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無) 개념에 기반한 고석규 비평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박찬효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6 한국문화연구 Vol.11 No.-

        고석규는 1950년대 실존주의를 체화하여 비평의식을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비평가이다. 전쟁 후 고석규는 자신이 놓여진 공간을 폐허로 인식하였으나 그 공간을 '새롭게' 채워 넣기 위해 역설적으로 '무(無)'를 이야기하였다. 고석규의 글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에세이적 성격에서 벗어나 개념화·구체화되고 있다. 『초극』에서는 자신의 내면을 여과 없이 토로하는 글쓰기를 통해 '무' 개념을 드러내고 있다면, 「시인의 역설」에서는 일제시대 활동했던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무' 개념을 '역설의 정신'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그리고 「민족문학의 반성」에 이르러서는 지금까지 논의했던 무 개념에 근거하여 비평가의 위치를 점검하고 전통과 세계성의 조화를 통해 한국현대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초극』에서 고석규는 여백의 심연을 보기 위해 불길 속으로 자신의 몸을 던지는 엠페도클레스의 충동을 보여주고 있다. 「시인의 역설」에서는 윤동주, 이상 등을 평가한 내용이 이전의 비평문과 달라지고 있다. 그 이유는 고석규가 단순히 작품 분석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작품 분석을 통해 무(無) 개념을 구체적으로 이론화하여 1950년대 우리 문학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평 정신은 1957~1958년에 쓰여진 글에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고석규의 비평적 관심은 점점 내면→텍스트 내(內)→텍스트 외(外)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고석규의 비평 성격이 완전히 변모되고 있다고 말 하기는 어렵다. 비평의 대상은 확장되고 있지만 고석규의 비평은 본질적으로는 무(無)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즉 글쓰기 방식은 초기와 후기가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그의 비평문에 일괄적으로 나타난 핵심적 사상은 '무' 개념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석규 비평의 중요한 특징 중 다른 하나는 '주제'의 의지를 강조한 것이다. 『초극』에서는 불모의 계절을 이겨낼 수 있는 주체의 열정을, 「시인의 역설」에서는 시적자아의 역설 정신을, 「비평가의 교양」,「현실과 문학인의 자각」 등에서는 비평가의 위치와 실천성을 강조하고 있다. 무(無)는 궁극적으로 유(有)로 나아갈 수 있는 무한한 창조력을 잉태하고 있다. 고석규는 폐허의 공간에서 현대문학이 새롭게 꽃필 수 있는 씨앗 만들기를 꿈꾸었다. 고석규의 비평문이 현실적인 실천력을 근본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점점 그러한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His importance lies in the fact that he made existentialism as his own self and expressed his unique consciousness of criticism. Some important facts were found during inquiring into his criticism process. After Korean War, hee recognized space as ruins. Paradoxically, he spoke nothingness to fill out new things in such space. As time passed, his writing escaped from essay style and became conceptualized and embodied. In transcendence(초극), he revealed his concept of nothingness by writing raw vent of his inner mind. In "paradox of poet(시인의 역설)", through analyzing poets who wrote in Japanese colony era, he embodied his concept of nothingness as paradox and spirit of paradox. Also in "reflection of national literature(민족문학의 반성)", he wanted to find way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rough harmonizing tradition and globalism and by finding position of critics based on hitherto argument based on concept of nothingness. This paper wants to look into minutely and newly early criticism through analyzing his desire in transcendence(초극) with impulse in Empedocles who seeks to abyss in blank. In "paradox of poet(시인의 역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different time point of evaluation on Yun Dong Ju, Lee Sang compared with his pre criticism on them. Here this paper wants to understand why he provide leading direction in 1950s by not limiting only text but theorizing concept of nothingness. Also this paper revealed the fact that his intention continued in his criticism written in 1957~1958. Whole perspective of his criticism paper clarified the fact that his attention of criticism expanded gradually from his inside to inside the text and from inside the text to outside the text. But the above-mentioned fact did not mean his character of criticism was entirely changed. Although object of his criticism was expanded, his criticism based on concept of nothingness. That is to say, his early writing style is different from latter writing style, practical process was expansion and reproduction of concept of nothingness. Also the important character of his criticism was his focus on willingness of 'subject'. In transcendence(초극) he focused zeal of subject who overcome barren season, in "paradox of poet(시인의 역설)" he focused paradox spirit of poetic selfness, in "culture of critics(비평가의 교양)", "awakening of practice and writer(현실과 문학인의 자각)" he focused position and execution of critics. Ultimately nothingness has everlasting creativity to become existence. He dreamed seed making on new modern literature where ruin space loomed. In conclusion, his criticism writing did not show fundamental and practical execution gradually his writing converted to such direction.

      • KCI등재

        1950년대 직업여성의 재현, 계몽의 대상과 독립적 주체 ‘사이’ -임옥인의 『젊은 설계도』(1958), ‘패션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박찬효 한국근대문학회 202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임옥인의 『젊은 설계도』에 등장하는 ‘패션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직업여성의 재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1950년대 소설에서 본격적으로 출현하는 인물형인 직업여성은 ‘아프레 걸’과 같은 편견의 대상인 동시에 남녀평등을 실현할 수 있는 주체자로 인식되었다. 본고는 패션 디자이너의 존재성을 살펴보면서 당대 직업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고민해 보고자 한다. 『젊은 설계도』는 명동의 양장점에 대한 대중의 시선, 당대의 패션 경향 등이 반영된 소설이다. 그래서 2장에서는 1950년대 활동했던 명동 양장점 디자이너의 면모가 소설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전문 직업여성 ‘강난실’의 표상을 분석했다. 난실은 당대의 건전한 복장관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여성의 몸이 자유로울 수 있는 개성적 옷의 형식을 지향한다. 3장에서는 직업여성 난실의 경제 활동과 결혼 후 직업 유지 가능성의 형상화 양상을 고찰했다. 『젊은 설계도』는 1950년대라는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직업여성의 경제력, 전문성, 직장과 가정의 양립 문제가 긍정적으로 묘사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 소설에서 강난실은 재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남성에게 기대지 않는 독립적 주체로 묘사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양장점의 성공은 당대 사회가 제시하는 건전한 시민(정숙한 여성)이 될 때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일-가정의 양립 역시 건전한 가정을 위한 직업관 아래서 인정되며, 결국 민주적 부부 관계는 상상적으로 성취된다. 『젊은 설계도』의 ‘패션 디자이너’는 독립적인 직업여성이면서도 당대의 계몽적 가치관에 포섭된 이중적 존재로 주조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professional women, focusing on a ‘fashion designer’ who appears in Lim Ok-in’s “Young Blueprint”. Professional women, who appeared in novels in the 1950s, were recognized as both targets of prejudice and subjective human beings who could realize gender equality.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position of contemporary professional women through the existence of fashion designers. The “Young Blueprint” is a novel that reflects social perspectives and fashion trends regarding dressmaking shops in Myeong-dong. Therefore, in Chapter 2, I looked at the representation of ‘Kang Nan-sil’, a professional woman, focusing on the aspect of Myeong-dong’s dressmaker designers in the 1950s being reproduced in the novel. Nan-sil embraces sound perspectives on dress of the time and at the same time pursues individual clothing that allows women's bodies to be free. In Chapter 3, I looked at economic activities of Nan-sil, a professional woman, and the shaping of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a job after marriage. “Young Blueprint” is significant in that it positively depicts the issues of professional women's economic power, expertise,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1950s. On the surface, in this novel, Kang Nan-sil is portrayed as an independent subject who does not rely on a man based on her talent and economic power. However, the success of the dressmaker appears to be possible only when one becomes a sound citizen as suggested by the society of the time. In addition, work-family balance is also achieved under a career view for a healthy family, and eventually the (im)possibility of democratic marital relationship appears. The ‘fashion designer’ in the “Young Blueprint” is portrayed as a dual being who is both a proud professional woman and subsumed by the enlightened values of the time.

      • KCI등재

        세대 간 여성 갈등과 ‘그로테스크’해지는 노년 여성의 몸 - 김숨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2013)1)을 중심으로 -

        박찬효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1 No.-

        이 연구는 김숨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2013)에 나타난 모성의 존 재성과 그로테스크하게 형상화된 노년 여성의 몸을 분석하면서, 신자유주 의 시대 더욱 심각해지는 모성 도구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소설의 중 요한 특징은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언급한 ‘자아가 상징 질서 속에서 정상 적 주체가 되기 위해 침과 같은 아브젝트(abject)를 추방하는 아브젝시옹 (abjection) 현상’이 남성과 여성 간이 아닌 여성과 여성 간에 일어난다는 사 실이다.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에서 21세기 신자유주의 시기 가정의 계층 상승을 도모하는 며느리의 모성은 ‘위생’의 돌봄 윤리를, 20세기 산업화 시 기 가족을 위해 희생했던 시어머니의 모성은 ‘위안과 따뜻함’의 돌봄 윤리 로 형상화된다. 즉, 경제적으로 무능해진 아버지의 빈 공간을 모성의 재발명을 통해 메우는 새로운 가부장제의 한 형태는, 젊은 여성이 자신보다 더 약자인 노년의 어머니를 착취하면서 가정을 지탱하는 것이다. 김숨은 이러한 양상을 ‘반복’과 ‘그로테스크’의 미학을 통해 첨예화시킨다. 새로운 형태의 가부장 질서가 내재화된 며느리의 시선에서 시어머니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모성을 지닌 존재로서 배제해야 할 대상이 된다. 노년 여성의 그로테스크한 몸은 합리적으로 변화한 것처럼 여겨지는 한 국의 가족 이데올로기가 사실은 얼마나 끔찍한 모성 착취의 메커니즘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지를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This study shows that the instrumentalization of motherhood is getting serious in the neoliberal age, through analysis of motherhood and the grotesque figuration of elderly women’s body in Kim Sum’s Women and Evolving Enemies. The motherhood of the daughter-in-law, who promotes upper-class mobility in the home in the neo-liberal age of the 21st century, is described as her care ethic based on hygiene while the motherhood of the daughter-in-law, who made sacrifices for her family in the industrial age of the 20th century, is embodied by her care ethic based on consolation and warmth. This new patriarchal system shows that a young woman cares for and maintains her family by exploiting her old mother-in-law who is weaker than herself. Author Kim Sum intensifies a new aspect with the repetitive and grotesque aesthetic. In the novel, the daughter-in-law internalizes a new type of patriarchal system. So in the daughter-in-law’s view, the mother-in-law becomes a target to exclude because she embodies a motherhood which does not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e novel metaphorically illustrates a terrible mechanism that continues to exploit motherhood by a Korean family ideology that regards the elderly women`s grotesque body as a rational change.

      • KCI등재

        한국 좀비 소설의 서사와 윤리-­­타자에 대한 사유의 전환과 구원의 모색을 중심으로

        박찬효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8

        스스로 자신이 누구인지 발화하지 못했던 좀비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그 존재성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21세기에 이르러 대중의 관심 속에서 다양한 매체의 서사물에 등장하고 있다. 한국의 소설가는 신자유주의, 전염병, 기술 발전 등 사회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좀비 아포칼립스와 윤리 문제를 고민했지만, 대체로 좀비에 대한 논의가 영상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아쉬움이 있다. 그래서 본고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 좀비 소설에 나타난 타자에 대한 사유와 구원의 모색 양상을 살펴보았다. 첫째, 영상물이 주로 좀비의 역동성으로써 신자유주의적 공포를 형상화했다면, 소설은 폐쇄적 장소성과 내면의식을 부각해 좀비에게서 살아남는 것과 사회에서 생존하는 것이 유사하다는 인식이 나타난다. 「록앤롤 싱어」는 단순히 세태를 비판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연대 회복을 통해 고립된 공간을 열린 장소로 전환시킬 수 있는 시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형상화한다. 둘째, 21세기 이후 좀비 서사와 전염병의 결합이 본격화되었고, 그에 따라 좀비는 바이러스, 배설물과 같은 위치에 놓인다. 그런데 소설은 이성적 인간/불결한 동물인 좀비의 대립이 해체되는 경향성이 잘 나타나며, 특히 『야행성 동물』은 ‘좀비-유령’이라는 존재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성찰과 저항의 가능성을 강조한다. 셋째, 일반적으로 좀비 아포칼립스 상황에서 사회의 생명 권력은 커지고 그에 따라 배제되는 존재가 생겨난다. 그런데 『화이트블러드』는 좀비처럼 취급되는 사이보그인 ‘백혈인간’을 통해 기존의 법질서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랑의 진리를 모색한다. 백혈인간의 포스트휴먼 공동체를 상상하면서 유토피아는 가능해지는 것이다.

      • KCI등재

        지하련의 작품에 나타난 신여성의 연애 양상과 여성성 : 「가을」, 「산길」, 「결별」을 중심으로

        박찬효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1

        본고는 1940년대 여성작가 지하련의『결별』,『산길』,『가을』에 나타난 사랑의 서사를 여성주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신여성(애인)-기혼남성-신여성(아내)’을 축으로 애정 관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여성성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기혼남성과 신여성에게 ‘연애’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기혼남성은 자신의 불륜을 도덕성으로 승화시키면서 어렵지 않게 가장의 권위를 회복할 수 있었던 반면, 그를 사랑했던 여성은 방탕한 존재로 이미지화된다. 그런데 지하련은 이러한 남성 주체의 도덕적 가면까지 들추고 있다는 측면에서 문제적이다. 지하련의 소설에서 여성에게 ‘연애’는 가부장적 질서로 대변되는 기존의 인습과 ‘결별’ 하는 수단인 동시에 근대적 주체로 설 수 있는 통로가 된다. 3장에서는 지하련의 작품에 나타난 신여성을 ‘아내’형과 ‘탈주’형으로 나누고 그들의 욕망과 여성성을 살펴보았다. ‘아내’형 여성은 자신의 위치를 지키려 하지만 동시에 남편의 부도덕함을 논리적으로 파악하는 이중적 성격을 보여준다. ‘탈주’형 신여성은 가부장적인 남편으로 인해 여성의 존재에 대해 자각하고 연애를 시도한다. 그러나 그녀들이 사랑하는 사람이 가부장적인 기혼남성이기 때문에 근대적 의미의 사랑을 추구하려는 욕망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한편 이러한 ‘탈주’형 여성은 감성을 동반한 이성·독립성·논리의 영역에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 동안 남성작가에 의해 왜곡되어 온 신여성의 연애와 여성성이 남성성과 여성성의 이항대립적 이해에서 벗어나 그 진정한 의미가 드러나고 있다는 측면에서 지하련의 작품에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This paper focusing on woman's identity, discusses a description of love shown in Separation, Mountain Road and Autumn of 'Ji Ha-Ryun' works, a female writer in the 1940s. It also discusses how femininity is revealed through analysis of the love relation with the axis of new woman(sweetheart)-married man-new woman(wife). Chapter 2 examines the meaning of 'love' for a married man and a new woman. While the married man could nearly recover the power of head of family by subliming his immorality with morality in Autumn, Mountain Road, a woman becomes an image of a dissipated person. Ji Ha-Ryun has a significant meaning at the aspect of exposing even the moral disguise of the man's identity. In 'Ji Ha-Ryun''s novel, 'love' is not only a means by which a woman separates from existing tradition that represents patriarch order, but also a pathway that can be a modern identity. Chapter 3 discusses the new woman depicted in Ji Ha-Ryun's work into type 'Wife' and type 'Escape' and examines their desire and femininity. In Mountain Road, a wife tries to keep the position of a wife and at the same time, shows dual aspect that tries to expose the immorality of a husband. However it mainly shows dual aspect that logically grasps the hypocrisy of a husband rather than of a maternity a type 'Wife' of woman. On one hand, type 'Escape' of new woman perceives the existence of a woman by patriarch husband(Separation) and tries a love(Autumn, Mountain Road). But, the desire that tries to escape from the patriarch order and to pursue a true love can't but always face because the person they love is a married man. But this type 'escape' of woman has a meaning at the aspect of being not in a category of emotion, darkness, and maternity like a new woman of an image in the work of male writer, but being in reason with emotion, independence and logic. 'Ji Ha-Ryun's work' is significant in presenting the true meaning of a love of new woman that has been distorted by male writers and its femininity is exposed by the views of female writer.

      • KCI등재

        인도의 한국 영화 수용 현황과 리메이크 작품에 나타난 현지화 양상 - <국제시장>과 <바라트(Bharat)>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찬효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5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 한류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인도에서의 한국 영화 수용 현황을 점검하고, 한국의 <국제시장>과 인도의 <바라트>를 서사와 양식, 여성 캐릭터, 주제의 측면에서 비교하여 리메이크된 인도 영화의 현지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바라트>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했으며, 이후 인도가 한국의 문화 콘텐츠에 더욱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된 영화다. <바라트>에 나타난 현지화 양상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첫째, 춤과 노래, 가족의 행복, 기쁨과 슬픔의 대립적 감정을 부각하는 인도의 ‘마살라’ 양식은 통속적 서사 속에서 가족의 가치를 강조하는 한국의 ‘멜로드라마’ 양식과 유사한 지점이 있다. 그래서 멜로드라마인 <국제시장>이 마살라 영화 <바라트>로 자연스럽게 전환될 수 있었다. 둘째, <국제시장>에 희생적 어머니상이 나타난다면, <바라트>는 당당한 여성을 존중하는 남성의 태도를 강조한다. <바라트>는 그동안 고통을 받아왔던 여성의 존재성을 전환하고자 하는 의도가 투영돼 있으며, 이 작품을 경유해서 여전히 억척스러운 어머니만이 숭고의 대상이 되는 한국 영화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국제시장>은 ‘세대 갈등’을 부각하고 있으며, 남주인공 덕수는 상상 속 죽은 아버지의 인정을 받으면서 자신의 존재성을 확인한다. 반면, <바라트>는 위기 극복을 위해 남성 간의 우정, 여자 형제를 매개로 한 비혈연 남성 간의 유대, 인도와 그 주변 국가의 연대를 강조하며, 보다 나은 인도의 미래를 위해 새로운 아버지상을 구축하고자 한다. 가족주의가 부각되는 <국제시장>과 <바라트>는 전세계적으로 지향해야 할 윤리가 형상화된 영화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두 로컬 서사가 교차하고 어긋나는 양상을 고찰하는 가운데 양국이 교류할 수 있는 지점을 발견한다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문화 콘텐츠가 될 것이다. 한류가 긍정적으로 지속되기 위해 OTT 드라마뿐 아니라 인도 등의 한국 영화 리메이크 양상도 주목해야만 한다.

      • KCI등재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남성의 존재론적 변환과 결혼의 회피/가정의 수호 양상

        박찬효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2 No.-

        The paper attempted to analyze aspects of that male characters have changed in Son Changseop's novels in the 1950's, focusing on male's existence and to prepare the meaningful ground for explaining by connecting to his novels in the 1960's. In his early works, these marriage-avoidant male characters go beyond 'co-figuration' that reproduces a woman and a man as symmetrical co-conceptions by identifying themselves with a female(mother) not a father. Further it shows that they distance themselves from their father who is busy trying to save face and do not want to compete against other males. Since "Lost Dream" (1956), however, the 'young men frightened by social unrest' have been reformed as a 'man with social ethicality' who makes a home and helps other people as a love triangle in the works is repeated, changed and reproduced. A man may form a similar community to family through joint actions such as 'sharing' or 'entrusting' a woman when he is absent. Through such processes, Seo Mangi, an 'exemplary patriarch', appears and is portrayed as a male character who tries to fulfill his obligations as the head of household through solidarity and to keep his home in the "Surplus People" (1958). Seo Mangi shows hegemonic masculinity that represents a dominant position compared to other men. In other words, Seo Mangi recreates the moral aspect of people supported in his time and is the criterion against which Bong-u and Ikjun are considered as a 'surplus'. By the mid to late 1950's, it is important in that Son Changseop was seeking ways of getting out of his early works. I think that as a result of his persistent efforts, he showed the 'family' and 'marriage' and hegemony between men in various situations in a lively manner by writing a novel which is appearing serially in a newspaper in earnest in the 1960's. 손창섭은 1950년대 초기작에서 전후의 무기력한 남성을 주로 그렸으나, 점차 가정과 유사한 공동체를 이루거나 가정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새로운 남성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특히 <잉여인간>에서는 소설의 중심을 차지하던 결혼회피형 남성들이 가정을 수호하는 모범적 가부장의 주변부로 밀려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 이유는 남성이 연대를 맺고 지배하고 종속되는 젠더 정치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본고는 손창섭의 1950년대 소설을 남성의 존재성이 변모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1960년대 소설과 연결해서 설명할 수 있는 유의미한 지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초기작에서 결혼회피형 남성은 아버지가 아닌 여성(어머니)과 동일화를 하면서, 여성과 남성을 경쟁적으로 비교 가능한 대칭적 개념쌍으로 재현하는 ‘쌍형상화’의 기획에서 벗어나 있다. 또한 체면만 차리려는 아버지와 거리 두기를 실천하고, 다른 남성과 경쟁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실몽>(1956) 이후, 애정의 삼각관계가 작품에서 반복・변형되어 재현되면서 점차 ‘사회적 불안에 떨고 있던 청년’들은 가정을 꾸리고 타인을 돕는 ‘사회적 윤리성을 소유한 남자’로 거듭난다. 남성은 여성을 ‘공유’하거나 부재시 ‘맡기는’ 연대 행위를 통해 가족과 유사한 공동체를 구성하기도 한다. 그러한 과정의 결과로 <잉여인간>(1958)에서 가장의 책임을 연대로써 실현하고 가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범적 가부장’인 서만기가 등장한다. 서만기는 다른 남성에 대해 지배적 위치에 있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담지하고 있다. 즉, 당대사회가 지향하는 도덕적인 국민의 모습을 재현하며, 봉우와 익준을 ‘잉여’로 만드는 기준이 된다. 그런데 손창섭의 이후 작품을 살펴볼 때, 서만기와 같은 인물 유형을 긍정적으로만 그렸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손창섭이 초기작에서 사회 부적응자의 극단적인 면모를 통해 전쟁의 광기를 형상화했듯이, 표면적으로 완벽해 보이는 모범적 가부장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으로써 오히려 가부장제의 균열을 비판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한 것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195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는 손창섭이 초기작에서 벗어나기 위해 모색을 한 시기이다. 이러한 모색의 결과로 1960년대 신문연재소설 등에서 본격적으로 ‘가족’과 ‘결혼’, 그리고 다양한 위치의 남성 간에 나타나는 헤게모니를 생동감 있게 보여주게 되었다.

      • KCI등재

        김원일의 『노을』에 나타난 ‘죽은’ 아버지의 귀환과 이중 서사 전략

        박찬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8 No.-

        An Evening Glow is an important work written by the author Won-il Kim which breaks away from early short stories and led to the introduction of a mysterious male figure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literary conversion. In this story, the author situated Kapsu, the boy figure, as an 'unreliable narrator' to call on the 'father who died figuratively' in the society during the 70's which supported the anticommunistic ideology, and provided crossing description with the perspective of Kapsu in his middle ag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story possessed double-narrative strategies for the surface and deep aspects of the story. This is why it seemed as if personal reconciliation with the father is supported when the surface of the story is observed, but the hidden aspects of the story display the plans of aiming to situate the father in the historical context. In chapter two, the appearance of the father as an innocent heroistic figure was characterized to observe the surface narrative aspect through the petit-bourgeois Kapsu who is faithful to the anticommunistic ideology and the boy narrator, who is the unreliable narrator. When Kapsu realizes that the social structure possessed by his father is the target of his hatred instead of his father, Samjo Kim is reborn as a man who dreamt of living happily with his son. In chapter three, the aspects of deep narrative, which aimed to describe the father from a historical context, were observed. A 'butcher' is an illocution which signifies the labeling as the socialist, and the author implemented the task of eliminating the scarlet letter carved on the father. Description of interchange in point of view with application of dreamy backgrounds such as 'dreams' were applied to criticise the opposition of ideologie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The image of the father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Kapsu as a boy and the image of Samjo Kim displayed from the reminiscence of middle-aged Kapsu were in discordance in order to artificially create a crack in the narration. The image of the butcher Samjo Kim, which was identified by the readers, was revised by the end of the novel. As a result, the father, who was excluded as the ideological ghost, was positioned as a socialist in the historical dimension. 노을은 김원일이 불가해한 남성 주체가 등장하는 초기단편에서 벗어나 문학적 전환의 계기를 마련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본고는 이 작품이 표층적으로는 당대 사회의 반공 이념에 부합하는 서사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이데올로기 비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읽어내려고 한다. 작가는 70년대 사회에서 월북한 아버지를 불러내기 위해 소년 갑수와 중년 갑수의 시점을 이용한다. 그래서 겉으로는 아버지와의 개인적 화해를 지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심층적으로는 아버지를 역사적 맥락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이 작품은 반공 이념에 충실한 소시민 중년 갑수와 신뢰할 수 없는 화자인 소년 갑수를 의도적으로 교차 서술하여 아버지를 순진한 사회주의자로 이미지화하고 연민의 대상으로 재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은 함구했던 아버지를 발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개인적인 화해를 가능케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아버지를 역사적 맥락에 위치시키려는 전략이 숨어 있다. 백정은 사회주의자가 지닌 낙인을 의미하는 언표이며, 작가는 아버지에게 새겨진 주홍글씨를 지우는 작업을 수행한다. ‘꿈’ 등의 몽환적 배경을 이용한 시점 교차 서술로 남북의 이념 대립을 비판한다. 겉으로는 사회주의만을 비판하는 것으로 여겨지나 궁극적으로는 남한의 이데올로기가 가진 폭력성까지 드러낸다. 또한 소년의 눈에 비친 아버지의 이미지와 중년 갑수의 회상에서 드러난 김삼조의 이미지를 불일치시켜 인위적으로 서사에 균열을 만들기도 한다. 소설의 마지막에 이르러, 이전에 제시했던 백정 김삼조의 이미지를 교정함으로써 그동안 이데올로기의 유령으로 배제되었던 아버지를 사회주의자로써 역사적 차원에 배치시킨다. 요컨대 노을은 ‘아버지와의 개인적 화해’라는 표면적인 서사가 절정에 이를수록 아이러니하게 ‘폭력적인 사회주의자였던 백정 아버지’의 이미지를 교정시키는 양상도 강화되는 이중 서사 전략으로 ‘죽은’ 아버지를 다시 한국의 역사 속에서 불러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