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수용자들의 선호 유형에 관한 연구

        전주혜 ( Joohye Jun ),신명환 ( Myoung Hwan Shin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7 주관성연구 Vol.-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수용자들의 선호 유형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수용자들의 선호 유형은 5개 형태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능력과 미디어의 정치성, 상업성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비판적 미디어 해석 리터러시`선호형이다. 제2유형은 미디어 콘텐츠 중 뉴스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능력과 뉴스윤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디어를 통한 정치참여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비판적 뉴스 읽기 리터러시`선호형이다. 제3유형은 미디어 이용시 나타날 수 있는 폐해를 줄이고 예방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미디어 폐해 예방 리터러시`선호형이다. 제4유형은 미디어리터러시의 기능적 측면, 비판적 측면, 행위적 측면 등 전반적인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종합적 미디어리터러시`선호형이다. 제5유형은 생산자적 입장에서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비판적 미디어 생산 리터러시`선호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ference type of the audience for media literacy in a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As a result, there were five preference types of the media literacy users. The first type is the `Media literacy to interpret media critically` preference type which recognizes the need to educate about the ability to interpret media critically, media politics, and commerciality. The second type is `Media literacy to read the news critically` which recognizes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media based on the ability to interpret news critically and understand news ethics. The third type is the `Media literacy to prevent harm to the media`, which is recognized as a need to reduce and prevent the harmful effects of media use. The fourth type is the `Comprehensive media literacy on media` preference type that recognizes the need for general media literacy education such as functional aspects, critical aspects, and behavioral aspects of media literacy. The fifth type is the `Media literacy to critically produce media contents`preference type which is recognized as a need to produce media contents based on critical thinking in the producers` perspective.

      • KCI등재

        초·중·고 학생의 미디어 이용 양상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변숙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media culture that students experience outside of school and the media literacy that they experience in school to reveal the realization of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to derive certain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directions. This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tend to rely on digital media in their daily lives, using a lot of digital-based New Media such as online video platform and social media. There was a low perception of experiencing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was experienced mainly in information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Ethical use education of media was the most active, and the education on the reliability of media information and data production using media were the least sufficient, but the educational demand for the reliability of media information was the strongest.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requires education reflecting students' media culture, hierarchy by school level, accurate diagnosis and verification of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nd integrated media literacy education.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경험하는 미디어 문화와 학교 안에서 교육적으로경험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조사 분석하여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현태를밝히고,앞으로의 교육 방향성에 관한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학생들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소셜미디어 등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에 관한 사용 빈도와 의존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학교 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경험한다는 인식은 낮았으며,정보와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미디어의 윤리적 사용 교육이 가장활발하였고,미디어를 활용한 자료생산과 미디어 정보의 신뢰성 판별 교육은 가장 미흡하였으나,미디어 정보의 신뢰성 판별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정보 찾기 역량에 관한 인식은 높은 반면,미디어를 활용한 자료 생산과 공유 역량은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화를 위해서는학생들의 미디어 문화를 반영한 교육,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의 학교급별,교과별 위계화,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정확한 진단과 확인,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천에 관한 성찰,국어교육을 비롯한 교과 간 통합적 미디어 리터러시교육과정 설계와 구체적 실현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기획자, 경험자, 비경험자간 인식 차이

        이수범(Soobum Lee),손영곤(Youngkon, Soh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에 관한 리터러시 기획자와 리터러시 경험자, 리터러시 비경험자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에 기초한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리터러시 경험자와 비경험자 간에 일정 부분 인식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주관적 일치도와 관련하여 리터러시 비경험자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모든 요인에 대해 리터러시 기획자나 경험자와 차이를 지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도에 대해서는 리터러시 경험자와 리터러시 기획자가 추정한 경험자의 관계에서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을 뿐, 다른 집단간 상호 인식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리터러시 비경험자 집단의 경우 미디어 리터러시의 의의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To analyze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media literacy experienced, and media nonexperienced persons’ perceptional differences toward media literacy, this study adopted co-orientation model, using agreement, congruence, and accuracy.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their own perception, their inference about others’ perce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and media literacy experienced persons on agreement. Also, media literacy nonexperienced persons didn’t perceive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and media literacy experienced persons perception on congruence. On accurac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y experienced persons and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toward media literacy constructs was similar, and that there was a hug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practitioners,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persons. And, media literacy nonexperienced’s persons didn’t seem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 literacy.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허미정,최재원,방효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육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 실태, 교육활성화에 대한 인식 등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부적합한 29부를 제외한 171부를 SPSS 26.0 Window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다중응답 등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문제에 따라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보육교사 중 대다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접한 적이 없으며, 영유아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매체로 유튜브라고 답하였으며 미디어의 폭력적인 장면은 영유아의 공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보육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실태는 주 1회 실시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 내용으로 미디어 사용시 지켜야 할 약속을 알아보는 것이라고 답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에 대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영유아의 다양한 경험을 위해 필요하며, 향후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연수가 있을 경우 '가능한 참여하겠다'고 답하였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매체 교육자료 등 환경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미디어 리터러시는 영유아기 때부터 지속적으로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기관 뿐만 아니라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좋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자료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mong childcare teachers.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lished to includ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educational practice, and perception of educational revitalization.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involved two hundr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childcare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Of these, 171 copies, excluding twenty-nine inappropriate ones, were collected using the SPSS 26.0 Window program to determin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s, multiple responses, and other areas were calculated.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childcare teachers have never been exposed to media literacy, and answered that YouTube is the medium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infants and toddlers. They recognized that violent scenes in the media have a negative impact on infants’aggression levels. As for the statu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most teachers conducted it once a week, an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was to learn about promises that must be kept when using media. Regarding the revitaliz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ey respond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s necessary for infants and toddler sto have diverse experiences, and that if there is media literacy-related training in the future, they will ‘participate if possible’. They also said that environmental support, such as media and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in educational settings, is required. Conclusion: Media literacy requires continuous education from infancy, and the implic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good media literacy education materials and programs so that media literacy can be achieved through connections not only with educational institution but also with families.

      • KCI우수등재

        핀란드, 캐나다, 호주 유아교육과정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요소 탐색

        강은진,김아미,이지운 한국아동학회 2022 아동학회지 Vol.43 No.4

        Objectives: Digital media literacy has been recognized internationally as an important competenc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flects digital media literacy a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democratic citizenship. While the global trend suggests early childhood as the time for commencing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related elements are not specifically contained in the Korean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Nuri Curriculum).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structures, and contents related to digital media literacy in early childhood curricula in Finland, Canada(Ontario), and Australia. Methods: Finland, Canada, and Australia implement lifetime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systematically include media literacy in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curricula. Educational expectations, structures, and contents related to digital and media literacy were analyzed according to media literacy and related skills and elements. Results: First,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from inter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a reflects digital and media literacy competency. Second, the international curricula suggest active online safety in ways such as participating in a safe, media-friendly environment. Finally, the international curricula encourage activ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by suggesting diverse ways of using media. Conclusion: For digital media literacy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the elements of digital media literacy should be more specifically contained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global tre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competencies in digital media literacy comprehensively in the Nuri Curriculum.

      • KCI등재

        생태적 관계성에 기반한 정보 해독능력 교육과 기독대학공동체

        김은정(Eun-Jeong K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7 기독교교육정보 Vol.18 No.-

        Contemporary young adults find their major life interests in the world of popular media and culture. How do they use media to construct meaning in their lives? In fact, meaning is constructed from the environment created by the mediasphere. Popular media are understood as constructions that enable a young person to create meaning. Meaning built by media is not neutral, because information acquired by media carries media violence, message saturation, and information explosion. Information is piecemeal and transitory, whereas knowledge has structure, organization, and enduring significance. Information resides in the messages, while knowledge resides in a person's mind. Information gives something to the person to interpret, whereas knowledge reflects what is already been interpreted by the person. The problem of media and information has shifted from gaining access to protecting oneself. Media scholars categorize literacy as following: 3Rs (reading, writing, and arithmetic), visual literacy, television literacy, computer literacy, multi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CT(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literacy, media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Especially,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media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terms of their characteristics. Media literacy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with many interesting facets. The purpose of media literacy is to empower individuals to control media programming. Digital literacy is not a category but a continuum, which is multidimensional. Education about th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can be developed through maturation, improvement of natural abilities, meaningful experiences, and active application of skills. The purpose of developing a personal information literacy strategy is to gain control over the negative influences of media. Ten suggestions are presented to guide in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 information literacy strategy. Christian higher education can be understood in connection to the learning ecology and the community as a network. Parker Palmer has suggested a communal model with information flowing in many directions, with multiple ways in which a person can learn about something, and multiple relationships by which learners come to know. At this point, the ecology of teaching and learning is embodied or relational. In summary, the essential necessities of education on th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in connection with ecological relationships of a communal Christian university have been identified.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와 법제화 방안에 대한 소고

        김슬기 (사)한국언론법학회 2023 언론과 법 Vol.22 No.1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equal and free participation in the online space as they have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hysical isolation caused by blockade policies. Subsequently, with the rapid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across the economy and society, strengthening citizens' digital an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has become the top priority policy task.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s being used interchangeably with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news literacy, internet literacy, AI literacy, etc.,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are unclear, leading to confusion. Media literacy is a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literacy capabilities in digital technologies, as well as information and content provided through media. It is considered valid to view media literacy as a broad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these capabilities. Media education can be defined as “media education that aims to develop the capabilities and attitudes necessary to access, understand, utilize, communicate safely and ethically with media and the contents (information and content) circulated through media.”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ne of the basic rights most closely related to media literacy is the right to information. Access to media is a concrete foundation for realizing personality rights, freedom of expression, political and economic basic rights, and the right to education in specific areas of life. Guaranteeing access to media alone for access to information,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ing, information disparity resolution, and enjoyment of information culture rights is not effective. Therefore, the state needs to actively support capacity-building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 necessary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education. In addition, To obtain quality information required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filled with exaggeration, explicit distortions, and fake news, one need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media, the ability to verify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judge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based on evidence. Therefore,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aim to cultivate these abilities in individuals. It is believ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requires the relevant media department to establish educational and support policies in order to quickly reflect media technology and industry environments, policy issues, etc. into the educational content. When enacting the “Media Education Support Ac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following contents: ①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media education, ② the dut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③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guardians, ④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media education plan, ⑤ the operation of a media education committee and local unit consultative council, ⑥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⑦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local media education facilities, ⑧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media education in schools, ⑨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lifelong media education, and ⑩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 세계 주요국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봉쇄정책으로 인한 물리적 단절 속에서 온라인 영역에의 동등하고 자유로운 참여 보장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후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기술이 급속하게 도입되는 것을 목도하면서 시민들의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최우선 정책 과제로 두게 되었다.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뉴스 리터러시, 인터넷 리터러시, AI 리터러시 등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경계가 불분명하여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발의된 미디어교육 관련 법안을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넘어 접근, 소통, 참여능력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이후 미디어 역기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보호능력 및 미디어 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시민의식까지 포괄하는 매우 광범위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내용으로서의 정보와 미디어가 제공되는 기술방식인 디지털에 대한 리터러시 역량 등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며, 미디어교육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콘텐츠(정보 및 내용물)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올바르게 이해하고,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소통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으로 정의 가능하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를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기본권 중 하나는 정보기본권이라 할 수 있다. 미디어 접근 능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으로 미디어에 대한 접근 보장은 구체적인 생활 영역에서 인격권, 표현의 자유, 정치적 및 경제적 기본권, 교육받을 권리 등을 실현하는 기반이 된다. 정보에의 접근, 수집, 처리, 정보격차 해소 및 정보문화 향유권 보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의 접근 가능성을 보장해주는 것에 그쳐서는 실효성이 없으며, 국가가 적극적으로 국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교육에 필요한 인적・물적 기반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어떠한 사상과 견해가 옳고 그른지, 가치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사상의 자유 시장에 맡겨져 있으며, 이를 판단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므로, 과장이나 명백한 왜곡, 허위조작정보가 넘쳐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양질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국가는 국민들이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 이해, 평가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기술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문화 변동, 생애주기별 특성이 지속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교육 주제임에 비추어 평생교육이 필요성이 큰 분야라 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 기술 및 산업 환경, 정책 이슈 등을 빠르게 교육 내용에 반영할 수 있도록 미디어 소관 부처에서 관련 교육 및 지원 정책을 수립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인터넷 영역에서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해지고 있어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연계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향후 「미디어교육 지원법」 제정 시 ① 미디어교육의 정의와 목적...

      • KCI등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역량과 교육내용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박주현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edia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UNESCO’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and AASL’s key competencies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UNESCO’s MIL and AASL’s key competencies in media information literacy were related to th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UNESCO’s MIL included more aspects of the composition and competencies of information literacy than media literacy. For this reason, it could be said that media information literacy more appropriately reflects the content pursued by media literacy education than media literacy. Third, UNESCO’s MIL included more training content for media literacy than information literacy. Fourth,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compared to the education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Fifth, the competency standards related to media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and Information Life did not present cultural sensitivity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dia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that fuses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beyond the information literacy that use library resources. 본 연구의 목적은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MIL)의 역량과 교육내용,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핵심역량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교육내용과 비교하고 분석하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UNESCO의 MIL과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연관성이 있었다. 둘째, UNESCO의 MIL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정보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과 역량을 많이 반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추구하는 내용을 보다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용어라 할 수 있었다. 셋째, UNESCO의 MIL은 정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보다 많이 반영하였다. 넷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은 도서관과 정보 리터러시 교육내용을 담아내고 있는 것에 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역량들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은 문화적 감수성 역량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자원을 활용하는 정보 리터러시의 역량을 넘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융합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송미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conceptualize and embody media literacy mentioned a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citizens in the modern society as “civic media literacy” and then develop it on a scale. Civic media literacy is the ability to use media with interest in civic intentionality and democratic principles. It is a concept that takes into account five factors: caring, critical consciousness, imagination, persistence, and emancip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qualitatively higher form of media literacy that citizens who are members of our society should have. It is a competen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imed at fostering citize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cept of “civic media literacy” as a quantitative measure so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studie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ivic education not only can propose a class model, but also can verify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66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develop a civic media literacy scale. The first developed civic media literacy scale consisted of 40 items, including 13 items of “access and select”, 14 items of “analysis and evaluation”, and 13 item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two-factor structure of “exclusion of harmful media (4 items)” and “selecting good media (5 items)” in “access and selection”, the two-factor structure of “data and information analysis (3 items)” and “deliberation about implication(4 items)” in “analysis and evaluate”, and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selfreflection (3 items)”, “social responsibility (2 items)”, and “public participation (6 items) in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struct validity by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27 derived questions, it was appropriate. However, in terms of convergent validity, improvement was required for the factor of “social responsibility” with a small number of questions (2 items), although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The “civic media literacy” scale derived from results shown above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in futur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stud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c media literacy and various variables.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시민이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역량으로 언급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시민미디어 리터러시”로 재개념화하고 구체화한 후,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는 시민적 의도성과 민주적 원칙에 관심을 가지고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우리 사회의 구성원인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질적으로 더 고양된 형태의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할 수 있으며, 시민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교육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역량이다. 또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개발하여,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들이 수업 모형을제안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 661명을 대상으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 개발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초로 개발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는 총 40개 문항으로 “접근 및 선택” 13개 문항, “분석 및 평가” 14개문항, “표현 및 소통”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접근 및 선택”에서 유해 미디어 배척(4개 문항)과 양질의 미디어 선택(5개 문항)의 2요인 구조, “분석 및 평가”에서 자료 및 정보 분석(3개 문항)과 의미 숙고(4개 문항)의 2요인 구조, “표현 및 소통”에서 자기 성찰(3개 문항), 사회적 책임(2개문항), 공적 참여(6개 문항)의 3요인 구조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7개 설문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적절하였으며, 집중타당도에서는 문항 수가 적은 사회적 책임(2개 문항) 요인에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었지만 판별타당도는 적절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민 미디어리터러시” 척도는 향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와 다양한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우수등재

        핵심역량 중심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구성 및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박윤미,나은영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2

        Social media literacy is recognized as one way to help communicate well between users on social media and prevent various types of adverse effects that may arise from social media use. Especi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actively participating and rapidly socializing in social media spaces,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literacy is even gre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urriculum and analyze the effects of education ba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media usage patter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access and use, social connectedness, digital ethics, civil engagement) and analyze the changes in the level of core competencies of learners before an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In six sessions, a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upper elementary reflec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social media literacy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Education was conducted by dividing 81 sixth graders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ata analysis use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to compare the average social media literacy core competenc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 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s mean scores of core competencies. Additionally, covariance (ANC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ost-test mean scores of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core competencies for social media literacy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post-test averag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pre-test. Furthermore, when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pre-tests in both groups,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post-tes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mean score. In conclusion, the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enhanced learners' social media literacy. Previous studies have mentioned that the social media literacy curriculum, including the media literacy curriculum, can positively promote learners' literacy.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 to presenting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s not only limited to proposing a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but also developing an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ocial media literacy and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were presented.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는 소셜 미디어에서 이용자 간 원활한 소통과 소셜 미디어 이용 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급속하게 사회화되고 있는 초등학령기에게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등학령기의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를 고려한 교육과정 구성과 교육의 효과 분석은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핵심역량 중심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습자의 교육 전과 교육 후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 수준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이 반영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6차시로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81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에 대한 평균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험집단 내 핵심역량 평균점수 비교를 위해 종속표본 t-검정을,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핵심역량 사후검사 평균점수의 통계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 평균점수는 통제집단 대비 실험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에서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리고 두 집단의 사전검사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후검사 평균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과적으로 핵심역량 중심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에 기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간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포함하여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리터러시 증진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언급해왔으나, 이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제안에만 그치지 않고 핵심 역량 중심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육과정 수행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및 발전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