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란드 삼국분할과 영토 분쟁 연구

        김용덕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4 No.1

        The Partitions of Poland or Partitions of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took place in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ended the existence of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The partitions were carried out by the Russian Empire, Kingdom of Prussia, and Habsburg Austria dividing up the Commonwealth lands among themselves. Three partitions took place:The First Partition: August 5, 1772. The Second Partition: January 23, 1793 (in which Austria did not participate). The Third Partition: October 24, 1795. With this partition, the independent nation of Poland ceased to exist. The First Partition of Poland took place in 1772. Growth in the Russian Empire's power, threatening the Kingdom of Prussia and the Habsburg Austrian Empire, was the primary motive behind this first partition. The weakened Commonwealth's land, including that already controlled by Russia, was apportioned among its more powerful neighbors—Austria, Russia and Prussia—so as to restore the regional balance of power in Eastern Europe among those three countries. With Poland unable to effectively defend itself, and with foreign troops already inside the country, the Polish parliament(Sejm) ratified the partition in 1773 during the Partition Sejm convened by the three powers. The Second Partition took place in 1793. The second partition occurred in the aftermath of the War in Defense of the Constitution and the Targowica Confederation of 1792 and was carried out by the Russian Empire and the Kingdom of Prussia. It was ratified by the Polish parliament in 1793. The Third Partition of Poland took place in 1795 as the third and last of three partitions that ended the existence of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16세기에 그 절정기를 맞았던 폴란드는 18세기에 들어와 주변 3대 강국 -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에 의해 3번에 걸쳐 국토가 분할되다 결국 패망하고 말았다. 이것이 저 유명한 폴란드 삼국분할이다. 1772년 3대 강국이 단행한 1차분할 결과 프로이센이 서부에서 36,300㎢(58만 명)에 달하는 지역을, 오스트리아는 남부에서 81,900㎢(265만 명)에 달하는 갈리츠야라 불리는 지역을, 러시아는 동부에서 93,000㎢(130만 명)에 이르는 지역을 차지했다. 모두 합하면 211,200㎢(453만 명) 지역을 상실한 폴란드의 영토가 733,500㎢(1,220만 명)에서 522,300㎢(767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폴란드는 1792년 러시아에 맞서 전쟁을 일으키나 그 결과는 1793년의 2차분할로 귀결됐다. 프로이센과 러시아는 이 분할에서 각각 57,100㎢(100만 명)과 250,200㎢(300만 명)을 차지했다. 폴란드는 2차분할로 307,300㎢(400만 명)에 달하는 지역을 상실하며 이제 겨우 215,000㎢(367만 명)의 영토만을 보유하게 됐다. 1794년에 코시치우쉬코가 일으킨 봉기는 러시아에 의해 진압되고 말았다. 1795년에 3대 강국이 최후의 일격을 가하며 3차분할이 단행됐다. 마지막 분할에서 프로이센이 48,000㎢(100만 명), 오스트리아가 47,000㎢(150만 명), 러시아가 120,000㎢(120만 명)에 달하는 지역을 합병했다. 3차분할 결과 폴란드는 215,000㎢(370만 명) 지역을 상실하며 이후 123년간 유럽 지도에서 사라지게 됐다. 삼국분할 결과 프로이센은 모두 141,400㎢(260만 명), 오스트리아는 128,900㎢(420만 명), 러시아는 463,200㎢(540만 명) 영토를 차지했다.

      • KCI등재

        인도-파키스탄 분단의 기억과 힌두 민족주의

        박금표,이동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論叢 Vol.8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파키스탄 분단 기억의 정치적 활용, 분단참상추모일 제정과 분단 트라우마 치유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분단, INC와 BJP가 제정한 기념일과 기념행사 분석, 분단참상추모일 제정이 분단 트라우마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분석으로, 분단 관련 자료와기존의 연구를 검토하고 관련 뉴스를 분석했다. 분단 결정 이후 현재까지의 담론에서, 분단 요인으로 힌두-무슬림의 갈등과 무슬림연맹의 파키스탄 요구를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힌두와 무슬림의 갈등이 아니라 국민회의와 무슬림연맹의 정치적 갈등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대의제의 도입이 두 단체의 갈등에 큰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인도의 분단은 대의제를 도입한 영국식민지 정부, 소수인무슬림의 정치적 대표성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 무슬림연맹 그리고 무슬림연맹의 우려를이해하거나 포용하지 못한 국민회의의 합작으로 발생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INC 집권기에는 독립 투쟁, 국가 발전을 주요 키워드로 기념일을 제정했다. BJP 집권기에는 INC 정부에서 주목받지 못한 인물이나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기념일을 제정하고 분단참상추모일을 제정함으로써 힌두민족주의 정당으로서의 BJP의 정체성을 드러냈다. 비록 기념일 제정의 키워드는 다르지만, 역사적 기억의 정치화를 통해 각 집권당의 정체성을 드러낸 양상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INC는 분단참상 기억을 외면했으나 BJP는 분단참상추모일을 제정했다. 이는 분단참상 트라우마 치유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국가적 차원의 트라우마는 가해자와 피해자쌍방의 반성과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분단 트라우마를 치유하려는 진정성을 담고 있는 추모일 제정이라면, 파키스탄이나 INC를 탓하기보다는 참상을 겪은 인도-파키스탄쌍방 소통을 전제로 해야 한다. 그러한 전제가 없는 분단참상추모일 제정은 치유보다는오래된 상처를 악화시켜 오히려 갈등을 부추길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use of the memory of the India-Pakistan partition, the establishment of Partition Horrors Remembrance Day, and the possibility of healing trauma resulting from the parti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partition as a historical event, examines the anniversaries and commemorative events established by the INC and BJP, and assesses the impact of the establishment of Partition Horrors Remembrance Day on the healing of trauma resulting from the partition.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literature analysis, and it reviews related data, existing studies, and analyzes relevant news. Both the discourse immediately after the partition and the BJP’s discourse point to the Hindu-Muslim conflict and the Muslim League’s demand for Pakistan as factors in the partition. However, the primary factor is not the Hindu-Muslim conflict but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Indian National Congress and the Muslim League during the time leading up to the partition. The introduction of a representative system played a major role in the conflict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the partition of India-Pakistan was caused by a collaboration between the British colonial government which introduced a representative system, the Muslim League which was concerned about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Muslims as a minority, and the Indian National Congress which failed to understand or embrace the concerns of the Muslim League. During the INC period, anniversaries were established with the main keywords of independence struggle and national development. During the BJP’s years in power, its identity as a Hindu nationalist party was revealed by establishing anniversaries centered on figures or historical events that were not noticed by the INC government and Partition Horrors Remembrance Day. Although the keywords of the establishment of anniversaries are different, it is the same that each ruling party has revealed its identity through the politicization of historical memory. The INC ignored the memory of the tragedy of partition, but the BJP established Partition Horrors Remembrance Day. This could be a turning point in healing trauma resulting from the tragedy of partition. Trauma at the national level must be premised on reflection and agreement between both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If it is a memorial day that aims to sincerely heal the trauma of partition, it should be premised on communication between India and Pakistan, both of which suffered the devastation, rather than placing blame on Pakistan or the INC. It should be noted that establishing Partition Horrors Remembrance Day without such a careful premise may exacerbate old wounds and promote conflict instead of fostering healing.

      • KCI등재

        공유토지분할에 관한 특례법 제20조 제1항에 대한 위헌론 - 법체계적 정합성과 입법재량의 한계를 중심으로 -

        이상천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28 No.2

        Even though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artition of Co-Owned Lands” has been focusing at assist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from its aggregate building sites through simplifying the procedure of partition of co-owned lands, the procedure of partition of co-owned lands hardly could have been done through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artition of Co-Owned Lands” This article is to look over the accordance in legal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violation of constitutional law. It commands that the issue to institute objection to the decision of cancelation of commenc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should be solved only between the two sides(the applicant and all the others co-owned of lands). But it is impossible to seize the legality of fixing all the dependents concerned with its aggregate building sites, eventually the applicant side hop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have no way to execute just the partition. In fact, the decision of cancelation of commenc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has the character of disposal as object of administrative appeal, thus the legal system of appeal should satisfy all the above situation. By the way, according to the above Article 20(1)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artition of Co-Owned Lands’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is not the eligible dependent in the legal appeal issued by the applicant side, and it need not participate in the legal issue. The legal issue is treated only between the applicant side and all the other co-owned lands. The applicant should bear all the bad(?) and all the burdens occurred, for there is no way of appealing to the court. The co-owned members of its aggregate building site is so big in number, the applicant is not able to(not able to do… what?) all the persons concerned with co-owned lands. The above Article 20(1) should be revised into the form which says the applicant should appeal to the court directly to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calling for the cancellation of ‘cancellation of commenc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All the others of co-owned lands could join in the legal issue between the two parties. 공동주택부지와 공유로 되어 있을 경우 분할을 원하는 신청자는 그 분할이 쉽지 않았다. 세금관계, 증‧개축 및 신축 등의 관계 등 많은 법률적 관계에서 불편을 느껴왔지만 언제나 공유토지로 남아 있을 뿐이었다. 이에 대한 민원이 쇄도하자 정부는 공분할특법을 개정하여 공유토지분할의 획기적 촉진을 목적으로 2014년 법개정을 단행하였지만 동법개정은 마음먹은 대로 그다지 공유토지분할의 촉진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쉬운 말로 유치원부지는 그대로 대규모아파트단지의 부지와 공유관계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그 공유토지분할 촉진을 가로막는 실질적 장애로 남아 있는 조항인 공분할특법 제20조 제1항에 대한 법체계적 정합성을 따져 보고 위헌성을 살펴보게 되었다. 동조항은 한마디로 합의제행정청인 공유토지분할위원회가 내린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의 취소에 대한 불복은 분할신청인과 나머지 공유자들 전원 사이의 필수적 공동소송으로 해결하라는 것이다. 대규모아파트단지의 경우 필수적 공동소송을 철저한 피고를 망라하여 그 당사자 확정면에서의 적법성을 확보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므로 결국 분할신청인에게는 공유토지분할위원회의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의 취소에 대한 그 법적 불복수단은 없는 셈이 되는 것이다. 공유토지분할위원회의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의 취소는 공분할특법에 의한 분할절차상의 이익이라 할 공법적 이익을 박탈하는 것으로서 공유토지분할신청인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명백히 처분적 성질을 띠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불복소송은 항고소송이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공분할특법 제20조 1항은 그 불복소송을 공유자들 사이의 민사소송으로 규정하고 합의제행정청인 공유토지분할위원회 자체는 전혀 법적 당사자적격을 부인하여 자기가 내린 결정에 대하여 전혀 책임을 지지 않는 입법으로, 그로 인해 분할신청인은 평등권, 재판청구권 등을 본질적으로 침해받았다고 할 정도의 것이어서 법체계적 정합성을 갖추지 못하였고 입법재량의 한계도 넘어섰다고 할 수밖에 없다. 개선입법으로는 우선 공분할특법 제20조 1항상 그 불복수단으로는 공유토지분할위원회에 의한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의 취소를 처분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그 취소를 구하는 것으로 하되 그 소극적 당사자는 당연히 합의제행정청인 공유토지분할위원회로 개정하는 안을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동항이 말하는 나머지 공유자들은 그 소송에서 보조참가나 독립당사자참가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된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가사 그런 안이 아니라면 불복을 비송사건절차법으로 처리하는 방안이다. 이것이 공분할특법상의 분할절차에 의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관해 법원의 판단을 받아 보는 법적 수단을 분할신청인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자연스레 분할신청인의 재판청구권의 보장 문제도 해결되어지는 것이다.

      • KCI등재

        공유토지분할에 관한 특례법 제20조 제1항에 대한 위헌론

        李相千(Lee, Sang-Cheo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28 No.2

        공동주택부지와 공유로 되어 있을 경우 분할을 원하는 신청자는 그 분할이 쉽지 않았다. 세금관계, 증 · 개축 및 신축 등의 관계 등 많은 법률적 관계에서 불편을 느껴왔지만 언제나 공유토지로 남아 있을 뿐이었다. 이에 대한 민원이 쇄도하자 정부는 공분할특법을 개정하여 공유토지분할의 획기적 촉진을 목적으로 2014년 법개정을 단행하였지만 동법개정은 마음먹은 대로 그다지 공유토지분할의 촉진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쉬운 말로 유치원부지는 그대로 대규모아파트단지의 부지와 공유관계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그 공유토지분할 촉진을 가로막는 실질적 장애로 남아 있는 조항인 공분할특법 제20조 제1항에 대한 법체계적 정합성을 따져 보고 위헌성을 살펴보게 되었다. 동조항은 한마디로 합의제행정청인 공유토지분할위원회가 내린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의 취소에 대한 불복은 분할신청인과 나머지 공유자들 전원 사이의 필수적 공동소송으로 해결하라는 것이다. 대규모아파트단지의 경우 필수적 공동소송을 철저한 피고를 망라하여 그 당사자 확정면에서의 적법성을 확보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므로 결국 분할신청인에게는 공유토지분할위원회의 공유토지분할 개시결정의 취소에 대한 그 법적 불복수단은 없는 셈이 되는 것이다. 공유토지분할위원회의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의 취소는 공분할특법에 의한 분할절차상의 이익이라 할 공법적 이익을 박탈하는 것으로서 공유토지분할신청인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명백히 처분적 성질을 띠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불복소송은 항고소송이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공분할특법 제20조 1항은 그 불복소송을 공유자들 사이의 민사소송으로 규정하고 합의제행정청인 공유토지분할위원회 자체는 전혀 법적 당사자적격을 부인하여 자기가 내린 결정에 대하여 전혀 책임을 지지않는 입법으로, 그로 인해 분할신청인은 평등권, 재판청구권 등을 본질적으로 침해받았다고 할 정도의 것이어서 법체계적 정합성을 갖추지 못하였고 입법재량의 한계도 넘어섰다고 할 수밖에 없다. 개선입법으로는 우선 공분할특법 제20조 1항상 그 불복수단으로는 공유토지분할위원회에 의한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의 취소를 처분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그 취소를 구하는 것으로 하되 그 소극적 당사자는 당연히 합의제행정청인 공유토지분할위원회로 개정하는 안을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동항이 말하는 나머지 공유자들은 그 소송에서 보조참가나 독립당사자참가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된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가사 그런 안이 아니라면 불복을 비송사건절차법으로 처리하는 방안이다. 이것이 공분할특법상의 분할절차에 의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관해 법원의 판단을 받아 보는 법적 수단을 분할신청인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자연스레 분할신청인의 재판청구권의 보장 문제도 해결되어지는 것이다. Even though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artition of Co-Owned Lands” has been focusing at assist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from its aggregate building sites through simplifying the procedure of partition of co-owned lands, the procedure of partition of co-owned lands hardly could have been done through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artition of Co-Owned Lands” This article is to look over the accordance in legal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violation of constitutional law. It commands that the issue to institute objection to the decision of cancelation of commenc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should be solved only between the two sides(the applicant and all the others co-owned of lands). But it is impossible to seize the legality of fixing all the dependents concerned with its aggregate building sites, eventually the applicant side hop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have no way to execute just the partition. In fact, the decision of cancelation of commenc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has the character of disposal as object of administrative appeal, thus the legal system of appeal should satisfy all the above situation. By the way, according to the above Article 20(1)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artition of Co-Owned Lands’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is not the eligible dependent in the legal appeal issued by the applicant side, and it need not participate in the legal issue. The legal issue is treated only between the applicant side and all the other co-owned lands. The applicant should bear all the effects and all the burdens occurred, for there is no way of appealing to the court. The co-owned members of its aggregate building site is so big in number, the applicant is not able to appeal to the court against all the persons concerned with co-owned lands. The above Article 20(1) should be revised into the form which says the applicant should appeal to the court directly to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calling for the cancellation of ‘cancellation of commenc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All the others of co-owned lands could join in the legal issue between the two parties.

      • KCI등재

        공유토지분할에 관한 특례법의 기능론적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공동주택단지로부터의 유치원 부지 분할문제를 중심으로 -

        이상천 ( Sang Cheon Lee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2

        2014. 5. 21.자 공분할특법 개정의 핵심적 이유는 유치원부지 등도 동법의 적용대상으로 삼으면서 대규모 공동주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유토지의 분할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그개정이 유치원부지 등과 공유관계로 등기되어 있는 공동주택부지로부터의 분할에 얼마나 도움을 줄 것인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공분할특법의 기능론상 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원회의 공유토지분할개시의 결정 여부에 대하여는 기각결정을 제한하는 사유를 법정하고 있어 원칙적으로 형식적 요건을 갖추면 공유토지분할개시는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 불복은 이의신청인의 간단한 이의신청으로 가능하며 그것으로 분할개시결정은 취소되게 된다. 둘째, 위원회는 지적소관청의 영향력 하에 있다고 볼 수 있고, 지적소관청은 공동주택소유자 들의 민원에 취약한 것이므로 결국 유치원부지의 분할을 원하는 신청인에게 위원회의 결정은 불리하게 돌아가게 되어 있는 것이다. 위원회의 위원 9인 중 7인은 지적소관청이 지정하는 인사구성이기 때문이다. 셋째,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이 취소될 경우 분할신청인은 법원에 공유토지분할개시를 구하는 소를 제기할 수 있고(공분할특법 제20조 제1항), 필요적 공동소송상 그 소는 나머지 공유자 전원을 피고로 삼아 제기되어야 하는데, 피고 특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제소가 불가능하여 분할 신청인으로서는 동위원회의 결정에 불복한 수단이 막혀 있는 셈이다. 결론적으로 최근 법개정의 핵심적 현재적 상황에서도 여전히 유치원부지등이 공동주택단지와 구분소유적 공유관계1)에서 다른 공유자 누군가가 다투기만 하면 여전히 공유로 남아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기능적 구조로 인해 공분할특법상의 분할절차는 실무가에게는 단지 공유자 모두의 합의가 있을 때의 특별등기절차 정도로 인식되게 된 것이다. 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결과의 입법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의 기준과 이의신청의 기준을 통일적으로 구성하되 특히 그 실체적 판단기준을 좀더 구체화하고 절차적 기준도 정하여 공유토지분할위원회의 판단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공유토지분할위원회 위원의 구성에서 대부분 법률전문가를 널리 위원으로 영입하여 판단하게 함이 타당할 것이다. 동위원회의 결정은 사실상 공분할특법의 취지에 따라 판단할 것이 요구되는 재판작용이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공유토지분할위원회에 의한 공유토지분할개시결정의 여부에 처분성을 부여하여 이해 관계자들이 그 처분을 다투게 하는 방향의 입법이 필요할 것이다. 본고는 실효성의 면에서 개정입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고, 심각한 법체계적 부정합성이 헌법상 입법원칙의 한계를 넘은 것인지 등 위헌의 의혹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헌법학적 차원에서의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artition of Co-owned Lands” aims at help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of seperating kindergarten site from its aggregate buildings site through simplifying the procedure of partition of co-owned lands. In fact, there is no substantial of procedural criteria to follow in decision on commenc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Thus it could be said that the decision depends on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s almost free will in the objection against decision on commenc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The composition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is up to the competent authority to land register’ will, and the competent authority is unwilling to confllict with the residents of aggregate buildings. By that, as concerned with legal status the manager of kindergarten should be in lower position than the residents of aggregate buildings. In addition to that, the way of partition applicant’s objection against the decision by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is not to institute the lawsuit of appeal litigation to the decision itself, but to institute the lawsuit to seek a commencement of partition against all the other co-owners. But actually it is impossible to institute that lawsuit seek a commencement of partition due to the large number of other co-owners. The delivery of lawsuit bills to all the other co-owners could not be implemented. Under the above legal circumstances,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depends upon the will of the residents of aggregate buildings, and would follow it. The improper composition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would not be made up for. Thereby, it would be better to change the composition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Fot rhe better implementation of the partition of co-owned lands, the following three should be suggested. Firstly, the criteria of decision on commencing partition of co-owned lands and its objection should be unified each other, and the criteria should be concretized more in detail. Secondly, the present composition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should be changed into the stance that the influential power of the competent authority to land register should be shrimped as left only one member. The other members should be filled for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as legal professional persons. Thirdly, as concered with the objection against the decision of co-owned land partition committee in partition of co-owned lands the way objection against it should be the way of lawsuit of appeal litigation to the decision itself. The present legistlation is just the immune way of legistlation and should be averted. The present legistlation conflicts with the reason of legistlative amendment as now. It is ironical that the problem of delivery in the procedure of application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artition of co-owned lands is solved, but not the probem of delivery in instituting the lawsuit to seek the commencement of partition.

      • KCI등재

        폴란드 삼국분할과 영토 분쟁 연구

        김용덕(Kim Yong-Deo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4 No.1

        16세기에 그 절정기를 맞았던 폴란드는 18세기에 들어와 주변 3대 강국 -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에 의해 3번에 걸쳐 국토가 분할되다 결국 패망하고 말았다. 이것이 저 유명한 폴란드 삼국분할이다. 1772년 3대 강국이 단행한 1차분할 결과 프로이센이 서부에서 36,300㎢(58만 명)에 달하는 지역을, 오스트리아는 남부에서 81,900㎢(265만 명)에 달하는 갈리츠야라 불리는 지역을, 러시아는 동부에서 93,000㎢(130만 명)에 이르는 지역을 차지했다. 모두 합하면 211,200㎢(453만 명) 지역을 상실한 폴란드의 영토가 733,500㎢(1,220만 명)에서 522,300㎢(767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폴란드는 1792년 러시아에 맞서 전쟁을 일으키나 그 결과는 1793년의 2차분할로 귀결됐다. 프로이센과 러시아는 이 분할에서 각각 57,100㎢(100만 명)과 250,200㎢(300만 명)을 차지했다. 폴란드는 2차분할로 307,300㎢(400만 명)에 달하는 지역을 상실하며 이제 겨우 215,000㎢(367만 명)의 영토만을 보유하게 됐다. 1794년에 코시치우쉬코가 일으킨 봉기는 러시아에 의해 진압되고 말았다. 1795년에 3대 강국이 최후의 일격을 가하며 3차분할이 단행됐다. 마지막 분할에서 프로이센이 48,000㎢(100만 명), 오스트리아가 47,000㎢(150만 명), 러시아가 120,000㎢(120만 명)에 달하는 지역을 합병했다. 3차분할 결과 폴란드는 215,000㎢(370만 명) 지역을 상실하며 이후 123년간 유럽 지도에서 사라지게 됐다. 삼국분할 결과 프로이센은 모두 141,400㎢(260만 명), 오스트리아는 128,900㎢(420만 명), 러시아는 463,200㎢(540만 명) 영토를 차지했다. The Partitions of Poland or Partitions of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took place in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ended the existence of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The partitions were carried out by the Russian Empire, Kingdom of Prussia, and Habsburg Austria dividing up the Commonwealth lands among themselves. Three partitions took place: The First Partition: August 5, 1772. The Second Partition: January 23, 1793 (in which Austria did not participate). The Third Partition: October 24, 1795. With this partition, the independent nation of Poland ceased to exist. The First Partition of Poland took place in 1772. Growth in the Russian Empire's power, threatening the Kingdom of Prussia and the Habsburg Austrian Empire, was the primary motive behind this first partition. The weakened Commonwealth's land, including that already controlled by Russia, was apportioned among its more powerful neighbors—Austria, Russia and Prussia—so as to restore the regional balance of power in Eastern Europe among those three countries. With Poland unable to effectively defend itself, and with foreign troops already inside the country, the Polish parliament(Sejm) ratified the partition in 1773 during the Partition Sejm convened by the three powers. The Second Partition took place in 1793. The second partition occurred in the aftermath of the War in Defense of the Constitution and the Targowica Confederation of 1792 and was carried out by the Russian Empire and the Kingdom of Prussia. It was ratified by the Polish parliament in 1793. The Third Partition of Poland took place in 1795 as the third and last of three partitions that ended the existence of the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 KCI등재후보

        구분건물의 사실상 구분폐지와 관련한 몇 가지 법률적 문제

        허명욱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3 집합건물법학 Vol.12 No.-

        It is called “Factual Revocation of Partition” or “Merger” which ex-posto loses independence for structure or use of condominium (aggregate building). Factual Revocation of Partition is different from the registration as condominium in building ledger although there is no partitioned ownership due to dependence for structure or use of condominium.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whether there is factual revocation of partition is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Restoration.” If there is factual revocation of partition in aggregate buildings, partitioned owners co-owned the condominium at the rate of price of the property when they lost the co-ownership. If there is revocation of partition in all building,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s will not be applied any more because the building is not aggregate one. However, if there is partial revocation of partition in aggregate buildings, the Act will be applied because the part of the building which lost partition and the rest of the building are still a aggregate building which consist of two more parts. The registration of mortgage based on the registration of invalid partitioned ownership is just void because, from the beginning, there is no independence for structure or use of condominium. However, the registration of mortgage in merged partitioned building exists in right of quota of the aggregate building to execute the right of owners or mortgagees of merged aggregate buildings, and it is necessary to register the right of quota and then transfer the mortgage into the right of quota, but it is very difficult to do. Congress should change the law based on the Japanese Registration of Real Property. There are many happenings factual revocation of partition of aggregate building and thus increase the related suits and court decisions. I hope to increase the discussion about this issue based on the related court decisions. 구분건물이 사후적으로 구조상·이용상의 독립성을 상실한 것을 ‘사실상 구분폐지’ 또는 ‘합체’라고 한다. 사실상 구분폐지는 처음부터 구조상·이용상의 독립성이 없어서 구분소유권이 성립할 수 없음에도 외형상 건축물대장이나 등기부에 구분건물로 등재된 경우와 개념상 구별된다. 사실상 구분폐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복원의 가능성’ 여부로 보아야 한다. 구분건물이 사실상 구분폐지가 된 경우 구분소유자들은 구분소유권 상실 당시 부동산 가액의 비율로 합체된 구분건물을 공유하는데, 그 이론적 근거는 부동산 사이의 부합에서 찾을 수 있다. 집합건물 전체가 구분폐지된 경우에 그 건물은 더 이상 집합건물이 아니므로 집합건물법이 적용되지 않는 반면에, 집합건물의 일부분이 구분폐지된 경우에는 그 부분과 나머지 구분건물들로 구성된 1동의 건물 전체는 여전히 집합건물로 존재하므로 집합건물법의 적용대상이 된다. 처음부터 구분건물로서의 구조상·이용상의 독립성이 없어서 무효인 구분소유권등기에 기초한 저당권등기는 무효이지만, 합체된 구분건물에 설정된 저당권등기는 합체 후 건물의 공유지분권 위에 존속한다. 그런데 합체된 구분건물의 소유자나 저당권자가 그 권리를 행사하기 위하여는 구분소유자의 공유지분을 등기하고 저당권을 공유지분 위의 저당권으로 전환하여야 할 것인데, 현행 우리 법제상 어렵다. 일본의 부동산등기법을 참조하여 입법적인 해결을 요한다. 구분건물의 사실상 구분폐지는 현실적으로 우리 주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고, 점차 이와 관련된 소송이 늘고 있고 이에 관한 판례들도 나오고 있다. 이 글과 관련 판례들을 바탕으로 논의의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Partition energy of complete product of circulant graphs and some new class of graphs

        E. Sampathkumar,S. V. Roopa,K. A. Vidya,M. A. Sriraj 장전수학회 2018 Advanced Studies in Contemporary Mathematics Vol.28 No.2

        Let G = (V,E) be a graph and Pk = {V1, V2, ..., Vk} be a partition of V . The L-matrix with respect to a partition Pk of the vertex set V of graph G of order n is the unique square symmetric matrix Pk(G) = [aij ] with zero diagonal, whose entries aij with i 6≠ j are defined as follows: (i) If vi, vj ∈ Vr, then aij = 2 or −1 according as vivj is an edge or not. (ii) If vi ∈ Vr and vj ∈ Vs for r 6≠s, then aij = 1 or 0 according as vivj is an edge or not. For all Vi and Vj in Pk, i 6≠j remove the edges between vertices of Vi and Vj and add the edges between the vertices of Vi and Vj which are not in G, the resulting graph is called k-complement of G and is denoted by (G)k. For each set Vr in Pk, remove the edges of G joining the vertices within Vr and add the edges of G (complement of G) joining the vertices of Vr, the graph obtained is called k(i)-complement and is denoted by (G)k(i). The k-partition energy of a graph G with respect to partition Pk is denoted by EPk (G) and is defined as the sum of the absolute values of k-partition eigenvalues of Pk(G). In this paper we construct some graphs such that the graph and its 2-complement are equienergetic with respect to a given partition. We also determine partition energy of complete product of m copies of a circulant graph G and its subgraph, their k-complement and k(i)-complement.

      • KCI등재

        일본의 ‘건물의 구분소유 등에 관한 법률’에 있어서의 區分所有權의 動態

        강혁신 한국민사법학회 2008 民事法學 Vol.43 No.1

        The revision of Japan's Building Partition Ownership Act in 2002 can be broadly outlined as follows: First, it revised provisions on modification of public partition in Article 17. Secondly, it intended to enhance administrator's rights to the maintenance of public partition. Thirdly, it focused on the computerization of meeting, resolution, bylaw and memorandum. Fourthly, it dealt with preparing ‘right to demand purchase' after resolution on restoration. Fifthly, it intended to relieve requirements for resolution on reconstruction. Sixthly, it dealt with approval and resolution on reconstruction of buildings within complex. Seventhly, it dealt with introduction of en bloc resolution on the reconstruction of buildings within complex. In terms of 7 major considerations about Building Partition Ownership Act,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delineating revision on modification of public partition in Article 17, relaxation of requirements for resolution on building reconstruction, approval and resolution on reconstruction of buildings in complex, introduction of en bloc resolution on reconstruction of buildings in complex, which are the key issues of said Act in 2002. By discussing historical evolution and major considerations of Japan's Building Partition Ownership Ac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is study could find out historical development, evolution, major considerations and challenges of said Building Partition Ownership Act in Japan. Secondly, it was found that area of private law interacts closely with that of public law in regard to maintenance, management and reconstruction of mansion or tenement(co-op). Thirdly,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ination into majority rule, it was found that the Tenement Building Act of Korea is considerably reconstruction-oriented statute. So it is necessary to perform further jurisprudential works in terms of said act. The issue of mansion and tenement means that of inside comprising such construction. Overall, there are three major issues of mansion and tenement, such as ‘issue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 of partition ownership’ and ‘issue of residential style on the basis of changing family structure.’ Hence, how we can resolve these issues in near future is a shortcut to fundamental resolution of issues in mansion and tenement.

      • KCI등재

        Partition Property of Pyrene onto Synthetic Membrane Vesivles and the Effects of Natural Organic Matters

        Kazuhiro Ikeda,Yoshihisa Shimizu,Saburo Matsui,Takuya Oguri,Makoto Sekida,Atsusi Kawata,Taketoshi Kusakabe 대한토목학회 2008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2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artition property of pyrene onto cell membrane using synthetic membrane vesicles consisted ofseveral phospholipids and the effect of natural organic matters (NOM) on the partition. Membrane fluidity and membrane phaseaffected partition coefficient (Pmw) of pyrene onto the membrane. Pmw was larger for the liposome in liquid crystalline phase > inripple phase > in gel phase. Pyrene did not undergo the steric interfere in partition onto the membrane used in this study. Negativecharge of the membrane did not affect Pmw of pyrene. Suwannee River Natural Organic Matter (NOM) and Nordic fulvic acidaffected the partition of pyrene onto the TRANSILmembrane. The reason was confirmed that NOM associated pyrene did notpartition onto the membrane. Low molecular weigh fraction of SRNOM had strong effect on the partition as much as high molecularweigh fraction. From calorimet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SRNOM did not affect the fluidity of the dimyristoy-lphosphatidylcholine (DMPC) membra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