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신세기 문학’의 뉴미디어적 요소와 그 문제들

        쩡쥔(JUN ZENG)(曾軍)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1

        이 글은 ‘신세기 문학’이라는 명명과 거의 동시에 거론된 인터넷 문학과 핸드폰(문자 메시지)문학을 대표하는 ‘뉴미디어 문학’ 현상을 통해 ‘신세기 문학’이 걸어온 과정을 반추하고, ‘뉴미디어 문학’에 대한 ‘신세기 문학’의 포용력과 그 한계를 통하여 ‘신세기 문학’이 갖고 있는 문학적 개념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그렇다면 ‘뉴미디어 문학’이란 무엇인가? 기존의 견해에 따르면 뉴미디어는 “문학은 언어의 예술”이라는 기본 속성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뉴미디어의 등장은 종전의 언어 존재 방식 ― 구두, 서면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지 언어의 새로운 ‘저장 장치’를 만들었을 뿐이다. 혹은 따라서 뉴미디어 문학 그 자체는 문학 장르로서 독립성을 갖지 못하며, 문학에 대한 그 영향은 주로 문학 활동에 집중돼 있으므로 이들은 모두 문학의 외부에 대한 연구에 속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는,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언어의 존재 방식이 바뀌면서 언어적 표현력과 상상력이 풍부해졌다. 또한 문학 활동 방식의 변화는 문학 내부 권력 관계 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문학 생산 시스템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중국의 인터넷 문학은 대략 1988년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BBS 문학, 문학 전문 사이트의 문학, 전자잡지 문학, 블로그 문학, 핸드폰(문자 메시지) 문학 등의 형태로 변화, 발전해 왔다. 그러나 ‘뉴미디어 문학’에 대하여 ‘신세기 문학’은 여전히 부분적으로만 수용하는 “제한적인 포용”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 견해에 따르면 첫째, ‘신세기 문학’의 ‘신(新)’은 ‘뉴미디어’의 ‘뉴’일 뿐 아니라, 그것이 가장 중시하는 문학적 입장은 여전히 전통적인 종이 문학 역사가 지속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찰이다. 둘째, ‘뉴미디어 문학’을 대하는 전체적인 태도는 기본적으로 모두 엄숙 문학과 상대되는 대중문화 혹은 상품 문학이라는 자리에 그것을 위치 시킨다. 셋째, 영상으로 대표되는 시각 미디어 문학의 영향에 대한 관심은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뉴미디어 문학의 영향에 대한 관심보다 더 크다. 넷째, ‘뉴미디어 문학’의 다양한 장르에 대한 ‘신세기 문학’의 수용 정도가 다르다. 다섯째, ‘신세기 문학’은 ‘뉴미디어’의 문학 창작과 비평의 영향을 더욱 중시한다. 결론적으로 나는 이 논의와 관련하여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문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신세기 문학’의 ‘신’은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20세기 전통 문학 역사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이다. ‘신세기 문학’이 전향적인 시각으로 향후 문학 발전 추세에 대하여 발언하고자 한다면, 끊임없이 스스로가 ‘역사가’가 되려는 충동을 극복해야 비로소 생동감과 활력을 영원히 간직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뉴미디어 문학’의 문학 발전은 ‘미디어 충격’에서 ‘미디어 적응’으로, 다시 ‘미디어 망각’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은 곧 ‘뉴미디어 기술’이 내재화되어 ‘문학 기술’로 되어가는 과정을 뜻하며 이는 결국 문학예술의 수단이 풍부해짐을 의미한다. 셋째, ‘신세기 문학’이 더 커다란 포용력으로 ‘뉴미디어 문학’을 품으려면 ‘문학 정전화’적 사고와 정전 작가 및 정전 작품으로 ‘뉴미디어 문학’을 요구하고 선별하려는 종래의 글쓰기 관습을 극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rocess that how 'the new century literature' has developed through the 'new media literature' phenomenon represented by Internet and SMS (text message) literature, which began to be mentioned at the same time with the naming of 'the new century literature' and to contemplate its literary concept, which is manifested through its engaging capacity and limitation towards 'new media literature'. Then, what is 'new media literature'? According to the existing opinions, since new media literature has not change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that "literature is the art of language", the emergence of new media literature has only created a new 'storage device' of language while maintaining the methods of its existence so far such as oral or written forms. Therefore, new media literature is said to belong to the studies on the externals of literature as it cannot have independence as a literature genre and its implications are mainly focused on literary activities. However, in my opinion, the method of existence of language has changed due to the emergence of new media, which has in turn enriched linguistic expressions and creativity.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methods of literary activities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adjusting internal power relations of literature and will bring about a major change in literature production system. The Internet literature in China commenced in about 1988 and has developed into BBS literature, literature of professional literature sites, e-magazine literature, blog literature, and SMS (text message) literature. Nonetheless, for this 'new media literature', 'the new century literature' shows only "limited capacity" engaging only part of it.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first, the 'new' of the 'new century literature' is not only the 'new' of 'new media', but also means that what it contemplates the most importantly is still that whether the history of the traditional paper literature can continue or not. Second, the overall attitude towards 'new media literature' is located in the position of popular literature or goods literature in contrast of 'serious literature'. Third, visual media literature represented by images and its influence draw more attention than new media literature represented by the Internet and its influence. Fourth, 'the new century literature' engages different genres of 'new media literature' all differently. Fifth, 'the new century literature' considers literature creation and criticism of 'new media literature' more importantly. In conclusion, with regard to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point out several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urgently. First, the 'new' of 'the new century literature' is, from a broader perspective, a comparative concept in contrast with the 20th-century traditional literature history. If 'the new century literature' wants to make a comment on the trend of literature development in the future, it should overcome the desire to become a 'historian' by itself. Only then will it be able to keep its vitality forever. Second, the literary development of 'new media literature' goes through processes from 'media shock' to 'media adaptation', and then again to 'media oblivion'. These processes mean 'the new media technology' is turning into 'literature technology' through internalization, which eventually means the methods of literary art are increasing copiously. Third, if 'the new century literature' engages 'new media literature' with a broader capacity, it should overcome the existing writing practices requiring and trying to select 'new media literature' with a 'literature canonization' attitude, canon writer and cannon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뉴미디어 아트 전시 공간의 숭고미 해석

        장연정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2 전시디자인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lime beauty in the exhibition space of new media art that provides new viewing experience. New media art is a new art genre that began when various advanced t echnologies were incorporated into art, and it allows people to experience the transcendence of time and s pace provided by technical media. Therefore, the use of new media in exhibition spaces that enable new e 124 xperiences in viewing is receiving great response. Th is exhibition space of new media art provides visitor s with a multi-sensory experience to enjoy the new world of creation created by humans and technology. This exhibition space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art and technology becomes an object of sublime bea uty. In this study,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 hibition space of new media art is based on the theo ry of sublime. To this end, first, we consider the con cept of art and identify three representative character istics of new media art through previous studies. Sec ond, we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s ublime, and derive negative pleasure and eventuality a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sublime. Third, w e interpret the sublime shown in the exhibition space of new media art by dividing the connection between subl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 e of new media art into 'sublime as a boundary bet ween time and space', 'negative as a occurrence of multiple senses', and 'eventuality as a real-time mov ement'. The power of technology created by human s in modern society provides a much more multi-lay ered and complex feelings than the awe given by nat 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akes an epi stemological approach to the exhibition of new media art, an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 portunity to prepare a multidisciplinary interpretation of exhibition design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관람경험을 제공하는 뉴미디125 어 아트 전시공간의 숭고미를 해석하는데 있다. 뉴미디어 아트는 기술의 변화가 예술에 적용되면서 시작된 새로운 예술장르로서, 기술매체가 제공하는 시· 공간의초월성을 체험할 수 있는 예술이다. 따라서 새로운 관람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전시 공간에서 뉴미디어의 활용은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뉴미디어 아트 전시공간은 관람객에게 인간과 기술이 만들어낸 잠재력과가능성을 경험하게 한다. 이처럼 예술과 기술의 경계를넘나드는 전시공간은 숭고미의 대상이 된다. 본 연구는뉴미디어 아트 전시 공간의 미적 경험을 숭고미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아트에 대한 개념을고찰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뉴미디어 아트의 대표적 특성 3가지를 도출한다. 둘째, 숭고미의 형성배경을 이해하고, 부정적 쾌감과 사건성을 숭고미의 대표적 특성으로 도출한다. 셋째, 숭고미와 뉴미디어 아트 전시 공간의 특성 사이의 연계성을 ‘시공간의 경계로서 숭고미’, ‘다중 감각의 발생으로서 부정성’, ‘실시간 움직임으로서사건성’으로 도출하여 뉴미디어 아트 전시 공간의 숭고미를 해석한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 아트 전시에 대한인식론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으며, 향후 전시디자인에 대한 다의적 해석을 마련하는데 계기가 되길기대한다.

      • 살아있는 기억 : 뉴미디어

        김현지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2 陶藝硏究 Vol.- No.31

        본 연구는 뉴미디어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은 우리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작업을 서술한 논고이다. 정보의 전달을 중시했던 기존 미디어와는 달리, 뉴미디어는 매개의 시스템과 연결성 그 자체를 중시한다. 이에 따라 뉴미디어를 통한 무한한 정보의 공유 및 확산과 연결이 가능해지면서, 뉴미디어를 통해 자동적으로 재배열된 정보 즉, 우리의 기억은 살아 있는 것과 같이 느껴진다. 이때, 우리는 뉴미디어의 광범위한 영향력과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압도되고 때로는 저항감을 느낀다. 연구자 또한 뉴미디어에 대한 불안감과 기대와 같은 양가적 감정을 느꼈고, 우리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뉴미디어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태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뉴미디어 시대에 가상 시스템들이 주목 받음에 따라 모든 것이 비 물질화될 수 있음을 확인하면서 물질적 작업의 당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뉴미디어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 것을 넘어서서 우리가 스스로 사회의 구성원임을 확인하고, 우리의 사회화를 돕는 사회적 장치이다. 한편, 뉴미디어는 우리 삶의 유동적이고 연속적인 정보들을 수적 재현과 모듈성이라는 뉴미디어의 원리에 따라 디지털 단위로 환원시킨다. 이때, 우리의 실제적 삶과 사고 또한 단순화되고 유형화될 위험이 있다. 단순화되고 유형화된 사고는 다시 수동이고 무비판적인 미디어 사용을 초래하는데, 이는 우리 삶의 가능성을 축소시킬 위험이 있다. 뉴미디어를 통해 우리 삶의 모든 정보들이 유형화되고 디지털화될 때, 예술 또한 그 입지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동시대에는 시각적으로 존재하지 않아도 어떠한 가상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예술의 형태로 인정되기도 한다. 또한, 매체의 물성을 활용하여 감각에 충격을 줌으로써 우리의 감각을 재구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각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감각과 관련된 데이터를 물리적 흔적으로 남김으로써 감각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감각 경험을 보존하고 공유하는 뉴미디어 시대 예술의 역할에 따라, 연구자는 점토를 활용하여 뉴미디어에 대한 연구자의 감정을 시각화하였다. 점토는 작업 단계에 따라 그 물성이 변화하고, 이는 타 매체에 비해 풍부한 감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작용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점토의 특성을 활용하여 연구 초반에는 경계심, 우려, 기대와 같은 뉴미디어에 대한 양가적 감정을 표현하였고,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뉴미디어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뉴미디어에 대한 부정적 관점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뉴미디어를 바라보게 되었다. 결국 본 논고는 새로운 미디어에 적합한 시각과 감각을 얻는 과정이다. This study is a thesis that describes work based on research on what new media is and how it affects us. Unlike former media that emphasized the delivery of information, new media values the connection itself of the media system.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share and connect infinite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rearrange information through new media. That is, our memories feels as if they are alive. Therefore, we are overwhelmed by the wide influence of new media and vast amounts of data and sometimes feel resistant. The researcher also felt ambivalent feelings such as anxiety and expectations towards new media. And thought that we need a new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new media which is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In addition, in the new media era, as virtual systems got evolved, everything can be de-materialized. So the justification for material work should be justified. New media not only delivers and stores information, but also confirms that we are a member of society and helps us socialize. Meanwhile, new media transforms continuous information in our lives to digital unit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new media which is numerical and modularized. At this time, there is a risk that our actual lives and thoughts will also be simplified and categorized. However, simplified and categorized thinking leads us to passive and uncritical use of media. When all the information in our lives is categorized and digitized through new media, art also needs to reorganize its position. In this time, artworks that don’t exist visually recognized as a new form of art just by presenting the virtual system. Also, we can induce reconstruction of our senses by using the physical material to impact the senses. And it can also evoke nostalgia for the senses by leaving physical traces on the surface of the artwork.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role of art in the new media era in preserving and sharing sensory experiences, this thesis contains visualized feelings about new media using clay. The property of matter in clay changes according to the working stage, which acts as an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abundant sensory experience than other media. Through these features of clay, at first, researcher expressed ambivalent feelings about new media such as vigilance, concern, and expectation, and as the study progressed, expressed an objective view of new media. As a result, researcher came to look at new media objectively, away from the negative perspective on new media. In the end, this paper is the process of obtaining a view and sense suitable for new media.

      • KCI등재

        뉴미디어아트의 속성과 재매개 이론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양승수 ( Yang Seung-soo ),이원섭 ( Lee Won-sub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0 No.-

        뉴미디어아트는 뉴미디어를 사용한 새로운 형식의 예술작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뉴미디어아트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제작되었거나 전시된 작품이다. 따라서 그것의 범위는 컴퓨터로 편집된 비디오아트에서부터 컴퓨터로 제작되고 전시되는 웹아트(web art)에까지 이른다. 또한 컴퓨터로 제작된 이미지를 종이에 출력하여 전시하는 작품에서부터 넷아트(net art)라고 불리는 작품까지 뉴미디어아트가 된다.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이론은 뉴 미디어 아트를 계층적, 인지적으로 파악한 최신의 이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오늘날 생산되고 유통되는 뉴미디어아트의 창작방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최근의 뉴미디어아트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는데, 뉴미디어아트의 범주를 크게 추상적 속성, 복제적 속성, 상호작용적 속성으로 나누었다. 또한 뉴미디어아트의 계보적인 연원을 이루는 전통적인 회화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뚜렷한 공통점과 변별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재매개 이론에서 제시하는 비매개, 재매개, 하이퍼매개를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재매개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함과 동시에 그것이 포괄하지 못하는 범위의 한계를 드러냄으로써 보다 확장된 형태의 분석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급변하는 시각문화환경 속에서 뉴미디어아트가 차지하는 위상을 확인함과 동시에 현대예술이 추구하는 대중과의 소통이라는 지평을 넓히기 위함이다. New media art can be defined as a new form of art works using new media. New media art is created or exhibited using computers. Accordingly, the scope of new media art ranges from video arts edited with computers to Web arts created and exhibited using computers. Furthermore, new media art includes images created with computer, printed out on paper and exhibited, and works called net arts. The remediation theory of Bolter and Grusin is one of the latest theories that perceive new media art hierarchically and cognitively.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creation methods of new media arts produced and distributed today based on the remediation theory of Bolter and Grusi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losely examined recent cases of new media arts, categorizing the properties of new media arts into abstraction, reproduction and interaction. In addition, clear common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new media arts and traditional paintings, which are the genealogical origin of new media arts, were identified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m. This attempt was to clarify immediacy, remediation and hypermedia suggested in the remediation theory. Through this, we tested the validity of the remediation theory, and at the same time, suggested the necessity of an analysis frame in an extended form by revealing the 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theory. This attempt was to confirm the position of new media art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visual culture and to expand the horizon of communication with the masses pursued by contemporary arts.

      • 논문 : 현대문학 ; 뉴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서사 양상과 미디어 리터러시

        최성민 ( Sung Min Cho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3 No.-

        언제나 ``뉴미디어``가 있었다. 한때 ``신문``도 뉴미디어였고, 심지어 ``봉화``도 뉴미디어였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뉴미디어``라는 어휘는 디지털 전자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를 지칭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뉴미디어는 몇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멀티미디어적 속성이다. 요즘의 뉴미디어들은 각각의 영역이 명확하지 않고 혼성되어 있는 성격을 띤다. 과거의 신문이나 방송도 기존의 매체들이 혼성된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지금의 뉴미디어들은 더욱 더 복합적인 미디어 환경 속에서 등장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그 어떤 미디어도 일방적으로 지배하거나 점령하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두 번째는 미디어의 재매개 과정에서의 ``투명화`` 속성이다. 뉴미디어는 기존 미디어의 콘텐츠를 재매개하는 방식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미디어 자체를 투명화하는 방식으로 미디어의 역할은 오히려 강화되었다. 근래 가상현실이나 가상세계에 대한 시도는 그 대표적인 예들이다. 세 번째는 상호텍스트적 속성이다. 서사 텍스트들은 다양한 매체로 전환되어 활용되며 소통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뉴미디어 시대에 과거의 ``문학`` 개념은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책``이라는 매체에 의존하지 않고도 문학적 성찰과 예술적 감수성을 교육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서사 교육의 방법도 제시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시대의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그 대안으로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always been New Media. The newspaper was a new media, even beacon fire was a new media. However the word ``New Media`` in these days generally means media based on digital and electronic technology. New Media has several attributes. First, they are Multi-Media. New media nowadays look hybrid and don``t have clear borders. It``s same the newspaper and broadcast come on the scene in the shape of mixture of existing media. But the circumstances are much complicated and the appearance and exit are much more rapid. This is the era no media can be fully dominant or occupy. Second, they are ``transparent`` in re-mediation process. New media has been developed by re-mediating existing media. The role of media has been reinforced to make transparent media itself. The trials for virtual reality or virtual world are good examples. Third, they have intertextuality. Narrative texts are changed in various media, utilized and communicated manifoldly. All these aspects require to reestablish the past concept of ``Literature`` in new media era. Also new educational method in narrative education is needed not to depend on only books for literary inquiry and artistic sensitivity. Media literacy education is worthy to notice to reinforce understanding for new media in new era.

      • KCI등재

        뉴미디어의 확장된 신체성으로 본 리테일 브랜딩 공간 상호작용

        김햇빛 ( Kim Haetbit ),이선정 ( Lee Sunjung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1990년대 이후 컴퓨터와 뉴미디어의 본격 등장은 디지털 복제와 인터넷 네트워크의 가상 이미지가 현실을 지배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이러한 시대에서 뉴미디어는‘기호’가 아닌‘감각’을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신체성이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는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소비문화는 상업적이고 피동적인 구매 활동이 아닌 긍정적이고 참여적인 활동으로 인식하면서‘소유’보다‘경험’이 중요시된다. 이에 뉴미디어와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커다란 시대적 맥락 안에서 이해하였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변화하는‘신체성’이라는 공통점으로 통합할 수 있음을 포착하였다. 본 연구는 뉴 미디어 환경에서 개념이 확장된 신체성의 관점을 통해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바라봄으로써 신체와 공간의 상호작용으로 신체와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뉴미디어, 리테일 브랜딩 공간, 신체성의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를 통해 변화하는 각각의 관점과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후 뉴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신체 성의 의미를 파악하였고 개념을 확장한다. 확장된 신체성을 기본 전제로 이를 리테일 브랜딩 공간과 연계하여 상호 관계적 특성 을 도출한다. 도출된 상호 관계적 특성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뉴미디어 공간 특성을 최종적으로 도출하고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뉴미디어가 적용된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분석틀로 제시한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 뉴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확장된 신체성을 ‘타자론적 신체’, ‘사이보그적 신체’, ‘시뮬라크르적 신체’로 명명하여 신체성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확장된 신체성과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상호 관계적 특성으로는 ‘이미지 주체’, ‘이질적 접합’, ‘감각의 침입’ 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특성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뉴미디어의 공간 특성으로 ‘가상성’, ‘탈경계성’, ‘혼합성’, ‘확장성’, ‘흡수성’, ‘유동성’이 최종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뉴미디어의 확장된 신체성으로 본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상호작용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성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기술적 환경과 접합하여 확장을 시도하고 있는 신체성의 개념을 리테일 브랜딩 공간에 나타나는 뉴미디어의 공간 특성으로 분석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공간에 적극적으로 적용되는 뉴미디어를 통해 공간이 공간 사용자와 자유롭게 상호작용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full-fledged appearance of computers and new media since the 1990s proclaimed a new beginning of the postmodernism, in which digital reproduction and virtual images of Internet networks dominate reality. In this era, physicality becomes an important concept as new media interact through “sense” rather than “taste”. In addition, the consumption culture after postmodernism is recognized as a positive and participatory activity rather than a commercial and passive purchasing activity, and 'experienc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ownership'. Accordingly, the space for new media and retail branding was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a large period of postmodernism, and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integrated into the common point of 'physicality' which is changing since postmoder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recognize the body and space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body and space by looking at the retail branding space through the perspective of bodily nature in which the concept is expanded in a new media environment.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review on the changing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of new media, retail branding space, and physicality, and literature research. After tha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the meaning of physicality in the modern society was identified and the concept was expanded. Based on the basic premise of extended physicality, inter-relationa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by linking them with the retail branding space. From the derived inter-relational characteristics, the new media space characteristics for spatial analysis are finally derived and combin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retail branding space and presented as an analysis frame for the retail branding space applied with new media.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a new perspective on physicality was proposed by naming the extended physicalit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s 'a typological body', 'cyborg body', and 'simulacre body'.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panded physicality and retail branding space were derived as 'image subject', 'heterogeneous junction', and 'expansion of sensation', and from these characteristics, 'virtuality' ‘de-boundary’, ‘mixing’, ‘extensibility’, ‘absorbency’, and ‘fluidity’ were finally derived as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for spatial analysis. (Conclusions) The interaction of the retail branding space, seen through the expanded physicality of this new media, was created to satisfy the socio-cultural needs of a rapidly changing era. The analysis conten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oncept of physicality, which is attempting to expand in conjunction with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ppearing in the retail branding space. Through new media that are actively applied to the space, It is expect to interact freely with users of spaces.

      • KCI등재

        뉴미디어 아트 보존에 대한 고찰

        배수빈(Bae, Su bin),한경순(Han, Kyeong s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기술과 예술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뉴미디어 아트는 더 이상 낯선 예술이 아니다. 다양한 주제와 표현 방식으로 가상공간을 이용한 작품들이 창출되면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등의 일반 대중이 개입하는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더욱 접근하기 쉬운 예술이 되었다. 또 사회적인 관심도가 높아지고 대중화되면서 개인 컬렉터나 미술관들의 수집 대상이 되고 있다. 첫 번째로 미술관의 지역별 분포를 조사, 그것을 대상으로 뉴미디어 작품의 소장 현황을 파악하고, 뉴미디어 아트에 중점이 되어 있는 전시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연도별 조사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미술관 소장품 수집 현황을 조사, 뉴미디어 작품의 분포를 분석하고, 더 자세한 뉴미디어 아트의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 미술 기관 중 뉴미디어 작품을 100점 이상 소장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연도별 수집 현황을 조사한다. 두 번째로 국외의 미술관 보존환경들을 조사하고, 뉴미디어 아트 보존을 위한 기술적 보존 전략들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뉴미디어 작품 보존을 위한 기술을 통해 다학제적 접근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 국내 미술관의 연도별 미술품 수집 현황을 통해 2013년도에 저조하던 뉴미디어 작품수집 비율이 2014년부터 조금씩 증가됨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국내에서 100점 이상의 뉴미디어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연도별 수집 현황을 통해 뉴미디어 소장품의 증가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국외미술관들의 경우 변화에 따른 다양한 미술품 수집에 적절한 보존부서를 신설하고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체계적인 환경을 갖추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뉴미디어 관련 연구 프로젝트인 〈가변매체 네크워크〉,〈미디어아트의 문제들〉은 전문적이고 구체화된 보존 연구를 보여준다. 연구 그룹은 다양한 장르의 미디어 작품의 유형을 매체의 성격에 따라 새롭게 분류하여 제시하고, 원래의 매체보다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는 데 기반을 둔 보존 전략을 제안한다. 또한 현장 적용 가능한 사항들에 대해 연구하고 각종 양식들을 공유함으로써 소장, 전시, 대여, 관리 등의 업무가 필요한 미술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 보존 현황 조사와 연구는 국내 뉴미디어 작품의 관리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을 고찰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으며, 국외의 연구 그룹처럼 국내에도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지속적인 보존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보존 연구에는 보존처리가 이외에도 기술적인 정보를 주고받을 테크니션이나 작가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는 다양하고 조직화된 전문가들의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국내 시스템에 맞는 표준 지침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New media art combined with technology and art is not an unfamiliar art any more. With the creation of works using virtual space based on diverse themes and expression methods, the general public intervened in it such a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o that it has become a more approachable art. Also, owing to the increased social interest and popularization, it was subject to collection for private collectors or art museums. First, after researching the distribution of art museums in each area, it understood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new media art works, and also examined exhibitions focusing on new media art. On top of researching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domestic art museums from 2013 to 2016, and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new media art works, in order to understand more detailed trend of new media art, it researched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Seoul Museum of Art possessing more than 100 new media art works by year out of domestic art institutions. Second, it researched the conservation environment of foreign art museums, and arranged technical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arts. Lastly, new media works conservation techniques provid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ccording to the result, it confirmed that the rate of artwork collection of new media which was low in 2013 increased a little bit from 2014 through the yearly artwork collection status of domestic art museums. It also confirmed the tendence of increase for new media collections through the yearly status of the National Museum and the Seoul Museum of Art which had new media artworks. In case of overseas’ art museums, they have tried to have systematic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controling new departments suitable for the conservation and 〈Variable media network〉 and 〈MMA〉 which were the new media related research projects showed professional and detailed studies for the conservation. The research group newly classified and suggested a variety of genres of media artwork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s well as the conservation strategies based on finding ways of conserving longer than the original media. In addition, it could be helpful for art museums which needed works of collection, exhibition, rental, and management by studying things which were available to apply at the site and sharing various forms. Therefore, the status research and studies on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could be seen as a process of reviewing systematic ways in the managing environment of domestic new media artworks.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the conservation continuously through forming networks in Korea like research groups in overseas. The research for the conservation requires diversified approaches among technicians or artists that can exchange technical information and diversified and organized specialists that can get consultations. Through the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 guidelines suitable for the domestic system.

      • KCI등재

        올드미디어는 뉴미디어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주재원(Jae-won JOO),나보라(Bora NA)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9 언론과 사회 Vol.17 No.2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기존 매체의 위상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어 미디어 장 내에서는 제한된 영역을 차지하고자 하는 권력투쟁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미디어 상호간의 권력관계, 특히 담론생산의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는 올드미디어로서의 신문이 텔레비전, 인터넷 등의 시대별 뉴미디어와 관련해 생산하는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신문은 뉴미디어에 대해 교육적ㆍ공익적 역할의 충족 여부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보도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보도방식은 사실 보다는 가설에 기반하는 양상을 보였다. 텔레비전에 대한 담론의 경우 전반적으로 ‘저속할’ 뿐만 아니라 ‘공공성이 결여된’ 매체로 재현하고 있으며, 인터넷에 대해서는 도입기에 긍정적 담론이 다수 발견되었으나 성숙기로 갈수록 ‘선정적’이면서 ‘중독성’이 강하고 ‘병리적 치료가 필요한’ 매체로 재현되고 있었다. 둘째, 신문은 새롭게 등장하는 뉴미디어를 ‘타 국가와의 경쟁도구’로 담론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외국의 뉴미디어 관련기술과 문화에 대한 이중적 보도양상을 나타냈다. 즉, 기술적 측면에서 뉴미디어가 선진국의 앞선 수준에 도달해야 함을 강조하면서도 내용적 측면에서는 뉴미디어로 인해 파생되는 외국 문화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견지하거나, 기술적으로는 발전했을 지라도 대안 미디어로서의 기능에 관한 담론은 축소되어 있었다. 셋째, 신문은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야기되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가족(부모)의 관심과 대화’와 ‘인쇄매체의 활용’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은 신문매체가 뉴미디어를 이성적 판단이 부족한 미성년자들의 전유물로 바라본다는 관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문이 텔레비전과 인터넷을 비윤리적이고 수준 낮은 미디어로 재현하는 것에 반해 신문 스스로에 대해서는 매우 ‘엘리트적’이며 사회를 선도하는 ‘정동성’ 있는 미디어라는 담론을 반복적으로 생산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올드미디어로서의 신문이 이항대립적 위치라는 특수한 입장에서 타 미디어를 특정하게 담론화함으로써 미디어 장에서의 우월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담론생산 행위로 해석할 수 있다. Advent of new media influences on the status of existing media. When new media enters into the existing field of media, a power struggle for leading position erupts among media. During this struggle, old media makes use of its leading position in discourse producing to fix new media in a specific frame. This research analyzed newspaper articles on new media, which are television and internet, to see how this struggle goes and the mechanism of power works on the basis of the stage of media life cycle.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 newspaper tended to judge how well the new media performs its educational and public duty as a popular media and then decide the way of indicating new media, positive or negative. According to discourse regarding new media in newspaper, television was indicated as a medium that is 'low' and 'lack of publicness'. A few of positive discourses were found in the introduction stage of internet, but when it comes to maturity stage, internet began to be indicated as 'lascivious' and 'addictive' medium that needed treatment to be cured which eventually defined the medium as a pathological phenomenon. Second, newspaper produced certain discourses that define new media as a 'mean to compete against other countries'. Also newspaper took contradictory attitude since it admitted that new media brought advanced technology which is essential for competition against other countries and that is good, but on the other hand, it consistently maintained negative view on foreign cultures that inevitably flowed into the country. Third, to solve the socio-cultural problems caused by new media, newspaper suggested to make use of 'conversation with family' and 'reading print media'. This is not just about the conservative attitude of newspapers which had been spreading the value of traditional family, but also shows that newspaper regards new media as teenagers' sole property who are not fully matured. Lastly, while newspaper has defined television and internet as mass media or populistic media all along, it placed itself in the opposite side of new media defying itself as 'elite' and 'authentic' medium that leads the society in right way.

      • KCI등재

        휴대 전화 전자파를 이용한 뉴 미디어아트 연구

        이수진(Lee, Su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뉴 미디어 아트(New Media Art)란 무엇인가? 이제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이지만 정의내리기 간단하지 않다. 뉴미디어의 예술적 개념은 미적으로 접근할 때 다다 예술 운동이 시작된 2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이다. 미디어는 대상의 정보나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매개이다. 따라서 뉴 미디어아트는 시대변화에 따라 언제나 새롭게 탄생한다. 지금 21세기의 뉴 미디어아트는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식이 있다. 우리는 뉴 미디어아트(New Media Art)를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컴퓨터 아트(Computer Art)”, “멀티미디어 아트(Multimedia Art)” 그리고 “인터랙티브아트(Interactive Art)”로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 미디어 아트를 한 장르에 국한하지 않은, 작품 “EMF Efx”를 통해 시대를 반영하는 사회 문제와 기술 방법을 고찰한다. 문화와 사회 문제 그리고 미학과 관련하는 미디어 아트는 새로움을 반영하는 미디어 기술 기반의 예술 작품 세계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의 발달로 작가의 세계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양해 졌다. 따라서 뉴 미디어 아트를 작품과 물리적인 상호 작용(interaction)을 경험하는 것은 뉴 미디어아트의 일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EMF Efx”를 통해 뉴 미디어아트가 기술 기반으로 표현 양식의 영역을 넓히고 작품과 상호 작용(Interactive Art)함으로서 예술이 작품을 통해 무엇을 표상하는지 고찰한다. 또한 작품이 관람자와 직접 소통하게 될 때, 관람자의 감상 태도와 경험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논한다. “뉴 미디어의 문화적 뉴 미디어는 기술적 발전이 낳은 전혀 새로운 미디어라기보다는 그것을 새로운 것으로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실천들과 정치경제적 관계들 속에서 뉴미디어로 지칭” 하기 때문이다. What is new media art? It is not simple to define the word that is familiar to us. For artistic aesthetic approach to the concept of new media, it has begun to the 20th century Dada art movement. We define a media is to store and deliver information or data1) and which are used to represent the Object through media. Thus, the definition of new media art is always updated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Now, 21st century, new media art is based on the computing system which are a variety of ways to represent the Object. We are classified new media art such as "digital art", "computer art", "multi-media art" and "interactive art". In this paper, we study media art reflect cultural and social issues through analysis of the work of “EMF Efx”. Media art can be called the world of a work of art which reflects its culture and social issues associated with aesthetics in state of art. As developing technology, the works of arts are possible to be expressed to diverse ways in state of the art. Interactive art of new media art that is possible to experience interaction between computing system(machine, device etc..) and human. In this paper, we study the media art represent what kinds of subject is and how it works by it using technology-oriented. Also “EMF Efx” shows that is expanding the area of technology-based new media art form.. We discuss that how it works to communicate directly between the spectators and artworks via interactions and how the spectators have the attitude and experience. "New media of culture is just not because new media but because creating new social and cultural practices, Also 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s make new technology development that has produced a whole new media.

      • KCI등재

        미술관 전시공간 내 뉴 미디어의 체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유단경 ( Danqiong Liu ),유정 ( Ting Liu ),황연숙 ( Yeonsook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여러 미디어들이 서로 통합되는‘미디어 컨버전스'의 시대로 빠르게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미디어들이 서로 통합되어 나타나는 이른바 뉴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전시공간에서도 융합형태의 미디어들을 활용한 공간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시공간은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여러 가지 미디어들이 융합된 뉴 미디어를 통해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불러일으키고, 상호교류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뉴 미디어는 사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끌어들여 공간의 현장감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면서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공간과 교류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시공간에 있어 뉴 미디어 활용에 따른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고, 뉴 미디어 활용 전시공간의 발전 추세를 파악하여 향후 새롭게 출현할 전시공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에 위치한 2010년 이후에 개관된 뉴 미디어 미술관 5곳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뉴 미디어의 개념 및 유형, 전시공간의 체험적 특성에 대해 정리하고, 그 후 전시 공간의 체험 특성에 대한 분석의 틀을 마련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례조사 대상에 대해 분석 요소로 도출된 감각자극성, 상호작용성, 다양성, 복합성의 표현특성에 따라 뉴 미디어를 활용한 전시공간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전시공간을 적용한 뉴 미디어기술의 체험은 감각자극성, 상호작용성, 다양성, 복합성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적용된 표현 특성은 감각자극성과 상호작용성 이었다. 대부분의 사례에서 조명, 색채, 그래픽, 사운드, 3D 투영, 비디오 영상, LED 디스플레이, 2차원 그래픽과 문자 등을 3차원 4차원의 입체적인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사람들의 시각과 청각, 촉각을 자극하고 있었다. 뉴 미디어를 활용한 전시공간 체험적 특성 중에서 다양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사례에서 색채, 조명, 그래픽, 애니메이션, 소리 등 다양한 뉴 미디어 기술을 사용 하였으나, 대부분의 전시관에서는 관람자에게 풍부한 체험 동선과 다양한 주제의 전시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관람자는 자신의 취향대로 체험동선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결론) 대부분의 미술관 전시공간에서 뉴 미디어의 활용은 아직 완벽한 구현의 단계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보다는 단순한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미술관의 발전 방향에 있어 공간과 관람자 간의 쌍방향 인터랙션을 강화하는 방안이 더 확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 전시공간은 작품과 기술의 결합을 통해 보다 공간의 형식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전시 공간 속에서 더욱 다양한 체험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뉴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융합을 통한 새로운 미래 전시 공간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new media in which various media are fused, the space utilizing fusion media emerging in the exhibition spac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exhibition space creates a new environment through integration and exchange with various media. New media, in particular, encourage people’s curiosity and interest, maximize their sense of space, and encourage them to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in exhibition space, understand the development trend of new media using exhibition space, and provide basic data about future exhibition space. (Method)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five media museums newly opened in Seoul since 2010. First, the concept and type of new media and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were summariz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 precedent study was then conducted to provide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Finally,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using new medi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ressiveness of sensory stimuli, interactivity, diversity, and complexity derived from the analytic element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exhibition space were classified according into four: sensory stimulation, interaction, diversity, and complexity. The most frequently used expressive traits were sensory stimulation with interactions. In most cases, 3D stereoscopic animations stimulate people’s sight, hearing, and tactile sense of light, color, graphics, sound, 3D projection, video images, LED displays, 2D graphics, and text. Diversity is the lowest among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using new media. In all cases, a variety of new media technologies were used, such as color, lighting, graphics, animation, and sound. However, most exhibitions do not provide visitor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 circles and exhibitions on a variety of topics, so they cannot help. (Conclusions) The use of new media in most museum exhibits has not yet reached completion, and there is a much simpler one-sided approach than interactive methods. Therefore, in the future, we will find a way to strengthen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spectators in museums development. . The modern exhibition space will be able to host more diverse experiences in the exhibition space by diversifying the forms of space available through a combination of art and technolog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will be combined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leading to a new exhibition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