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통신 시장의 단말기 기반 경쟁 (DBC : Device Based Competition)이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이동통신 서비스-단말기 결합분리(Decoupling) 유인을 통한 경쟁활성화 정책 매커니즘 고찰

        홍진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0 No.1

        Mobile handset subsidy is one of three major competition tools together with tariff and quality of service. This has revealed ambidextrous aspects to the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While this provides basis for sprea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rket, it becomes a controversial issue that excessive and discriminative handset subsidy may harm potential of the market growth and consumer surplu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how prohibition of handset subsidy affects consumer surplus and competition. However, this does not reflect complexity of shifting regulations and market situation that tightly couples handset and mobile services entering smart phone era since Nov 2009 in Korea. Thus, this research conducts interviews with various participants including MNOs, MVNOs, manufacturers, handset distributors, consum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at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n changing dynamics of the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among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 No of number portability and fixed-mobile bundling services. This presents that changing competition in smart phone era reveals discontinuous change from previous competition in feature phone period acknowledging prominent role of handset subsidy in competition ahead of tariff and QoS.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this type of competition as ‘Device Based Competition (DBC)’ distinguishing from traditional competition concepts of facility based competition and service based competition. In this context, it analyzes DBC’s impact on mobile service and hands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The results confirm that 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derived from unclear and discriminatory handset subsidy and its roller coasting may lead to ‘market failure’ in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 mechanism’ for de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which result in promoting market price mechanism in each mobile service and handset industry and increasing consumer choice. 서비스 요금, 품질과 더불어 이동전화산업의 3대 경쟁수단중 하나인 단말기 보조금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와 단말기 시장의 초기시장 형성과 경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지만, 포화된 시장에서의 불투명하고 과도한 보조금은 성장 잠재력 훼손과 소비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피쳐폰 시대에 단말기 보조금의 금지여부에 따른 소비자 후생의 변화나 경쟁효과의 분석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년 11월부터 한국시장이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 가면서 단말기 출고가, 이동전화 요금제 수준별로 단말기-서비스 번들링 등 단말기와 통신서비스의 관계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종전의 경쟁과는 단절적인 변화(Discontinuous Change)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단말기’가 전통적인 통신서비스 경쟁수단인 ‘요금’과 ‘품질’ 보다 주된 경쟁수단으로 부상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통신시장의 새로운 경쟁현상을 ‘단말기 기반 경쟁(Device Based Competition)’ 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경쟁이 MNO와 MVNO와의 경쟁, 단말기 제조시장의 경쟁, 소비자의 서비스와 단말기의 선택권 등 이동전화산업의 서비스-단말기 각 부문의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불투명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의 결합, 보조금 롤러코스터 현상이 소비자의 후생배분과 이동전화 서비스 및 단말기 유통시장에서 ‘시장실패’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 유통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서비스가 불투명하게 결합된 구조를 분리하여 단말기와 서비스 각각의 ‘가격’의 작동을 정상화하고,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시 단말기 보조금과 서비스 요금할인 중 선택할 수 있는 유인체계의 도입을 위한 ‘정책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동통신 시장의 단말기 기반 경쟁 (DBC : Device Based Competition)이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이동통신 서비스-단말기 결합분리(Decoupling) 유인을 통한 경쟁활성화 정책 매커니즘 고찰

        홍진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 No.-

        Mobile handset subsidy is one of three major competition tools together with tariff and quality of service. This has revealed ambidextrous aspects to the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While this provides basis for sprea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rket, it becomes a controversial issue that excessive and discriminative handset subsidy may harm potential of the market growth and consumer surplu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how prohibition of handset subsidy affects consumer surplus and competition. However, this does not reflect complexity of shifting regulations and market situation that tightly couples handset and mobile services entering smart phone era since Nov 2009 in Korea. Thus, this research conducts interviews with various participants including MNOs, MVNOs, manufacturers, handset distributors, consum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at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n changing dynamics of the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among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 No of number portability and fixed-mobile bundling services. This presents that changing competition in smart phone era reveals discontinuous change from previous competition in feature phone period acknowledging prominent role of handset subsidy in competition ahead of tariff and QoS.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this type of competition as ‘Device Based Competition (DBC)’ distinguishing from traditional competition concepts of facility based competition and service based competition. In this context, it analyzes DBC’s impact on mobile service and handset competition and consumer surplus. The results confirm that 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derived from unclear and discriminatory handset subsidy and its roller coasting may lead to ‘market failure’ in mobile service and handset market.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 mechanism’ for decoupling mobile service and handset, which result in promoting market price mechanism in each mobile service and handset industry and increasing consumer choice. 서비스 요금, 품질과 더불어 이동전화산업의 3대 경쟁수단중 하나인 단말기 보조금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와 단말기 시장의 초기시장 형성과 경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지만, 포화된 시장에서의 불투명하고 과도한 보조금은 성장 잠재력 훼손과 소비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피쳐폰 시대에 단말기 보조금의 금지여부에 따른 소비자 후생의 변화나 경쟁효과의 분석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년 11월부터 한국시장이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 가면서 단말기 출고가, 이동전화 요금제 수준별로 단말기-서비스 번들링 등 단말기와 통신서비스의 관계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종전의 경쟁과는 단절적인 변화(Discontinuous Change)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단말기’가 전통적인 통신서비스 경쟁수단인 ‘요금’과 ‘품질’ 보다 주된 경쟁수단으로 부상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통신시장의 새로운 경쟁현상을 ‘단말기 기반 경쟁(Device Based Competition)’ 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경쟁이 MNO와 MVNO와의 경쟁, 단말기 제조시장의 경쟁, 소비자의 서비스와 단말기의 선택권 등 이동전화산업의 서비스-단말기 각 부문의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불투명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의 결합, 보조금 롤러코스터 현상이 소비자의 후생배분과 이동전화 서비스 및 단말기 유통시장에서 ‘시장실패’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동전화 서비스와 단말기 유통 각각의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서비스가 불투명하게 결합된 구조를 분리하여 단말기와 서비스 각각의 ‘가격’의 작동을 정상화하고,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시 단말기 보조금과 서비스 요금할인 중 선택할 수 있는 유인체계의 도입을 위한 ‘정책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 u-GIS 환경에서 플랫폼 독립을 지원하는 플렉스 기반 모바일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조숙경,김성희,김종훈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In u-GIS environments, a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s consumer(user) oriented service system based on existing GIS and LBS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mobile phone. In the past, development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dependent on various hardware specification of mobile phones and mobile operators. From now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ndependents on hardware specification of mobile phones and mobile operators. Also, it changes from service oriented GIS provider(specialist) to service oriented consumer. For the satisfaction of this requirement, we propose a design of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using FLEX for creates standard execution file. The standard execution file is able to apply various mobile phone. And we propose a management method of picture contents combin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that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s provided it firstly. In this system, it provides facilities that display map, manage location, manage contents, manage mash-up, manage map data. And then it provide facility of swf generation for display result map on mobile phone. In this paper, we are implemented the proposed system and seen same results in various mobile phone. The created *.swf file provides same result at any time, anywhere, anyone in spite of different zoom level and different display screen. u-GIS 환경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기존의 GIS, LBS 기반의 모바일 단말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시스템이다.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기종과 통신사에 따른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다양한 버전 개발과 GIS 전문가 중심의 서비스 시스템 개발에서 단말기와 통신사에 종속되지 않는 일반 사용자 중심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요구 사항이 변경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양한 모바일 단말에 모두 적용 가능한 표준적인 실행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플렉스 기반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며, 사용자 중심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위치 정보와 연계한 사진 컨텐츠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지도 표출에 관련된 기능, 위치 관리 기능, 컨텐츠 관리 기능, 매시업 관리 기능,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결과물을 모바일 단말기에서 표출하기 위해 swf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구현을 통해 각각 다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동일한 결과를 표출함을 증명하였다. 생성된 실행 파일은 다른 사양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서 확대 배율과 디스플레이 화면에 따른 동일한 이미지 지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는 장점을 가진다.

      • KCI등재

        이동통신용역의 이용자 겸 단말기 구입자에게 지급되는 보조금의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의 포함 여부에 관한 연구

        한만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2 法學論集 Vol.17 No.1

        These days, many people, without regard to the age or sex, use mobile phone services. Then, most customers(the “Customers”) of mobile phone services(the “Services”) are paid from the mobile phone servicing company(the “Mobile Service Company”) when they entered into the mobile phone service contract on the condition that they use continuously the Services in excess of a certain period(the “Mandatory Use Period”), and on the condition that those payments are to be appropriated to the payment of the mobile phone purchase price(the “Subsidies”). There are continuing disputes between Mobile Service Company and Korean tax authorities in relation to the issue of whether or not the Subsidies are subject to the Value Added Tax(the “VAT”). So, it is strongly required to clarify who are the parties to the Subsidies payment contract, what is the counter-payment for the Subsidies and what is the legal status of the parties participating to the payment of the Subsidies, and through these discussions, to conclude whether the Subsidies are to be included in the VAT base. There are two linked transactions in relation to the use of the Services. One is the transaction that the Mobile Service Company or its affiliate company purchases the mobile phone from the manufacturer and sell to the Mobile Service Company’s agent(the “Agent”) and the Agent resells the mobile phone to the Customer, the other is the transaction the Mobile Service Company supplies the Services to the Customer. Since the Subsidies are paid on the condition that the Customers continuously use the Services in excess of the Mandatory Use Period and on the condition that they spend the Subsidies to the payment of the purchase price of the mobile phone, its counter-payment are not the profits the Mobile Service Company or its affiliate company earns from the sale of the mobile phone but the profits the Mobile Service Company earns from the supply of the Services. The payment of the Subsidies has the shape of linking to the transaction of mobile phone sale only because the Subsidies are not paid to the Customer by the Mobile Service Company and consecutively paid to the Agent by the Customer but paid directly to the Agent by the Mobile Service Company on behalf of the Customer in order to satisfy the condition that the Subsidies should be used for the payment of the purchase price of the mobile phone. This type of payment of the Subsidies has the character of the contractual return of a part of the fees for the Services which the Mobile Service Company will receive from the Customers during the Mandatory Use Period. On the other hand, VAT Law and Presidential Decree provide three kinds of repayments which the supplier of any goods or services pays to the supplied from the standpoint that such repayments are to be included in the base of VAT or not. The first is the ‘discount’ that has the meaning of “a certain amount of discount for the earlier payment of the unpaid price than the originally agreed upon time”. The second is the ‘reduction’ that has the meaning of “the amount directly reduced from the normal price of the supplied goods or services pursuant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supply contract agreed upon at the time of supply as to the quality, quantity, delivery, price settlement or other items. The third is the ‘bonus’ that has the meaning of “the amount paid from the gratuitous motive after completing the supply of goods or services”. While the ‘discount’ and the ‘reduction’ are not included in the scope of VAT base, the ‘bonus’ is includ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duction’ and the ‘bonus’ depends on whether the payment at issue was made ‘pursuant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supply contract agreed upon at the time of supply’ or the payment was made after completing the supply of goods or services from the gratuitous motive. Since it is clear that Mobile Service Company pays the Subsidies to the Customer ‘pursuant to’ the agreement entered into between both parties, it satisfies the requirements for the concept of ‘reduction’ under the VAT Law and Presidential Decree, and therefore should be excluded from the VAT base. This conclusion is consistent with the VAT rules of EU and its member countries, which is the origin of Korean VAT Law, and court decisions and scholars’ commentaries of those jurisdictions.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많은 사람들이 이동통신용역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이동통신용역 이용자들이 이동통신사업자와 이용계약을 체결할 때 일정한 기간(이하 “의무적 이용기간”이라고 함) 이상의 기간 동안 이동통신용역을 계속 이용하는 조건으로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입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이하 “단말기 보조금”이라고 함)를 지급받는다. 이러한 단말기 보조금의 부가가치세 과세문제를 둘러싸고 과세당국과 이동통신사업자 간에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단말기 보조금의 지급당사자, 지급의 반대급부, 지급에 관여하는 사업자의 민사법적 지위 등의 규명을 통해 그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의 포함 여부 문제를 분명히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동통신용역의 이용과 관련하여 통상 2개의 거래가 병존한다. 하나는 이동통신사업자나 그 계열사가 단말기 제조사로부터 단말기를 매입하여 이동통신사업자의 대리점에게 판매하고, 대리점이 다시 이를 이동통신용역의 이용자에게 재판매하는 단말기 판매거래이고, 다른 하나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이동통신용역의 이용자에게 이동통신용역을 제공하는 거래이다. 단말기 보조금은 이동통신용역의 이용자가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의무적 이용기간 이상의 기간 동안 이동통신용역을 제공받는 것을 조건으로, 그리고 그 금액을 단말기 구입대금의 지급에 충당하는 것을 조건으로 지급받는 금액이므로, 이동통신사업자나 그 계열사가 단말기 매매거래에서 얻는 이익을 반대급부로 하여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사업자가 이동통신용역의 제공거래에서 얻는 이익을 반대급부로 하여 지급되는 것이다. 다만, 단말기 보조금을 단말기 구입대금의 지급에 충당하여야 하는 조건의 충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동통신사업자가 단말기 보조금을 이동통신용역의 이용자에게 지급하였다가 이동통신용역의 이용자가 이를 단말기의 구입처인 대리점에 지급하는 2단계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이동통신사업자가 이동통신용역의 이용자를 위하여 대리점에게 직접 지급하는 절차를 취함으로써 단말기 구매거래와 밀접하게 연계되는 외형을 가질 뿐이다. 이처럼 이동통신용역의 제공거래에서 얻는 이익을 반대급부로 하여 지급되는 단말기 보조금은 의무적 이용기간에 걸쳐서 이동통신사업자가 고객으로부터 수취할 요금의 일부를 약정에 의해 사전에 반환하는 금액으로서의 성질을 갖는다. 한편, 재화나 용역의 공급자가 재화나 용역을 공급받는 자에게 역으로 지급하는 금액의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해당 여부와 관련하여 부가가치세법령은 3가지 성격의 급부를 규정하고 있다. 첫째는 “공급대가의 미수금을 그 약정기일 전에 영수하는 경우에 일정액을 할인하는 금액”이라는 의미의 ‘할인액’이고, 둘째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있어서 그 품질·수량 및 인도·공급대가의 결제 기타 공급조건에 따라 그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당시의 통상의 공급가액에서 일정액을 직접 공제하는 금액”이라는 의미의 ‘에누리액’이며, 셋째는 “재화나 용역의 공급이 완료된 후 은혜적으로 행하여진 지급액”이라는 의미의 ‘장려금’인바, ‘할인액’과 ‘에누리액’은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고, 뒤의 ‘장려금’만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 포함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에누리액’과 ‘장려금’의 구분은 재화나 용역의 공급조건에 관한 당사자 사이의 약정에 의한 지급이냐, 아니면 공급조건에 관한 약정에 의함이 없이 재화나 용역의 공급이 완료된 후 은혜적으로 행하여진 지급이냐에 달려 있다. 단말기 보조금은 이동통신사업자와 이동통신용역의 이용자 사이의 공급조건에 관한 약정에 따라 이동통신사업자가 의무적 이용기간에 걸쳐서 이용자로부터 수취하게 될 이동통신용역의 이용대가를 그 용역의 개시 시점에서 사전에 반환하는 금액임이 명백하기 때문에 부가가치세법령상의 ‘에누리액’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고, 따라서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서 공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제도의 연원인 유럽연합이나 그 소속 국가들의 부가가치세법령의 규정이나 판례 또는 해석론과도 일치한다.

      • KCI등재

        장소기반 미디어(Locative Media)로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연행성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9 No.-

        This paper`s aim is to study the performativity of mobile phones as a locative media. Performivity means constraint and creativity of language under context of use. Portability and mobility is a hallmark of mobile phone under local context. Therefore, the concept of context focused performativity can be significantly used for the interpretation about mobile phone`s embodied communication. An abstract coordinate space is transformed into the concrete social-interactive place by the use of mobile phones while moving. In other words, the specificity and constraint of mobile phones is from its locative based and contextual sensitive characteristics. The usage contexts of mobile phones suggests how subjective`s conditions as moving between places display itself under a digital environments. Performance and performativity study have a deep relation with explaining the locative based and contextual sensitive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s, because they do research locally positioned communication from universal principles. Especially, considering bodies is moved according to the use of mobile phones while moving, we need to examine closely the performative embodiments that construct the specific place. Studying performative embodiment will help us to analyse social cultural discourse about mobile phone communication. As a result, this article includes discussion about mobile phone SNS(Social Network Service), mobile phone storytelling, mobile game with relation to locations, places, embodied experiences. This article will be organized by recontextualization concept, i.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background that makes meanings and forms limitation in a different way with regards to previous foregrounding texts. First, synchronized and assynchronized communication of mobile SNS message are recontextualized whenever using mobile phones while moving. This paper will call it dancing with the mobile SNS, emphasize its embodied experiences according to place changes. Mobile phone storytelling generates user`s embodied experiences, for example, the embodying of an abstract historical past. Communal historical places are recontextualized by user`s ``flaneur(walking man)`` performing. Location based mobile games integrate real world into game world. Consequently, users narrativize constructing game world itself and become agent of newly recontexualized place producing.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certain aspects of mobile phone function such as phone call. Humanities approaches to mobile phone having been lacking. So, to study media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 as a locative meida from performance study perspectives will have a signification.

      • KCI등재후보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이용행태와 사회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이준호(Joon-Ho Lee),안수근(Soo-Geun Ann),정용조(Yong-Jo Je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7 No.-

        본 연구의 연구목적으로는 국내 이동전화 서비스의 최대 이용자들인 10대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의 동기와 이용량 등의 이용행태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로서 사회심리적 특성들의 역할과 이용행태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가설을 세 가지로 설정하여 검증하는 설문조사를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했는데, 주요 설문내용은 첫째, 이동전화의 음성통화와 문자 서비스의 빈도와 대상 및 기타 부가서비스의 이용 관련 설문과, 둘째, 8개 차원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묻는 질문, 그리고 셋째는, 이용동기를 일반적 통화와 문자메시지 이용 부분으로 구분하여 충족의 유형별로 3-4개씩 구성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문자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나 가족들에게는 음성통화를 더 빈번히 하는데, 부모들의 연령대에서 문자메시지보다 음성통화에 더 익숙한 데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친구들간에는 문자메시지 이용이 지배적인 이동전화 커뮤니케이션 양식이다. 둘째, 금전적 부담이 가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이용은 매우 제한적이며 이용을 회피 또는 자제하는 경향이 있으며, 셋째, 문자서비스를 도구적 목적보다는 사교/오락적인 목적에 더 비중을 두고 이용하며, 전화의 이용동기의 양대축을 이론적으로 형성해 온 “업무/도구적 이용”과 “사회성(사교)/오락성 추구”는 청소년들이 이동전화를 통한 음성통화를 하게 되는 동기로서 동일한 비중을 두고 있다. 넷째, 응답자들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이동전화 이용빈도의 관계는, “개인중심성”이 부가서비스 이용빈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집단중심성”은 음성통화와 문자서비스 이용빈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즉시성” “직접성”, “혁신성”, “타인지향형” 등의 특성은 이동전화 이용과 정적 상관관계 나타내는 반면, “내적지향형”과 “전통지향형” 성격은 부적 관계를 보인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에 있어서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의 다양화와 일반화된 기능적 도구로서의 인식이 주목할 만하다. 문자메시지 이용은 음성통화를 기능적으로 대체하고 있고 그 동기의 강도가 더 높으므로 기능적 우월성까지도 전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전통적인 전화와 이동전화 음성통화의 이용동기 간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는 가운데 도구적 이용과 인간적/정서적 이용의 동기가 이동전화의 타 미디어에 대한 차별성 내지 특수성에 기인하는 동기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강하다. 또한 기존 이론과 연구들에서 유의미한 이동전화 이용의 요인으로 제기된 사회심리적 특성들은 조사대상인 청소년들에 있어서도 큰 차이 없이 일반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그 중에서도 “혁신성”과 “타인지향성”이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bile phone service usage patterns of Korean teenagers and their motivations to use i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enagets'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traits of mobile phone usage. After reviewing prior theoretical studies, three hypotheses regarding the research questions shown above were generated.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with 400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areas. They were to answer three categories of questions, such as frequencies of voice calls and text messaging services and the other mobile services, questions asking their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motivations for using mobile phone services. Findings show that the teenagers more likely to tend to use voice calls when communicating family members. They tend to avoid those services with high rate of use such as multimedia, game, and broadcasting services via mobile phones. The teenagers use mobile phone services for the similar purposes to conventional telephone uses. Therefore, the classical theories showing the alternative purposes or motivations to use conventional telephone usage, which divided the main purposes for phone uses in to two; work/instrumental and socializing/entertaining, proved to be reasonable. The cheap messaging services with texts are popular among the teenagers and are used for socializing/entertaining purposes rather than instrumental/functional purposes. In addition, the teenagers'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mobile phone uses. A characteristic of "individual-centeredness" is positively related with non-voice service uses, while "group-centeredness" explains heavy amount of using voice calls and text messaging services. Such characteristics as "immediacy," "directness," "innovativeness," and "other-direct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requencies and amounts of mobile phone uses, while "inner-direction" and "tradition-direct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 KCI등재

        Mobile web 2.0 개념의 지역기반 U-서비스 모델 연구: 은평 뉴타운의 Mobile U-Portal 서비스 모델

        이주연 ( Joo Yun Lee ),강영옥 ( Young Ok Ka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U-포털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도시계획에 있어 많은 도시들이 U-City를 추구하나, 도시공간을 향유하는 거주민에 대한 이해와 도시라는 공간에 대한 철학 및 비전이 수반되지 못한 상태에서 기술위주의 도시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인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지역``은 생활권 중심 공간으로써 역세권 위주의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로 그 의미를 한정하였고, 사례지역으로 은평구 뉴타운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모바일 웹 2.0의 개념을 살펴보고, 해외와 국내의 공공/민간부문 모바일 서비스 사례를 살펴본 후 스마트폰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지역기반 모바일 웹 포털 사이트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서비스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업체 점주와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 및 서비스 제공 주체인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주민의 62%, 업체의 74%가 제안한 서비스에 대한 참여의사를 밝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U-포털 서비스가 시민체감형 서비스 부재 문제를 해결하고, 비즈니스 모델로도 발전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bile ubiquitous portal service model through ``smart phone.`` There is a large number of city-planning which has titled ``Ubiquitous City,`` but most of them do not have particular understanding about the district and the residents of the area. This study focused on offering useful services to residents who live in a specific region, ``Eun-Pyeong New Town,`` and suggested a mobile U-Portal service model which required various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residents, vendors, and public organization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status of development of Mobile Web 2.0, the researches related to regional information strategies using mobile technologies, and the public and private mobile services offering at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fter several key factors were set up for several interest parties, ``Mobile U-Portal Service Model`` is suggest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surveys were carried out divided into two groups, residents and vendors, and interviews were done for the local government officers who will operate the mobile U-Portal service. 62% of residents and 74 % of vendor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say that they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suggested mobile U-Portal service model. This result implicates that the model could be worked to overcome the shortage of citizen`s experience service and developed as a business model of a U-City.

      • KCI등재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연구 : 휴대폰 구매 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분석

        옥경영,서인주,김선우,김시월,권대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3

        이동통신서비스시장에서 실질적인 소비자 주권실현을 위하여 소비자역량 수준 및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중요하나 이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동통신 소비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조금 규제가 2015년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과 함께 강화됨에 따라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이 규제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므로,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한 후 소비자 유형별로 소비자역량과 규제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보고,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동통신서비스 이용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는 휴대폰 단말기 구매성향에 따라 고관여형, 무관심형, 가격민감형, 스타일중시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소비자문제해결을 위한 소비자역량 수준, 이동통신서비스 관련 보조금 규제 및 단말기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에 대한 소비자태도는 전 유형에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고관여형, 무관심형은 가계지출 중 통신비 부담 수준이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가격민감형의 경우에만 보조금 규제 인지 및 소비자태도가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타일중시형은 사용단계의 소비자역량이 이동통신 소비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비자의 관점에서 보조금 규제 및 단말기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을 통한 규제 강화에 대한 유용성은 그리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소비자지향적인 규제정책을 위하여 정책 입안 시 소비자유형별 정책수용도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동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 강화를 위하여 소비자 유형별 접근이 필요하다. The Mobile Device Distribution Improvement Act took effect in 2015 October to reduce average household spending on telecommunication services. Whereas there are a lot of reports on the effects of the act, it is hard to find empirical studies on the consumers' evaluation towards mobile device subsidy regulation in the perspective of consumer orientedness. In this background, authors investigated consumer capability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mobile phone subsidy regulation. For the purpos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segment groups by their mobile phone purchase tendencies: High involvement group, low interest group, price-sensitive group, and style-obsessed group. Consumer capabilities in the consumer problem resolution stage and consumer attitudes on mobile phone subsidy regulation were lowest level among all 4 group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consumer attitudes on mobile subsidy regulation and higher consumer capability in the consumer problem resolution stage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nly in the price- sensitive group. To enhance positive consumer attitudes towards government regulation and consumer's satisfactions o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it is critical to consider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regula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by consumer segment before the regulation proposal.

      • KCI등재

        청소년과 부모가 경험한 청소년의 이동전화 서비스 소비자문제와 관련요인

        양덕순(Yang, Deoksoon),송인숙(Song, Insook) 한국생활과학회 2010 한국생활과학회지 Vol.19 No.2

        A study on what kind of problems young consumers experience in buying and using mobile phone services with a comprehensive and consumers oriented perspective is needed. Through this acknowledgement, we investigated (i) the degree of consumer problems that young consumers experience in purchasing and using mobile phone services, and (ii) the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experiences of this consumer problem. The parents of the teenagers were also included in the survey because they experience the same problems young consumers experience in buying and using mobile phone services. Data were gathered through an internet survey (www.embrain.com) and a total of 699 samples from 350 parents and 349 youths using mobile phone services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enagers and parents experience level of young consumers problems were generally high experiencing similar kinds of problems. Second, parents experienced more young consumers problems than the teenagers in buying and using mobile phone services, especially in misuse and abuse of the phones. Third, among the teenagers, the monthly usage fee music or game usage, the number of changes in mobile phone service operators, the number of replacement mobile phones and the gend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problems of mobile phone services. Among the parents, the monthly usage fee, music or game usage, confirmation of the bill, and the gender of their child were significant consumer problems. Based on results of our survey the direction of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was suggested for teenagers and their parents.

      • KCI등재

        휴대폰 음악서비스의 효과성 분석

        변대호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정보화정책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음악서비스의 효과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효과성을 비용대비 혜택으로 정의한다. 문헌고찰과 예비조사를 통하여 초기 비용 및 혜택 항목을 도출한다. 비용 항목에는 음악파일의 가격, 플레이어가격, 음악서비스 이용요금이 포함된다. 혜택항목은 음악서비스가 주는 혜택인 즐거움, 스트레스 해소, 노래연습과 이동통신서비스가 주는 혜택인 이동성, 접근성으로 구분된다. 휴대폰 음악서비스 유형을 벨소리, 통화연결음, 음악 파일 다운로드로 분류한다. 휴대폰 음악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유의한 분석 항목과 문항들을 도출한다. 그리고 요인 항목별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휴대폰 음악서비스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 결과, 통화연결음과 벨소리는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화연결음은 벨소리보다 효과성이 높았다,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는 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높아 전반적인 효과성은 낮았다. 따라서 휴대폰 음악서비스의 전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음악파일의 구매 비용을 일정부분 낮출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mobile phone music services. We define the effectiveness as benefits/costs that mobile phone music services give us. Initial factors related to cost and benefit a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The type of mobile phone music services is classified into ringtone, ring-back tone, and music file downloading. An exploratory survey was used to gather the data for this study. Respondents rates each statement on a seven-point Likert-type scale. We perform a factor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o derive significant factors and items. Through a sensitivity analysis, this paper suggest a pla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obile phone music services by each factor. The result shows that ring-back tone service and ringtone service are both effective. Particularly the ringback tone service is more effective than the ringtone service. The downloading service is not effective because the cost value is higher than the benefit value. We can conclude it is necessary to decrease the purchasing price of music files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mobile phone music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