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on ‘Becoming a Mothe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Sooan Choi,Youngsoon Kim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2023 다문화와 교육 Vol.8 No.2

        In the meantime, the motherhood of migrant mothers has been fixed to a specific image and role. This study explores the motherhood of migrant mothers as a journey of constant mother-becoming rather than acquiring a part. In particular, it aims to understand and reveal their experiences in detail by uncovering the meaning of the journey of becoming a mother through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married immigrant women raising children.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interview data presented three difficulties of female marriage migrants' mothering experience, and based on this, a framework for analysis was prepar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ir becoming mothers was typified by the following incidents: Concerns about the mother's native language, finding ways to bypass stereotypes, and revealing the migrant mother and expanding role.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becoming a mother was presented as ‘migrant mothers as agents.’ Becoming a mother of migrant mothers is a complex journey that cannot be explained by symbols such as pitiful and young population or successor. To effectively support female marriage migrants as mother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broader context and provide ample community support.

      • KCI등재

        관계의 서사로 본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서사’의 의미 탐색

        김은희,김영순,오정미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5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the mother narrative of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fter exploring the ‘mother narrative’ based on the story formed by marriage migrant women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 ‘mother’s narrative’, which is a key term in this study, refers to the narratives of mothers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You’, that is, ‘Children’, which belong to a being that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life of married migrant women. For the study, the ‘mother’s narrative’ was reconstructed by type by selecting data on the life stories of nine married migrant women and analyzing the contents described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ther’s narrative was identified as a “universal mother’s narrative in raising children” and a “immigrant mother’s narrative in children’s education” that strongly reflects the special experiences of migrants in children's education. In the narrative of a married immigrant woman’s mother, not only the narrative as a mother of one child but also the narrative of a migrant, which means a relationship with Korean residents, were overlapped, and in particular, the narrative of a migrant was found to work more strongly in children’s education. The discussion of the mother’s narrative of married migrant women is important in that it takes a step forward from understanding the lives of married migrant women living as mothers to discover the social meaning and the principle of forming narratives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와의 관계에서 형성하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어머니서사’를 모색한 후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서사가 갖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용어가 되는 ‘어머니 서사’는 결혼이주여성의 삶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존재에 속하는 ‘너’, 즉 ‘자녀’와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어머니의 내러티브를의미한다. 연구를 위해 9명의 결혼이주여성의 생애담 자료를 선정하여 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술된 내용을 분석하여 ‘어머니 서사’를 유형별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 서사는 ‘자녀 양육에 나타난 보편적 어머니 서사’와 자녀 교육에 이주민의 특수한 경험이 강하게 반영되어 나타나는 ‘자녀 교육에 나타난 이주민 어머니 서사’로 확인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서사에는 한 자녀의 어머니로서의 서사 뿐만 아니라정주민과의 관계를 의미하는 이주민 서사가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었고 특히 이주민 서사는 자녀 교육에 있어 더욱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어머니 서사에 대한 논의는 어머니로 살아가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을 개인적 차원에서 이해하는 데서 한 걸음 나아가 그들의 서사가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갖는 사회적 의미와 서사의 형성 원리를 발견하게 해 준다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경험: ‘좋은 엄마’의 일상실천을 중심으로

        최연숙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9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5 No.-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various social eye and multi-layered structural contradiction on mothering experience of marriage-migrant women focusing upon their daily experience as local subjects. Specifically it is noteworthy that the two encountering axes of ‘good mother’ in between ‘good mother’ represented by socio-cultural institution and ‘good mother’ experienced daily by them. Dorothy E. Smith’s institutional ethnography is used. This will give u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analyze how mothering practice of marriage-migrant women is organized and its inherent conceptual connection as an ideology of mothering and the daily working of the discourse. In multicultural situation, the discourse of ‘catch-up Korean mother’ by foreign mother is working affirmatively, while mixed up with assimilation and exclusion negatively on the other. That is, the practice of ‘good mothering’ as migrant and mother appears imitation of general mothering norms and silent resistance in daily lives on the one hand and multilateral-complex figure of negotiating and colluding with competitive-meritocratic society. As a result, ‘good mother’ with their linguistic and economic weakness reveal various paradoxes and appears in the narrow-distorted form as educational manager. In this manner, their vivid experience of mothering is concealed, while the continuous reproduction of ‘children of nation-state’ is repeated. The daily practice of mothering practice shows the process of adjustment to a new situation in life by migrated female local subjects beyond the desire of individual survival merely to protect family and gain children’s success within neoliberal regime. The flexibility of their lives can be seen as the possibility of a new life space as well as the matrix of value transformation.. 이 연구는 다양한 사회적 시선과 중첩된 구조적 모순 속에서 모성을 실천하는 로컬 주체인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경험을 탐색한다. 특히 제도가 표상하는 ‘좋은 엄마’ 와 결혼이주여성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좋은 엄마’가 만나는 지점에 주목하여, 스미스(Dorothy E. Smith)의 제도적 문화기술지를 차용하였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실천이 각종 제도를 매개로 어떻게 조직화되는지를 분석하고 내재된 ‘개념적 연결고리’인 모성 이데올로기의 성격과 담론의 일상적 작용을 포착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준다. 다문화 현장에서는 ‘한국 엄마 따라잡기’ 담론에 대한 외국인 엄마의 동화와 배제가 복잡한 양상으로 혼재하였다. 즉 이주자이며 어머니인 이들의 일상에서‘좋은 엄마’의 실천은 일반적인 모성 규범의 답습과 그에 대한 묵시적인 저항이 동반하였으며 이는 성과중심의 경쟁사회에서 다양한 주체가 ‘모성’을 매개로 협상·공모하는 다층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주 어머니가 갖는 언어적·사회경제적 취약성으로말미암아 ‘좋은 엄마’ 역할을 부여·강요받는 연구참여자들은 역설적 상황에 놓이고, 또한 ‘좋은 엄마’는 교육관리자란 틀로 좁혀서 왜곡되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이들의살아있는 모성경험은 은폐되고 ‘국민국가의 자녀’를 성공적으로 재생산하는데 불안한 존재로만 부각되는 오류가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일상적인 모성실천은 단지 가족을 지키고 자녀를 성공시킨다는 신자유주의적 각자도생의 욕망을 넘어, 이동하는 여성 로컬 주체가 삶에 대처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들의 삶의 유연성이 새로운 공간의 가능성과 가치변환의 매트릭스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읽어 낼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사회와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

        황정미(Hwang, Jung-m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2

        이 글에서는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에서 여성 이주민들이 어떤 위치에 놓이게 되는가를 "모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성 논의를 초국가적 이주, 다문화 사회라는 새로운 배경에서 이론적으로 재조명하고, 한국으로 이주해온 여성들의 다양한 모성 경험과 이주 어머니의 유동적 정체성을 여성학적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 어머니들의 경험은 이주노동자로 일하는 어머니와 국제결혼을 통해 어머니가 된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주 어머니의 대표적인 집단은 중국계 한국인(조선족) 기혼여성들이며 중국에 있는 가족과 자녀를 부양하는 초국적 모성의 사례들이 나타난다. 다른 아시아 출신 여성 이주노동자들도 기혼자 비율이 70%나 되며, 또한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이 가족단위로 살아가면서 한국에서 자녀를 양육하거나 출산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은 노동이주여성에 비해 정책 혜택을 받고 있지만, 자녀의 성공적인 교육과 계층 상승이동을 위한 어머니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한국사회의 모성 규범은 이주 어머니의 결핍을 더욱 크게 대비시킴으로써 이들을 의존적인 모성, "타자화된 모성"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의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이혼, 사별 상태에 있는 여성들도 증가할 것이고, 특히 국제결혼 부부간 연령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혼 · 사별 이후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이주여성 한부모 가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주여성은 한국 부계가족 안에만 배타적으로 소속된 여성이 아니라, 모국의 가족과 한국의 가족을 연결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주 어머니에 대한 국가 정책과 공적 담론이 단지 "한국 가족의 재생산"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모성의 다층적 의미 및 경험을 간과하는 편협한 접근이 될 것이다. 또한 아동의 양육을 직접적으로 맡고 있는 이주 어머니의 권리는 국적이나 체류자격과는 다른 차원에서 모성의 기본권이나 시민권으로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looks into the positionality of migrant women, particularly that of "migrant mothers", within the process of recent transition into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n context. According to recent researches, mothering of migrant women is very diverse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s of immigration and family background. In Korea, there are transnational mothers mostly from China, who earn and care for their family and children on a long-distance base. There are also undocumented women workers who rear children in the poor and unhealthy condition both in workplace and in their residence. Thirdly, marriage-migrant mothers are rearing mixed-blood children under the roof of Korean household. Recent policies supporting migrant women and children of migration background tend to focus on school activities and cultural adaptation into Korean society. However, mothering is less restricted in a traditional family relations exclusively settled down in a nation-state, but more extended to transnational and cross-bordering practices which link economic and cultural resources between origin and host societies. In this regard, it is needy to envisage a basic rights of migrant mothers to care for their children in the safe and stable condition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or legal statu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초국적 모성과 혼종성

        이지연 한국가족학회 2022 가족과 문화 Vol.34 No.2

        This study explores the transnational mothering and hybridity of North Korean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who practice the transnational mothering simultaneously in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It argues that these mothers have been constructing a hybrid identity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in the three regions, while negotiating their social status and interests in local contexts. In this research, hybridity is both a theoretical and an analytic concept,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It makes it possible to interpret the process of creating the in-between position and identity as both migrant and national mothers. First, North Korean migrant women try to learn the norms of motherhood in Chin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y have transnati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in two or three regions simultaneously and utilize different motherhood practices regarding the origin and residence of their children. Second, North Korean migrant women pay attention so that their multiple mothering is not regarded as unusual or exceptional in South Korea. South Korean women are careful about their multiple mothering not being seen as unusual or exceptional in South Korea. Even though North Korean migrant women perform an imitation of the mothering practices of South Korean women, they recognize that they cannot identify themselves as South Korean mothers. However, an in-between position is created, where the South Korean family model could not be natural or superior compared to that of other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ir hybrid identity, formed by multiple mothering practices in two more regions, objectifies the normal family model and motherhood in South Korea.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이 북한과 중국, 그리고 남한 세 지역 출신의 자녀들에게복합적으로 초국적 모성 실천을 하면서 혼종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히고 그 혼종성이 갖는 의미를 해석하였다. 여기서 혼종성(hybridity)이라는 개념은 정체성의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는 관점이자 동시에 분석 도구로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이 어머니 정체성을 형성하는과정이 남한 사회에서 이주어머니이자 국민어머니로서 사이에 낀 위치성에서 교섭들을 통해새로운 정체성들을 형성해간다는 측면을 해석할 수 있게 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여성들의 초국적 모성 실천과 관련하여 형성되는 혼종성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은 북한, 중국, 남한의 복수의 모성 규범을 동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은 각 지역에 두고 오거나 데리고 온 자녀와의 관계 속에서 북한, 중국, 남한 각각을 순수하게 분리할 수 없으면서도 각 지역의 출생 자녀들에 대하여 그 지역의 모성 규범에 따르는 실천들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북한이나 중국 자녀와의 거리 조절을 통해 그 지역의 모성 규범에 맞게 어머니로서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남한 출생 자녀에게는남한의 모성 규범을 모방하여 모성을 실천하는 혼종적인 정체성을 보여준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은 자신들의 모성 실천이 남한의 정상 가족 모델에서 특수한 범주나 예외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경계한다. 오히려 자신들의 초국적 모성 실천이 특수하거나 예외적인모성이 아니라고 의미화하면서 남한의 모성과 남한에서의 어머니 노릇을 상대화하여 바라보는 위치를 생산한다. 그리고 북한, 중국, 남한 출생 자녀들을 동시에 키우면서 낀 위치에 있는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의 모성 실천은 남한 사회의 정상 가족 담론을 상대적으로 비추어 정상적인 것을 구성하는 방식에 틈새를 내는 혼종적 정체성을 발현시킨다.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의 초국적 모성 실천은 정상적이며 객관적인 것으로 상상되는 정상가족, 국가, 민족, 분단의경계는 재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원거리 모성

        김성경(Kim, Sung Ky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3 No.-

        이 글은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모성을 친밀성과 수치심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통해서 분석한다. 1990년대 중반 북한의 식량난을 기점으로 북한 여성의 역할은 전통적인 ‘어머니(mother)’에서 ‘가족부양자(breadwinner)’로 변화되었다. 본 글은 중국과 한국으로 이주해 온 북한 여성이 공간적 거리와 합법과 불법의 경계를 어떤 방식으로 넘나들며, 자녀와의 친밀성을 재구성하는지 살펴본다. 이동하는 북한 여성과 본국(혹은 제3국)의 자녀 사이에는 초국적 연결망이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모성’, 즉 원거리 모성 실천을 구성해낸다. 하지만 전통적 모성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북한 여성은 공간적으로 자녀와 함께 하지 못한다는 죄의식을 경제적 부양으로 보상하려하고, 송금을 통해서 자존감이나 자긍심을 (재)구성한다. 북한 여성의 또 다른 삶의 전략은 자녀와의 거리두기 혹은 무관심과 같은 전복적이면서도 해체적인 모성 실천을 통해 일반적인 ‘어머니’가 아닌 새로운 정체성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 여성이 특정 방식의 대안적 모성 실천을 수행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북에 혹은 제3국에 남겨둔 자녀의 삶을 자신의 책임으로 받아들이면서 수치심으로의 감정 전이를 경험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동하는 북한 여성이 느끼는 수치심과 같은 도덕 감정은 그녀들이 윤리적 존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예견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motherhood of mobile North Korean women in terms of intimacy and sense of shame. At the point of the economic crisis so-called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of 1990s, the role of North Korean women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mother to breadwinner. In this context, this paper would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North Korean migrant mothers reconstruct intimacy with their children by intersecting the boundary between legality and illegality and geographical territories. It has to be said that there are layered transnational networks between North Korean migrant mothers and children back home, and the women tend to formulate a new type of motherhood, that is distant motherhood. However, traditional motherhood ideology let them have the feeling of guilty towards their distant children. In order to cover up the gap between their reality and motherhood ideology, North Korean migrant mothers compensate their absence with financi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and remittance, in this context, has become a significant symbol for their pride. Anther mothering practice would be ‘emotionally distancing’ or indifference towards their children that could be interpreted as a new form of identity distinguished from being ‘traditional mother’. This research argues for the emotional transition to the sense of shame from merely alternative mothering practices among North Korean migrant mothers. It would suggest that mobile North Korean mothers and their morality especially the sense of shame bring possibilities for them to become an ethical being.

      • KCI등재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노릇과 정체성

        이은아(Lee, Eun-A)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3

        본 논문은 언어와 문화가 다른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인 어머니’가 되기 위해 사회통합과 동화가 요구되고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불안’한 어머니로 재현된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한다. 한국사회에서 자녀교육은 어머니 노릇의 핵심이라 할 만큼 중요한 여성 역할로 기대되고, 경쟁적인 자녀교육은 어머니 노릇을 더욱 더 집약적으로 만든다. 이 논문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자녀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어머니 노릇의 갈등과 대응, 그리고 이주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분석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이 자녀교육의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단지 언어와 문화가 다른 ‘외국인 어머니’여서가 아니라 여성이 자녀교육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젠더 규범과 경쟁적인 자녀 교육, ‘다문화 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사교육 시장의 확대 등 한국사회의 모성 규범과 가족문화, 그리고 교육제도 등에 따른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은 더 열심히 자녀교육에 매진하기도 하고 한국의 모성 문화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를 하며 자기 계발의 동기로 자녀교육 중심의 ‘좋은 어머니’ 수사를 전유해내기도 한다. 더 나아가 자신의 언어·문화적 차이와 이주 자원을 ‘결핍’이 아닌 자녀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모성 자원으로 재구성해내고, 이러한 과정에서 ‘이주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은 국민국가 안에 갇힌 ‘내셔널 어머니’가 아니라 ‘이주 여성’이라는 위치에서 어머니 노릇의 실천과 정체성을 조정하고 협상하는 행위 주체임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어머니 노릇이 한국의 모성 규범의 제한적 수용에 따른 결과라는 것과 이중언어 교육이라는 또 다른 어머니 노릇의 강화, 그리고 여성이 자녀교육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젠더 규범은 변화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남아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a problem that marriage migrant women are required to have social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to become “Korean mothers” and that they are reproduced as “deficient” and “unstable” mother. This study aims to point out that marriage migrant women become “unstable” mothers because of the norm of gender role with women solely responsible for child education, competitive child education, social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expanded private education market, the norm of motherhood in Korean society and family culture, and education system as well. Marriage migrant women devote themselves to child education from the position of migrant mothers, while they critically distance themselves from Korean way of child education and playing the role of a mother. Or, they use the role of a mother as a motivation for self-cultivation to become a good mother. They reconstruct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as resources of motherhood. In this process, marriage migrant women form their identities and through these identities, they undertake the role of a mother not from the position of “national mothers” confined to a nation-state but from the stance of “migrant women.” Also, they are main actors of coordinating and negotiating their identities.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고부갈등 양상: EBS 〈다문화고부열전〉에 나타난 고부갈등을 중심으로

        정선주(Jung, Sun-Jo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고부갈등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EBS 〈다문화고부열전〉의 300회 가량의 분량을 방송을 분석했다. 다문화가정 고부갈등을 다룬 선행연구가 한정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질적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기에 본 연구는 〈다문화고부열전〉 300회 가량의 방송 내용에 나타난 다양한 국적 과 연령, 결혼 형태의 다문화가정 고부갈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고부열전〉에 나타난 갈등은 시어머니의 갈등, 며느리의 갈등, 새롭게 등장하는 갈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 시어머니의 갈등은 역할 기대, 며느리 눈치 보기, 도주 불안, 독박 살림 & 황혼 육아, 헤프게 쓰는 돈, 애타게 기다리는 출산 등이 있었으며 며느리의 대표적 갈등은 시어머니의 방식대로, 이젠 한국 사람처럼, 못 미더움, 일상적인 소비가 낭비라니, 세상에서 제일 큰 목소리, 눈치 보는 친정집 송금 등이 있었다. 그리고 결혼 이주의 역사가 20여 년이 도어가면서 새롭게 등장하는 갈등도 있었다. 프로그램 초기보다는 중·후반에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드러나지 않는 고부갈등 및 가족갈등이기도 했다. 사돈 문제, 며느리 취업 문제, 재혼가정의 전처·전 남편 아이들 교육 및 입양 문제, 며느리의 핸드폰 과몰입, 가장 역할 며느리에 대한 부담, 고부갈등에 낀 남편 등이 이에 해당한다. This study analyzed about approximately 300 episodes of EBS’s EBS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Daughters-in-Law”〉 to find out determine what causes various the types of high-intensity conflicts between mothers-and daughters-in-law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auses. Most Since the prior studies dealing of with the conflicts of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are mainly qualitative and had small sample sizes studies targeting limited participants, limiting the applicability of their findings. However, this featured study is the high qua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composed of people of with various nationalities, ages, marriage form shown in featured in approximately about 300 episodes of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Daughters-in-Law〉.” The conflicts shown featured in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Daughters-in-Law〉are can be divided into conflicts between mothers-in-law, daughters-in-law, and new conflicts. The representative conflict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others-in-law’s arose from conflicts included role expectations, not being able trying to understand the thought processes of their read daughters-in-law’s mind or face, anxiety on the run, single homemaking housekeeping & and providing elder twilight care alone, overspending and daughter-in-law pregnancy while the representative conflicts from the perspectives of daughters-in-law’s representative conflicts included arose from forced compliance with their mother-in-law’s methods preference, one-sided assimilation, distrust of daughters-in-law, over-consumption problems, the volume of their mother-in-law’s loud voice, and remittances to daughter-in-law’s home. And as the history of marriage migration is over has been around for more than 20 years old, but there has been a new conflicts have arisen. These conflicts began to appeared with increasing frequency more frequently in the middle an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program’s run than in the early part of the program, and were more intense it was also a high-flying and family conflict that than those examined was not revealed in previous prior studies. These problems include problems those between in-laws, the daughter-in-law’s employment, education, and adoption of the ex-wife and ex-husband’s children from previous of second marriage families, overuse of her cell phone, the burden placed on of a daughters-in-law as the heads of the household and the husband’s stress between mother and wife’s conflict.

      • KCI등재

        Acculturation trajectories of South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ir immigrant mothers and its association with adolescent adjustments

        Park Jisu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16 No.1

        This study identified the acculturation trajectori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along with those of their migrant mothers using a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trajectories of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and the adjustment of adolescents. Data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N = 1458, Girls = 50.62%, age range = 9.97–14.96) were used. Three latent acculturation trajectori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identified, including integration, modest assimilation, and high assimilation, and four latent acculturation trajectories of migrant mothers were distinguished, including high assimilation, high separation, modest assimilation, and modest separation. The most favorable profiles were those of the integration of adolescents and high assimilation of migrant mothers.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family-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against the maladjustment of South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고부관계향상프로그램의 교회적용

        한숙자 ( Sook Ja Han ),박경옥 ( Kyung Ok Park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0 복음과 상담 Vol.14 No.-

        교회의 코이노이아와 샬롬의 개념은 교회가 다문화가정을 돕는데 적당한 기관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의 고부관계향상을 위해 다문화가정에 대한 이해와 성경적 관점에서의 고부관계를 살펴보고, 교회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문화가정 고부관계향상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다문화가정 고부관계향상프로그램은 5회기로 구성되어 있고 결혼 이주여성과 그들의 시어머니를 중심으로 현실적이고 심리적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내용은 한국가족의 위계구조, 서로의 문화차이와 이해부족에서 오는 고부갈등의 원인들을 이해하고, 고부의 역할분담을 강조하며, 하나님께서 제정하신 고부관계의 회복시도에 관한 것이다. 성경 룻기의 시어머니 나오미와 이방며느리 룻은 인종과 국가 간의 서로 다른 문화를 초월한 고부관계를 보여준다. 본 프로그램은 이러한 인격적 관계에 근거한 성경 원리에 따라서 고부가 서로 존중하는 그리스도인으로의 성숙한 삶을 나누도록 돕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The church, with its concept of koinonia and shalom, seems to be the right institution to help multicultural families. For improving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of a multicultural fami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multicultural families, closely look at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and propose a program to better the relationship applicable to the church. The program to impro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 law of a multicultural family consists of five sessions and is organized in such a way to solve psychological problems and day-to-day difficulties centering around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mothers-in-law. The program focuses on comprehending the Korean family hierarchy, identifying the causes of conflicts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typically stemm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and lack of understanding, emphasizing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nd rest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directed by God. Naomi, motherin- law, and Ruth, alien daughter-in-law, in the book of Ruth exemplify the relationship transcending different cultures among races and nations. According to the biblical principles based on this kind of relationship, the program places a focus on helping those mothers-in-law and daughters-in-law respect each other without bias and lead a full life as Christi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