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콜라 부리오의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특성

        햇빛 ( Kim Haetbit ),지은 ( Kim Jieun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프랑스 출신의 전시기획자이자 비평가인 니콜라 부리오는 이전의 이론으로 설명될 수 없는 과정적이고 참여적인 1990년대의 새로운 예술 경향을 ‘관계미학’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고도의 자본주의 사회를 배경으로 인간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던 이론은 30년이 지난 현재에서 기술의 발달과 인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생태환경을 배경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인간 간의 관계를 비인간을 포함한 관계로 확장한 관계미학의 상생적 성격은 예술 실천의 장소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현대전시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성과 공통된 맥락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연구는 예술이 사회적 문제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통해 확장된 관계미학의 관점으로 현대 전시공간을 바라보고 그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통하여 확장된 관계미학의 성격을 도출하였고, 현대전시의 다양한 흐름이 반영된 사례를 통해 현대전시 공간에서 나타나는 내재적 특성을 도출한다. 각각 도출된 특성 언어의 의미를 연계하여 종합된 의미의 최종 언어를 도출하고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의 특성으로 추출한다. 추출된 특성을 선정된 사례분석에 대입하여 적합성을 검증하고 변화하는 사회에서 전시공간이 매개하는 상생의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의 특성은 ‘자유로운 교환’,‘불안정한 연결’,‘필연적 공존’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특성은 상생을 목적으로 현대전시 공간이 상호작용성을 어떠한 방식으로 생산하는지 분석되었다. 초월성, 혼합성, 추상성, 독자성, 수행성, 잠재성의 6가지의 관계 생산 특성과 이것을 대입한 사례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성’이 대상 간의 관계를 확장 시켰지만, 공간 특정성에서는 비교적 자유롭지 못하다는 한계를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전시공간의 특권적 지위는 예술의 특수성에 의해 부여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예술 현장을 기획하는 작가의 의도와도 무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론) 이러한 관점으로 바라본 전시공간은 확장된 관계미학의 배경이 되는 사변적 실재론에서 이야기하는 ‘모든 존재의 동등한 지위’와 는 완전히 부합되지 않는 특권적 지위를 갖게 되지만 궁극적으로 상생을 목적으로 하는 지위와 의도는 예술의 예외적 특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술 실천의 장소인 전시공간이 변화하는 환경과 인간이 공존하는 연결점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French exhibition planner and critic Nicolas Bourriaud suggested the concept of Relational Aesthetics to explain a new intermediate and participatory art tendency in the 1990s which can’t be explained with old theories. Theories that have focused on human interactions in the advanced capitalist world 30 years ago have expanded their meaning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at is affect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uman beings in modern days. The coexisting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Aesthetics that expands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into the relation including non-human objects have common context in the mutual interaction of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that forms communities as an art practice plac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seeing the modern exhibition space with the expanded viewpoint of Relational Aesthetics and understand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role of arts in social problems. (Method) It extracted the Implicit characteristics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ceding research. It also extracts the specialties that appear in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through examples that reflect various trends of contemporary exhibitions. Then it extracts the final language of integrated meaning in connection with the meaning of each extracted characteristic language. Then i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exhibition space with the viewpoint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It proves the adequacy by introducing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into the selected example analysis and suggests the method of coexisting that connects the changing society into an exhibition space.(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viewed by the perspective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are free exchange, unstable connection and essential coexistence.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produces the interaction for the purpose of coexistence. It applied transcendence, mixture, abstractness, uniqueness, practice and potentiality and example analysis after using the six relational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relational interaction expanded the object relation but they were not relatively free in space specifics. It was understood that the privileged status of exhibition space is endowed by the specialty of art and not related to the intention of an artist who plans an art area.(Conclusions)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hibition space has privileged status even if it isn’t completely equal to all things that are discussed in speculative realism which is the background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But the status and intention targeting ultimate coexistence is an exceptional privilege of art. It is expected the exhibition space for the practice of art becomes a connection point of coexistence of the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 KCI등재

        뉴미디어의 확장된 신체성으로 본 리테일 브랜딩 공간 상호작용

        햇빛 ( Kim Haetbit ),이선정 ( Lee Sunjung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1990년대 이후 컴퓨터와 뉴미디어의 본격 등장은 디지털 복제와 인터넷 네트워크의 가상 이미지가 현실을 지배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이러한 시대에서 뉴미디어는‘기호’가 아닌‘감각’을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신체성이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는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소비문화는 상업적이고 피동적인 구매 활동이 아닌 긍정적이고 참여적인 활동으로 인식하면서‘소유’보다‘경험’이 중요시된다. 이에 뉴미디어와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커다란 시대적 맥락 안에서 이해하였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변화하는‘신체성’이라는 공통점으로 통합할 수 있음을 포착하였다. 본 연구는 뉴 미디어 환경에서 개념이 확장된 신체성의 관점을 통해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바라봄으로써 신체와 공간의 상호작용으로 신체와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뉴미디어, 리테일 브랜딩 공간, 신체성의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를 통해 변화하는 각각의 관점과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후 뉴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신체 성의 의미를 파악하였고 개념을 확장한다. 확장된 신체성을 기본 전제로 이를 리테일 브랜딩 공간과 연계하여 상호 관계적 특성 을 도출한다. 도출된 상호 관계적 특성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뉴미디어 공간 특성을 최종적으로 도출하고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뉴미디어가 적용된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분석틀로 제시한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 뉴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확장된 신체성을 ‘타자론적 신체’, ‘사이보그적 신체’, ‘시뮬라크르적 신체’로 명명하여 신체성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확장된 신체성과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상호 관계적 특성으로는 ‘이미지 주체’, ‘이질적 접합’, ‘감각의 침입’ 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특성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뉴미디어의 공간 특성으로 ‘가상성’, ‘탈경계성’, ‘혼합성’, ‘확장성’, ‘흡수성’, ‘유동성’이 최종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뉴미디어의 확장된 신체성으로 본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상호작용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성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기술적 환경과 접합하여 확장을 시도하고 있는 신체성의 개념을 리테일 브랜딩 공간에 나타나는 뉴미디어의 공간 특성으로 분석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공간에 적극적으로 적용되는 뉴미디어를 통해 공간이 공간 사용자와 자유롭게 상호작용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full-fledged appearance of computers and new media since the 1990s proclaimed a new beginning of the postmodernism, in which digital reproduction and virtual images of Internet networks dominate reality. In this era, physicality becomes an important concept as new media interact through “sense” rather than “taste”. In addition, the consumption culture after postmodernism is recognized as a positive and participatory activity rather than a commercial and passive purchasing activity, and 'experienc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ownership'. Accordingly, the space for new media and retail branding was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a large period of postmodernism, and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integrated into the common point of 'physicality' which is changing since postmoder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recognize the body and space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body and space by looking at the retail branding space through the perspective of bodily nature in which the concept is expanded in a new media environment.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review on the changing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of new media, retail branding space, and physicality, and literature research. After tha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the meaning of physicality in the modern society was identified and the concept was expanded. Based on the basic premise of extended physicality, inter-relationa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by linking them with the retail branding space. From the derived inter-relational characteristics, the new media space characteristics for spatial analysis are finally derived and combin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retail branding space and presented as an analysis frame for the retail branding space applied with new media.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a new perspective on physicality was proposed by naming the extended physicalit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s 'a typological body', 'cyborg body', and 'simulacre body'.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panded physicality and retail branding space were derived as 'image subject', 'heterogeneous junction', and 'expansion of sensation', and from these characteristics, 'virtuality' ‘de-boundary’, ‘mixing’, ‘extensibility’, ‘absorbency’, and ‘fluidity’ were finally derived as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for spatial analysis. (Conclusions) The interaction of the retail branding space, seen through the expanded physicality of this new media, was created to satisfy the socio-cultural needs of a rapidly changing era. The analysis conten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oncept of physicality, which is attempting to expand in conjunction with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ppearing in the retail branding space. Through new media that are actively applied to the space, It is expect to interact freely with users of spaces.

      • KCI등재

        언캐니 개념의 공간적 표현특성 연구 -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중심으로 -

        관현 ( Kim Kwanhyun ),지은 ( Kim Jieun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전통적인 미의 기준에서 벗어나 공포, 불안의 감정까지 미학의 영역에서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프로이트의 언캐니 개념으로부터 출발한다. 고정된 규범을 거부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의 미적 패러다임 속에 현대예술은 기존 이해와 상식을 벗어나는 다양한 작품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언캐니 개념은 현대예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되며 미학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언캐니 개념이 시각예술의 주요한 범주로 자리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공간 디자인의 영역에서만큼은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보여졌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 작품의 연장으로 조각, 공간, 건축의 접점에 위치한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언캐니의 특성이 공간 속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규명하고자 했으며, 언캐니 개념의 공간적 적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첫째,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언캐니를 연구한 프로이트의 논문을 바탕으로 언캐니를 촉발하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결과를 범주화한다. 둘째, 언캐니를 촉발하는 원인으로 도출된‘모태 회귀와 거세 응시’,‘비/생명성과 무기체로의 퇴행’,‘비의도적 회귀와 외상의 반복’을 분석의 틀로 삼아 현대예술작품을 분석하고 그로부터 추출된 조형적 특징을 세분화하여 조형언어를 구축하였다. 셋째, 조형언어를 바탕으로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하여 언캐니의 특성이 공간의 영역에서 어떻게 현현되는지 살펴보며, 그 결론을 토대로 향후 기대효과를 제안하였다. (결과) 3가지 조형적 특성에 기초한 6가지의 표현유형을 통해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한 결과 언캐니의 조형적 특징이 풍부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 개념을 전복시키는 도발적인 조형적 특징은 시지각적 충격을 유발하며 불안, 혼란, 양가적 감정과 같은 언캐니의 효과를 촉발한다는 점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언캐니의 특성이 나타나는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함으로써 언캐니 개념의 공간적 적용 가능성과 그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성적 논리로 만들어진 고정된 의미체계에 얽매이지 않고 무한한 잠재성을 갖는 언캐니의 조형적 특이성은 앞으로 공간 디자인의 영역에서 다양하고 새로운 미적 체험과 공간적 경험을 선도하는 중심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igmund Freud assert in his thesis "Das Unheimlich" that even eccentricity, fear, and anxiety, the opposite aspect of the traditional aesthetic, which deviates from the sublime, joy and impression, should be studied in the realm of beauty. In the contemporary aesthetic paradigm of rejecting fixed norms and pursuing diversity, contemporary art is pouring out various works that go beyond existing understanding and common sense. In this trend, the conception of uncanny is presented as a new perspective on contemporary art and is actively studied in the area of aesthetics. However, the 'uncanny' conception has become to have established itself as a major category of visual art, but it is worth the research in that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look at the spatial installation located at the interface of sculpture, space, and architecture as an extension of the art works and see possibility that how to characteristics of uncanny can be implemented in space. (Method) First, based on Freud's thesis, which studied the ‘uncanny’ based on psychoanalysis, we analyze the causes that trigger the ‘uncanny’ and categorize the results. Second, the framework for interpreting contemporary art works is analyzed using 'desire to return to womb', 'Regard of castration’, 'anti/life', 'regressive to an inorganic' and 'repetition compulsion of signifier', which is characteristic of uncanny. Based on that analysis, construct to formative elements through the sculptural characteristics of art works. Third, analyze the spatial Installation based on the formative eleme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to se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canny are represented in the spatial domain, and propose a expected effect based on the conclus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spatial installation through the six types of expression derived on the three types of formative elements showed that the uncanny's formative features were abundant, and the provocative features that reverse and break the stereotype caused visual shock and triggered the uncanny's effects such as ambivalence feeling, anxiety and confusion. (Conclusions) This work was able to verify the spatial applicability and its validity of the uncanny conception by analyzing the installation spac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canny appear. Uncanny's formative singularity, which has infinite potential without being bound by a fixed semantic system made of rational logic, is expected to become the center of leading diverse and new aesthetic and spatial experiences in the area of spatial design.

      • KCI등재

        노마디즘 관점의 장소 상실과 생성을 통한 장소되기 잠재성 연구

        이승나 ( Lee Seungna ),지은 ( Kim Jieun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20세기 중 후반 이후 기술정보의 발달과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고정적 체계를 거부하고 무한히 확장한다. 하지만 전통적 장소론의 관점으로부터 현대의 일상적 생활 양식과 장소는 해석의 어려움이 있으며 잠재성이 결핍되고 장소의 상실로 이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장소의 상실에 대한 장소 재해석 필요성을 인지하는 데서 출발하였고, 상실된 장소는 무한한 잠재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장소의 상실과 생성은 반대의 개념이 아닌 내재된 잠재성의 반복적 현실화로써 연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새로운 장소 되기의 잠재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장소를 이해하고 기존 전통적 장소에 대한 적용의 한계를 문제 제기하여 장소의 재해석 필요성을 제시한다. 둘째, 장소 재해석의 출발점인 들뢰즈의 잠재성을 토대로 새로운 장소가 될 수 있는 생성의 사유인 노마디즘 관점으로 바라보아리좀, 주름, 시뮬라크르를 통해 잠재적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끝없이 이동하고 변화하는 운동의 사유로 바라본 장소 되기는 생성으로 발현될 수 있는 잠재적 상태를 내재함으로써 도출된 특성을 실제 사례에 대입하여 분석한다. 넷째, 결론을 토대로 향후 연구의 활용방안과 기대효과를 제안한다. (결과) 리좀_분화의 사유, 주름_유동의 사유, 시뮬라크르_반복의 사유를 통한 잠재적 특성들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고 이는 장소에 내재된 잠재성들은 변형과 움직임을 통해 현실화되면서 장소의 상실과 생성은 반복적으로 탈주하고 침범할 수 있는 연속적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사례로 증명하였다. 이러한 창조적 생성으로써 장소 되기 잠재성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얽히고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총체적인 의미를 형성하게 되며 상실과 생성을 반복한다. (결론) 현대의 패러다임에 따라 장소는 고정된 것에 머무르지 않고 끊임없이 이질적인 것과 접속을 반복하여 또 다른 것으로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창조적 생성으로써 장소 되기는 시간이 흐르며 하나의 정체성에 매몰되고 다변화의 잠재성이 결핍되는 한계를 극복하여 다원화, 파편화된 사회적 요구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함을 말한다. 따라서 노마디즘 관점으로 바라본 장소의 상실과 생성은 끊임없는 차이의 반복을 통해 잠재성이 현실화되며 새로운 장소 되기를 위한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society rejects and extends fixed system infinite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information and paradigm change after the mid-late 20th century.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place theory, modern daily life style and place have difficulty in interpreting, lack of virtuality, and loss of place.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from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reinterpreting the place of loss, and the lost plac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has infinite virtua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virtuality of becoming a new place to form a continuous relationship by repetitive realization of inherent virtuality rather than the opposite concept. (Metho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lace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and to present the necessity of reinterpreting the place by raising the limit of application to the existing traditional place. Second, based on Deleuze's virtuality, the starting point of reinterpretation of the place, the virtuality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nomadism, which is the reason for the becoming a new place, through the Rhizome, Pli and Simulacre. Third, the characteristics derived by immanently embodying the virtuality state that can be expressed as a creation are analyzed by substituting the actual cases to be seen as the reason of endless movement and change. Fourth, based on the conclusion, the utilization plan and expected effect of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Results) The virt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eason of Rhizome_differentiation, the reason for Pli_flow, and the reason of Simulacra_repeat were specifically derived, and this proved as a case that the virtuality inherent in the place became real through transformation and movement, and the loss and creation of the place had a continuous relationship that could repeatedly escape and invade. The virtuality to become a place by such creative creation does not exist individually, but it is intertwined and combined to form a total meaning and repeats loss and creatio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modern paradigm, the place does not stay in fixed things but constantly makes heterogeneous and connections and produces them as ano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reative ‘place-being’ should be able to cope with the social needs of diversification and fragmentation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being buried in one identity over time and lacking potential of diversification. Therefore, the loss and creation of a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nomadism is expected to become an indicator for becoming a new place through the repetition of constant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