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어휘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이선정(Sunj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 효과와 학습자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했던 교과-비교과 학점연계 운영사례 제시를 통하여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아울러 학생들의 어휘학습전략 함양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역량과 어휘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어휘학습전략으로 검증된 세 가지 전략—형태분석, 분산반복학습, 테스팅—을 조합하여 학습효과를 최대화하고, 대학의 비대면 교육 상황을 고려하여 다음의 내용들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LMS를 활용한 형태분석기반 어휘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고, (2)Zoom 모니터링 환경에서 구글폼(Google Forms)을 활용한 온라인 어휘퀴즈를 1일 간격 3회 반복으로 제공하였다. 또한 어휘 동영상 강의수강 및 구글 온라인 어휘퀴즈 점수를 대학영어 과제점수에 포함하여, 교과-비교과 학점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성실한 참여를 유도하였다. 사전-사후 어휘테스트와 사후 설문에 참여한 39명의 학생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어휘습득에 유의하고 높은 효과크기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자들의 어휘학습전략 훈련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역량과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학습자들은 본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LMS 동영상 강의의 교육내용, 교수방법, 시간과 분량, Zoom과 구글링크를 이용한 평가방식, 교과-비교과 학점연계방식에 만족하였고, 이러한 비교과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길 희망하였다. 결론 본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은, 교과-비교과 학점연계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 활성화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체계적인 어휘학습에 중점을 둔 비교과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운영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타 대학의 유사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n online extracurricular English vocabulary program for improving EFL college students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vocabulary acquisition. Methods To maximize students performance, three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morphological analysis, spaced repetition, and testing—were incorporated in this program. Delivered in non-face-to-face educational setting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is program consist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1) online vocabulary lectures on morphological analysis via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2) three online vocabulary quizzes—one multiple choice, one short answer, one fill in the blank—administered over a 3-day period with 1-day intervals via Google Forms with Zoom monitoring. Students quiz scores contributed toward the overall grade of their college English course. This strengthened the links between the regular and extracurricular courses, and it was hoped this would encourage student participation. The data from 39 participants who completed pre- and post-tests of vocabulary and post-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the online extracurricular English vocabulary program on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nd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Participants report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vocabulary lectures and quizzes. They also hoped that the program would continue because it helped them build vocabulary through providing effective strategies and increased their motivation and confidence.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provide a model of an extracurricular program for systematic vocabulary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resources for those conducting similar extracurricular programs in future educational settings.

      • KCI우수등재

        복지증세태도에 대한 소득수준별 조세불공정인식의 차등적 효과

        이선정(Lee, Sunjung),김정석(Kim, Cheong-Seok)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3

        임금근로자들의 소득은 투명하게 파악되고 징세 또한 엄격히 이루어진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임금근로자들의 조세불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증세에 대한 거부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논의된다. 본 연구는 임금근로자들의 소득수준, 조세불공정인식, 복지증세태도 등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살피고 있다. 특히 소득수준과 조세불공정인식이 결합하여 복지증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제8차 한국복지패널(2013년도) 부가조사인 ‘복지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30~55세 임금근로자(n=1,521)에 대한 확장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득수준과 조세불공정인식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이에 따르면 조세불공정인식이 높을수록 복지증세에 더 우호적이며 이러한 관계는 저소득층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임금근로자의 경우 조세불공정인식이 복지증세에 대해 비판적이거나 회의적일 것이라는 논의는 그 경험적 근거가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조세불공정인식 수준에 따른 소득수준의 효과도 흥미롭다. 분석에 따르면 조세불공정인식이 낮은 측에서는 고소득이, 그리고 조세불공정인식이 높은 측에서는 저소득이 복지증세에 우호적이다. 이는 조세불공정인식이 완화 혹은 해소되었을 경우, 고임금 근로자들이 저임금 근로자들에 비해 복지증세에 더 우호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general, the income of a employee is clearly identified and strictly taxed. In Korea, it is known that wage workers highly perceive the taxation unfair. Such view is argued to result in refusing tax increase. This study observes the interrelated factors such as income level, perception of taxation inequity and attitude toward tax increase for social welfare of those paid employees.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whether and how the combination of income level and the perception of taxation inequity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 tax increase. The study, utilizing the data set from the 8th Korea Welfare Panel Survey with attritional survey on perception of social welfare, conducted an analysis on paid workers aged 30–55. The nested model analysis reveal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income level and the perception of taxation inequity. On the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e perception of taxation inequ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favorable attitude toward tax increase for social welfare. Furthermore, such relationship is more distinct for lower income group than those with the higher income level. As a result, the argument that the perception of taxation inequity will lead to the refusal of tax increase for social welfare does not seem to have solid ground. In addition, the effect of income level by the degree of perception on taxation inequity of those workers gives interesting results. Among those who have lower level of perception of taxation inequity, those with high income are more likely to favor in tax increase for social welfare than their counterpar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once the perception of tax inequity gets resolved or decreased, highly paid workers may be more willing to advocate tax increase for social welfare than the lower income workers.

      • KCI등재

        실내 공간으로의 식물 도입 기법 연구 - 해외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

        이선정 ( Sunjung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외부 자연환경이 아닌 구축 공간 내부에서 90%이상의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 현대인들은 인위적인 환경이 인간 삶의 기본 환경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실내 공간의 질적 향상에 대한 문제가 언급되는 가운데 특히 공간디자이너의 입장에서는 질 높은 공간 구성을 위한 한 단계 다른 차원의 공간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민이 불가피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내보다 국외에서 더욱 활발하게 실천되고 있다 판단되는 실내 식물 도입의 다양한 기법들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실내 식물 도입의 대표적 성공 사례들을 중심으로 그 기법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실내조경 차원에 머물러 있는 한국의 실내 식물 도입을 디자이너가 주도하는 공간디자인의 방법적 요소로 접근하기 위한 준거점 생성을 그 목표로 한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실내 식물 도입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열어 지속 가능한 도심 속 실내 공간 디자인을 유도한다. (연구방법) 먼저 국내외 건축, 실내디자인, 조경, 원예 분야 등의 학위 및 학술 논문과 단행본 서적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실내 식물 도입에 대한 개념, 역사, 기능, 효과 등을 고찰하여 공간디자이너가 실내로 식물을 적극 도입해야 하는 이유를 명확히 했다. 그리고 식물의 실내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유럽, 미국, 동남아시아 등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를 통한 기법 분류와 분석을 연구의 중점적인 내용으로 다루었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을 통해 실내 식물 도입의 기능을 4가지, 즉 장식적 기능, 심리적 기능, 환경적 기능, 구조적 기능으로 도출하였고 환경적 효과와 심리적 효과를 중점적으로 언급하여 그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공간디자인의 한 요소로 적극 사용되고 있는 식물 도입 기법에 관한 국외 사례는 먼저 두 가지 기준을 가지고 분류할 수 있었다. 하나는 도입 위치에 따른 분류이며 다른 하나는 유지 방법에 따른 분류다. 먼저 위치를 기준으로 한 분류는 전이공간을 활용한 실내 공간으로의 간접 도입 유형과 내부 공간으로의 직접 도입 유형으로 나뉘었으며 직접 도입 유형은 그 상세 기법을 다시 a. Vertical garden(수직정원), b. Hanging Planter(매다는 화분), c. With Furniture(가구 일체형)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유지 방법을 기준으로 한 유형 분류는 식물 안정화 처리 유무에 따라 식물 안정화 (plants stabilization)와 비안정화 (non-stabilization of plants)로 나누어 분류하였고 비안정화시 필요한 뿌리 기반 재료인 흙, 수태, 펠트 각각의 독립사용과 혼합사용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결론) 실내에 식물 들이기가 국내보다는 국외에서 더욱 다양하게 진행될 수 있었던 이유는 기법의 차이 때문이다. 특히 프랑스와 미국에서는 흙을 대체해 수태와 펠트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미생물 번식, 무게로 인한 디자인적 제한 등 흙이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게 한 주요 변수였다. 또한 프랑스의 경우 빛, 물, 유지 관리 없이도 7-10년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 안정화 기법의 활용으로 식물을 실내로 들이는 기법 구현에서 한층 더 자유로운 조형적 변화가 가능했고 이는 그에 따른 새로운 공간 디자인 가능성으로 이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People in modern society (spending more than 90% of their time in indoor/building spaces, rather than outdoor/natural environments) live in an era when an artificial environment is their basic environment. While various disciplines tackle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indoor space, spatial designers should think about another dimension of how spatial design elements can offer high-quality space. This paper investigates various techniques to introduce indoor plants,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different techniques from representative success cases. It aims to provide a reference for spatial designers to actively consider indoor plants as a methodological element of space design, because indoor plants have been considered as a means for indoor landscape in a passive manner.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create a new opportunity for using indoor plants for sustainable indoor urban areas. (Metho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 history, function, and effects of introducing of indoor plants. Sources ranging from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to journal papers, to books in the disciplines of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landscaping, and horticulture, will be utilized to specify why spatial designers should consider the adoption of indoor plants. Then, different indoor planting technique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from a few successful cases in Europe, USA, and Southeast Asia, where indoor planting is active. (Results) This study derives four functions of the introduction of indoor plants: decorative,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functions, from an in-depth literature review, and proves its necessity with two effects,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Also, it classifies a set of foreign cases for introducing indoor plants (utilizing indoor plants as a spatial design element) by two criteria: where to introduce and how to maintain. In detail, the classification by location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an indirect introduction using transition space and a direct introduction into interior space. The direct introduction type is classified by vertical gardens, hanging planters, and furniture-integration. The classification by maintenance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plants stabilization and non-stabilization. This paper further provides a summary on individual and mixed usages of soil, conception, and felt, which are the root-based materials required for non-stabilization. (Conclusions) The main reason foreign countries implemented indoor plants more frequently is related to the technologies they use. Particularly, the active use of sphagnum moss and felt in France and USA is major success point in overcoming key limitations of soil, e.g., microbial propagation and design-related challenges due to its weight. Also, in France, the active use of plant stabilization techniques (sustaining plants for 7-10 years without light and water) has allowed freer formative changes in planting indoor plants, which eventually allowed a possibility of new spatial design.

      • KCI등재

        도시공동주거 공간과 인문학적 요소의 관계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 -사회·문화적 관점으로의 파리 아파트 지속가능성 고찰-

        이선정 ( Sunjung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물리적인 의미에서의 집은 건축 혹은 실내건축의 범위에 속하는 구축공간으로 국한시킬 수 있지만 사회·문화 현상과 연관 지어 생각하면 인문학과 사회학 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자주 언급되고 연구되는 광범위한 주제다. 집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가장 기본 단위의 구축 공간이지만 사회 전반의 모든 현상들이 투영된 결과물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공동주거 유형으로 가장 전성기를 누렸고 지금까지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는 도시주거인 파리의 19세기 아파트와, 대대적인 계획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지속불가능에 이르러 재생 과정이 불가피했던 파리 ‘그랑 앙상블’ 아파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각각 그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준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선행적 예시 고찰의 단계로 여기서 얻은 시사점은 우리나라 도시공동주거 아파트가 가지고 있거나 아파트가 야기하는 여러 문제점의 원인을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분석하고 앞으로 우리의 도시공동주거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해법을 제시하는 후속 연구를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집, 유럽의 주택, 파리의 아파트, 사회와 건축, 주거와 문화, 지속 가능한 도시주거 등의 키워드와 관련 있는 국내외 서적 및 논문, 프랑스 그랑 앙상블의 실패와 재생수법에 관한 선행논문, 웹 저널 등에 의한 문헌연구에 기초한다. 또한, 연구자가 습득했던 도시 경험과 지식을 문헌적 근거와 함께 기술하였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 연구를 통해 파리 아파트의 형성 배경과 성공요인을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각각 세 가지씩 도출하였다. 형성 배경은 크게 a. 인구 증가, b. 브루주아지(Bourgeoisie) 부상, c. 보 까흐띠에(Beaux Quartiers)에 대한 애착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으며 파리 아파트의 성공요인은 a. 도심 내 거주문화 전통의 계승, b. 계층 혼합형 주거문화 유지, c. 프라이버시 개념과 주거공간의 투명성으로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파리의 지속가능성을 파리 아파트 실패사례인 그랑앙상블의 사회·문화적 관점으로의 실패 요인 도출을 통해 반증했는데 그 내용은 a. 도시성 결여, b. 계층혼합형 주거문화 결여, c. 거주민의 사회적 고립감, d.기능주의와 건축결정론 이었다. (결론) 주거공간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가장 기본적이고도 복합적인 공간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만들어가는 문화와 그 문화와 관계하는 사회적 현상들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일은 당연한 것이다. 구축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사회·문화적 요소의 중요성은 쉽게 언급되고 있으나 실제로 적절한 예를 찾아 고찰하고 사회 문화적 관점으로 성공 요소들을 도출하여 구체적인 시사점을 갖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가 도시공동주거 아파트와 사회·문화적 요소의 관계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예시로써 그 시사점을 가지며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아파트를 포함한 도시공동주거의 성공 가능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 physical sense, a house can be confined to a building space in the scope of architecture or interior architecture, but when it is thought of in terms of sociocultural phenomena, it is a theme broadly referred to and studied in various disciplines related to the humanities and sociology. It means that a house is a building space of the basic unit to live, as well as the result of the projection of all phenomena throughout a society. This paper investigates two types of apartments, the 19th century apartment in Paris and the Parisian Grand Ensemble apartment project, to understand the causes of success and failure of each project, in terms of sociocultural factors. This research will be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to analyze various problems in sociocultural aspects of urban apartments in Korea,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our urban residential complexes. (Method) This study is based on wide literature reviews with domestic and foreign books and papers related to relevant keywords, and precedent studies and web journals on the failure of the French Grand Ensemble and renovation methods. In addition, liv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directly acquired by the author, who lived in France, are described with their relevant literature references. (Results) This study derives three formation backgrounds of the Parisian apartment and three success factors of the Parisian apartment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e formation background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growth of populations, the emergence of bourgeoisie, and the attachment of Beaux Quartiers. The success factors of Paris apartments include the succession of cultural tradition in downtown, the maintenance of inclusionary or socially-mixed residential culture, and the transparency of the privacy concept and residential space. This paper disproves the sustainability of Paris apartments in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failure case of the Grand Ensemble. Its causes of failure include a lack of urbanism, lack of socially mixed housing culture, social isolation of residents, functionalism, and architectural determinism. (Conclusion) Housing space is, at the most basic, a complex space where people live. Therefore, it is natural to take a detailed look at the culture that people make and the social phenomena that interact with that culture. Although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elements is widely mentioned in composing the space of construction,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its concrete implications by investigating the proper examples, as well as driving their success factors,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is study, as a concrete example, has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apartments and sociocultural factors, and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uccess strategy of urban shared housing, including apartments in Korea.

      • KCI등재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벡터매개질병의 생태 모델 및 심층 인공 신경망 기반 공간-시간적 발병 모델링 및 예측

        김상윤,남기전,허성구,이선정,최지훈,박준규,유창규,Kim, SangYoun,Nam, KiJeon,Heo, SungKu,Lee, SunJung,Choi, JiHun,Park, JunKyu,Yoo, ChangKyoo 한국화학공학회 2020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8 No.2

        본 연구에서는 발병 횟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벡터매개질병(vector-borne disease) 중 하나인 쯔쯔가무시증의 발병 특성을 공간적 그리고 시간적으로 분석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발병 특성을 예측하였다. 쯔쯔가무시증의 공간적 분포와 발병률을 예측하기 위하여 환경 그리고 사회 변수의 공간적 특성을 이용하여 maximum entropy(MaxEnt) 생태 모델을 구성하고, 주요 변수의 쯔쯔가무시증 발병에 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공간 특성 중 환경변수인 고도 및 기온이 주요한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쯔쯔가무시증의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생육 환경과 주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쯔쯔가무시증의 시간적 발병 횟수는 심층 인공 신경망 모델기반 예측을 하였으며, 특히 쯔쯔가무시증의 주요 특성인 지연 효과를 고려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심층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예측 결과 여름철의 기온, 강우량, 그리고 습도가 털진드기의 활동에 주된 관련이 있으며 가을철의 쯔쯔가무시증 발병 횟수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기존 통계적 예측 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심층 인공 신경망 기반 예측 모델의 예측 정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공간적 그리고 시간적 모델에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2040년의 쯔쯔가무시증 발병 특성을 예측한 결과, 최대 발병률이 8% 증가, 발병률이 높은 지역이 9% 확대, 그리고 주된 발병 기간이 2개월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쯔쯔가무시증의 공간적 및 시간적 발병 특성 분석을 통하여, 공중보건 측면에서 벡터매개 질병 발병 요인 규명을 통해 주민 건강을 위한 질병 관리 및 예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spatial and temporal incidence characteristics of scrub typhus and predict the future incidence of scrub typhus since the incidences of scrub typhu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among vector-borne diseases. A maximum entropy (MaxEnt) ecological model was implemented to predict spatial distribution and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using spatial data sets on environmental and social variables. Additionally, relationships between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and critical spatial data were analyzed. Elevation and temperature were analyzed as dominant spatial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growth environment of Leptotrombidium scutellare (L. scutellare) which is the primary vector of scrub typhus. A temporal number of diseases by scrub typhus was predicted by a deep neural network (DNN). The model considered the time-lagged effect of scrub typhus. The DNN-based prediction model showed that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humidity in summer had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on the activity of L. scutellare and the number of diseases at fall. Moreover, the DNN-based prediction model had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a conventional statistical prediction model. Finally, the spatial and temporal models were used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The future characteristics of scrub typhus showed that the maximum incidence rate would increase by 8%, areas of the high potential of incidence rate would increase by 9%, and disease occurrence duration would expand by 2 months. The results would contribute to the disease management and prediction for the health of residents in terms of public health.

      • KCI등재

        뉴미디어의 확장된 신체성으로 본 리테일 브랜딩 공간 상호작용

        김햇빛 ( Kim Haetbit ),이선정 ( Lee Sunjung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1990년대 이후 컴퓨터와 뉴미디어의 본격 등장은 디지털 복제와 인터넷 네트워크의 가상 이미지가 현실을 지배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이러한 시대에서 뉴미디어는‘기호’가 아닌‘감각’을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신체성이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는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소비문화는 상업적이고 피동적인 구매 활동이 아닌 긍정적이고 참여적인 활동으로 인식하면서‘소유’보다‘경험’이 중요시된다. 이에 뉴미디어와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커다란 시대적 맥락 안에서 이해하였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변화하는‘신체성’이라는 공통점으로 통합할 수 있음을 포착하였다. 본 연구는 뉴 미디어 환경에서 개념이 확장된 신체성의 관점을 통해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바라봄으로써 신체와 공간의 상호작용으로 신체와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뉴미디어, 리테일 브랜딩 공간, 신체성의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를 통해 변화하는 각각의 관점과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후 뉴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신체 성의 의미를 파악하였고 개념을 확장한다. 확장된 신체성을 기본 전제로 이를 리테일 브랜딩 공간과 연계하여 상호 관계적 특성 을 도출한다. 도출된 상호 관계적 특성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뉴미디어 공간 특성을 최종적으로 도출하고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뉴미디어가 적용된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분석틀로 제시한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 뉴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확장된 신체성을 ‘타자론적 신체’, ‘사이보그적 신체’, ‘시뮬라크르적 신체’로 명명하여 신체성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확장된 신체성과 리테일 브랜딩 공간을 상호 관계적 특성으로는 ‘이미지 주체’, ‘이질적 접합’, ‘감각의 침입’ 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특성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뉴미디어의 공간 특성으로 ‘가상성’, ‘탈경계성’, ‘혼합성’, ‘확장성’, ‘흡수성’, ‘유동성’이 최종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뉴미디어의 확장된 신체성으로 본 리테일 브랜딩 공간의 상호작용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성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기술적 환경과 접합하여 확장을 시도하고 있는 신체성의 개념을 리테일 브랜딩 공간에 나타나는 뉴미디어의 공간 특성으로 분석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공간에 적극적으로 적용되는 뉴미디어를 통해 공간이 공간 사용자와 자유롭게 상호작용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full-fledged appearance of computers and new media since the 1990s proclaimed a new beginning of the postmodernism, in which digital reproduction and virtual images of Internet networks dominate reality. In this era, physicality becomes an important concept as new media interact through “sense” rather than “taste”. In addition, the consumption culture after postmodernism is recognized as a positive and participatory activity rather than a commercial and passive purchasing activity, and 'experienc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ownership'. Accordingly, the space for new media and retail branding was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a large period of postmodernism, and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integrated into the common point of 'physicality' which is changing since postmoder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recognize the body and space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body and space by looking at the retail branding space through the perspective of bodily nature in which the concept is expanded in a new media environment.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review on the changing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of new media, retail branding space, and physicality, and literature research. After tha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the meaning of physicality in the modern society was identified and the concept was expanded. Based on the basic premise of extended physicality, inter-relationa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by linking them with the retail branding space. From the derived inter-relational characteristics, the new media space characteristics for spatial analysis are finally derived and combin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retail branding space and presented as an analysis frame for the retail branding space applied with new media.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a new perspective on physicality was proposed by naming the extended physicalit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s 'a typological body', 'cyborg body', and 'simulacre body'.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panded physicality and retail branding space were derived as 'image subject', 'heterogeneous junction', and 'expansion of sensation', and from these characteristics, 'virtuality' ‘de-boundary’, ‘mixing’, ‘extensibility’, ‘absorbency’, and ‘fluidity’ were finally derived as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for spatial analysis. (Conclusions) The interaction of the retail branding space, seen through the expanded physicality of this new media, was created to satisfy the socio-cultural needs of a rapidly changing era. The analysis conten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oncept of physicality, which is attempting to expand in conjunction with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ppearing in the retail branding space. Through new media that are actively applied to the space, It is expect to interact freely with users of spaces.

      • KCI등재

        CMF를 기반으로 한 중국 도시 내 고령자 주거 환경의 안전성 현황 연구

        황방연 ( Huang Fangyan ),이선정 ( Lee Sunj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중국에서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주거 복지 정책이 강화되면서‘거가양로(居家养老, 재가 요양양로)’ 현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주거공간 내 실내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고령자 주거 사고는 주로 복잡하고 모호한 공간 색채, 주택 재료의 결함, 미끄럽고 평평하지 않는 바닥이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CMF 원리를 활용하여 주택 내부 공간의 색채(Color), 재질(Material)과 마감(Finishing)의 세 가지 측면에서 현재 고령자 주거 환경 현황을 연구 및 평가했다. 연구의 목적은 주택의 색채, 재료와 마감(CMF) 디자인을 통해 주택 배색, 재료의 품질과 세부 사항으로 인한 고령자의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공간 색채, 공간 품질과 공간의 세부 사항을 주택 문제의 조사 방향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CMF를 중심으로 하는 주거 안전 평가 기준을 구축했다. 다음으로, 현지 조사와 제3자 테스트를 통해 주거 안전 현황을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주택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에 따라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결과) 공간 색채(C)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주택은 모두 WCAG2)에서 규정한 7:1의 색채 대비도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다. 다음으로 공간 품질(M)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부 주택 바닥은 마모되거나 파손되었고 벽 재료의 내마모성이 낮아 주택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분양주택 사례에서 사용한 두랄루민은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주방 작업대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았다. 복합재 목재(Composite Wood)는 환경과 기후로부터 쉽게 영향을 받아 손상 및 부패를 일으켰다. 또한, 일부 사례에서는 천장 금속 재료에 변형이 발생하여 잠재적 안전 리스크가 존재했다. 현장에서는 다행히 벽 및 천장 도료 변질로 인한 환경 오염 물질의 유해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조사 대상의 공간 세부 사항(F)은 마찰 계수≥0.5의 기준으로 거친 재질을 사용한 재료 마감은 미끄럼 방지 기능이 뛰어나 주거 안전 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모자이크 타일과 콘트리트 바닥은 울퉁불퉁한 표면≤2.0mm의 기준을 충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결론) 먼저 주택 소유자는 공간 색채(C)에 대한 관심이 가장 낮기 때문에 노인의 시각적 특징과 WCAG에서 규정한 7:1 색채 대비도에 따라 주택의 배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일부 주택에서 사용한 재료(M)은 품질 요구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고령자의 통행과 일상생활 활동에 안전 리스크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파손된 재료를 즉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택은 세부 사항에서 고령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감(F) 측면에서 재료 표면의 미끄럼 방지와 평탄도를 고려하고 신체적 접촉 시 노인의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China’s improved housing policies for seniors have led to a rise in home care, but also an increase in accidents. Untidy spaces, material defects, and uneven floors are the main culprits. Experts propose the CMF (colors, material, and finish) principle to evaluate the living spaces of seniors. This study thus focuses on creating safer living spaces for seniors by prioritizing the color, material, and finishing of their residences using CMF. (Methods) Spatial color, quality, and details were identified as the primary investigation directions for the three residential areas. A comprehensive set of residential safety evaluation standards was established using CMF as the central component. On-site investigation techniques and third-party inspections were used to evaluate the safety status of the residences. (Resul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for spatial color (C), none of the participants met the 7:1 color contrast standard outlined in WCAG2. Additionally, during the investigation of spatial quality (M), it was discovered that some residential floors had wear and tear, cracked walls, and poor wear-resistant wall coatings that impacted the residence’s durability. The aluminum alloy material used in commercial housing did not possess the necessary strength, and the composite woodboard used as a base material for kitchen worktops displayed signs of damage and decay. In welfare housing, the metal on the kitchen top is deformed, posing a safety hazard. However, no harmful effects resulting from excessive environmental pollutants released from wall and ceiling coatings were detected onsite. Finally, the spatial details (F) of the survey object are based on the standard of a friction coefficient ≥ 0.5, and the material surface is treated with a rough texture to have a significant anti-slip effect. Mosaic tiles and concrete floors have certain difficulties in adhering to the standards of convex and concave surfaces ≤2.0 mm. (Conclusions) It may be beneficial for homeowners to carefully consider the use of color in living space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visual needs of elderly individuals. Meeting the 7:1 color contrast ratio outlined in the WCAG can be helpful in achieving this goal. Additionally,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all materials used in homes meet the necessary quality standards, as thi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fety and well-being of elderly residents. Any damaged material should be promptly replaced. Finall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pecific needs of elderly individuals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with a focus on anti-slip performance and surface flatness to ensure maximum safety.

      • KCI등재

        다양한 CNN 가속기에서 아키텍처에 따른 면적, 에너지, 성능 분석

        김휘수(Hweesoo Kim),최재완(Jaewan Choi),이선정(Sunjung Lee),안정호(Jung Ho Ahn)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7 No.1

        Convolution Neural Network 가속기는 AI시대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떠오르게 되었다. CNN 가속기의 내부 구성을 몇 가지로 나눈다면 연산을 위한 Multiplier-Accumulator (MAC unit), 데이터 저장을 위한 SRAM, 데이터 이동을 위한 메모리 인터페이스 그리고 제어 로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한 CNN 가속기들의 경우, 각기 다른 공정과 동작 주파수를 기준으로 제안되었으며, 또한 아키텍처 형태에 따라 내부 MAC unit의 수와 SRAM의 크기가 매우 큰 차이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각 가속기들의 기본 사양으로 면적, 에너지, 성능을 비교하였을 때는 공정이나 동작 주파수 등 여러 조건들에 의해서 아키텍처에 따른 정량적인 비교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CNN 가속기에서 여러 조건들을 동일하게 재구성하였을 때, ResNet-50 추론 동작 시에 요구되는 면적, 에너지, 성능을 비교하여 아키텍처의 특징과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The Convolution Neural Network accelerator has emerg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AI era. The primary components of a CNN accelerator include the Multiplier-Accumulator (MAC unit) for calculation, SRAM for data storage, memory interface for data movement, and control logic. Different CNN accelerators have been designed based on different assumptions regarding the process technologies and operating frequencies. In addition, the number of internal MAC units and the size of SRAM vary substantially between different types of architectures. These factors make it difficult to design a fair comparison of the area, energy, and performance of different CNN accelerators. In this paper, we attempt to compare the area, energy, and performance of different CNN accelerator architectures by constructing them all with the same fabrication process and operating frequency while making inferences using the ResNet-50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