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게임: 서사에서 놀이로

        서유석(Seo, You-seok),이성환(Lee, Sung-hwan),장만호(Jang, Man-ho)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8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6 No.-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디지털게임, 그 중에서도 Minecraft라는 자유도가 높은 Sandbox형 게임을 중심으로 살펴, ‘게임’이 그 자체로 서사가 아닌 ‘놀이’화 되어 가는 양상과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Minecraft는 높은 자유도를 바탕으로 하는 게임이다. 게임의 제작자는 플레이어에게 게임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오히려 게임의 목표 혹은 목적을 스스로 만들어 구현한다. 또한 Mod라 불리는 게임의 2차 변형을 통해 플레이어는 게임의 지속적 변화를 이루어, 끝없이 이어지는 진정한 의미의 놀이 세계를 구현할 수 있다. Minecraft는 소위 ‘전통 어린이 놀이’를 ‘재목적화(repurpose)’하여 일상에서 벌어지는 어린이들의 놀이를 디지털 세계로 옮겨 놀이의 매체를 부가하고 있다. Minecraft라는 게임의 이러한 향유 양상은 게임은 서사인가 놀이인가 하는 오랜 논의에 대한 새로운 결말을 보여주고 있다. Minecraft는 놀이의 규칙성보다는 놀이의 자유성이 더 강화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놀이 중심의 Minecraft는 그 자체로 디지털게임의 본질이 서사가 아닌 놀이임을 보여준다. Minecraft에서 생성되는 서사는 놀이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2차 창작물로 많은 사람들에게 향유될 수 있다. Minecraft의 플레이어는 자신이 ‘노는 모습’을 2차 영상으로 만들어 공유하고 동시에 다른 사람이 만든 영상을 보고 즐기는 새로운 게임문화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sandbox-type high-degree of freedom game Minecraft among children"s digital games to define its play pattern - changing from an narrative - and its meaning instead of the ludus itself. Minecraft is a game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The game manufacturer does not offer the player the specific goal of the game, so the player, rather, sets and embodies the game"s goal and purpose. In addition, through the secondary transformation of the game known as Mod, the player can continue to transform the game, thus embodying a world of game with its true meaning. Minecraft achieves the repurpose of the so-called traditional child game so that it brings ordinary child games to the digital world, adding a medium of play to it. The enjoyment pattern from Minecraft gives a new conclusion on whether a game is narrative or ludus, which has long been discussed. Minecraft shows the reinforced freedom of a game rather than a regularity of a game. The play-centered Minecraft itself shows that the essence of a digital game is not an narrative but a ludus. Since the narrative created by Minecraft is based on a ludus, it can be enjoyed as a secondary creation by many people. Mincraft Players can make their own images of playing minecraft into the Youtube clip and share it with other players which create new game culture of interplay.

      • KCI등재

        마인크래프트 플랫폼을 이용한 소프트웨어교육 교수학습 모형

        이명숙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9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3

        Minecraft game is a sandboxed game based on a high degree of users' freedom; the game encourages its users to recreate various play patterns to increase their immersion. Although recently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use Minecraft game techniques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but still not well adapted due to being applications-based techniqu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aching model that utilizes the same concept of the Minecraft games in where learners customize the class concepts based on their needs. Moreover, Minecraft-based learning games attempt to be used for learner-led, creativity and programming instruction, to overcome these use-cases limitations, by our study we aim to include the Minecraft-based learning games in class teaching activit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lessons. In this way, we intend to increase interest in programming lessons, and to increase immersion as another way of game learning. In the future, we attempt to measure various effects of the uses of Minecraft-game-based teaching in programming classes compare to the traditionally used methods.

      • KCI등재

        Exploring Minecraft as a Tool for Learning in the K-12 Classroom

        Sean Ward(신워드),Youngkyun Baek(백영균)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3 No.5

        본 논문은 실제의 교실에서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논문을 탐색하여 그 활용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저자들은 교실에서 마인크래프트의 사용에 관해 연구한 문헌을 탐색하였고, 교사들이 이 게임을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위해 어떻게 통합했는지에 대한 사례를 검토하였다. 한편 게임에 대한 교사의 생각과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를 병행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수집된 문헌을 분석하여 저자들은 마인크래프트를 교육의 도구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참여와 동기부여를 증가시켰음을 제시하였다. 마인크래프트의 개방성은 과학교과를 포함한 여러 교과에서 다양한 학습의 맥락에 맞추어 학습자들이 몰입되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을 사례들은 보고하고 있다. 마인크래프트를 성공적으로 학습에 통합하고 그 경험을 보급하기 위한 경험적인 연구가 축적되어야 한다. 특히 마인크래프트와 같은 샌드박스 게임으로 교사가 학습자의 학습을 도와주는 방법 및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많은 사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literature of Minecraft integration in real classrooms. Thus, the authors focused on the synthesis of literature on the use of Minecraft in the classroom and sought to learn real-world classroom examples of how teachers have integrated this game into their learning experiences. A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explore teachers’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the game itself.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articles, the authors report that utilizing Minecraft as an educational tool can lead to increased engagement and motivation for the students involved. Minecraft’s openness allows for tailoring learning experiences to various contexts, including the science classroom. Further study is warranted in this area for teachers to continue to learn about and document successful integration of Minecraft into their classroom teaching. It is proposed that more empirical studies should be done to increase the available amount of literature on this topic, especially regarding teacher experiences in learning how to utilize Sandbox games like Minecraft.

      • KCI등재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김연정(Yeonjung Kim),고인규(Ingyou Go),최지연(Jiye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 활동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마인크래프트에듀케이션 활동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투입한 후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중학교 1학년 84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성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사전 사후 대응 표본 t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ADDIE 모형의 절차에 의해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수업하였다. 셋째,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 하위 영역 중 호기심, 과제집착, 독립성, 위험감수, 심미성에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소인 호기심, 과제집착, 심미성에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s on creative propensity were ana-lyzed through Minecraft educ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applied with Minecraft education activities was put in,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measured for 84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in middle school,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pre-post response sample t-verification. Resul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e developed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using Minecraft education using the procedures of the ADDIE model. Second,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1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were taught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through Minecraft. Third, through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using Minecraft Education, students showed improvements in curiosity, task obsession, independence, risk-taking, and aesthetics among the stu-dents' creative orientation subdomains. Conclusions By using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through Minecraft, it was effective for the sub-elements of creative tendencies, such as curiosity, task obsession, and aesthetics.

      • Novel Engineering을 적용한 국어교과 융합수업 방안 - “마인크래프트와 아기돼지 3형제”를 중심으로 -

        엄태건,홍기천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집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Novel Engineering(NE) 수업 모형을 적용한 5학년 국어과 융합수업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Minecraft라는 게임을 활용하였다. NE를 위해서 선정한 책은 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아기 돼지 삼형제’이다. 이 책의 주인공이 처한 문제를 게임에서 해결해보는 수업을 한 학기동안 진행하였다. 실험 결 과, 학생들의 참여도, 흥미도, 글짓기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도 국어교과에 게임을 활용함으로써 국어수업의 확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NE활동을 통하여 연구자가 기대한 것 이상으로 학생들의 수업집중력 및 다양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troduce one integrated class on Korean in elementary schools with Novel Engineering model. We used Minecraft familiar to students and chose a book ‘Three little pigs’ for the first step of NE. We performed integrated class of game and Korean for one semester. We get to know that engagement, interest, and writing skill improved. Researcher verify that Korean class through game can help class extend more. Furthermore class through NE can improve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of students.

      • KCI등재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초등 사회과 비대면 수업의 교육적 효과 분석

        김영현(Young-Hyun Kim)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초등 사회과 비대면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31명을 실험학급(15명)과 통제학급(16명)으로 나누어 한 학기 동안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사회수업을 실시한 후 학업성취도(지리, 역사, 일반사회), 학습태도(학습동기, 학습흥미, 학습효능감), 장소감(장소정체성, 장소애착, 장소의지), 협력의 변화와 양상을 t-test 및 질적내용분석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초등 사회수업을 경험한 실험학급 학생들은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장소감에서 통제학급에 비하여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질문과 설명 그리고 의견 제안의 방식으로 학생 간의 상호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using Minecraft.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social studies using Minecraft are conducted for one semest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experienc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es using Minecraf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sense of pla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cusing on questions, explanations, and opinions in the Minecraft virtual space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cooperating with each other.

      • KCI등재

        마인크래프트에서 양방향 디지털 트윈의 구현을 위한 IoT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양병헌(Byeongheon Yang),정현준(Hyunjun Jung),이석훈(Sukhoon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3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In general, implementing a digital twin requires developing everything from the physical model required to build a virtual worl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al world. If digital twin is implemented based on metaverse, the development burden is reduced by using the virtual world implemented on metaverse. Minecraf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mercial metaverse games, where characters can build the world through various movements and add functions through mode or plug-i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IoT data synchronization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a bi-directional digital twin in Minecraft. This paper describes defining the data structure of objects and objects between IoT platform and Minecraft, designing a synchronization algorithm, and designing an actuating sequence diagram.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system, this paper implements a smart office within Minecraft through three scenarios and confirm that each scenario works well.

      • Question Structure in a Minecraft Online Discussion Forum

        Bao Tran Truong,Matthew Gaydos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question framing and subsequent discussions found within online forums for the video game Minecraft. We categorized questions found within the forum and employed the Cognitive Presence Tool proposed by Garrison et al. (2001) to analyze forum responses. We propose that seeding forums with question structures may be useful means for framing community-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 에디션을 활용한 게임 기반 학습 방안 - 중학교 과학2 ‘물질의 구성’ 단원을 예시로 -

        최민지 ( Minji Choi ),장원형 ( Wonhyeong Jang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하여 중학교 과학2 ‘물질의 구성’ 단원을 대상으로 하는 게임 기반 학습 방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게임 기반 학습은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기술해 놓았으며, 실제로 작동 가능한 맵 파일과 지도안 예시를 함께 제공하였다. 개발된 학습 방안의 현실적인 적용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검증하고자 중학생 8명을 대상으로 예비적용 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 학생들이 게임 기반 학습을 통해 흥미를 느꼈고, 이해가 잘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game-based learning method was developed for Middle School Science 2 'compositions of substances' using 'Minecraft'. The game-based learning described specific utilization measures for teachers to use in the school field and provided examples of maps that can work together. In order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expected effect of the developed learning method, a preliminary application an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8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ere interested and understood well through game-based learning.

      • KCI등재

        저학년을 위한 게임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운영 사례 연구

        최도현 ( Do-hyeon Choi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4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6 No.2

        기존 저학년 대상의 게임 기반 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간단한 블록코딩 연구로써 프로그래밍 심화 중점의 수업 운영 사례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지역 초등학교 3학급 대상으로 방학 2주동안 마인크래프트 기반 파이썬 코딩 기초 수업을 실제 운영했다. 학습 프로그램은 수업 흥미 및 동기를 개선하기 위해 랜파티를 통한 건축 퀘스트, 게임 내 자체 스크립트 등 공식 웹사이트의 표준 학습 프로그램을 재구성했다. 이외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 주제에 대한 만족도와 선호도를 분석했고, 앞으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성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전 연령층의 게임 기반 교육 프로그램 설계/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의의를 갖는다. Most of the existing game-based education programmes for lower grades are simple block-coding studies, and there is a lack of examples of programming-intensive classes.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 Minecraft-based Python coding fundamentals class for 3 classes at a local elementary school during a 2-week school holiday. The learning programme was reorganised from the standard learning programme on the official website, such as building quests through LAN-PARTY and self-scripting in-game, to improve class interest and motivation. In addition, we analysed the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of the class topics through a survey, and obtained meaningful results for future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game-based educational programmes for all ag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