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지 레이코프의 정치적 도덕에서 정당화 문제

        김범춘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89 No.-

        This paper accomplishes four things. First, Lakoff's political morality is based on the "nation as family" model derived from the cognitive modeling of experientialism. According to Lakoff, all politics is moral, and political morality is shaped and operated on the basis of a family model. Political morality i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rough well-being and family experiences. Second, Lakoff argues that the United States should adopt the progressives' moral system, "nurturant parent" morality, as its political value. While the conservatives' "strict father" morality manifests as obedience to authority, "nurturant parent" morality works in solidarity with empathy.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nurturant parent" morality is actually superior to "strict father" morality. In political morality, experience and evidence are always the product of interpretive project and framing work. Third, Lakoff's "nation as family" model does interpretive project and framing work by empirically explaining the political morality of the United States, and it advocates the progressive moral system. However, this position cannot be justified because Lakoff's framing work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American political morality is subjective and arbitrary. These are always contested in truth each other, so competitive, regardless of a conservative or progressive stance. Fourth, the superiority of "nurturant parent" morality in Lakoff's "nation as family" model is not generally accepted in American politics and the daily lives of American citizens. They respond to and interpret American politics according to their diverse personal beliefs. Most notably, besides the unconsciousness of cognitive science, it is possible to reasonably explain and interpret the political morality of the United States using rational methodologies rooted in sociology, politics, and philosophy that have already been verified. 이 논문은 레이코프의 정치적 도덕에 관한 주장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이 검토는 네 개의 주제로 전개된다. 첫째, 레이코프의 정치적 도덕은 체험주의의 인지모델링이 만들어낸 ‘국가는 가정’ 모델에 기초하고 있다. 레이코프에 따르면 모든 정치는 도덕적이고, 정치적 도덕은 가정 모형에 기초하여 형성되고 작동한다. 정치적 도덕은 평안함과 가정에 관한 우리의 경험에 따라 정립되고 실행된다. 둘째, 레이코프는 진보주의자의 도덕체계인 ‘자애로운 부모’ 도덕이 미국의 정치적 가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보수주의자의 ‘엄격한 아버지’ 도덕이 권위에 대한 복종으로 작동하는 것이라면, ‘자애로운 부모’ 도덕은 감정이입에 따른 연대로 작동한다. 그러나 ‘자애로운 부모’ 도덕이 실제로 ‘엄격한 아버지’ 도덕보다 도덕적으로 우월하다는 증거는 없다. 정치적 도덕에서 경험과 증거는 언제나 해석적 기획과 프레임 작업의 산물이다. 셋째, 레이코프의 ‘국가는 가정’ 모델은 미국의 정치적 도덕을 경험적으로 설명하면서 진보주의자의 정치적 프레임을 옹호하는 해석적 기획이다. 하지만 경험적 설명은 규범적으로 정당화되지 않는다. 미국의 정치적 도덕에 관한 레이코프의 프레임적 기술과 해석은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것이며, 그것은 보수주의와 진보주의를 막론하고 진실에서 서로 경합하는 쟁탈적인 것이다. 넷째, 레이코프의 ‘국가는 가정’ 모델에서 ‘자애로운 부모’ 도덕의 도덕적 우위는 미국의 정치와 일상생활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이 아니다. 미국 시민은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외에도 아주 다양한 개인적 신념에 따라 미국의 정치에 반응하고 해석한다. 무엇보다 인지과학의 무의식뿐만 아니라 이미 검증된 사회학, 정치학, 철학의 합리적 방법론에 따라 미국의 정치적 도덕을 이성적으로 설명하고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헤겔의 관점에서 본 관습적 도덕과 합리적 도덕의 관계

        고영준(Young-Jun Ko) 한국도덕교육학회 2018 道德敎育硏究 Vol.30 No.4

        이 글의 목적은 헤겔의 관점에서 관습적 도덕과 합리적 도덕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이 고찰이 오늘날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두 도덕의 관계에 접근하는 방식으로서 ‘구체-추상 모형’, ‘내용-형식(좀 더 정확히는 현상-본질) 모형’, ‘즉자-대자 모형’이라는 세 가지 관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추상 모형은 관습적 도덕 위주의 관계를 주장하고, 내용-형식(현상-본질) 모형은 합리적 도덕 위주의 관계를 주장한다. 헤겔의 관점에서 본 ‘즉자-대자 모형’은 두 도덕 중 어느 한쪽을 우위에 두는 앞선 관계 모형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두 도덕의 조화로운 관계가 성립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즉자-대자 모형에 따르면, 관습적 도덕과 합리적 도덕은 ‘정신의 자유’를 점점 더 인식하고 실현하는 정신 발달의 두 가지 단계 또는 결정적 계기라는 점에서만 도덕 발달의 위계적 순서를 이루는 것으로 정립될 수 있으며, 이 발달의 과정에서 ‘정신의 도덕(또는 윤리)’으로 종합된다. 그리하여 도덕교육의 주요 활동은 표면상 도덕적 행동의 습관화와 이 습관화된 행동에 관한 도덕적 지식의 획득이지만, 이 활동의 목적은 정신의 자기인식과 자기실현, 즉 학습자의 도덕적 행동 속의 정신을 일깨워서 정신의 편에서 자기를 인식하고 자기의 자유를 실현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conventional morality and rational morality from the viewpoint of Hegel, and thereby give some suggestions on today’s moral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three relation models of ‘concreteness-abstraction model’, ‘content-form(more precisely appearance-essence) model’, and ‘in itself-for itself model’. While the first model asserts conventional morality centered relation, the second model does rational morality centered relation. The third model in Hegel’s view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preceding models which cannot but be overweighted on one side of the two moralities, and presents the clue of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third model, the two moralities can only be established as two stages or critical moments in a same hierarchical order of moral development in that more and more persons recognize and realize ‘Spirit’s freedom’ in their own minds, and thereafter arrive at the final stage of ‘Spirit’s morality or ethics(Sittlichkeit)’. Thus, main activities of moral education are seemingly the habituation of moral conduct and the acquisition of moral knowledge about the conduct, but the genuine aim within them is self-knowledge and self-realization of Spirit in learner’s own mind, by awakening Spirit’s freedom latent in his or her customary moral conduct.

      • KCI등재

        합리적 도덕 판단을 위한 초등 도덕과 통합 수업 모형

        송영민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8

        The Teacher's Guidebook for moral education presents 'basic unit system and composition', 'basic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o help implement of the moral curriculum into the instructions. Here, 'basic unit system and composition' is the general level based on the textbook organization, and 'basic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is the general level based on the elements of morality. The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is a steps in the logical orders to reach a specific teaching purpose based on the main educational theory accepted in moral education. When an integrated model is present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m, rather than listed separately,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teachers. As a valid guide, the integrated model should present the instructional steps with specific teaching objectives and the main activities available at each stages. This is to assist in the selection of the main activities required for the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considering the instructional purpose with reference to the integrated model. This paper focuses the suggestion of a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pecifically on the teaching of rational moral judgment. To this end, the instructional models and background theory directly related to rational moral judgment are examined. Representative models that directly intend rational moral judgment in major instructional models include value analysis instruction model and value conflict resolu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theories related to these models, the 'basic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 basic unit system and composition', and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an be an integrated model. The proposal mainly reflects that the value analysis instruction model focuses on value judgment and the value conflict resolution instruction model focuses on resolving differences. Based on this, the proposed integrated model consists of the steps of 'presenting moral problems-analyzing moral problems-presenting moral judgments-examining moral judgments-revising moral judgments-seeking ways to implement moral decisions'. In addition, the instructions proposes discussion class in the form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llustrates the main educational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used at each step for discussion.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도덕과 교육과정의 수업 구현을 돕기 위해 ‘도덕과 기본형 단원 체제ㆍ구성’, ‘도덕과 교수ㆍ학습의 기본적 과정’, ‘도덕과 주요 교수ㆍ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도덕과 기본형 단원 체제ㆍ구성’은 교과서 편제에, ‘도덕과 교수ㆍ학습의 기본적 과정’은 도덕성 요소에 근거한 일반적인 수업 단계이다. 그리고 ‘도덕과 주요 교수ㆍ학습 모형’은 도덕과에서 수용하고 있는 주요 교육이론에 근거하여, 특정 교수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교수전략을 논리적 순서로 전개한 단계이다. 이들이 별개로 나열되기 보다는 그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적 모형이 제시될 때, 그것은 교사의 수업구성을 위한 유효한 안내로 활용될 수 있다. 유효한 안내로써 통합 모형은 특정 수업목적이 부각된 수업 단계와 각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주요 활동들을 제시해야 한다. 이는 통합 수업 모형을 참조하여 수업목적을 고려한 구성 및 그 실행에 필요한 교수ㆍ학습 활동의 선택을 돕기 위해서이다. 본고는 특히 합리적 도덕 판단을 목적으로 하는 수업에 초점을 두고 통합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합리적 도덕 판단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수업 모형 및 그 배경이론을 살펴본다. 도덕과 주요 수업 모형에서 합리적 도덕 판단을 직접적으로 의도하는 대표적 모형에는 가치분석 수업 모형과 가치갈등해결 수업 모형이 있다. 이들 모형과 관련된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합리적 도덕 판단이라는 목적이 부각되도록 ‘도덕과 교수ㆍ학습의 기본적 과정’, ‘도덕과 기본형 단원 체제ㆍ구성’, ‘도덕과 주요 교수ㆍ학습 모형’을 통합한 모형을 구성한다. 그 구성에서 가치분석 수업 모형은 가치 판단에, 가치갈등해결 수업 모형은 가치 판단의 차이를 해소에 초점이 둔다는 측면을 반영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한 통합 모형은 ‘도덕적 문제의 제시-도덕적 문제의 분석-도덕적 판단의 제시-도덕적 판단의 검토-도덕적 판단의 수정-도덕적 결정의 실행 방안 모색’이라는 단계로 제안된다. 그리고 수업의 형태로 토의수업을 제안하며, 토의수업을 위해 각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주요 교수ㆍ학습 활동도 함께 예시한다.

      • 청소년 도덕성 진단 검사도구 개발 연구Ⅰ

        박병기,변순용,김국현,손경원,김민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도덕적 동기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검사도구 초안에서 레스트의 4구성요소 모델에 근거하여 도덕적 동기화를 정의하고, 도덕적 정체성과 도덕적 감정에 기초하여 2개 하위영역을 구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귀감모델의 이야기 사례와 Likert식 5단계 평정법에 의한 문항형식을 활용하여 총 3개의 사례(사례별 6문항 구조)로 이루어진 도덕적 동기화 검사도구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검사도구 관련 전체회의와 중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낙관성 연구결과를 추가하여 사례별 3개 대항목 6소항목의 구인을 확정하고, 총 3개 사례의 21문항의 예비검사를 개발하여 중-고등학생 총 262명을 대상으로 표준화작업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도덕적 동기화 검사의 Cronbach α는 비교적 높았다. 허위 응답자를 제거하는 문항을 활용하여 제거하여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858이다. 둘째, 내용타당도는 양호하였지만 3요인의 구인 타당도는 지지되지 않았다. 이야기 사례 구인이 하위 항목 하위에 비해 영향력이 있었고 3개의 이야기 사례를 관통하는 단일 구인요인이 발견되었다. 셋째, 3개의 귀감사례의 도덕적 주제를 거시도덕으로 통일하고 도덕적 정체성의 1요인 모델로 구인을 재설정하였다. 향 후 2차 년도에는 심층면접 자료 분석과 문항 개발 방식의 다양화하여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높일 계획이다. KYMT is developed to measure youth morality based on the four component model’s factor: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Moral motivation is as in the foll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 of the moral motivation for Korean adolescents, and to obtain evidence of validation for interpreting the scores on the testing tool. The moral motivation corresponds to the third component among four component model which J. Rest suggested, An initial tool included three stories comprised of 6-item per story which was composed of two factors based on the theories of moral identity and moral emotion, It was redefined as the construct comprised of three factors and sub six factors which added third factor related with researches of optimism after reviewing the content-related validity in the conference for developing the Korea Youth Morality Test. Then this testing tool finally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with 21-item in the three stories of moral exemplar. The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to 262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ral motivation test for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lue of coefficient alpha for the final 21-item was .858 after removing invalid responses. second, the result of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dn’t provide the evidence of the validity of three factors model, It showed the values contained in the story was recognized as more influential factors than factors designed to measure in this study, and was found one factor model of moral identity through three stories. Third, we revised the testing tool which was composed of one factor model with topic of the macro morality about moral exemplar story. In the subsequent study,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test with high validity by analyzing the depth interviews and using the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 on moral motivation.

      • KCI등재후보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에 관한 연구

        유병열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Nowadays, we have to carry out the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develop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children. But those tasks can be smoothly accomplished only when the basic frame of moral teaching- learning is constructed for elementary classes. So, it is our urgent task to develop the general process and steps of moral teaching- 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So, I wanted develop the general frame of moral teaching- 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and tried to prove the theoretical rightness and the practical propriety of the frame. To accomplish the task, firstly I enquired the goal and characteristics of 2007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nd the theory of virtue and character education that has been the main trend in the field of modern moral education. Secondly, based on the inquiry, I contrived the general frame, that is, the whole process and steps of moral teaching-learning for elementary classes. This frame is made up of three models: basic model, six sub-basic models and practical teaching-learning models. These models were tested out in elementary schools for six months and their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appropriateness were verified with good results. The basic model is the general framework of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moral classes. Only when we are based on this model, we can practice the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virtue and character education. The six sub-models are derived from the basic model and we can use them to develop the moral competences and virtual traits of human character in elementary children. finally, the practical teaching-learning model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moral textbook for elementary children and they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teacher`s moral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2007년에 개정 고시된 도덕과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함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중요한 하나가 바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일반적 과정·절차를 개발해 내는 일이다. 이 문제는 당장 초등 도덕 교과서를 만들어 내는 데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도덕과 교육을 실행해 감에 있어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도 매우 절실한 과제가 된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새 도덕과 교육과정 하에서의 초등 도덕과 수업의 일반적 과정·절차를 모색해 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07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과 중점 방향을 고려하고, 현대 도덕교육의 중심 동향이 되고 있는 인격․덕교육적 접근에 기초하여, 초등 도덕과의 일반적 과정·절차로서 도덕과 수업의 기본 모형과 여섯 가지 하위모형 및 차시별 수업모형을 구안해 내었다. 그리고 이를 새 도덕 교과서를 개발해 내는 데 적용하는 동시에 학교 현장의 적합성 실험에 투입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새로이 개발된 초등 도덕과 수업의 일반적 과정·절차 모형은 이론과 실제 모두에서 타당하고 적절하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이에 따라 앞으로 이를 새 도덕 교과서 개발은 물론 학교 현장의 도덕과 교육 실제에도 실질적으로 적용, 운영해 가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문제유형별 상황모델의 확장과 적용

        최무진(Moo-Jin Choi)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7 로고스경영연구 Vol.15 No.1

        본 논문은 Jones(1991)가 제시한 통합모델인 문제유형별 상황모델(issue-contingent model)에 주목하였고, 기독교적 관점에서 확장함으로써 사람들의 의사결정(판단)과 행동의 도덕성(윤리성)을 보다 깊이 성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도덕적 문제(moral issue)에 따라 사람들이 도덕적 강도(moral intensity)를 다르게 인식한다는 주장에 동의하고, 도덕적 문제의 특성, 즉 도덕적 강도에 근거하여 도덕적 문제인식과 판단 그리고 행동을 상황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통합모델을 만듦으로써 도덕적 과정(moral process)을 더 잘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첫째, 이전 연구들의 한계와 도덕적 행동을 구성하는 문제 관련 요소인 구성개념(construct)들을 탐색하였고 아울러 이러한 구성개념과 이론들에 대한 법칙적 관계망(nomological network)을 구축함으로써 통합모델에 필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였다. 둘째, Jones의 문제유형별 상황모델(issue-contingent model)을 확장한 통합모델을 제시하고 아울러 이 모델의 국내적 외적타당성(external validity) 확대를 위해 세월호 참사 관계자의 판단과 행동을 모델에 적용하였다. 셋째,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더 많은 실증 연구가 필요한 제안(proposition)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morality of decision-making and behavior by elaborating and expanding Jones’ the issue-contingent model (1991)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s. Especially we agreed that people perceive different levels of moral intensity for different moral issues, and then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moral process by developing an elaborated, integrated model with which recognition, judge, and behavior of moral issue can be reinterpreted. For these, specifically, first, we suggest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by exploring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constructs composing of the moral behavior, and establishing nomological network of these constructs. Secondly, we proposed expanded version of Jones’ the issue-contingent model from Christian perspectives, and applied it to cases of the Saewolho’s disaster in order to expand external validity of the model. Finally, several propositions were developed for the future research.

      • 전문가윤리의 관점에서 본 교사의 도덕성에 대한 탐색적 논의

        최지영 ( Ji Young Choi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2010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6 No.1

        교사의 역할을 천직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에서 벗어나 전문직업인의 관점에서 이해할 때, 교사의 직업윤리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대두된다. 전문가집단의 도덕성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이 대두되면서 Rest의 도덕성의 4구성요소모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도덕성의 4구성요소는 도덕적 민감성,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동기화, 도덕적 품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도덕성을 도덕성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들을 살펴보면 첫째, 교사에게 높은 수준의 도덕성이 필요한 이유로 교직에 대한 관점의 변화, 다문화가정 출신 학생이 증가하는 수업환경의 변화, 교사윤리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대두 등을 들고 있다. 둘째, 교사의 도덕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도덕성의 4구성요소모델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셋째, 전문가윤리의 관점에서 교사의 도덕성이 의미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도덕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현재의 교육적 상황에서 다양한 개인적, 문화적 특성을 가진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배려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는 교사의 능력은 교직에 입문하기 전에 예비교사 시절부터 길러져야 하는 도덕적 측면에서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rise of an integrative approach about professional ethics,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Rest`s four component model for morality. The components are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morality according to an integrative approach of mor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need high level morality due to the change in the perspective about teaching profession from calling to professional,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and rise of an integrative approach about teacher morality. Second, Rest`s four component model of morality is applied in explaining teachers` morality. Third, teachers` morality based on professional ethics perspective is also discussed.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morality.

      • KCI등재

        율곡의 심성론에 기반한 도덕 판단 모델 연구

        배병대 (사)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1 No.-

        This paper studies the central theme of moral psychology, the model of moral judgment, based on the psychological theory of Yulgok. Yulgok's theory of spirituality explains moral psychological phenomena as a single category and path, without violating the framework of the dualism of ‘theory of yi and gi[理氣論]’. In particular, his ‘one road theory of mind, nature, emotion and thinking[心性情意一路說]’ has a form of moral psychology discussed by dividing the boundary of change of mind that develops in a moral situation into nature, emotion, and thinking. This study selects the concept of constituting a moral judgment model around these ‘one road theory of mind, nature, emotion and thinking[心性情意一路說]’ as nature, emotion, thinking and will, and then examines each moral psychological meaning. And based on this, we derive the 'Yulgok moral judgment model' consisting of the first stage of intuition judgment from nature to emotion, the second stage of reasoning and reflection from emotion to thinking, and the third stage of selection judgment from thinking to will. The strength of this 'Yulgok moral judgment model' is that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a single model system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intuition and the role of reasoning in moral judgment. In addition, 'Yulgok moral judgment model' suggest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moral psychology should move should serve as a prop for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trust of human autonomous moral ability. 본 논문은 도덕 판단 모델이라는 도덕 심리학의 핵심 주제를 율곡의 심성론에 기반하여 연구한다. 율곡의 심성론은 이기론이라는 이원론의 틀을 위배하지 않으면서도 도덕 심리 현상을 단일한 범주와 경로로서 설명하고 있다. 특히, 그의 ‘심성정의일로설’은 도덕적 상황 속에서 전개되는 마음의 변화 경계를 ‘성’ · ‘정’ · ‘의’로 구분하는 도덕 심리학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심성정의일로설’에 기초하여 도덕 판단 모델을 구성하는 개념을 ‘성’ · ‘정’ · ‘의’ · ‘지’로 선정한 후, 각각의 도덕 심리학적 의미를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성’에서 ‘정’으로의 직관 판단 과정을 1단계, ‘정에서 ‘의’로의 추론 판단 과정을 2단계, 그리고 ‘의’에서 ‘지’로의 선택 판단 과정을 3단계로 설정한 ‘율곡 도덕 판단 모델’을 도출한다. ‘율곡 도덕 판단 모델’의 강점은 도덕 판단의 과정에서 직관과 추론의 역할이 균형을 유지하면서 단일한 모델 체계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율곡 도덕 판단 모델’은 도덕 심리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인간의 자율적인 도덕 능력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도덕 교육의 받침대 역할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

      • 창조성의 선행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고찰

        김정아(Kim, Jeong-a) 창조교육학회 2013 창조교육논총 Vol.15 No.-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grow virtue that is an element of value ability in moral area in creativity. Virtue in creativity is the core of moral character in creativity and is an element of human abilities for creating value. In other words, virtue is practiced by moral judgment based on human conscience and is related the whole areas of human life. Moral practice can be the rules of the acts to contribute to happiness of communities, and it creates culture, the common good, through its growth of value and also creates cultural value and personality through the cultivation of moral virtues. Therefore, the nature of virtue is to create the value of personality, society, and country through the practice of virtue. To grow virtue in creativity, teaching-learning study is required to cultivate morality by making virtue grow through right recognition of moral value and value realization in the schools.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cultivating morality comprises care model, home connection model, volunteering study model, virtual experience model, concept analysis model, group study model, value conflict model, values clarification model, and role playing model. Such models are useful for achieving creative values through moral education. Human morality can be achieved by the practice of morals. Thus, the precondition that virtue is manifested as moral practice is to make moral thinking cultivated and the basis of moral judgment by such thinking provided. Such basis of moral judgment can make people achieve their personalities by good deed, moral act by moral deduction. So, moral judgment and practice manifested by virtue becomes the basis of moral education. Creative activities with free will can be done based on human conscience by making moral virtues cultivated that follow virtue and abandon vice. The growth of virtue in creativity, therefore, should be achieved by moral education.

      • KCI등재

        예비교사의 도덕성 구조 모형 검증

        이지혜(Jihye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 이론을 주장한 Blasi(1980)와 Rest(1986)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성 구조 모형을 세워 예비교사에게 가장 적합한 모형을 찾고, 구체적인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303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3개의 가설모형 중 도덕적 민감성이 도덕 판단에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으며, 도덕 판단을 제외한 도덕적 민감성, 도덕 동기, 도덕 성격이 도덕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인 가설모형 3이 χ²=425.315(df=82, ρ=.000), RMSEA=.068, GFI=.903, AGFI=.910, TLI=.923, CFI=.932, NFI=.929, AIC=512.058로 적합도 지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최종모형의 각 경로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의 도덕적 자아, 도덕적 민감성, 도덕 동기, 도덕 성격모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도덕적 자아의 영향력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상세 분해한 결과, 유의한 경로 중도덕적 자아가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성격을 통해서 도덕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적인 영향력이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덕적 판단과 민감성, 동기, 성격 등의 통합된 도덕성을 기르더라도 도덕성이 진정한 인간의 일부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자아와의 통합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by establishing a morality structure model based on the Integrative Framework theory by Blasi and Rest on morality, and to discover its influencing power in detail.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3 pre-service teachers at a university in Chungbuk, and the study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three hypotheses models set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from preliminary studies,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were shown to have no influence on each other, and hypothesis model 3, which was that apart from moral judgment, the other three factors of moral sensitivity, moral motive, and moral persona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oral behavior, had a suitability index of χ²=425.315(df=82, ρ=.000), RMSEA=.068, GFI=.903, AGFI=.910, TLI=.923, CFI=.932, NFI=.929, AIC=512.058; hence it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Secondly,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on each of the pathways of the final model, it was shown that the moral self, moral sensitivity, moral motive, and moral personality of pre-service teachers all had a direct significant influence, and amongst these the moral self had the biggest influencing power. Also, as a result of runn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 indirect impact on moral behavior,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ignificant pathways, the one which involved the moral self reaching moral behavior through moral sensitivity and moral personality had the biggest indirect influencing power.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enhance the standards of moral behavior in pre-service teachers, there is a need to make evaluations from diverse aspects and approach this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without stressing single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