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재정의 환경변화에 따른 지방재정분석제도 개선방안

        이장욱,서정섭 경인행정학회 2022 한국정책연구 Vol.22 No.2

        There has been many changes in the societal, economic, or political circumstances of local finance in recent years. Those changes of circumstance which the local governments confronted have been so sudden and dynamic in the progress. Those might have induced the volatility of uncertainty in the local fiscal operation system. Another words, those sudden changes of local fiscal circumstance have also increased the risk of local fiscal operation and arose the high probability of ‘fiscal cliff’ by the operational risk in local financ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improvement of local financial Analysis system on the major circumstance changes of local finance to prevent the local fiscal operation system from fiscal cliff. First, this paper analyzes and infers the major factors of the circumstance change of local finance using Delphi Method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Second, then, it provides the improvement of local financial analysis system ans its monitoring system to reinforce the fiscal soundness of local governments. 사회・경제・정치・행정 등의 변화를 포함하여 코로나19와 같은 재정 운영의 불확실성의 증대를 야기하는 지방재정 환경의 주요 변화 요소는 매우 다양하고 급격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방재정의 환경변화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재정 운영 현안으로써 재정위험(재정 운용상의 위험)의 발생 가능성이 급격히 증대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을 운영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상적인 재정 운용을 저해하는 상태가 발생할 여지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급격히 발생하는 지방재정의 환경변화 요소들에 대해 전문가 합의방식 (델파이기법 및 AHP기법)을 활용하여 검토하고 지방재정의 재정건전성 관련 운영 위험관리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방재정분석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로써 첫째, 지방재정 운용상의 어떤 변화 요소가 있는지 전문가 합의방식을 적용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둘째, 지방재정관리제도 중에서 지방재정 여건변화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운용 상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선제적으로 제도개선이 요구되는 지방재정분석제도를 중심으로 제도개선을 통해 재정위기관리제도와 통합적 제도 운영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방교육재정 평가제도의 성과와 과제

        남수경(Nam Soo kyong),김민희(Kim Min he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지방교육재정 평가제도의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그동안 시행되어온 ‘시·도교육청 평가에서 재정영역평가’와 ‘지방교육재정 분석·진단제도’의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2015년부터 시작된 지방교육재정 운용성과 평가제도의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지방교육재정 평가제도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영역은 재원 확보 노력, 재원배분의 적정성, 예산집행의 효율성으로 설정하였으며, 교육통계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교육재정 항목 가운데 2008년부터 2014년까지 7개년도의 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결산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 세출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예산집행의 계획성은 크게 개선되었으나, 자체수입의 비중은 계속하여 감소하여 중앙정부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재정의존도는 더욱 증가해 왔다. 전체적으로 예산집행의 효율성은 높아졌으나 재원의 자구성은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지방교육재정 환류제도 정착, 지방교육재정의 계획적 운영 유도, 지방교육재정 운용 성과평가제도의 ‘성과’ 유도를 위한 실효성 제고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system of local education finance and to present future tasks. We discussed the achievements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e performance and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evaluation of financial districts in the evaluation of the local of education, and the analysis and diagnosis system of local education finance. In order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we proposed the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 on outcome of local education finance. In order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ial evaluation system in the meantime, we will focus on the effort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the adequacy of resources, and the efficiency of budget execution using data of educational finance from 2008 to 2014.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roportion of the personnel expenses in the total expenditure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ed, and the planning of the budget execution has been greatly improved. However, the proportion of the own-source revenue increased even more. Overall, the efficiency of budget execution has improved, but the composition of financial resources has not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e system, inducing the planned operation of local education finances, and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valuation system on outcome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 KCI등재

        재정분석보고서의 미흡성과 공시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성과 개선 노력

        정선문 한국회계학회 2021 회계저널 Vol.30 No.2

        1998년부터 지방재정법에 근거하여 매년 지방자치단체들의 재정현황을 분석·평가한지방재정분석 보고서가 공시되고 있다. 각 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운영성과를 측정하고 유사 단체와의 상대평가를 통해 미흡한 성과를 지적하여 공시한다. 그런데 제도 시행의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지방재정평가제도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성과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정평가제도가 차년도 재정운영성과를 유의하게 변화시키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재정분석보고서의 독특한 특징인 미흡지표의 공시에 주목하여 보고서 상에 미흡지표로 지적받은 이후 차년도에 해당 성과가 유의하게 개선되는지 검증하였다. 2015-2017년의 기간 동안 221개 기초자치단체의 미흡지표로 공시된 성과지표들을 수기로 수집하여 미흡지표 지적과 차기 성과변화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정건전성과 효율성 분야의 주요 9개 성과지표에 대하여 일관된 개선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재정평가제도가 형식적으로 운영된다는 우려와 달리 미흡지표 공시라는 부정적 피드백을 통해 재정성과를 실질적으로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결과이다. 차후 2년 간의 장기 성과에 대해서도 미흡지표 지적이후에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우수지표로 선정된 후에는 일부 성과지표에 있어서 차년도 성과가 하락하는 현상은 미흡지표 개선 노력이 다른 성과에 대한 노력과 대체관계에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분석 결과, 실제로 동종단체에 비해 미흡한 성과보다는 미흡지표로 공시된 성과에서만 일관된 개선효과가 나타나, 재정성과정보를 이용하는 외부 정보이용자들의 감시 역할이 중요함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미흡지표 공시가 대손충당금을 활용한 성과조정을 야기하지는 않는다는 결과는 재정분석보고서가 지방자치단체의 실질적인 행정개선을 유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Since Fisca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Korean local governments in 1998, every local government goes through evaluation of their fiscal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Annual Performance Reports disclose achievement level based on pre-established performance indicators, and point out poor-performing and high-performing indicators of each municipality. Despite the 20-year history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e have scant empirical evidence whether the system enhances the fiscal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s. H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formance-enhancing effect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y exploiting the disclosure of poor-performing and high-performing indicators in Annual Performance Reports. Using a sample of 221 municipal governments during 2015-2017, I find that municipal governments significantly improve the fiscal performance after they were pointed out a poor-performance in Annual Performance Reports in the previous year. Performance-enhancing effects hold for 9 performance indicators of fiscal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supporting the efficacy of Fisca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owever, I also find that several performance measures deteriorate after municipal governments received good reviews in the previous year. Combined,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Fisca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ignificantly improves fiscal performance of municipal governments by pointing out and disclosing poor-performance. At the same time, efforts to improve poor-performing measures divert away municipalities’ efforts on high-performing measures. I further find that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 persists for two years, supporting fundamental change of fiscal performance. Additional analyses suggest tha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mproves the performance through the “disclosure” channel, rather than internal needs of performance improvement. I also find no evidence that municipal governments engage in performance management using bad debt allowances.

      • KCI등재후보

        행정 데이터 공유·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 감사사례 분석

        노경달,마정경 감사연구원 2018 감사논집 Vol.- No.30

        Despite the various auditing activities of internal and external auditing organizations in the environment where most of the local administrative work is carried out through the inform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analyzes the audit cases of sharing and analyzing the specific data of the information system possessed by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municipalit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activate the aud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ecedents of the first attempt to audit the method of sharing and analyzing data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effect of auditing actually appeared. The analytical case shows that there are about 250 billion won of local finance leaking act through new auditing technique, such as paying for the VAT and non - payment.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e selection of the audit target, the error of the data itself, the understanding of accurate data requiring sharing, and the continuous securing of professional audit personnel. These problems are suggested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지방행정 업무 대부분이 정보화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환경에서 내․외부 감사기구의 다양한 감사활동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위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가 자치단체와 협업을 통해 중앙행정기관 및 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화 시스템의 특정 데이터를 공유․분석하는 방법의 감사 사례를 분석하고 그 효과성 진단을 통하여 데이터 공유를 통한 감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 및 자치단체가 협업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분석하는 방법의 감사를 처음 시도한 사례에 대한 것으로서 참고할 만한 선행연구를 찾기가 어려웠으나 감사의 필요성과 타당성, 가용성, 전문성, 시간적 제약 측면을 지표로서 분석하고, 실질적으로 나타난 감사의 효과도 진단하였다. 분석 사례는 부가가치세 부당 납부 등 2개 분야로서 새로운 감사기법을 통해 약 2,500억 원 상당의 지방재정 누수행위가 적출되었고, 향후 비위예방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사대상 업무 선정 한계나 데이터 자체의 오류, 공유가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의 이해나 전문 감사 인력의 지속적 확보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는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다.

      • KCI등재

        지방분권정책의 방향성에 관한 실증분석

        소순창,이진 한국지방자치학회 2023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5 No.3

        This study conducted IPA(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Performance) of the policies of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promoted by successive governments by the questionnaire surveys. The survey for the analysis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self-government and decentralization, and was conducted for 6 days from April 21 to 26, 2022, targeting 1,200 general citizens aged 18 or older living in the country for self-government and decentralization. A total of 15 questions, including awareness, interest, necessity, satisfaction, and importance, were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schematized into four quadrants for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he IPA analysis too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oth the general public and civil servants chose 'the soundness of local finance' as the policy to be implemented with the highest priority. It is the most important task to secure the soundness of local finance in order to implement local autonomy, bu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is low. Next, the two groups were identified as tasks to be maintained and managed by continuing to 'strengthen central-regional cooperation' and 'expand resident particip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and decentralization policy in the future. In addition, for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지방의회 예산·정책분석 업무지원시스템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수정된 기술수용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현지우(Hyun, Jiwoo),허형조(Hur, Hyungjo),임동완(Lim, Dongwan) 서울행정학회 202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4 No.4

        지방의회의 전문성, 효율성 향상이 요구되며 예산·정책분석 업무지원시스템 도입이 제시되고 있다. 기술수용모델(TAM)은 새로운 기술이나 시스템 도입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와 행위 같은 수용과정을 설명한 이론으로 현재까지 활용되고 있다. 민간부문에서는 회계시스템 및 정보시스템 도입에 TAM을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공공부문에서는 복식부기·발생주의 회계 도입 및 정보시스템 도입에 TAM을 적용한 연구만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예산·정책분석 업무지원시스템 도입 시 이용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지방의회 예산·정책 분석 업무 관련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수정된 기술수용모델(mTAM)을 이용하여 구조모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의 혁신성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개인적 혁신성, 모두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활한 시스템 도입을 위해서는 인식 및 개선되는 기능에 대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타 기관에서 운영 중인 시스템과의 데이터 연계·활용이 용이하여야 한다. 셋째, 시스템은 이용자의 전문성 및 특성을 고려해야 하고, 지속적인 시스템 관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예산·정책분석 업무지원시스템의 원활한 도입 및 활용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Improvements in the expertise and efficiency of local councils are required, and the introduction of a budget and policy analysis support system is being propos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s a theory that explains the acceptance process, such as user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or systems, and is still used to this day. In the private sector, research was conducted on applying TAM to the introduction of accounting systems and information systems, but in the public sector, only research was conducted on applying TAM to the introduction of double-entry bookkeeping and accrual accounting and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employed the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mTAM) to conduct a structural model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usage of the budget and policy analysis support system upon its introduction.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budget and policy analysts for data collec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dividual innovativeness affect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dditionally, 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s perceived ease of use. Moreover,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dividual innovativeness all impact the intention to use.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educational support on perception and enhanced functionalities is essential for the smooth adoption of the system. Secondly, seamless data integration and utilization with systems operated by other agencies are crucial. Thirdly, the system should consider users’ expertise and characteristics, and ongoing system management is necess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mooth adoption and utiliz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budget and policy analysis support system.

      • KCI등재

        IPA분석을 통한 지방분권정책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실증분석

        소순창 ( So Soon-chang ),이창섭 ( Lee Chang-sub ),한형서 ( Han Hyung-seo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9 地方行政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다양하게 논의되어 온 지방자치 및 분권의 정책에 대하여 제도의 설계자인 공무원과 제도의 수혜자인 지역주민이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질문을 중요도와 만족도(수행도)라는 차원에서 IPA(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라는 분석도구를 통하여 밝혀내고자 한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경기도(2016년)와 서울특별시(2017년)의 지역주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것이고, SPSS의 통계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결과 분석은 IPA 분석도구를 통하여 두 그룹 간 만족도와 중요도의 차이를 도식화하였다. IPA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가장 우선적으로 정부가 집중적으로 노력해야 할 정책으로 ‘자치재정권의 확대’이다. 더불어 ‘자치조직권의 강화’, ‘중앙과 지방간 협력회의’, ‘자치계획권의 확대’, 그리고 ‘중앙행정권한의 지방이양’ 등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과제이며, 또한 공무원과 지역주민의 만족도 역시 우선적으로 집중관리해야 할 영역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근거한 지방분권정책의 제언은 지역의 문제(일)를 재정-조직-사무(계획)의 종합행정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보완을 하는 것이다. 특히, 자치재정권, 자치조직권, 그리고 자치사무권이 지자체에 이양되어야 지역의 현안들을 자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치권은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처리한다는 측면에서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지방정부에 주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 설문내용, 그리고 연구결과에 대한 인과관계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의 확대, 연구내용의 다양화와 세분화, 연구결과에 대한 인과관계의 추적을 위한 면접조사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local officials,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system designers on various policies of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The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IPA) in term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performa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f local residents and civil servants in Gyeonggi Province(2016) and Seoul Metropolitan City(2017), and it was analyzed through SPSS statistics program.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he IPA analysis tool.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the first policy that the government intends to concentrate on is the expansion of autonomous authority. In addition, issues such as strengthening self-governing right, central and regional cooperation meeting, expansion of autonomy planning authority, and local transfer of central administration authority are priorities as well. Nevertheless, the satisfaction level of civil servants and local residents is low thus, this is the first priority to concentrate. The suggestion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needs institutional complement to allow the problem of the local area possible as the general administration of finance - organization - works(policy). In particular, autonomous authority, self-governing authority, and self-governing authority can be transferred to the local government to deal with local affairs autonomously. Therefore, such autonomy should be given to local government first and foremost in terms of addressing and dealing with regional problems.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which it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bject, diversify and segment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interviews, etc.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성인지예산서 분석을 통한 정책적 함의와 과제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홍미영,류춘호,고강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4 여성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is the purpose of policy implications and challenges through gender budget analysis of 2013 gender budget state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alysis was carried outstep-by-step through the four indicator that is appropriateness of the target business, appropriateness of gender benefit analysis, appropriateness of the gender gap cause analysis, appropriateness of the performance target. The results, first, the business benefits that can not be clearly gender when creating a gender budget analysis was made ​​properly, regardless of what in the appropriate budget. Second, applied but were missing the target business projects. Third, many errors occurred because of the recognition of gender budget is the only female and Gender ratio should be female : mail = half : half. Fourth, vague of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Security Public Administration. Fifth, Administrative statistics isn’t sufficien collection and management. Sixth,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Seventh, association of the gender impact analysis assessment is absence. In order to solve the political problem,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is Policy Focus Group, and secure the divisional administration statistics, produce the gender desperate statistics. Gender budget need to mark the creation of apply budget projects in performance budget, the need to improve the situation for the local governments ‘e-hozo’ system to support the Ministry of Security Publ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strengthen connectivity between gender budget analysis and gender impact assessments, and should be strengthen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promoting education for improving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gender budget. 본 연구는 성인지예산서 분석을 통한 정책적 함의와 개선과제를 도출하려는 목적으로 부산광역시가 2013년 작성한 성인지예산서를 중심으로 대상사업의 적절성, 성별수혜분석의 적절성, 성별격차 원인분석의 적절성, 성과목표의 적절성 등 네 가지 지표를 통해 단계적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첫째, 예산서가 적절하게 작성된 것과 무관하게 성인지예산서를 작성할 때 성별수혜분석을 명확히 할 수 없는 사업이 있었다. 둘째, 적용가능하나 대상사업에 누락된 사업이 많았다. 셋째, 성인지예산을 여성만의 예산으로 여기거나 성별비율을 50:50으로 동일하게 해야 한다는 인식으로 인해 성별수혜분석의 오류가 다수 발생했으며, 넷째, 안전행정부 가이드라인이 모호한 경우, 다섯째, 행정통계 수집 관리가 미흡한 경우, 여섯째, 성과지표에 대한 이해 향상이 필요한 경우, 일곱째, 성별영향분석평가와 연계가 부재한 경우 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정책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책 대상 집단(Policy Focus Group)의 개념 정립 시급하고, 사업별 행정통계 확보와 성별통계 생산이 절실하며, 성과예산서에 성인지예산서 작성사업을 표기해 성인지예산 적용사업 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안전행정부가 지원하는 ‘e-호조시스템’을 지방자치단체 실정에 맞게 개선해야 한다. 더불어 성인지예산과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 간 연계성 강화하고, 성인지예산 이해와 의식 향상 위한 교육 강화 등 제도 추진의 인프라 마련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KCI등재

        DEA를 활용한 광주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 효율성 분석

        오영교,차성현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efficiency and its chan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this, the study employed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 the data of 2014~16 provided by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system and schoo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operated electronically by the government. For the DEA approach, the study calculated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highly efficient schools. Input variables for DEA includ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school expenditure per student, while the employment rate and dropout rate were used for output variable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ve efficiency among schools exist, while 5 of 10 schools achieved 100% efficiency. Second, school inefficiency was mainly caused by pure technical efficiency rather scale efficiency.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gnificant efficiency by school ownership, academics, and mixed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tailored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higher efficiency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Gwangju. 이 연구는 자료포락기법(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활용하여 광주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 및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학교알리미와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서 제공하는 2014~16년 학교수준 자료를 활용하였다. DEA 분석을 위한 투입요소로는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 학급당 학생 수,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사용하였으며, 산출요소로는 취업률, 학업중단율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 간 상대적 효율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의 비효율성은 규모의 효율성보다는 주로 순수기술효율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00% 효율성 나타낸 학교는 5개 학교였으며, 학급당 학생 수는 44.4%,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는 42.3~100%,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3.2~100%까지 효율성 달성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설립유형, 남녀공학, 계열 등 학교배경 특성에 따른 학교 간 상대적 효율치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및 학과개편 등 특성화고등학교의 자체적인 효율성 제고 노력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교육청의 전문적 컨설팅 및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