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대 출판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윤세민(Yun, Se-Min)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1

        이 논문은 (사)한국출판학회의 학회지로 2000년에서 2009년까지(통권 42-57호) 발행된 『한국출판학연구』를 중심으로 2000년대 출판학 연구의 동향과 향후 전망에 대해 논술하였다. 본 연구자는 출판학의 대상과 분류를 ①출판이론, ②출판역사, ③출판교육·미디어교육, ④출판생산, ⑤출판유통, ⑥출판수용, ⑦출판상황과 환경, ⑧출판산업과 경영, ⑨출판 법제와 윤리, ⑩전자출판과 뉴미디어, ⑪신문잡지 및 기타 매체론, ⑫국제출판 등 총 12가지 분류로 새롭게 완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의 장단점을 분석·차용하고, 가능한 출판의 학문적, 실천적 영역을 동시에 고려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 할것이다.위의 분류에 따라 2000년에서 2009년까지(통권 42-57호) 발행된 『한국출판학연구』에 수록된 논문들의 출판학 분류별 구성은 몇몇 분야를 제외하고는 분야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 구성 비율은 위에서부터 신문잡지 및 기타 매체론(14.3%)-국제출판(14.3%), 출판상황과 환경(12.1%), 출판수용(11.5%), 전자출판과 뉴미디어(11.0%), 출판생산(7.7%)-출판산업과 경영(7.7%)-출판역사(7.7%), 출판교육.미디어교 육(5.0%), 출판이론(3.8%), 출판유통(2.7%), 출판법제와 윤리(2.2%) 순으로 나타났다.향후 출판학 연구는 학회와 연구자 차원에서 대담한 개혁 의지가 없다면 2000년대 연구 동향을 기반으로 큰 변화 없이 흐를 것으로 전망된다. 즉, 신문잡지 및 기타 매체론,국제출판, 출판상황과 환경, 출판수용, 전자출판과 뉴미디어 분야 등이 연구를 주도해 나 갈 것이며, 출판이론, 출판유통, 출판법제와 윤리 등의 분야는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판학 연구는 위의 동향과 특성 분석 결과에서 보듯, 그 동안 출판학의 외연과 양적 연구 역량은 크게 발전해 왔지만, 정작 출판학 정립과 정체성 수립에는 적잖은 과제를 노정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학회와 연구자들은 이를 속히 개선해 출판학 연구의 진정한 정립과 발전을 꾀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d the trend and prospective in Publishing science from 2000 to 2009(Vol.42-57) focused on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in the journal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As a researcher, I newly completed the objects and classification of publishing science by way of 12 classifications:①Publishing theory ②Publishing history ③ Publishing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④Publishing production ⑤Publishing distribution ⑥Publishing demand ⑦Publishing condition and environment ⑧Publishing industry and management ⑨Publishing law system and ethics ⑩Electronic Publishing and New Media ⑪News, Magazine and other media ⑫International Publishing.It is analyzed and derived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had good and bad things. As a result, it will have new meaning in publishing considered practical as well as academic point of view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above classification, the publishing science component ratio by the papers of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from 2000 to 2009(Vol 42-57) showed as having a pretty even distribution except some fields.The component ratio showed from the high - News, Magazine and other media(14.3%)-International Publishing(14.3%), Publishing condition and environment (12.1%), Publishing demand(11.5%), Electronic Publishing and New Media(11.0%) Publishing production(7.7%)-Publishing industry and management(7.7%)- Publishing history(7.7%), Publishing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5.0%), Publishing theory (3.8%), Publishing distribution(2.7%), Publishing law system and ethics(2.2%). Upcoming Studies of Publishing Science is forecasted without big changes from the viewpoint in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years 2000 if the publishing science society and researchers didn't have great resolution to make a new change. In other words, the researches like News, Magazine and other media, International Publishing, Publishing condition and environment, Publishing capacity, Electronic Publishing and New Media will lead, whereas Publishing theory, Publishing distribution, Publishing law system and ethics will have a tough time in the upcoming. As the above analysis of Studies on Publishing Science trend and the result of characteristics indicated, the appearance of Publishing and quantitative study capability has made greatly progress in the meanwhile. Both the establishment of publishing and identity founding are also needed. Therefore the publishing science society and researchers will try to develop the establishment of publishing and identity founding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Reference Accuracy: Authors’ , Reviewers’ , Editors’ , and Publishers’ Contributions

        Edward F. Barroga 대한의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12 No.12

        Scientific authors are responsible for the accuracy of their writings and references to others’works. However, relying on authors is not enough when it comes to processing theirmanuscripts. Joint efforts of authors, peer reviewers, editors, and publishers throughoutthe publishing process may prevent most reference errors. This article analyzes essentialaspects of bibliographic management and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validatingreferences by all stakeholders of scholarly publishing.

      • KCI등재

        근대 일본에서의 조선어회화 학습 열기

        성윤아(Sung, Yu-na)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일제 강점기에 많은 조선인들이 ‘동화 교육’의 일환으로 원하든 원치 않든 일본어를 배웠으며, 이 중심에는 ‘조선어 박탈’과 ‘일본어 습득의 강요’가 있었다. 이로 인해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언어 정책을 언급 할 때에 ‘일본어의 강요’ ‘조선어 말살’이 부각되어 다루어져 왔으며, 그에 묻혀 일본어를 강요한 일본인들이 조선어를 배웠다는 사실은 의외로 알려져 있지 않다. 현대 우리가 공부하는 비즈니스 영어, 중국어, 일어와 같이, 청일전쟁, 러일전쟁 등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 있을 때마다 우리말을 배우려는 일본인들의 수요에 맞추어 급기야 ‘조선어 회회서 붐’이라 불리 울 만큼 ‘조선어 회화서’의 출판이 급증하기에 이른다, 근대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회화서는 시대적, 정치적 변화에 따라 발행건수, 목적, 내용, 학습 대상 등에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1800년대 들어서 많은 조선어회화서는 무역, 상업, 외교 등 실리와 경제적인 것을 위한 것이었으나 일본에서 일었던 조선어 붐은 대륙진출을 목적으로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시 군인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전쟁을 유리하게 이끄는 것을 주목적으로 출판되었다. 한일 합방 이후, ‘문화정치’가 시작되면서 조선인들이 의무적으로 일본어를 배우게되면서부터 일본인들에게 조선어를 배울 필요성이 줄어들다가 다시금 관료나 경찰관을 중심으로 조선어 학습이 열기를 띄게된다. 그러나 당시 관료들 사이에 일어난 조선어 붐은 그 주체가 관주도에 의한 조선 총독부 관리, 경찰관, 교원 등에 극히 한정적이었으며 승진과 수당, 합리적인 통치를 위한 것이었다. 다시 말해 조선어회화 붐의 실체는 오늘날의 한류 붐과는 달리 조선 문화를 배우고 조선인을 알고 조선인들로부터 이해받기 위한 것이 아닌 통치 정책의 철저, 치안 유지를 위한 유용한 수단이 최우선하고 있었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그 조선어회화 붐의 목적을 ‘통치정책의 철저, 치안 유지를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했다’라고 일축하기엔 문제점 또한 따른다. 왜냐하면 조선어회화서의 본문 내용 등에 나타나는 실태에는 ‘조선어의 학습 목적이 조선 문화를 배우고, 조선인을 알고, 조선인과 상호 이해를 추구하기 위한’ 사실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In Korea, colonial rule under Japan, many people needed to learn Japanese whether they wanted to learn or not. Japan needed to do the two policies the “Impose to Learn Japanese” and “Obliteration of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Assimilation Policy.” However, there is an another hidden fact that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excitedly. Therefore many Korean books were published. Many Korean phrase books had shown the various contents from time to time. During 19th century, many of them were used diplomatically & economically. However, eventually, “Korean Phrase Book Boom” was only for entering the Asia and lead the Russo-Japanese War and Shino-Japanese War into their favorable way for military use. “Korean Boom” decreased with the beginning of colonial rule, but “Korean Boom Again” at Korean peninsula in 1920’s was only for the ruling of Korea. This “Korean Boom” is different from currently “Han-Ryu (韓流)” that people are learning the Korean to understand the others. However we cannot say that “Korean Phrase Book Boom” was only for the political usage, it is also telling us that “The aim for Korean studying is to understand and learn the Korean and Korean culture, also keep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in the body of the book.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출판학 연구 동향과 특성 : 한국출판학연구를 중심으로

        김문기,이장석 한국출판학회 2024 한국출판학연구 Vol.50 No.1

        디지털 출판 콘텐츠, AI 출판 등 진화하는 IT기술이 출판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이를 대비해 출판학 분야에 대한 연구 성과물을 정리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출판학연구에서 출간한 459편의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제목, 초록, 키워드를 수집하여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 발전과 환경 변화, 출판물 수용 고찰, 출판 산업의 내부적 역량고과 활용, 출판 분야 교육의 네 개 토픽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2010년 이전은 초기 디지털 전환 산업 환경 변화, 출판 산업 현황, 출판물 수용 변화와 대응이라는 세 개의 토픽이, 2010년 이후는 디지털 전환 산업 환경 변화, 출판물 수용 변화와 대응, 출판 분야 교육, 출판 산업 현황이라는 네 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출판학연구에서 비중 있게 다뤄진 주제들이 무엇인지를 밝혔다는 점, 출판산업계에 보다 실무적 관점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주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evolving IT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publishing content and AI publish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ublishing industr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olidat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ublishing studies and provide direction to cope with these chang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topic modeling analysis on 459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n publishing studies, collecting titles, abstracts, and keywords. The analysis revealed four topics: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environmental changes, reflections on publishing acceptance, utilization of internal capabilities and assessments in the publishing industry, and education in the publishing field. Prior to 2010, three topics emerged: initial digital transformation, changes in the industry environment, and responses to publishing acceptance changes. After 2010, four topics emerged: digital transformation, changes in publishing acceptance and response, education in the publishing fiel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ublishing industry. The research results shed light on the significant topics addressed in Korean publishing studies and suggest the need for research topics that provide more practical insights for the publishing industry.

      • KCI등재

        중국 출판 관련 연구경향 분석

        황민선(Hwang Min Sun) 한국출판학회 2016 한국출판학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한국내에서 이루어진 중국 출판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연구주제는 출판이론과 출판산업, 국제출판 분야라 할 수 있으며, 출판교육에 대한 연구가 가장 적게 이루어졌다. 이중 중국출판이론에 대한 연구는 중국학이나 중국문학 전공 학자들에 의해 많이 이루어졌으며, 중국 출판 산업 분야와 국제출판 연구 분야는 출판학 전공자들에 의해 대부분 이루어졌다는 특징이 있다. 연구 유형별로는 학위논문이 17편, 학술지 논문이 57편이었으며, 석사학위의 경우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국내 중국 출판 연구 수록 학술지는 총 21개였으며 그 중 가장 많은 중국 출판 관련 논문이 실린 학술지는 <한국 출판학 연구>였다. 이와 같이 <한국 출판학 연구>는 중국 출판 연구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학술지이다. 그러나 학술지 주제분야 분류로 보면, 인문학 분야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 32편이었으며, 특히 ‘중국어와 문학’ 분야의 학술지에 많은 수의 중국 출판 관련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는 출판학이 학제간 학문임을 방증하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해당 학회와의 상호 연구 교류가 필요함을 증명한다. 즉 중국 출판학에 대한 연구는 출판학 전공자와 중국학 또는 중국문학 전공자의 공동 연구 또는 상호교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s conducted in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research topics dealt with the most are publication theories, publication industry,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and education on publication is studied the least. Particularly,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theories is mostly performed by majors of sinology or Chinese literature. Also,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industry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is mostly conducted by majors of publishing science. Concerning the types of research, there are 17 dissertations and 57 journals. Masters’ theses are written in many areas related to the majors. There are total 21 journals contained in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in Korea, and the journal containing the most theses related to Chinese publication is <Research on Publishing Science in Korea>. It implies that <Research on Publishing Science in Korea> is a journal equipped with an unrivaled position in terms of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Regarding the topics of journals, however, 32 theses are contained in journals of literature, and particularly, journals of ‘Chinese and Chinese literature’ present a number of theses related to Chinese public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publishing science is one of the interdisciplinary sciences, and it is necessary to exchange studies with the academies. In other words, the result suggests that in research on Chinese publishing science, it is needed to perform collaborative research or mutual exchange among the majors of publishing science, sinology, or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최근 어린이 책 출판 경향과 전망

        조월례 한국문학교육학회 2003 문학교육학 Vol.12 No.-

        Until 1960, 1970, there were foreign classical literatures such as Snow-white, Sogongja, Sogongnye and Pinocchio in Korean Children books market. From 1980, the separate book market appeared early in 1990, picture books were made late in 1990, and the children book market were dramatically widened. On the other side, with the stream of foreign literatures, the bright novels, the sex educational, ghost, horror, humorous, weird, logic stories, writings, creativeness, economy, environmental books and so forth were very fashionable and they were sold like hot cakes. Around 1990, the social an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ies rushed into the children book market and made this circumstance. Hangilsa, Dolbege, Munhak and Jiseongsa and so on, these big publishing companies gave a birth to the side effect of unbalance about the children book market with the high publishing portion of foreign books, but they occupied big portion in domestic children book market with the high quality books. Early in 1990, except Chanbi, there was no famous brand name in the children books, but only in 10 years the children books came up from behind and made there room. It became one of the main body of domestic publishing, still it can not be free from the debate of commercialism with the low development and unbalance. Many readers who visit book stores choose the learning books or books for fun compared with the experts. Readers in country than readers in Seoul are in favor of choosing fashionable books. It is understood as the marketing system in country and the little chance of information about good books. That phenomenon appears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wholesale and retailer markets which circulate good books. Without the change of circulating structure, marketing of good books can not succeed in the market. In recent publishing market, the books for lower grade students occupy big portion. Almost every company makes big effort in the market of lower grader books. It is necessary to make a book market for the children who finished reading picture books and begin letter books, but if the books are made same way, it is not helpful. If you go to books stores on holidays, it is easy to see children who are reading books and over 90% of them are reading cartoon books. The cartoon ranked first in 2001 from the publishing sorts to the total publishing sorts and numbers. The cartoon books of easy explanation about text book, history, economy, science and other fields help children to understand these fields. But there is the limit of these books as there are also disposable books and they are read just for fun. Including learning books, most books are filled with the practical contents such as science, peopler, environment and so on. It is the phenomenon of conveying only intelligence rather than moving people s mind. Borim's traditional scientific series and the Bori's illustration books have significances as they do not depend up on famous writers but give chances to ordinary writers.

      • KCI등재

        출판 트렌드에 따른 표지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의 변화 연구-리커버 북을 중심으로-

        이태영,정형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1

        Design has its influence in all industrial sectors and the publishing market is no exception. Faced with fixed book price system and changes in consumption trend, publishing companies that had focus on the discount marketing are now trying to gain popularity with readers by redesigning book covers. Likewise, reflecting the trend of publishing and book designs and conveying the features and emotions of books, book covers are important factors inducing the purchase of the customers. Purchasing motive of the readers in ages of 20s and 30s who are major customers is also shifting. The proportion of reading for acquiring knowledge is de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reading for leisure time is gradually increasing. The motto of 'YOLO' for young generations who pursue their own easiness and small happiness leads to the trend of value consumption and publishing the re-covered books which reinterpret the cover for a new one. Publication of re-covered book is a major marketing tool for the publishers to develop new customers. The publishers reprint the classics and steady-sellers with renewed covers to appeal the royal customers desiring to possess them. For young generations that have large expenditure for their own worth and standards, books renewed with refined cover design stimulate their desire to own it and make them spend money. Consequentl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over design also transform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customer and the period. This study finds these changes by reviewing the online bookstore Aladdin’s sales rank top 10 in the category of re-covered books. By comparing the ex-published books and the redesigned one, it also finds the variations in design formative characteristics. Book cover design is completed through the ty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ypography, image, color, and layout. Looking through these format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finds the differences and the tendency in cover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latest trend of book cover design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it that attracts consumers. 디자인은 모든 산업분야에서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출판 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도서정가제 실시와 소비 트렌드의 변화로 할인을 통한 마케팅 방식을 이어오던 출판사는 자구책으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표지디자인을 선보이며 독자를 마음을 사로잡고자 하였다. 책의 특성과 감성을 전달하는 표지디자인은 출판 트렌드와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하여 가장 먼저 독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주 고객층인 20~30대의 도서 구매요인에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 지식의 습득을 위한 독서의 비중이 줄고 여유로운 시간 활용을 위한 독서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자신의 여유와 작은 행복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의 ‘YOLO 가치관’은 가치 소비라는 소비트렌드로 이어지고, 리커버 북을 출간하는 출판 트렌드로 만들었다. 출판사에게 리커버 북 출간은 위험부담이 적은 스테디셀러를 중심으로 충성 독자층에게는 소장하고 싶은 욕구를 자극하고, 새로운 독자층을 개발하는 중요한 마케팅 수단이 되었다. 자신의 가치에 소비를 아끼지 않는 세대들에게 다양한 디자인의 소장 욕구를 자극하는 도서는 서슴치 않고 지갑을 열 개 만든다. 그러므로 표지디자인의 조형적 특성도 시대와 독자들의 니즈에 맞게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를 온라인 서점 알라딘의 리커버 북 판매량 순위 1위 ~ 10위까지의 도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리커버 되기 이전에 출간 도서와 리커버 되어 재출간된 도서를 비교하여 디자인 조형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표지디자인은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색채, 레이아웃의 조형적 특성을 통해 완성된다. 조형적 특성을 통해 표지디자인을 변화를 살펴보고 표지디자인의 경향을 파악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표지디자인의 트렌드와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여말선초 문인들의 개인 문집 간행

        옥영정(Ok, Young Jung)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시기에 간행된 개인문집 중에서 현존하고 있는 서적을 대상으로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다룬 것이다. 국내외에 전해지고 있는 한국고서적에 대한 서지학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삼고 그 중에 특히 여말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조사와 함께, 해당 서적에 대한 서지적 평가로 판본을 감정하고 간행시기를 확인해본 것이다. 약 21종에 이르는 여말선초의 문집 현존본의 간행은 주관자의 대부분이 혈연관계에 의한 것이 많으며 문집 상호간에도 저작주체간 관련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집의 간행경향과 인쇄문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초기문집의 현전본이 매우 드물고 그 계통 수립에 필요한 원자료 접근이 매우 제한 되기 때문에 그 구체적 정황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기가 쉽지 않지 만 제한된 여건 속에서 조금씩 진전된 학술적 논의를 위해서라도 새로운 간본을 발굴하고 유형화된 흐름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간(初刊) 문집의 기본적인 문제(범주 설정, 간행시점 고증) 에 관한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1차적 접근을 위한 현존본과 서지적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여말 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과 함께 간행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확인해서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현존본으로 남아 있는 초기 문집의 전승 상황은 연구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bibliographic aspects of existing books among the personal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of the 14th century. Based on a bibliographic study of Korean books and books published in and out of the country, especially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 bibliographic evaluation of the book was conducted to check the edition and check the publication perio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bout 21 kinds of publications of the present Bible were found to be mostly related by blood relations, and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authors. Also, the publishing trends of literature and printing culture are closely related. However, it is not easy to summarize the specific context and present it systematically because it is very rare and the access to the original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system is very limited. However, for the academic discussion which progresses gradually in limited circumstances, and to confirm the flow that was typ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isting bibliographic and bibliographic items for the primary approach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n the basic problems (category setting, publishing point confirmation) of the first periodicals. In order to do th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Goryeo shrine was made, and the contents confirming the period of publication were confirmed and grounds were established. Especially, the status of the early literary works remaining in the existing bibliography can be meaningful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f research.

      • KCI등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게재논문의 경향성에 대한 연구 - 창간호(1997년)로부터 2010년까지 -

        박해모,Park, Hae-Mo 대한예방한의학회 2011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ine and to suggest future perspective for oriental preventive medicine research. Method : The contents of 344 articles published in this journal was reviewed from its beginning year 1997 to year 2010. Result : The number of articles was increased as times go on. An analysis of the research design showed, experimental research (in vivo or in vitro) was 36.9%, survey research was 26.5%, review was 20.1%. In the major classifications of topics published, health management 28.5%, oriental medicine effectiveness 25.3%, herbal safety and toxicity 13.1%, and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9.0% respectively. Conclusion : There has been a lack of health preservation(Yang-saeng) topic, epidemiology and health statistics topic. Further research need qualitative study and each subjects of oriental preventive medicine.

      • KCI등재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박성민(Park, Sungmin),김미진(Kim, Mee Jean),임정하(Lim, Jungha)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국내 학술지 발표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논문 총 96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논문의 발표현황, 연구의 방법론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연구는 2016년과 2017년을 중심으로 2010년대 후반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주로 사회과학분야와 복합학분야에서 수행되었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가 비슷한 비율로 수행되었으며, 경험적 연구는 주로 횡단적으로 접근한 양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문헌자료를 활용한 연구도 많았다.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연구들은 신고의무자와 부모를 포함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소수에 그쳤다. 셋째, 내용적 측면에서 대부분의 연구는 아동학대 유형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하여 다루었으며, 연구내용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과 제도,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을 다룬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예방에 대한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rends in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in South Korea. A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in two databases provided b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Ninety-six published articles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nalyzed.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evaluate trends in the year of publications, methodology, and contents. Majo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rticles on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were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the late 2010s.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social science and convergenc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at a similar rat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mainly as quantitative cross-sectional studies. Most of the studies collected data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dditionally, the number of studies targeting adults including mandatory reporters and parents was higher than those targeting children. The most popular research issues were laws, policies and institutions, and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s. Suggestions are provided as future directions in the study of child abuse pre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