. Yoo Chijin selected the realism play, Winterset which is linked to the Sacco and Vanzetti Case, to let the critics know the direction of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and made them admit that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its original popularity through the performance of Mokgyeokja which erased the Sacco and Vanzetti Case and was directed to fit his intention. Although Yoo chijin's intention to plan was successful, the performance of Mokgyeokja showed that his realism plays of the late 1930s lost its momentum to seek a new path due to self-contradiction. The reason why Yoo Chijin was in a state of self-contradiction was that he had continued to create in a way that varied the material selection of realism play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strategy of theater popularization. His emphasis on 'creating realism plays' and his 'performance first principle' for the theater popularization were inevitably heterogeneous positions in conflict. Winterset is the work where the author's realism spirit is alive, facing the roots of the problem that led to the Sacco and Vanzetti Case and the social disgrace. Yoo Chijin was well aware of the fact, but he, who was immersed in the performance first principle position, did not have the courage to return to the problematic subjects of the time and fight against censorship. In the end, Yoo Chijin ended the 1930s without finding a way other than giving up his creative work.

      • KCI등재

        16-7세기 서양 교육사상 탐구 경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 휴머니즘과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한기철 ( Gi Cheol Han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6 No.-

        이 논문은 16-7세기 서양교육사상의 흐름을 세 단계 리얼리즘의 단계적 발전 과정으로 서술하고 있는 Ellwood P. Cubberley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쓰인 것이다. 논의 대상이 되는 Cubberley의 관점은 다음 네 가지 질문으로 제시된다. 첫째, Cubberley가 16-7세기 교육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리얼리즘`이라는 용어는 어떤 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둘째, 르네상스 이후 교육사상의 흐름을 인문주의적 리얼리즘, 사회적 리얼리즘, 감각적 리얼리즘의 세 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발전해 가는 과정으로 파악하는 것은 올바른 관점인가? 셋째, 16세기 인문주의적 리얼리즘과 사회적 리얼리즘을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상반되는 사상으로 파악하는 것은 올바른 관점인가? 넷째, Johann Amos Comenius로 대표되는 17세기 감각적 실물주의를 16세기 비판적 인문주의자들의 사상을 계승한 것으로 보는 것은 올바른 관점인가? 연구자는 이 네 가지 질문을 차례대로 검토한 후 이 시기 교육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그것은 첫째, Cubberley가 인문주의적 리얼리즘, 사회적 리얼리즘으로 분류한 John Milton이나 Michel de Montaigne 등의 사상은 르네상스 인문주의와의 단절 위에 새로 시작된 사상이 아니라, 넓게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사상적 테두리 속에 포섭될 수 있는 사상이라는 것과 둘째, Cubberley가 감각적 리얼리즘이라고 지칭한 Comenius의 사상은 인문주의적 리얼리즘과 사회적 리얼리즘이 발전해서 형성된 사상이라기보다는 그것과 계통을 달리 하는 사상적 흐름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논문의 말미에서 연구자는 이 두 가지 관점을 발전시키기 위한 과제로서 국내 교육학계에서 르네상스 인문주의에 대한 보다 철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과 Francis Bacon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This essay critically investigates the way in which Ellwood P. Cubberley describes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16th and the 17th century Europe in his renowned book, The History of Education published in 1948. Cubberley`s points examined are formulated as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First, what does the term `realism` that Cubberley uses to explain the 16th and the 17th century educational ideas exactly mean, in what way is it used by him? Second, is it the right way to see the movement of the 16th and the 17th century educational ideas as a gradual progress or development of three stages as Cubberley does-humanistic realism, social realism, and sense realism? Third, is it right to regard `humanistic realism` and `social realism` as opposed to renaissance humanism? And fourth, is it right to regard the 17th century `sense realism` represented by Jahann Amos Comenius as one that succeeded to the ideas of the 16th century critical humanists? These four questions are investigated in order and then the author proposes an alternative view for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ideas of these centuries. It is firstly that the ideas of John Milton and Michel de Montaigne and others that are classified by Cubberley as humanistic realism and social realism respectively are not so much new ideas separated from the renaissance humanism as those that can be subsumed in the category of renaissance humanism; and secondly that the ideas of Comenius that Cubberley calls `sense realism` is not so much an idea that succeeded and developed humanistic realism and social realism as that which should be regard as one that developed in a different tradition from those `realisms`. At the end of the essay, the author suggests that in order to develop this new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deeply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renaissance humanism and further the ideas of Francis Bacon more syste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