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한국 사회과학 바로세우기 : 반성과 과제 Tasks for Identity Formation

        林玄鎭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199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 No.-

        이 글에서는 21세기 한국 사회과학의 바람직한 자아상을 찾기 위해 우리 사회과학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이의 극복방안을 살펴보고, 사회과학의 한국화를 위한 방법론적 과제를 탐색한다. 그 동안의 사회과학의 자기정체성의 결여는 중심부 사회과학의 아류로서 전개되어 오는 과정에서 나타난 주변성의 당연한 결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사회과학의 한국화라는 문제는 바깥 것과 안의 것, 혹은 남의 것과 나의 것이라는 단순한 평면적 대비에서 접근되기 보다 주변적 자기정체성을 몰고 온 지식산업 전반에 걸쳐 발견되는 종속의 문화적, 제도적 기반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21세기 한국 사회과학의 올바른 자리 매김은 이데올로기로서의 사회과학과 과학으로서의 사회과학을 뛰어넘는 ‘홀로서기’를 위한 방법과 논리를 개발하는 데 그 관건이 있다. 한국 사회과학의 도약을 위해서 필자는 사회과학의 분야별 영역주의를 타파하여 우리 사회에 독특한 주제에 관한 총합적 접근을 시도할 것, 역사학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한국사회에 관한 부분사적·전체사적연구를 축적할 것, 다른 국가, 문화, 지역과의 비교연구를 배전의 노력으로 강화할 것 등을 제언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entity crisis of Korean social sciences, and consequently explores the methodological alternatives for the indigenization of Korean social sciences. The lack of identity of Korean social sciences has been inevitably resulted from the developing process influenced by the western social sciences. Therefore, Korean social sciences need to analyze throughly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grounds of its peripheral identity, rather than continuing to define it in terms of “we-they” schematics. It is critical for Korean social sciences to develop their methodology and logic. The author presents three recommendations: (1)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subjects peculiar to Korean society; (2) accumulation of studies on the period-specific agenda or total Korean history by strengthening joint work with the historical studies; (3) comparative studies on other nations, cultures, and regions.

      • KCI등재

        역사성과 비역사성의 사이에서 : 사회과학사 연구이념의 정립을 위한 하나의 시론

        양승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5 No.-

        The twentieth century in the context of intellectual history may in a sense be characterized as the age of the social sciences. It may be so, primarily because during the age of the social sciences a new system of knowledge about man and society have outgrown or sometimes taken the place of the traditional field of humanities. But the question still remains, whether or not such a secular prosperity of the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would also signify a success as a genuine system of knowledge about man and society. The question becomes more acute by the fact that there exists virtually no unified idea of social science although there do in many different, in some cases mutually exclusive social sciences, each claiming for an equal title as a social science. This is a monstrous scene in the history of science. When our judgement fluctuates or falls into aporia in front of equally plansible but conflicting claims or arguments, the only one safe and legitimate way to get out of such a state is to go into the root of the case. And the root in the case of the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is the history of social science, simply and essentially as the history of men's intellectual efforts to know themselves and the society to which they belong. In it must be comprised not onl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odem social sciences but that of classical political philosophy and medieval theology. The recognition of the inherent importance of the history of social science has not as yet been sufficiently appreciated.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one scholarly journal by the name of 'History of the Human Sciences'. Since its birth in 1994 it has produced many articles that approached the history of the human sciences from the prospective Foucault's idea of 'achreology of knowledge' The proper study of the history of social science must go beyond the horizon. While taking advantages of Foucault's idea as well as the conventional history of ideas and the 'Begriffsgeschichte', it must aim at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 historical dialectic between the knowledge about man and society in one era and its social reality. 사회과학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자신과 사회에 대한 앎의 추구 이외의 다른 것이 아니다. 현대사회과학은 그 앎의 역사적 표현이며, 사회과학적 앎의 전부로서 독단적으로 전제되어서는 안된다. 고대정치철학이나 중세신학 역시 그러한 앎의 역사적 형태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현대사회과학의 지식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나 그것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극복은 인간의 자신과 사회에 대한 앎의 추구라는 보편적인 역사적 맥락에서의 접근이 필수적이며, 여기에 사회과학의 본질적 측면으로서 사회과학사가 연구되어야할 학문적 당위성이 있다. 그러한 사회과학사 연구는 푸코식의 지식고고학의 시각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사상사, 개념사 연구정향을 원용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사회과학적 지식과 사회현실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에 대한 탐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김미혜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0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8 No.-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전문사회복지사로 일할 가능성이 큰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연령별, 성별로 조사하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인 지역 12개 학교의 사회복지 전공자 31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첫째, 조사대상자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는 다소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연구결과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전반적으로 중립적이고 약간 긍정적인 노인에 대한 태도와 비교한다면 한국의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미국에 비해 긍정적인 상태로 변화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6개 연령집단의 노인에 대한 태도 분석결과를 보면, 남녀 대학생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자 대학생들이 고령의 여성노인에 대해 여자대학생들에 비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셋째, 노인과 동거경험, 친인척 및 일반노인에 대한 경험, 노인분야 구직욕구, 노인분야 교육계획 등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복지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각도의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사회복지학과의 전반적인 교과과정에 노인관련 수업, 훈련과 관련된 교과목이 증가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노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 방향으로 유도하는 내용이 사회복지 전 교과과정에서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적 삶에서 노인과 건강하게 접촉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기회가 증진되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attitudes of baccalaureate social work students toward older adults. A 20-item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as used to examine the attitudes of students toward 6 target groups of elderly individuals: males & females, aged 65-74, 75-99, & 100+. Data were obtained from 310 students from an accredited undergraduate social work program in 12 universities in mainly Seoul and Kyungkido province. The data revealed that overall student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were generally in the negative range and these attitudes were more negative toward older age categories. Male student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than female student attitudes. Students who indicated that they were close to older adult relative and older adult in general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he study results also indicated that students who had plan to take field in geriatric setting and plan to work primarily with older adult had more positive attitudes. Finally study findings suggest educators, administers, and policy makers eliminate students’ negative attitudes by means of offering the students the opportunities of building knowledge base on aging and aged as well as practicing with older adults. In addition, social work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infuse the middleic of gerontology into the general social work curriculum.

      • KCI등재

        한국 사회에서의 영어실력에 대한 문화자본론적 고찰 : 대학생들의 영어학습실태와 영어능력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최샛별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03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1 No.-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영어학습실태와 영어능통자에 대한 인식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사회에서 영어의 위상과 역할을 부르디외의 문화재생산론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연구조사는 2002년 4월에서 6월까지 국민대, 동아대, 서울대, 이화여대, 전북대, 한림대, 전국 6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총 1719명이 응답하였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에 대한 대학생의 이미지를 분석해보면 한국 사회에서 영어를 잘한다는 것은 사회적인 성공을 보장받을 수 있는 능력과 성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해외거주 경험이 없이 영어를 잘한다는 것은 사회경제적인 배경과 관련이 없는 개개인의 능력과 성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는 많은 부분 해외거주 경험이 있는 영어실력자들과의 대비적인 이미지에 기인한다. 그러나 응답자들의 영어실력과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와의 교차분석 결과는 개개인의 능력이라고 생각되는 영어실력이 부모의 경제적 자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성공을 보장받는 능력과 성품으로 간주되는 영어실력이 사실상은 부모의 경제적 자본과 밀접하게 관련된 체화된 문화자본이며, 영어 실력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통하여 공적으로 능력으로 인정을 획득한 제도화된 문화자본이라는 것을 함의 한다. 영어실력은 가정이라는 영역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를 바탕으로 자녀들에게 문화자본으로 체화되어 가는 것임을 지적하고자 영어를 처음 접한 시기에서부터 학습방법에 이르는 많은 영역에서 보여지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는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가 높을수록 낮은 연령부터 부모의 권유에 의해서 영어를 접하며 다양한 방식을 통해 영어를 학습하는 것에 반하여, 부모의 지위가 낮을수록 학교수업을 통하여 영어를 접하고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글로벌 팬데믹 하 물질문화로서 LP 구매 및 수집에 대한 비판적 문화연구

        이상진,류웅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8 No.2

        In this study, the LP collection phenomenon under the global pandemic was analyzed, utilizing in-depth interviews with 7 LP experts, field observations, literature reviews, textual analysis on LP-related documentaries such as YouTube, Naver Cafe, Korean second-handed market, and the like.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 Guy E. Debord's spectacle society, Thorstein B. Veblen's conspicuous consumption, Pierre Bourdieu's discussion of class culture and taste in the context of popular culture studies were used. As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interviews and textual analysis, we found that the collection of long-playing record is an attractive source of extra income, like stock, that could be traded at any time for LP collectors. In addition, expensive LP with scarcity were their means of livelihood. Also it was something to show off to others at any time. There were also reasons listening to LP music, and it was roughly divided into two aspects, for instance, positive effects (breaking down generational gap, retro, yet trendy culture) and negative effects (extravagance, cost, inconvenience). The collision and close encounter of these ambivalent values could be understood as nostalgia for the past due to a considerable level of anxiety in everyday life they experience. At the same time,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this overly obsessive LP collection activities could be mistaken for or simplified as the unusual hobbies or deviations of the abnormal youth generation excluded from the social safety net. We argue that the phenomenon of the young generation's LP collection and its negative side effects may not merely be personalized or reduced to the generational discourse. The underlying reason for this lies in the structured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of our society. 이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LP수집 열풍을 LP 전문가 인터뷰와 현장 관찰, 기존 문헌연구, LP관련 공중파 다큐멘터리와 유튜브, 네이버 카페, 중고나라 등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다층적이고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대중문화 연구의 문맥에서 기 드보르의 스펙터클 사회와 소스타인 베블렌의 과시적 소비, 피에르 부르디외의 계급문화와 취향에 대한 논의를 이론적, 개념적 틀거리와 근거로 삼아 정치, 경제, 사회적 맥락에서 면밀하면서도 연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적 인터뷰와 텍스트 분석 결과, 현재의 LP 수집가들에게 LP란 언제라도 거래할 수 있는 환금성을 갖춘 화폐나 주식과 같은 재화이자 매력적인 상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더 이상 공급이 없는 고가의 희귀 LP판들은 그들의 생계수단이자 타인에게 언제라도 과시할 수 있는 구별 짓기의 미디어로 기능했다. 또한, LP 음악 듣기와 수집을 둘러싸고 긍정적인 효과(세대 벽허물기와 감성, 복고, 유행 문화)와 부정적인 효과(거품, 비용, 불편)로 구분되어 LP 관련 담론들은 재점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양가적 가치들의 충돌과 조우는 현재 삶에 대한 피로와 긴장, 불안감 등으로 인해 ‘상상된’ 과거의 좋은 시절로 돌아가고자 하는 회귀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LP 수집현상을 사회적 안전망에서 배제된 비정상적인 청년세대의 유별난 취미나 일탈 등으로 오인하거나 단순화할 수 있는 가능성도 상존한다. 이는 하나의 물질문화로서 청년세대의 LP수집 현상과 그에 수반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과 부작용을 과도하게 개인화하거나 세대 담론으로 환원론적으로 치환하기에 우리 사회의 구조화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들이 무겁게 존재하는 이유에서다.

      • KCI등재

        사회보장법에 나타난 가족주의 연구

        양옥경,김소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6 No.-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복지사회구현을 목표로 사회보장제도를 정비해 나가고 있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가족의 기능이 어떻게 기대되고 있는지 사회보장법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사회보장기본법을 비롯하여, 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의료보호법, 고용보험법, 그리고 산업 재해보상보험법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가족기능에 대한 가족 이데올로기를 기본으로하여 측면 중 가족중심주의와 가부장주의, 그리고 효사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서 한국의 사회보장법은 가족주의를 기본 가치로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지혼합모형에서 가족기능의 비중이 상당히 높이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수량화된 자료가 아니라 국가 및 시장의 기능과 비교해 얼마나 높은지를 판단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를 통한 국가의 사회적 부양의 의무를 행사하는데 있어 사회보장법들은 가족을 지키고, 가족공동체의 결속력을 지키며, 부양의무를 강조, 강화, 또는 조장하는 내용을 많이 내포하고 있었다. 사회복지의 부조적 고려와 사회적 부양의 원리도 간간히 보이고는 있으나, 잔여적 부분에 그치고 있었으며, 오히려 이 의무를 행사하느라 가족주의 중 가부장주의를 더욱 강조하는 형태를 남기도 하였다. 전체적으로 가족주의가 기본 가치로 나타났고, 가족중심주의, 가부장주의, 그리고 효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가족주의 가치는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고용에 있어서는 가부장주의가 강하게 표출되고 있었고, 부모부양이라든지 그외의 경우에서는 가부장주의와 양성평등주의가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 본 사회보장법 상의 가족가치에 대한 분석은 대강이나마 오늘날의 가족주의에 대한 제도상의 사회인식을 유추해 본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현재의 법내용에 대한 분석만으로 부족하다. 다른 나라들의 사회보장법 및 개정전 과거의 법 조문들을 본 연구의 틀로 분석한다면, 한국의 복지모형에서의 가족기능의 정도 및 변화정도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지모형에서 가족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전국민 서베이조사가 병행된다면 더욱 정확한 모습을 그릴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security laws to find out how the function of family is expected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which improves the social security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21C welfare society. The analyzed laws include Social Security Act, National Pension, National Health Insurance,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Medical Care, Unemployment Insurance, an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The conceptual framework is based on family function in welfare mix ideology. The analysis framework is familism, that is, the value of family function. This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social security acts in Korea had familism as a basic value and welfare mix model proved the portion of family function to be considerable. It is not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role of family is higher than that of either nation or market due to the qualitative method of estimation. Regardless, social security included not only depending and putting together family but also emphasizing the duty of supporting one's family. Although it frequently included offering some consideration of public assistant and the principle of social support, it was very limited. Instead, using this obligation caused stronger patriarchy in familism. Generally, it was found that familialism was regarded as basic value and that the sub-value(family-center thought, patriarchy, filial piety) was also emphasized. The value of familism was remarkable, patriarchy was notable in case of employment, and patriarchy and equalitarianism was mixed in case of supporting parents. This analysis into family value in social security acts inferred the social understanding in familialism. However, it is not enough that we only analyze the current law.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laws of other countries or the old laws before revision. In addition, it will be great if national survey is conducted on family responsibilities and roles to estimate more accurate conditions.

      • KCI등재

        정보화 사회에 대한 세가지 이론적 관점과 한국사회의 과제

        이재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5 No.-

        사회이론가들은 정보화 사회를 어떻게 접근하고 정의해 왔는가? 서로 다른 이론가들이 제기하는 현실적 문제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고,그와 관련해 한국사회가 해결해야 할 거시적 과제들은 어떻게 정리될 수 있는가? 이 연구는 크게 이렇게 두 개의 연구문제를 다룬다. 정보화는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탐구하기 위해 정보화에 대한 주요한 이론적 흐름을 분석한 이 연구는 전반부에서 정보화 사회에 관한 이론적 흐름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첫번째 조류는 프릿쯔 매컬럽에서부터 마크 포래크, 앨빈 토플러, 다니엘 벨, 피터 드러커 등을 포함하는 "정보경제"(Information Economy)적 접근법 이다. 두 번째 흐름은 해롤드 이니스, 마샬 맥루한, 마크 포스터 등이 대표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점을 "인문, 사회이론"적 접근이라고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관점은 유르겐 하버마스, 노엄 촘스키, 벤 베지키언 등과 유네스코의 맥브라이드 위원회 등이 앞장 서온 입장이다 이 연구는 이같은 입장을 "비판적 관점"으로 묶어 정리하는데 주로 '정보 불평등"의 문제에 논의의 초점을 맞췄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정보화를 실천하는 청사진이 되는 국가, 지역별 정책추진 방향을 논의한다. 여기서는 주로 미국과 유럽연합의 정책기조와 한국의 대응자세를 집중적으로 정리한다. 이 연구에서는 마지막 부분에 한국사회가 충분히 주목하지 못하는 네 가지 사회적 과제를 제시하는데, 이들은 디지틀 해독능력의 문제와 정보에 대한 보편적 접근권, 아날로그 시대와 단절의 극복, 정보화 사회에서의 생활윤리의 제도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How have social theorists approached the no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What are the major lines of thoughts treating the process of what is called informatization? What are the main practical issues these threorists commonly emphasize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ies and political orientations? What could be the issues the Korean society needs to address for desirable transition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These are the questions this essay deals with. In the first half, this essay classifies various studies on the notion of information society into three groups largely based on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nd research objectives. The first group is represented by scholars such as Fritz Machlup, Marc Porat, Daniel Bell and Peter Drunker, The paper summarizes this line of thought as the "information economy" perspective. The second approach, which is named as "social/humanities theoretical perspective, includes works by such theorists as Harold Innis, Marshall McLuhan, lames Carey and Mark Poster. Finally, the third perspective is summarized as the "critical studies." The Main proponents of this group range from Juergen Habermas, Noam Chomsky, Ben Bagdikian and the MacBride Commission. The preoccupation of this line of thought is the problem of social as well as international "information imbalance." In the second half, the essay discusses some key tasks the Korean society needs to carry out for efficient transformation into a desirable information society. The digital literac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otion of the universal access, bridging the digital-analog divide,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code of ethics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re the four main issues suggested for urgent deliberation.

      • KCI등재

        사회복지학 분야 ‘고령화 사회’ 연구동향 : 인식과 대책

        정순둘,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7 No.-

        In order to review research on an aging society main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viewing literature in that field. Thirteen journal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tudies were selected; they were all published and registered at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mong them, 117 articles published from 1992 to 2010 were analyzed. This research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since 2000, a year that South Korea began to enter into an aging society, in terms of the society of population,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ety.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toward aging and further reviewed countermeasures discusse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y on aging conducted since 2000 was on the sharp increase and aging is perceived as a crisis and research focused was only on both senescence and life in old age.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1) more research on the effects of aging throughout the entire life is needed, and (2) more balanced perception is needed.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학분야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대책들에 대해 어떠한 주제로 연구하고 있는지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학술지로 등록된 사회복지관련 학술지 13개이며, 1992년에서 2010년 사이에 발간된 총 117편의 학술논문을 분석하였다. 고령화 사회가 가져오는 위기와 기회에 따라 어떤 주제를 다루는 논문들이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주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는 주제들을 인구사회학적, 개인, 가족, 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논의되고 있는 대책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역별 고령화 현상의 심화, 수명연장으로 인한 연장된 삶에 대한 적응, 가족부양과 노인단독가구, 사회적 보호체계 고령화 사회가 주는 위기와 기회의 주제로 나타났다. 대책과 관련하여서는 부양, 소득보장, 경제활동참여, 건강, 노인복지시설 네트워크, 서비스개발, 노인관련전문가 전문성 향상 등이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령화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신문의 과학 보도에 나타난 취재원 분석 :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미국 쇠고기 수입 관련 과학 기사의 경우

        고흥석,이건호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1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4 No.-

        본 연구는 2008년 중반기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와 관련, 각각 보수와 진보의 대표로 알려진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이 해당 이슈의 과학적 정보를 보도하는 과정에서 취재원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조사했다. 탐구 결과, 두 신문들의 취재원은 모두 행정부와 입법부에 편중되어 있으며, 제일 신뢰도가 높다고 인정되는 전문가 취재원들을 사용해 자신들의 이념 성향을 ‘명확히’하고, 또 신뢰도 순위가 전문가 보다 낮은 행정부 및 시민·사회단체, 일반 시민 취재원은 정치적 성향을 ‘은밀히’ 보완하는 도구로 활용된 점이 조사됐다. 또 두 신문 모두 일정 수준의 취재원 투명도를 확보하고 있으나 일부 취재원 범주에서는 투명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국 과학적 사실마저도 언론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편향되게 보도된다는 것이다. Conducting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of science-related news articles about U.S. beef imports to Korea presented in Chosun Ilboand Hankyoreh Shinmun for six months in the middle of 2008, this study explores the newspapers’ source use. The study found that both the conservative Chosun Ilbo and the progressive Hankyoreh Shinmun used the experts, the most credible source, to endorse their own political agenda.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y used the administration and NGOs as sources, which rank at the middle range in the credibility order, and the citizens, which are at the bottom of the order, as camouflages to hide the politically predisposed newspapers’ bias, but eventually to promote their ultimate political goals. The paper concludes that even the scientific facts that are supposed to be impartially reflected in the news stories are translated into politically value-laden information.

      • KCI등재

        한국 정치의 사회경제적 균열기반과 민주주의의 전망

        최은봉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6 No.-

        본 논문의 목적은 1997년 IMF 통화 위기 이후 한국의 정치의 실상과 변화를 설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 정치의 사회경제적 균열기반에 어떤 변동이 일고 있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그것이 앞으로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고찰하였다. 논문은 다음 네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그것은 세계의 정치경제적 문제, 한국 정치사회의 현실, IMF 경제 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사회경제적 균열과 내부 갈등의 심화, 한국에 있어서 사회적 민주주의의의 전망-통합을 저해하는 정치구조적 한계이다. 첫째, 경제의 글로발화가 급속하게 진행함에 따라 한국 정치경제는 세계 정치경제의 영향을 과거보다 더 많이 받게됨과 동시에 국내의 정치경제적 문제가 글로발 정치경제에 대해 갖는 종속성도 훨씬 심화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둘째, 한국의 정치사회의 현실을 검토해보면 대외적으로는 남북 관계와 통일 문제가 가장 중요하게 간주되는 정책이고, 대내적으로 경제를 활성화시키면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사회복지를 어떻게 정착해하는 문제가 당면 과제이라는 점을 논의했다. 이 두가지 영역은 별개인 듯이 보이지만, 한정된 재원을 분배하는데서 생기는 갈등과, 통일 후의 사회 내부의 통합 문제가 제기되리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사실상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다. 셋째, 이러한 충돌의 징후가 이미 한국의 현실에서 관찰되고 있는데, 이는 IMF이후 기존의 사회경제적 균열구조의 심각한 양극화 현상으로 인한 내부 갈등의 심화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분석했다. 넷째, 사회적 차원의 실질적 민주주의의 증진을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의의 공고화의 관점에서 보면,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소들의 극복은 사회의 제요구들을 균형있게 반영할 수 있는 정책의 입안과 집행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정치과정은 이런 과제를 감당하기에는 구조적인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바로 정치과정의 제도화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므로, 한국 정치에서는 이 점을 극복하는 일이 시급히 요구되는 과제라는 점을 지적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urrent political economic situation for the period of the post-lMF economic crisis in Korea. It explores changes in the social clevage structure and their implications for politics and society in general. While most of the problems occurred in Korea in this realm has been rooted in the global shifting environment, unique factors in Korean society should not be neglected. Among them, problems giving negative impacts on the integration in society are found most significant. This paper points out that keep social integration in a sound condition, political institutions have to work legitimately in the concerned policy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