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박사학위 논문 영문초록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김남국(Kim, Nam-G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응용언어학 분야 박사학위 논문의 영문초록을 무브 분석을 통하여 수사적이고 언어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각각 20편의 영문초록을 선정하여 무브 분석 틀을 사용하여 초록의 수사적 구조와 언어적 특성을 분석 · 비교하였다. 또한 언어 분석 도구 WordSmith Tools 6.0을 이용하여 빈번하게 사용된 어휘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브 유형별 출현 빈도는 한국이나 미국 박사학위 논문의 영문초록에서 거의 대부분 연구의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 무브가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구의 배경과 논의 무브는 반드시 제시되지는 않았다. 둘째, 무브 패턴에서 한국 학위의 경우 목적-방법-결과-논의의 네 가지 무브 패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미국 학위의 경우 세 가지 패턴 즉, 목적-방법-결과 무브 패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무브 순서는 배경-목적-방법-결과-논의의 순으로 나타나며, 패턴 유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무브를 나타내는 데에는 전형적인 언어적 표현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그리고 각 무브를 표현하는데 사용된 문장 구조나 명사, 동사 등의 어휘 사용에 있어서 한국과 미국 학위 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와 과거 시제가 함께 사용되었다. 넷째, 한국 학위나 미국 학위의 영문초록에서 상위 100위까지의 어휘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어휘는 대부분 기능어와 한정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e, have, use, find, base 등과 같은 동사가 약간 사용되었고, 나머지 어휘는 응용언어학 분야에서 다루고 있는 언어, 교육, 실험, 교실, 학습자 등과 같은 내용어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응용언어학 분야의 영문초록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수사적인 구조와 어휘의 정보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장르 분석을 통한 다양한 글쓰기 방안을 제안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국내외에서 학위논문의 영문초록을 준비하거나 국제적인 저널에 논문을 기고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이 분야의 영문초록에 관한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rhetorical structure and linguistic features of English dissertation abstracts published i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he area of Applied Linguistics. A total of 40 abstracts were collected and the move analysis based on a five-move patter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hetorical structure and patterns of the English abstracts. A computational tool, WordSmith 6.0 was utilized to find out the frequently used words in the abstract tex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urpose(P), methods(M) and results(R) moves are the most frequent and common moves in the two groups. However, the background(B) and discussion(D) moves do not appear regularly in the English dissertation abstracts. Second,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frequently used sequence of move is the order of background(B)-purpose(P)–methods(M)-results(R)-discussion(D) move. The analysis also displayed miscellaneous exceptional patterns depending on move pattern types. Third, the analysis of linguistic features indicated that most of the abstracts employed typical and proper expressions to carry out the move. A variety of sentence structures, nouns and verbs were utilized in each move. The use of the present and past tense is fairly present in the Methods move. Lastl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in the abstracts were function words and determiners. A few verbs like be, have, base, use and content words related to Applied Linguistics were also us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gained from the move analysis and word frequency analysis of English dissertation abstracts will be utilized as a useful information and source for EFL writing as well as for graduat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ir dissertations in the area of Applied Linguistics.

      • KCI등재

        한국어교육 분야 국문초록의 이동마디 구성 분석 - 한국인과 외국인 전문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진웅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 초록의 이동마디 구성을 분석하여 한국인과 외국인 전문필자가 드러내는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동마디 분석은 미국 응용언어학 분야 등의 초록 분석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론이다. 하지만 한국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국문초록의 이동마디 분석이 이루어진 적은 거의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다양한 학술지에서 60 편의 초록을 조사하였다. 초록에 포함된 각 문장에 Pho(2008)에서 제시한 다섯 단계의 이동마디를 기준으로 주석을 달았다. 대부분의 한국인 전문필자들이 ‘연구 제시’ ‘방법론 기술’, ‘발견 요약’, ‘연구 토의’ 이동마디를 사용하고 있었고, 많은 외국인 전문필자들은 ‘연구 제시’와 ‘발견 요약’ 이동마디를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많은 외국인 전문필자들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동마디 연쇄 패턴을 지키지 않았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both examine move structures in Korean Education abstracts and compare the features of Korean writers and those of foreign writers. In the United States, a commonly used method to analyze the abstracts is move analysis in the field of Applied Linguistics. While almost no previous move-analysis tradition exists in Korean Education, we tried for the first time to apply coding frameworks to the abstracts. This study examined 60 abstracts collected from articles published in the various journal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Sentences were coded using a five-move scheme following Pho(2008).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ost Korean researchers’ abstracts give information on the Situating the research, Presenting the research, Describing methodology, Summarizing the findings, Discussing the research and while most of the articles by foreign researchers omit Presenting the research and Summarizing the findings. It was also found that foreign writers often violate the move sequence expected by academics in Korean Education field.

      • 우리나라 천만 영화의 메인타이틀에 대한 경향 분석

        이강준(Lee, Kang Joon),김영찬(Kim, Young Cha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7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

        This study analyzes the opening sequence of a movie with 10 million viewers and analyzes the graphic elements of the main title by implication through the opening sequence. Through the case of 10 million movies, I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effectively developing the design meaning of the Korean main title in the new 10 million movie which will be born with the image that conveys the meaning as well as the meaning of the word.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공간 계열에 대한 교사 인식도 연구

        김재일(Jae-Yil K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4

        본 연구는 지리 영역을 대상으로 초등 사회과 공간 계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세계스케일에 대해 가장 가르치기 어려워했다. 교사들은 학생들도 세계스케일에 대해 가장 어려워하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고장스케일에서 세계스케일로 확대되는 공간계열 방식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세계스케일 관련 내용은 현재보다 더 이른 시기에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넷째, 교직 경력이 짧은 교사일수록 지평확대법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다. 다섯째, 지평확대법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교사들의 대부분은 현행 공간 계열 방식이 절충 또는 수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cognition on elementary geography space sequen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s follow.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lt difficulties in teaching contents on global scale because of lack of direct experiences, enormous learning material and so on. They thought that students also seem to feel difficulties in learning on global scale. Second, teachers are satisfied with space sequence expanding from local scale to global scale because of developmental stage and power of understanding. Third, teachers thought that global scale contents should be introduced to earlier period than now. Fourth, the younger teachers are the more increased cognition on the widening horizons. But, the holistic cognition on the widening horizons was low. Fifth,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ing on the widening horizons thought that space sequence should be changed to modification or compromise. They thought that third grade and fourth grade students have to study together contents about local and regional scale, fifth grade and sixth grade students have to study together contents about national and global sca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 KCI등재

        의사소통적 특성을 고려한 정표화행의 유형 분류

        이혜용 한국어의미학회 2011 한국어 의미학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suggest Expressives category, which is seen complexly by classifying a type of Expressives. Thus, the aim was to grasp the position that the individually speech types possess within the whole system of Expressives, and commonality and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This study starts with a discussion about concept of Expressives in Chapter Ⅱ. It pointed out what is uncertain in Searle(1969)’s definition of Expressives, which is being generally popular, and defined Expressives specifically. Especially unlike what a speaker-oriented research was performed in the traditional Speech act theory, this study applied the basic position as saying that speech type needs to be classified by considering a hearer to the classification of category in speech type and to the definition of Expressives. Chapter Ⅲ modified and supplemented problems that were indicated in a prior research, and then proposed the standard for classification of Expressives, which considered the communication-based characteristics. As for the standard for the primary classification of Expressives, it suggested ‘position within move sequence’, which had not been considered conventionally. According to this standard, the Expressives was classified into ‘initiative Expressives’ and ‘reactive Expressives’. And, as the standard for secondary classification, ‘communication purpose’ was suggested. Communication purpose implies what is expected from a hearer by which a speaker utters. According to this standard, Expressives was divided into [+sympathy] and [-sympathy]. And then, [+sympathy] was divided into ‘both-party empathy formation’ and ‘hearer’s sympathy.’ [-Sympathy] was divided into ‘hearer’s hostility.’ And, according again to speaker’s recognition on situation, it was divided into ‘positive emotion on situation’ and ‘negative emotion on situation’. In addition, it classified Expressives in totally 25 pieces by giving semantically․situationally specific conditions to every individual speech type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 ‘speaker’s emotion on situation’, ‘role of participants in situation’, and ‘content and tense in situation’. Chapter Ⅳ completed and suggested Expressives in Korean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화면 틀을 기반으로 한 영상 시퀀스의 개방성

        김태진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2

        영상 시퀀스는 샷의 연결로 이루어져 있고 샷은 프래임에 의해 구성되는데, 비언어적 순수 질료로서의 시퀀스는 ‘단폭 가현 운동’에 의해 비로소 움직임으로 지각된다. 이에 근거해서 시퀀스의 움직임을 이해했을 때, 시퀀스는 환영을 만들어내는 재창조물이 아니라 실제 사건을 보는 것과 같은 지각 현상에 근거해 있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영화의 기계적 작동은 인간의 시각이 진화해 온 생태적 특성을 따라 발전한 것이고 시퀀스는 그렇기 때문에 실재의 대리물로서 기능한다. 라캉의 거울단계 연구에서 착안한 초기 영화 이론은 ‘봉합’의 순간에 주목한다. 결여의 상태를 상처로 간주하였을 때 이를 이상적 허구성으로 보충하는 것이 곧 봉합이다. 전기 라캉주의 영화 이론이 봉합의 허구적 연계성에 대한 의문을 바탕으로 하였다면, 후기 이론은 여태까지의 봉합의 과정에 대해 표준 봉합이라는 기준을 두어 지칭하며, 계속된 생채기를 내는 반복 된 심리적 과정에 주목한다. 상처가 깊을수록 더욱 절실하게 요청되는, 상처를 봉합할 무엇인가가 출현해야 할 자리에 대해 거론하며 역설적이게도 스크린의 인터페이스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시퀀스는 화면 틀 잡기에서부터 비롯되며, 안과 밖을 구분하는 프래임의 경계는 부분과 집합의 관계 보다는 화면 안과 밖의 관계성을 포함하여 그 관계항 밖의 더 큰 나머지, 즉 변화하는 전체를 인지하는 계기가 된다. A sequence is comprised of shots, and a shot is comprised of frames. Then a sequence as a pure material becomes to be perceived as a moving object by the ‘short range apparent movement’. In case the movement of sequence is received according to it, the sequence is no longer the recreated object bearing illusions, rather is the object of the visual perception which is quite similar to perceiving actual movement of real objects. The sequence functions as a surrogate of the real because mechanical operation of movies has been invented a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biological characteristic which has evolved so far in terms of developing human beings’ visual ability. The early study of Lacanian film theory concentrated on the moment of ‘suture’. In short, as a psychological experience on the stage of the symbolic, spectators find lack and absence in the shot/reverse shot formation. An ideological father sutures the lack (wound) fictitiously. So absence is altered by the ideological father immediately. Post study of suture theory moves its point to how fictitious suture works, and discuss new possibility of moment of suture as an interface. Sequence is formed by framing at the beginning, the border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unctions as a motivation of recognizing constantly moving the total, rather than the one for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rt and an assemblage.

      • KCI등재

        국내 영화 타이틀 시퀀스의 표현기법과 경향에 관한 사례연구

        김도식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The film title sequence is the symbolic gateway and the important element of deciding on the first impression as for the audience and the masses. In title sequence, the motion graphic is a tool of making it perform emotional and impressive communication effectively. The title sequence in a film is shown before and after opening or after ending, is fused the image and title as well, and exists independently, too. This study selected 10 korean films by box-office record in 2010, examined in which method the title sequence exists by genre, and analyzed it in the sphere of image and moving typography. When image and title are combined, it come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torytelling, to produce dramatically and to deliver implicative message. In case of the independent title sequenc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a film are declared with a typical method. Owing to today's development in media, a film is being supplied and derived with cultural contents in diverse methods. If the continuous investment and effort for title sequence are supported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at is rapidly growing recently along with the global attention of Hanryu(Korean wave), the qualitative growth in a film will be able to be expected. 영화 타이틀 시퀀스는 관객과 대중에게 있어 상징적인 관문이자 첫인상을 결정짓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타이틀 시퀀스에서 모션 그래픽은 감성적이며 인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케 하는 도구이다. 영화에서 타이틀 시퀀스는 오프닝 전후나 엔딩 뒤에 나타나며 영상과 타이틀이 융합되기도 하며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2010년도 흥행순위별로 10개의 국내영화를 선정하여 타이틀 시퀀스가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는지 장르별로 살펴보고 영상과 무빙 타이포 영역에서 분석하였다. 영상과 타이틀이 결합되는 경우 스토리텔링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극적인 연출과 함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독립적인 타이틀 시퀀스의 경우에는 전형적인 방식으로 영화의 시작이나 종료를 선언한다. 오늘날 미디어의 발전으로 영화는 다양한 방식의 문화 콘텐츠로 보급되고 파생된다. 최근 한류의 세계적인 주목과 함께 급성장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타이틀 시퀀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영화의 질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STMP/MST와 기존의 시공간 이동 패턴 탐사 기법들과의 성능 비교

        이연식 ( Yonsik Lee ),김은아 ( Euna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5

        시공간 이동 패턴 탐사는 특성상 방대한 시공간 데이터의 분석 및 처리 방법에 따라 패턴 탐사의 성능이 좌우된다. 기존의 시공간 패턴 탐사 기법들[1-10]이 가진 패턴 탐사 수행 시간이나 패턴 탐사 시 사용되는 메모리양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기법에서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아직 미비한 실정하다. 이에 선행 연구로 방대한 시공간 이동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순차적이고 주기적인 빈발 이동 패턴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STMP/MST 탐사 기법[11]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해시 트리 기반의 이동 시퀀스 트리를 생성하여 빈발 이동 패턴을 탐사함으로써 탐사 수행 시간을 최소화하고, 상세 수준의 이력 데이터들을 실세계의 의미있는 시간 및 공간영역으로 일반화하여 탐사 시 소요되는 메모리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TMP/MST 탐사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탐사 대상 데이터양과 최소지지도를 기준으로 기존의 시공간 패턴 탐사 기법들과 탐사 수행 성능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The performance of spatio-temporal moving pattern mining depends on how to analyze and process the huge set of spatio-temporal data due to the nature of it. The several method was presen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which existing spatio-temporal moving pattern mining methods[1-10] have, such as increasing execution time and required memory size during the pattern mining, but they did not solve properly yet. Thus, we proposed the STMP/MST method[11] as a preceding research in order to extract effectively sequential and/or periodical frequent occurrence moving patterns from the huge set of spatio-temporal moving data. The proposed method reduces patterns mining execution time, using the moving sequence tree based on hash tree. And also, to minimize the required memory space, it generalizes detailed historical data including spatio-temporal attributes into the real world scopes of space and time by using spatio-temporal concept hierarchy. In this pape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MP/MST method, we compared and analyzed performance with existing spatio-temporal moving pattern mining methods based on the quantity of mining data and minimum support factor.

      • KCI등재

        시퀀스 빈발도와 가중치를 이용한 최적 이동 패턴 탐사

        이연식 ( Yonsik Lee ),박성숙 ( Sungsook Park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5

        사용자들의 특성에 맞게 개인화되고 세분화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공간 상에서 발생하는 이동객체의 다양한 패턴들 중 의미있는 유용한 패턴을 추출하기 위한 시공간 패턴 탐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이동 객체의 이력 데이터로부터 패턴 탐사를 통해 실세계에 적용 가능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개발에 대한 응용으로, STOMP(F)[25]에서 정의한 최적의 이동 패턴을 탐사하는 문제들을 기반으로 시간 및 공간 제약을 갖는 패턴을 추출하기 위한 새로운 탐사 기법인 STOMP(FW)를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패턴 빈발도 만을 이용한 기존 연구(STOMP(F)[25])에 가중치(거리, 시간, 비용 등)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패턴탐사 방법으로, 특정한 지점들 사이를 이동한 객체의 이동 패턴들 중 패턴 빈발도가 특정 임계치 이상이고 가중치가 가장 적게 소요되는 이동 패턴을 최적 경로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의 패턴 탐사는 경험적인 이동 이력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최적 경로 탐색 기법들(A*, Dijkstra 알고리즘)이나 빈발도 만을 이용한 방법들 보다 접근하는 노드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최적 패턴을 탐색할 수 있음을 보인다. For developing the location based service which is individualized and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users, the spatio-temporal pattern mining for extracting the meaningful and useful patterns among the various patterns of the mobile object on the spatio-temporal area is needed. Thus, in this paper, as the practical applica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location based service in which it is able to apply to the real life through the pattern mining from the huge historical data of mobile object, we are proposed STOMP(using Frequency of sequence and Weight) that is the new mining method for extracting the patterns with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 based on the problems of mining the optimal moving pattern which are defined in STOMP(F)[25]. Proposed method is the pattern mining method compositively using weighted value(weights) (a distance, the time, a cost, and etc) for our previous research(STOMP(F)[25]) that it uses only the pattern frequent occurrence. As to, it is the method determining the moving pattern in which the pattern frequent occurrence is above special threshold and the weight is most a little bit required among moving patterns of the object as the optimal path. And also, it can search the optimal path more accurate and faster than existing methods(A*, Dijkstra algorithm) or with only using pattern frequent occurrence due to less accesses to nodes by using the heuristic moving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