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의 재발견을 통한 죽음에 대한 고찰: 기독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전부민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4 신학논단 Vol.116 No.-

        이제까지 전통적인 이분법적 서양 철학의 사유 방식은 서양 기독교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이는 곧 존재중심의 이분법적인 사상이 기독교 사상의 주류로 자리매김하게 하였는데, 사실 존재중심적인 사유 방식은 존재의 그늘에 매여있는 기독교의 한계를 드러내고, 특히 무(nihil)를 취급하는 방식에 있어서 존재로부터 소외된 무를 강조하여 기독교 전통 안에 있었던 ‘무로부터의 창조’교리를 은폐하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사유는 나아가 창조 뿐만 아니라 죽음에 대한 견해를 달리하게 만든다. 이분법적인 존재중심(ontocentrism)적 접근방식에서 죽음은 극복되어야 하는 존재의 어두운 면이거나 악을 상정하는 결과론적인 개념이다. 또한 죽음은 존재가 소멸되어지는 단순한 의미로 환원될 수 있고, 또 다른 존재로서의 전환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 영원한 존재론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방식에 문제를 제기한 토마스 알타이저와 에크하르트 그리고 유영모가 재발견한 무(無)를 통해, 무화를 통한 죽음을 다루게 되면 죽음에 대한 좀 더 폭넓은 지평을 열 수 있게 된다. 이는 존재가 무화되는 것이 단순히 존재의 없음이나 연장 개념이 아니라 무로부터 시작된 존재가 궁극성을 담지한 무(無)로 다시 돌아가는 완전한 무화이며 존재의 물질적 불완전성을 완성시켜주는 무가 된다. 결국 죽음이란 극복되어져야 하는 한계의 영역이 아니며 대적해야 할 악의 영역이 아니라는 것을 비로소 무의 재발견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기독교의 구원이 단순히 죽음 이후에 또 다른 존재론적 사유를 통하여 존재의 감옥에 영원히 가두는 일이 아니라 존재 밖에 무라고 하는 자유로 향하는 길임을 제시할 수 있다. 특별히 이러한 관점에서 다석 유영모의 사유 안에 있는 ‘없이 계신 하나님’과 귀일(歸一)사상은 무의 초월성을 담지한 죽음에 대한 재해석을 다룰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는 전통적 서양 기독교의 사상적 기초였던 아우구스티누스의 존재신학(Ontotheology) 체계가 제한해버린 존재의 무화로서의 초월성과 자유를 역설적으로 드러내주고 해방시킨다. 결국 무의 재발견은 죽음을 재고찰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존재론적 신의 해체가 존재의 감옥에 갇혀있던 하나님을 자유하게 하며, ‘없이 계신 하나님’을 드러나게 한다. 또한 인간도 그동안 존재론적 관점에서 규정해온 관습을 벗어나서 무화된 죽음으로서 궁극적인 초월과 온전한 구원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이를 통해 성서에서 말하는 부활을 재해석할 수 있고, 존재론을 넘어서는 존재의 무화로서의 부활을 이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죽음은 단순히 물질적인(material) 한계이자 극복되어야 할 악(evil)이 아니며, 죄의 결과로써 불가피한 최후의 숙제가 아니라 온전한 무화(無化)를 이루는 계기이자 초월에 이르는 과정이며 또한 소멸이 아닌 초월적 부활을 이야기할 수 있는 궁극적인 진리의 문이 될 수 있다. Until now, the traditional dichotomous way of thinking in Western philosophy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Western Christianity. This soon led to the existence-centered dichotomous thought becoming the mainstream of Christian thought. In fact, the existence-centered way of thinking revealed the limitations of Christianity, which is tied to the shadow of existence, and especially in the way it deals with nothingness (nihil). By emphasizing the nothingness that was alienated from the world, they even concealed the doctrine of ‘creation from nothingness’ that exist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is thinking further leads to different views on not only creation but also death. In the dichotomous ontocentrism approach, death is a consequential concept that assumes evil or the dark side of existence that must be overcome. In addition, death can be reduced to the simple meaning of extinction of existence, and is understood as a transitional concept as another existence, preventing us from escaping the shackles of eternal ontology. However, by dealing with death through nothingness through the nothingness rediscovered by Thomas Altizer, Eckhart, and Yoo Young-mo, who raised problems with this approach, a broader horizon on death can be opened. This means that the nothingness of existence is not simply the concept of nonexistence or extension of existence, but the complete nothingness of a being that started from nothing returning to nothingness that contains ultimateness, and becomes a nothingness that completes the material imperfection of existence. In the end, it is only through the rediscovery of nothingness that it can be shown that death is not a realm of limitations to be overcome or a realm of evil to be opposed. In addi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Christian salvation is not simply a matter of being confined forever in the prison of existence through another ontological thought after death, but a path to the freedom of nothingness outside of existence. In particular, from this perspective, the ‘God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the idea of ‘Returning to one’ in DaSeok Yoo Young-mo’s thoughts open up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death with the transcendence of nothingness. This paradoxically reveals and liberates the transcendence and freedom of the nothingness of existence that was limited by Augustine’s Ontotheology system, which w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raditional Western Christianity. Ultimately, the rediscovery of nothingness causes us to reconsider death. Moreover, the dismantling of ontological God liberates God, who was imprisoned in the prison of existence, and reveals the ‘God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In addition, humans also break away from the customs that have been defined from an ontological perspective and achieve ultimate transcendence and complete salvation through nihilation of death. Furthermore, through this, we can reinterpret the resurrection spoken of in the Bible and talk about resurrection as the nihilation of existence beyond ontology. Therefore, death is not simply a material limitation and an evil to be overcome, nor is it an inevitable final task as a result of sin; it is an opportunity to achieve complete annihilation, a process to transcendence, and not annihilation. It can be the ultimate door of truth that can speak of transcendent resurrection.

      • KCI등재

        현대의 무 경험과 그리스도교 신학의 무로서의 하나님 ― B. 벨테와 A. 예거의 무와 신 논의를 중심으로

        이관표 한국조직신학회 202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8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God as Nothing- ness.’ Especially we look into the discussion about the God-talks of contemporary Christian theology. First of all, the Nothingness is understood as the opposite of Being, and it begins to be understood as an ambiguous object, as soon as it is spoken, eventually as a negative chaos used for the creation of God in Christian theology. But the Nothingness is directed to Heidegger, the modern ontologian, as a different form of Being itself and to something connected with the Holiness. And we take a closer look at the discussions of B. Welte and A. Jäger, who have developed their theology, connecting these Heidegger’s Nothingness-question with God. For Welte, it was a phenomenon that contained the divine dimension, not just a nonexistence or a negative thing, and was understood as a bearer of the Holiness itself. Jäger ponders nothingness as the absolute other of existence, and strongly argues that this is the hidden image of God itself. This theological discussion relating the Nothingness-question to God-talk has certainly played a role as a new way to overcome the metaphysical and closed theological limitations of the previous era.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still the core theme of modern theology in that theology has become a new ground for continuously constructing itself with nihilsm, meaninglessness and pain of our time. 본 논문은 현대 그리스도교 신학의 신-이해 중 특별히 ‘무로서의 하나 님’ 이해를 다루며, 이를 위해 하이데거의 제자로서 무에 대해 깊이 숙 고하여 신론을 전개한 로마 가톨릭 신학자 B. 벨테와 개신교 신학자 A. 예거의 논의를 살펴본다. 먼저 무란 존재의 반대말로서 그리고 언표되는 순간 모순을 범하는 애 매모호한 대상으로 이해되기 시작하여 결국 기독교 신학 안에서 신의 창조를 강조하는 부정적 혼돈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무는 현대의 존 재론자 하이데거에 이르러 존재 자체의 다른 모습으로, 그리고 어떤 성 스러움과 연결된 무엇으로 새롭게 지시된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하 이데거의 무 물음을 신에게 관계시키면서 자신들의 신학을 전개하고 있는 벨테와 예거의 논의를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해 본다. 벨테에게 무 란 단순한 비존재나 부정적인 어떤 것이 아니라 신적 차원을 담고 있는 현상이었으며, 나아가 성스러움을 가능하게 하는, 혹은 성스러움 그 자체의 담지자로서 이해되고 있었다. 예거는 무를 존재의 절대타자로 서 숙고하면서 이것이 결국 우리에게 감추어져 있던 신 자체의 모습임 을 강하게 주장한다. 이처럼 무와 신을 등치시킴으로써 논의를 끌어가는 신론은 분명 이전 시대의 형이상학적이고 닫혀있던 신학적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길 로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또한 수행 중에 있다. 그리고 우리 시대의 아 픔, 무의미, 고통과 더불어 신학이 지속적으로 자신을 구성해갈 수 있 는 새로운 단초가 되어주었다는 점에서 아직 현대신학의 핵심주제라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무(無) 개념에 기반한 고석규 비평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박찬효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6 한국문화연구 Vol.11 No.-

        고석규는 1950년대 실존주의를 체화하여 비평의식을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비평가이다. 전쟁 후 고석규는 자신이 놓여진 공간을 폐허로 인식하였으나 그 공간을 '새롭게' 채워 넣기 위해 역설적으로 '무(無)'를 이야기하였다. 고석규의 글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에세이적 성격에서 벗어나 개념화·구체화되고 있다. 『초극』에서는 자신의 내면을 여과 없이 토로하는 글쓰기를 통해 '무' 개념을 드러내고 있다면, 「시인의 역설」에서는 일제시대 활동했던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무' 개념을 '역설의 정신'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그리고 「민족문학의 반성」에 이르러서는 지금까지 논의했던 무 개념에 근거하여 비평가의 위치를 점검하고 전통과 세계성의 조화를 통해 한국현대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초극』에서 고석규는 여백의 심연을 보기 위해 불길 속으로 자신의 몸을 던지는 엠페도클레스의 충동을 보여주고 있다. 「시인의 역설」에서는 윤동주, 이상 등을 평가한 내용이 이전의 비평문과 달라지고 있다. 그 이유는 고석규가 단순히 작품 분석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작품 분석을 통해 무(無) 개념을 구체적으로 이론화하여 1950년대 우리 문학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평 정신은 1957~1958년에 쓰여진 글에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고석규의 비평적 관심은 점점 내면→텍스트 내(內)→텍스트 외(外)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고석규의 비평 성격이 완전히 변모되고 있다고 말 하기는 어렵다. 비평의 대상은 확장되고 있지만 고석규의 비평은 본질적으로는 무(無)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즉 글쓰기 방식은 초기와 후기가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그의 비평문에 일괄적으로 나타난 핵심적 사상은 '무' 개념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석규 비평의 중요한 특징 중 다른 하나는 '주제'의 의지를 강조한 것이다. 『초극』에서는 불모의 계절을 이겨낼 수 있는 주체의 열정을, 「시인의 역설」에서는 시적자아의 역설 정신을, 「비평가의 교양」,「현실과 문학인의 자각」 등에서는 비평가의 위치와 실천성을 강조하고 있다. 무(無)는 궁극적으로 유(有)로 나아갈 수 있는 무한한 창조력을 잉태하고 있다. 고석규는 폐허의 공간에서 현대문학이 새롭게 꽃필 수 있는 씨앗 만들기를 꿈꾸었다. 고석규의 비평문이 현실적인 실천력을 근본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점점 그러한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His importance lies in the fact that he made existentialism as his own self and expressed his unique consciousness of criticism. Some important facts were found during inquiring into his criticism process. After Korean War, hee recognized space as ruins. Paradoxically, he spoke nothingness to fill out new things in such space. As time passed, his writing escaped from essay style and became conceptualized and embodied. In transcendence(초극), he revealed his concept of nothingness by writing raw vent of his inner mind. In "paradox of poet(시인의 역설)", through analyzing poets who wrote in Japanese colony era, he embodied his concept of nothingness as paradox and spirit of paradox. Also in "reflection of national literature(민족문학의 반성)", he wanted to find way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rough harmonizing tradition and globalism and by finding position of critics based on hitherto argument based on concept of nothingness. This paper wants to look into minutely and newly early criticism through analyzing his desire in transcendence(초극) with impulse in Empedocles who seeks to abyss in blank. In "paradox of poet(시인의 역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different time point of evaluation on Yun Dong Ju, Lee Sang compared with his pre criticism on them. Here this paper wants to understand why he provide leading direction in 1950s by not limiting only text but theorizing concept of nothingness. Also this paper revealed the fact that his intention continued in his criticism written in 1957~1958. Whole perspective of his criticism paper clarified the fact that his attention of criticism expanded gradually from his inside to inside the text and from inside the text to outside the text. But the above-mentioned fact did not mean his character of criticism was entirely changed. Although object of his criticism was expanded, his criticism based on concept of nothingness. That is to say, his early writing style is different from latter writing style, practical process was expansion and reproduction of concept of nothingness. Also the important character of his criticism was his focus on willingness of 'subject'. In transcendence(초극) he focused zeal of subject who overcome barren season, in "paradox of poet(시인의 역설)" he focused paradox spirit of poetic selfness, in "culture of critics(비평가의 교양)", "awakening of practice and writer(현실과 문학인의 자각)" he focused position and execution of critics. Ultimately nothingness has everlasting creativity to become existence. He dreamed seed making on new modern literature where ruin space loomed. In conclusion, his criticism writing did not show fundamental and practical execution gradually his writing converted to such direction.

      • KCI등재

        김영태 시에 나타난 "얼룩"의 표상성 연구

        권현형 ( Hyun Hyung Kw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김영태의 시세계에서 “얼룩”이라는 시어는 무화 작용을 통해 시적자아의 사라져가는 현존재성을 보여주는 주요 표상으로 보인다. 영원히살 수 없다는 점에서 “끝”을 갖고 있는 시적자아는 탄생과 더불어 ‘무’를 안고 있는 상황에 놓여 있다. ‘무’를 안고 있다는 점이 현존재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므로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얼룩”은 본래적인 유한성을 지니고 있는 현존재를 극명하게 표상하고 있는 시어라고 할 수 있다. 이점에서 결국 김영태 미학의 핵심은 자기 무화를 향해 생생하게 흘러가는 시적 주체가 자신의 작품에 일시적으로 존재한 흔적을 다양한 표상으로 남기면서 끊임없이 미의식을 생성해 나간다는 점이다. 본고는 “얼룩”의 표상성을 주목하고 다음과 같이 고찰해 보았다. 첫째, 시적 자아는 생의 궁극적 질량인 “얼룩”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멸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흔적이나 얼룩의 흔적이나 등가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시적 자아는 인식한다. 결국 얼룩은 잠시 존재하는 시적 자아의 본래적인 유한성을 표상하며 곧사라질 운명에 놓여 있음으로써 일회성의 아름다움, 소멸의 아름다움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둘째, 불안은 현존재로 하여금 자기 존재의 근원성, 본래성에 직면하게 해준다. 불안을 통해, 맞닥뜨리게 되는 현존재의 근원성은 바로 무(無)이다. 본고는 무가 언어를 통해 열어 보이는 무한한 미의 세계를 주목했다. 불안을 통해 묻게 되는 시간에 대한 물음은 현존재가 자신의 근원성을 성찰하게 되는 기회가 된다. 현존재는 존재하면서 사라지는 배리적 특성을 지녔다. 세계 밖으로 금방 미끄러지게 될 “나는 있음”이바로 얼룩이며 우리가 ‘어떻게 무를 경험하고 있는가’ 하는 근본 물음은 김영태의 시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어들에서 해답을 구할 수 있다. 세계에 윤곽을 부여하고 존재에 대한 인식을 환기해서 미적인 세계를 생성하는 ‘얼룩’의 음영은 미를 생산하는 중요 기제로써 김영태 시세계를 개진시키는 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김영태의 시세계에서 “얼룩”이 표상하는 소멸과 불안과 일회성에 대한 지각은 시적화자로 하여금 무화를 통해 자신이 거주하는 세계를 탈수직적 관점으로 보는 경향을 지니게 한다. 숙명적으로 일회성을 안고 살아가는 시적 자아는 불안한 얼룩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에 투사하며 그 과정을 언어로 남긴다. 이때의 언어는 해체, 탈 권력, 탈 중심, 탈 권위를 표상하기 마련이다. 이들은 동일하게 자유를 지향한다. 인간의 조건으로서의 ‘무’에 대한 절실한 이해가 권력을 해체하고 중심을 해체하고 권위를 해체하게 되는 수순을 밟게 되는 것이다. 본고는 “얼룩”의 세계에 고정관념에 대한 혐오와 억압, 폭력, 체제에 대한 부정의식이 내재되어 있으며 무화의 방향은 바로 이 탈주의 형이상학적 욕망과 관련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The paper examines that the word “Elluk (the blot)” shows the presence of being, abandoning nothingness. The essence of Kim Young Tae`s aesthetics is that the present being flowing vividly to self-nothingness anyhow is abandoning nothingness and continuing to creat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as a poetic agent. The word “Elluk (the blot)” represents the following through Kim Young Tae`s poems. First, Kim Young Tae identifies his existence through “Elluk (the blot)” which is the ultimate matter. He recognizes it similar to the traces of humans or the snow in the aspect that they are perishing. As they become nothing, humans, the snow and the blot represen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one-time property in their whole existence. Second, anxiety makes the present being face one`s originality and originality. The foundation of present being is nothingness, which is identified through anxiet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infinite world of beauty where nothingness opens through language. The fact that “I exist” is the blot because I would slide into the outside of the world soon. We can find out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do we experience nothingness?”, which is an original question, in the frequent words of Kim Young Tae`s poems. Third, it is examined that the realization that the blot represents extinction, anxiety, and one-time property causes the ones who exist aim to anti-hierarchy. There are some order of steps where the serious understanding of nothingness as a condition of humans destructs the power, the center, and the authority. It is observed that the hatred of a fixed idea and the negative consciousness of oppression and violence are inherent in the world of “Elluk (the blot)” and the direction of nothingness is related with the metaphysical desire of escape.

      • KCI등재후보

        죤 업다이크의 『토끼는 부자이다』 : 실존의 허무

        변종민 새한영어영문학회 2004 새한영어영문학 Vol.46 No.1

        Rabbit is Rich is the most straightforward presentation of existential nothingness among Updike's "Rabbit'! tetralogy. According to the existentialist view, the authentic individual is one who experiences an encounter with the abyss of nothingness. Each individual suddenly faces his naked self; without awareness and reason, he experiences an existential crisis,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find any meaning in life. Most people try to avoid the encounter and to negate nothingness. But the authentic individual recognizes the inevitability of nothingness and discovers his true self so that he becomes stronger and more authentic.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Harry "Rabbit" Angstrom, experiences this encounter with nothingness. Despite his complacency with material success and apparent happiness, Rabbit's inner mind is full of dark emotions. He loses all illusions about an illegitimate daughter who might have been born to his former girl friend Ruth. He experiences only blankness or the void through sex. Money is meaningless in his search for inner freedom. And he is made extremely aware of his own mortality through the birth of his granddaughter. As a result of these confrontations, Rabbit seems to be languishing in a state of despair. But he is not afraid of confronting the abyss of nothingness. Rabbit, as an existential protagonist, is expected to seek authenticity for the rest of his life.

      • KCI등재

        세 유형의 철학적 신: 폴 리꾀르, 타나베 하지메 그리고 양명수의 경우

        한형모(Han, Hyung-M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4 신학사상 Vol.0 No.165

        본고는 폴 리꾀르, 타나베 하지메 그리고 양명수가 말하는 세 가지 유형의 철학적 신론을 분석하였다. 필자는 이 세 학자들이 논하는 신론을 '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볼 때 공통점이 드러난다고 전제하였다. 우선, 필자는 집행관으로서의 신, 아버지로서의 신의 죽음을 말하는 폴 리꾀르의 무신론(無神論)을 살폈다. 프랑스의 현대 철학자 폴 리꾀르는 형이상학적 신의 죽음 이후에 이 세상에서 시적으로, 그리고 창조적으로 삶을 살아야 하는 인간이 도래함을 주장한다. 그 다음, 일본의 교토학파의 철학자 타나베 하지메는 무즉신론(無卽神論)을 전개한다. 이는 기존의 서구의 무신론과는 결을 달리하는 무신론이다. 그는 유 또는 존재가 아닌 무와 관련지어 신을 논하는 신론을 제안한다. 타나베 하지메에게서 무는 사랑이요 자기 비움이며, 그는 이러한 신을 기독교가 말하는 십자가에 매달려 죽음으로 신의 사랑을 구현한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본다. 마지막으로 동서 인문주의와 퇴계학에 바탕을 두고 있는 양명수는 무능신론(無能神論)을 말한다. 무능신론은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첫째, 신이 십자가에 매달려 죽었다는 의미에서 '무능'한 신에 관한 신학적 사유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둘째, '무에 능한 신'에 관한 담론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성리학의 무극과 연결될 때 무에 능한 신은 생태학적 의미를 지닌다. 결국 양명수의 무능신론은 신의 은총과 인간의 주체성 그리고 생태학적 감수성을 종합하고자 하는 신론이라고 하겠다. 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세 학자들의 철학적 신론은 아시아적 종교 문화의 토양 속에서 새로운 신의 도래를 꿈꾸는 이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ree types of theory of philosophical God that Paul Ricoeur, Tanabe Hajime and Yang Myung-Su have constructed. My supposition, for this work, is that a point in common of these three thinkers is appeared when we examine their theory of God with term 'nothingness'. I' examine, firstly, the theory of atheism of Paul Ricoeur who says the death of God as the legislator and as the father. Paul Ricoeur, a contemporary philosopher of France, insists on the advent of man who has to live poetically and creatively in this world after the death of metaphysical God. And then on the other side of this theory of atheism, Tanabe Hajime, philosopher of Kyoto school of Japan, proposes another perspective about philosophical God, compared with a western theory of atheism, and another theory of God constructed with term 'nothingness' in Asian context. It's a theory of 'nothingness qua God'. For Tanabe Hajime, nothingness is love and self-emptying. He sees this kind of God in Jesus Christ of the Christianity, who realized concretely the love of God, on being crucified on the cross. Lastly, I treat on the theory of philosophical God of Yang Myung-Su, based on the humanism and specially on the neo-Confucianism of Toegye. I name it a theory of 'incapable God'. His theory of incapable God includes two meanings. The first is a theological reflection about God who has been died on the cross. The second is a reflexive discourse of God, centering on term 'nothingness', a God who is, for Yang Myung su, self-abandoned and loves all human beings until his death on the cross. This God has created the world and all human beings, but he does not possess the human being, does not consider it like an object for his proper glory. This God meets the human being as his partner and dialogues with him. I do not doubt that the discourse of these three types of philosophical God can give a new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insight to whom dream a advent of new Go

      • KCI등재

        Eliot and Stevens: The Emptiness and The Nothingness in “The Hollow Men” and “The Snow Man”

        장철우(Cheol-U Jang) 한국T.S.엘리엇학회 2015 T.S. 엘리엇 연구 Vol.25 No.1

        본 논문은 T. S. 엘리엇의 「텅 빈 사람들」에 나타난 “허공” 의미가 엘리엇이 주장하는 “전통”의 의미와 어떻게 연관관계를 지니고 있고 그 의미가 확장되어 모더니즘 측면에서 스티븐스의 「눈사람」에 나타난 “무”의 의미와 연결시켜 보고자한다. 두 시인이 말하고자했던 “무”가 단순히 비어있음이 아니고 실재를 둘러싸고 있는 조건이거나 또는 제한된 인간의 시각으로는 규정지울 수 없는 범위를 표현하는 방식임을 증명하고자한다. 엘리엇은「텅 빈 사람들」에서 “텅 빈 것”과 “채워짐”의 관계를 상호 보완적 차원에서 “허공”의 의미를 보여주고 스티븐스는「눈사람」에서 잠재성이 있는 무와 존재하지 않는 무로 구분하여 실재에 다가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두 시인의 목소리가 표면적으로는 다른 것처럼 보이나 결과적으로 두 편의 시에서 독자는 같은 것을 고민하는 두 시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This essay illustrates how the emptiness appears in T. S. Eliot’s poem, “The Hollow Men,” and what the value of the nothingness in Wallace Stevens’s poem, “The Snow Man,” exploring two poets’ poetics in terms of modernism. In “The Hollow Men,” Eliot attempts to overcome the binary opposition by grasping the still point in juxtaposing “the hollow” and “the stuffed.” “The hollow men” and “the stuffed men” are leaning together to assist the other. On the other hand, Stevens describes the emptiness not as nothing itself, but as the nothing which gives us a potentiality. The potentiality brings out the ontological value of the reality. The former poet focuses on the whisper of “the hollow” with “the stuffed” because he adopts “the shadow” which serves as the hollow’s liaison with the stuffed while the latter differentiate the nothingness from the nothingness by highlighting the realm of unperceived in the world. Eliot makes use of a constant companionship between the binary oppositions, but Stevens ontologically approaches the nothingness against nothingness.

      • KCI등재

        레비나스의 죽음론에 관한 한 연구

        김연숙 ( Kim Yeon-soo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이 글은 레비나스의 죽음에 관한 한 연구다. 철학적·종교적 전통에서 죽음은 무 또는 다른 존재로의 이행으로 이해된다. 죽음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서 가장 주목받는 이 중의 한 사람인 하이데거는 죽음을 현존재의 종말이자 죽음 이후는 무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존재는 자신의 죽음의 확실성을 인식하고 불안을 느끼며 존재를 염려한다는 것이다. 레비나스는 죽음을 무로 보는 사유에 대해 재고한다. 이를 위해 무에 관한 다양한 철학적 논의들을 고찰한다. 이같은 고찰에 의거해 무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죽음의 무란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변화의 한 양상이다. 둘째, 무의 개념은 엄밀히 말하자면, 존재가 생성되고 시작되는 시원의 의미를 함의 하기도 한다. 셋째, 무의 개념은 실질적으로 상태의 변화와 대체를 의미하기에 무란 말 자체가 거짓관념에 불과하다. 이런 논의들은 결국 죽음을 단순히 무로 규정짓는 것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죽음을 종말로 보는 견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다른 견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첫째, 독배를 들고 죽어가면서 소크라테스는 오히려 죽음 이후에 만나볼 현인들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한다. 이는 사후세계와 영혼불멸을 상정하는 것으로, 죽음이 곧 종말이 아닐 수 있을 여지를 보여준다. 둘째, 이성의 철학자인 칸트조차도 도덕과 행복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이치에 맞으므로, 영혼불멸이나 사후세계가 존재 하기를 희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셋째, 유토피아적 희망의 원리에 입각한 블로흐는, 죽음의 불안은 노동하는 주체로서 자신의 과업을 완성하지 못하고 미완인 채로 떠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생기는 것일 뿐이라 본다. 즉, 죽음의 불안감은 무의 임박감이나 코나투스가 저지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오는 것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이런 검토 끝에 레비나스는 우리가 자신의 죽음에 대한 불안이나 존재염려에 급급하기에 앞서, 타자의 죽음 앞에선 이로서 타자의 운명과 삶에 대한 공경과 책임감을 가질 것을 역설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Levinas' death theory. In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radition, death is understood as a transition to nothingness or another being. Heidegger, one of the most notable in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death, claims that death is the end of Dasein and there is no after death. Dasein is aware of the certainty of his death, feels anxious and is concerned about existence. Levinas rethinks the western traditional philosophical arguments about the concept of death as the end and nothingness. According to them, first, death is not the becoming of nothingness but really the change of state. Second, the concept of nothingness implicitly implies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which is generated and begun. Third, the concept of nothingness implies a change and substitution of the state. These discussions eventually show the difficulty of simply defining death as nothingness. As for the view of death as an end, it shows that there may be other views as follows. First, while dying with the poison, Socrates expresses the expectation of wise men to meet after death. It implies the postmortem world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death may not be the end. Second, even the philosopher of reason, Kant argues that it is rational to hope for the existence of the after death or immortal of the soul, since it is reasonable to balance morals and happiness. Third, Bloch, based on the principle of utopian hope, thinks that death anxiety arises only from the fear of leaving the task unfinished and incomplete as a working subject. In other words, the anxiety of death is different from the impatience of nothingness or fear of conatus blocked. After this discussion, Levinas urges us to have an responsibility for the fate and life of the other facing the death of the other, before I am in a state of anxiety about my death.

      • KCI등재

        無衣子 禪詩의 美意識 考察- ‘無’字를 중심으로 -

        장영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esthetics of Muuhija’s buddhist poetry. In terms of convergence, the Muuhija’s buddhist poetry aesthetics can be regarded as the embodiment of “Nothingness”. The term nothingness does not imply “nothing” but is the essence of Buddhism, implying an empty world, and encompassing all things in nature through infinite expansion. To examine this, the present paper focuses on Muuhija’s buddhist poetry, which contains various meanings for nothingness. In this paper, I conceptualize this into three layers of “jest”, “exuberance” and “allness”. ‘Jest’ refers to contradiction and paradox, which leads nothingness to absolute truth. ‘Exuberance’ pertains to a free world overflowing with thoughts of ‘nothingness’ wherein it is seen as prevalent, allowing free, boundless emotions to flow. Finally, ‘allness’ refers to ‘nothingness’ as an absolute phas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the concept of noumenon, all things in nature, and mastery in the world. Just as Daoist aesthetics are the aesthetics of wandering, Muuhija’s buddhist aesthetics are the aesthetics of nothingness.

      • KCI등재

        Postmodern Animality and Spectrality: Ted Hughes’s Wodwo and Crow

        박정필 한국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 영문학 Vol.58 No.6

        Tinted with ontological concern, Ted Hughes passes through an existential climate, eventually confirms death( or nothingness) as the new foundation of his poetry, and explores the various paradoxical effects of nothingness. Nihilism, fraught with rather negative and traumatic themes such as death, melancholy, and despair can, however, generate being (even in multiple modes), animalistic vitality, and insubstantial specters. Among these new functions of nothingness animality and spectrality are the most notable in Hughes’s poetry. A considerable number of animals and bioorganisms that Hughes introduces exhibit the enormous energy derived from the dignity of death,from subversive challenges against the established hierarchy, and from new and dynamic multifaceted sources of nothingness. In other words,Hughes’s animals, yield surplus power beyond themselves, as if they are demi-gods; in short, they feature the sublime as unidentified terrifying effects of nothingness. In a sense, animality means allowing some level of violence without legal sanction. Hughes inaugurates this kind of all bigotry-eradicating violence and attempts to subvert higher beings such as humans and gods, and existing doctrines: thrushes rise up against the animal and human worlds; a rush of ghostly crabs at night press through the human world. Hughes also resists the highest being, God, employing the technique of rewriting God’s theology. Dirty, anomalous crows attack, subvert, and dismember the delicate, indurate, and thorough system of logos. Hughes, of course, does not place the animals merely in lofty regard, aware of the ulterior deprivation of the sublime animality,the trace of existential negativity. Thus, a seemingly omnipotent crow can become a mere beggar guzzling ice cream from the garbage bin on the beach. In addition, the violent and dignified aspects of nothingness can be transformed to reveal the thin and trivial traits as unreliable specters. Dark, heavy, and terrible nullity lessens its own volume and mass, and exposes the airy waves of shadows or specters. However,owing to nullity’s untraceable track, the scarcity and unfamiliarity of the phantoms inversely display their foreign gigantic effects such as fantasy and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