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ree Modes of Legislative Behavior in Taiwan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China

        Liao, I-MING,장새미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2 法學論集 Vol.16 No.4

        입법목적, 선택된 주요 정책이나 기관 그리고 운영방식에 따라 입법 유형은 규제적 입법, 수사적 입법 그리고 성찰적 입법의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입법자들은 이중에서 자신들의 정치적인 필요나 이익에 따라 서로 다른 입법 유형을 선택한다. 필자의 장기적인 관찰과 개인적인 참여에 의하면, 대만 내 서로 다른 선거구에서 당선된 대부분의 입법자들에게 몇 가지 특징들이 발견된다. 첫째, 대부분의 입법자들은 규제적 입법을 문제 해결의 최선의 방법이자 유일한 방법이라고 여긴다. 둘째, 입법이 규제적이든 수사적이든지 간에 대부분의 입법자들은 법 시행 기관을 선택할 때 행정기관에 더욱 의존한다. 셋째, 대부분의 입법자들은 법의 시행에 있어 미디어를 조작하기 위해 수사적 입법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점점 더 많은 비영리, 영리 단체들은 입법자들이 성찰적 입법을 통과시키도록 자신들의 기대를 표출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입법자들은 성찰적 입법이 어떤 이익을 가져다주는 지 이해하지 못한다.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대만과 중국의 밀접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특히 TV를 통해보는 모든 뉴스와 미디어를 통해 중국인들은 입법부의 공공정책결정이 국민들의 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말의 수사적인 기능을 이해한다. 그러나 입법자들에 의해 제정된 규제와 규칙들은 사회복지와는 동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인들이 “법의 지배”를 비현실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한다. Due to their distinct legislative purposes, the major policy or institutions chosen, and their operating methods, we can distinguish three modes of legislation: regulatory legislation, rhetorical legislation, and reflexive legislation. Legislators choose different legislative modes according to their own political needs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is author’s long term observations and personal participation, there are some distinguishing features in most legislators who are elected by different constituencies in Taiwan: first, most legislators regard regulatory legislation as the best and only way to solve social problems; second, most legislators choose to rely more on administrative agents as the first choice for legal implementation institutions, whether the subject legislation is regulatory or rhetorical. Third, in operation, most legislators emphasize the rhetorical legislative mode to manipulate the media. Last, more and more non-profit and profit interest groups express hopes that legislators might attempt to pass some reflexive legislation. However, most legislators do not understand the interest in reflexive legislation. Due to the gradually increasing and closer interactions between Taiwan and China, especially in the media, that all of the news people in China can see from television news reports, the Chinese people understand that the rhetorical function of the legislative branch in public policy decisions is interested in the welfare of the people, yet, the regulations and rules made by legislators seem to always be disconnected from social practices. This situation will result in people in China viewing the “rule of law” system as being unrealistic.

      • KCI등재

        이타성이 입법부 공무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학습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한국거버넌스학회 2022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9 No.3

        As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is emphasized in the public sector, many public organizations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what factors motivat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to enhance the innovation behavior of legislative officials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truism and innovation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found that altruism factors which facilitate innovative behavior of legislative officials are sacrifice for common good in society, voluntary support for superior’s work in the organization, communication with citizens and conflict management,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mpetence development efforts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erving the country and its peopl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ommunication with citizens and conflict management enhance innovative behavior of legislative officia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Strengthening public value education to raise the sense of common good, forming mentor-mentee relationships with superiors, operating forum for citizens’ opinions, operating life cycle programs and job-based programs to strength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re suggested to facilitate innovative behaviors of legislative officials.

      • KCI등재

        대만의 세 가지 유형의 입법 태도와 중국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

        리야오이밍 ( I Ming Liao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論集 Vol.16 No.4

        입법목적, 선택된 주요 정책이나 기관 그리고 운영방식에 따라 입법 유형은 규제적 입법, 수사적 입법 그리고 성찰적 입법의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입법자들은 이 중에서 자신들의 정치적인 필요나 이익에 따라 서로 다른 입법 유형을 선택한다. 필자의 장기적인 관찰과 개인적인 참여에 의하면, 대만 내 서로 다른 선거구에서 당선된 대부분의 입법자들에게 몇 가지 특징들이 발견된다. 첫째, 대부분의 입법자들은 규제적 입법을 문제 해결의 최선의 방법이자 유일한 방법이라고 여긴다. 둘째, 입법이 규제적이든 수사적이든지 간에 대부분의 입법자들은 법 시행 기관을 선택할 때 행정기관에 더욱 의존한다. 셋째, 대부분의 입법자들은 법의 시행에 있어 미디어를 조작하기 위해 수사적 입법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점점 더 많은 비영리, 영리 단체들은 입법자들이 성찰적 입법을 통과시키도록 자신들의 기대를 표출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입법자들은 성찰적 입법이 어떤 이익을 가져다주는 지 이해하지 못한다.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대만과 중국의 밀접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특히 TV를 통해 보는 모든 뉴스와 미디어를 통해 중국인들은 입법부의 공공정책결정이 국민들의 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말의 수사적인 기능을 이해한다. 그러나 입법자들에 의해 제정된 규제와 규칙들은 사회복지와는 동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인들이 "법의 지배"를 비현실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한다. Due to their distinct legislative purposes, the major policy or institutions chosen, and their operating methods, we can distinguish three modes of legislation: regulatory legislation, rhetorical legislation, and reflexive legislation. Legislators choose different legislative modes according to their own political needs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is author`s long term observations and personal participation, there are some distinguishing features in most legislators who are elected by different constituencies in Taiwan: first, most legislators regard regulatory legislation as the best and only way to solve social problems; second, most legislators choose to rely more on administrative agents as the first choice for legal implementation institutions, whether the subject legislation is regulatory or rhetorical. Third, in operation, most legislators emphasize the rhetorical legislative mode to manipulate the media. Last, more and more non-profit and profit interest groups express hopes that legislators might attempt to pass some reflexive legislation. However, most legislators do not understand the interest in reflexive legislation. Due to the gradually increasing and closer interactions between Taiwan and China, especially in the media, that all of the news people in China can see from television news reports, the Chinese people understand that the rhetorical function of the legislative branch in public policy decisions is interested in the welfare of the people, yet, the regulations and rules made by legislators seem to always be disconnected from social practices. This situation will result in people in China viewing the "rule of law" system as being unrealistic.

      • KCI등재

        지방의원 유급제의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

        황아란(黃雅蘭),송광태(宋光泰) 한국지방자치학회 2008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0 No.3

        The reform that local legislatures are compensated with higher salaries is to enhance the prospects for professionalism and legislative performance. The premise of the law is that the increased salary can be the prime incentive in that it will help to attract more competent members and have legislators to devote to their full-time legislative careers. This paper is mainly about how the newly adopted salary system affects legislators' perception and behavior.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overall the effect of salary system on recruitment has been limited while its impact on legislative behavior has reportedly been strong. The analysis find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opinions about recruitment between regional and municipal legislators. Regional legislators, who are paid a higher salary than their counterparts, are more likely to point out the salary increase as the prime factor in recruitment. It is the full-time legislators who are most affected by the salary system in comparison to those non-professional legislators with outside careers when their motivations to run for and legislative behaviors are considered. In conclusion, the salary system, as originally intended to promote professionalism and continuity of the service, is very critical factor in that it provides tools and resources for legislators to devote themselves to effectively legislate.

      • KCI등재

        19대 국회의 레임덕 회기 하 본회의 표결 분석-국회의원 공천 및 재선 요인에 따른 참여와 투표행태의 차이

        김준석,구본상,최준영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미래정치연구소 2020 미래정치연구 Vol.10 No.1

        We analyze legislators’ voting behaviors in the floor during the lame-duck session of the 19th Korean National Assembly. We focus on differentiated incentive structures for departing legislators and staying legislators and further examine the effects of those incentive difference upon legislators’ voting participation decisions as well as voting decisions. Lame-duck session has been commonly recognized as a temporary session held to deal with the rest of the affairs, with the departing legislators and those remaining. Contrary to public perceptions, the lame duck sess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permanent over years, and more legislation is being addressed. The handling of key legislations is also increasing. We find that the difference in behavior was clearly seen in terms of the incentives for the left and the remaining members of the assemblymen in voting participation and in voting decisions toward the issue bills. We argue that the success of reelection does not create discriminatory election incentives, but that the internal desire for the senator’s continuation of the parliamentary career makes a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and legislative vote. It was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testing results. 본 연구는 이른바 ‘레임덕 국회’ 하에서의 국회의원 행태를 분석한다. 국회의 레임덕 회기가만들어낸 의원의 차별적 입법 유인에 주목하고, 이를 본회의 표결에의 참여와 쟁점법안에 대한 본회의 투표의 두 차원에서 검증한다. 레임덕 국회는 선거가 끝나고 떠날 의원과 남을 의원이 구분된 상태에서 잔여 업무의 처리를 위해 열리는 임시회기 정도로 인식되어왔다. 일반의 평가와는 달리, 레임덕 국회는 우리 국회에서도 점차 상설화되고 있고, 더 많은 법안이 처리되고 있다. 쟁점법안의 처리도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레임덕 국회의 상황에서 떠나는 의원과 남는 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한 참여의 유인과 쟁점법안에 대한 태도의 측면에서 행태의 차이가 분명히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행태의 차이가 두 의원 군의 차별적 선거유인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단순히 재선에의 성공이 차별적 선거유인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의원의 의원경력 지속에 대한 내적인 욕구가 참여와 법안표결의 차이에 영향을 준다.

      • KCI등재

        트럼프 대통령의 의제에 대한 미 의회 의원의 투표 행태 분석

        이종곤 한국의정연구회 2020 의정논총 Vol.15 No.1

        US presidents have enjoyed high legislative influence. They have strongly suggested their policy agendas and influenced the voting behaviors of congressional members by using their informal resources such as public prestige and electoral power. However, their legislative influence would vary depending on policy types and political environments. This article examines the voting behaviors of US legislators regarding the policy agendas suggested by President Trump.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at legislators were more likely to support presidential agendas in the policy areas where the presidential position of ‘chief of state’ was emphasized, especially when the public prestige of President Trump was sufficiently high. In contrast, legislators’ ideologies were relatively more important when policy issues were related to redistribution. Moreover, in the high-salience policy areas such as immigration and healthcare, presidential electoral power was important to induce legislators to vote for presidential agendas. 국정치에서 대통령은 연두교서를 비롯한 각종 연설을 통해 다양한 정책 의제를 제시할 뿐 아니라, 국가 원수, 총사령관, 외교 수장으로서의 지위와 대중적 위신, 선거 득표력등의 권력 자원을 활용하여 의회 의원들의 투표 행태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대통령의입법 영향력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정책 영역과 정치적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후, 그가 제기한 다양한 의제들을 중심으로, 미 의회 의원들의 투표 행태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정책 편익이 미국 전체 국민에게 분산되어 대통령의 국가 원수로서의 지위가 부각되는 정책 영역에서는 대중적 위신에 따라 의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의제를 찬성하는 투표 행태를 보였다. 반대로 재분배 정책 영역에서는 의원들이 대통령의 의사보다 자신들의 이념에 따라 투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현저성이 큰 정책 영역에서는 대통령의 선거 득표력이 대통령의 입법 영향력에 유효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정당 간 합의와 의원 자율성 문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강신재,최선 한국의정연구회 2019 의정논총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ting behaviors of legislators on the amendment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and Special Taxation Restriction Act.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explained the voting behavior of legislators on three major dimensions, including party, ideology, and constituency interest, this study included the 'party defection voting rate' in the model, paying attention to the variables of legislator’s autonom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the party defection voting rat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opposing or abstaining from both bills. Second, the legislators with the high vacancy rate in commercial buildings are more likely to agree with both bil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und that the party defection voting rat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voting behavior of legislators. 본 연구는 정당 간 합의에 의해 본회의에 상정되었지만 반대와 기권표의 비중이 크게 나타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에 대한 의원들의 투표행태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주로 정당, 이념, 지역구 이익 등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의원들의 투표행태를 설명해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의원의 자율성이라는 변수에 주목하여 ‘당론이탈투표율’을 모형에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대 국회 전반기에 당론이탈투표율이 높은 의원일수록 두 법안 모두에 반대 혹은 기권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가 공실률이 높은 지역구의 의원일수록 두 법안 모두에 찬성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투표행태 분석에서 의원들의 자율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입법과정과 투표행태 연구 분야에서 의원의 자율성에 대한 논의와 경험적 분석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The Impacts of Anti-Feminist Backlash in SNSs on Legislators’ Bill Sponsorship Concerning Violence Against Women: Empirical Evidence from South Korea

        우병득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3 글로벌정치연구 Vol.16 No.2

        How does expressed anti-feminist backlash in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also called Social Networking Service) affect lawmakers’ legislative behaviors such as bill sponsorship? In contemporary South Korea, the anti-feminist backlash largely expressed and proliferated in SNSs is the most salient wedge issue in the political sphere. This article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and how the expressed anti-feminist backlash in SNSs affects legislators’ bill sponsorship concerning Violence Against Women (VAW). Relying on the data about bills which have been proposed in the KNA (Korean National Assembly) from 2011 (the mid of the 18th Congress) to 2021 (the mid of the 21st Congress) and the data about Tweets, this article estimates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when there are more Tweets including anti-feminist terms, legislators are less likely to sponsor VAW bills. More interestingly, this article shows that female legislators a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backlash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e empirical results from this article not only contribute to the previous literature on women in politics and legislative behaviors of decision-makers, but als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big data analytics into the analysis of political phenomena.

      • KCI등재

        종교인 과세 법안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투표행태 분석: 2015년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강신재,한정택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8 韓國 政治 硏究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show what factors have influenced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Religious Tax Bill by analyzing meeting minutes of the subcommittees and standing committees which inform us of why legislators amended the Bill. We focus on the religious affiliation and the proposal anti-discrimination bill as key variables, along with party and ideology variables known to affect the voting behavior of legislators. The results are threefold. First, committee members appeared to receive considerable pressure from conservative Protestantism, which led them to provide benefits to religious community in the amendment process. Second, the trend that legislators in the ruling party voted ‘Yea’ and Protestant legislators voted ‘Nay’ was derived from the analysis. Third, in contrast with the hypotheses set out in this study, it is appeared that legislators who initiated the anti-discrimination bill opposed to voting for the Bill.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empirically inferred the influence of religious variable that has not been well covered in previous literature of legislators’ voting behavior. With conflicts related with religious beliefs such as homosexuality and abortion issues being intensified, the influence of religious variables on the political process should constantly be explored. 본 연구는 종교인 과세 법안의 입법과정을 위원회 회의록을 통해 분석하고, 법안 표결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국회의원들의 투표행태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법과정에서 소관 위원회 위원들이 보수 개신교계의 압력을 상당히 받고 있다는 점이 나타났고, 이로 인해 법안이 종교계에 여러 차원에서 혜택을 주는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둘째, 본회의 표결에서 여당 소속 의원일수록 찬성표를, 종교가 개신교인 의원일수록 반대표를 던졌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차별금지법안을 발의한 의원들은 본연구에서 설정한 가설과는 다르게 종교인 과세 법안에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의회정치와 국회의원들의 투표행태 연구 분야에서 중요하게다뤄지지 않았던 종교 변수들의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현재 동성애, 낙태 이슈 등 종교적 신념과 대립되는 갈등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종교 변수가 의회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책유형에 따른 국회의원의 표결행태 분석 - 18대 국회 전자표결의 영향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박은형,이사빈 한국거버넌스학회 2014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1 No.2

        In this paper, we are trying to figure out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house of representatitive’s voting behavior by analyzing their voting results. Also we are trying to derive how main factors of voting decisions were changed as contents of the legislative bill were changed. In this sense, we categorized three background variables(constituency, socio-economic, political) and tried logit analysis to figure out which variable affects dependent variable most.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showed accomodative behaviors in distributive polic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distribution policy, it was hard to find the effect of the party. Also in distribution policy, the more the ideology of national assembly member is close to liberal, the more they throw veto to the bill. These result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studies and it can gives us some insights that voting behavior of Korea’s legislatives are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western countries. We can also find out the effect of voters of each representative’s constituencies. In trade policy, charateristics of each constituency affect house member’s voting behavior. We anticipate representative’s voting behavior would be scrutinized in further studies, and we also expect this paper can be the first step. 이 연구는 국회의원의 본회의 표결 결과를 분석하여 표결행태의 결정요인들을 실증함과 동시에 그 영향요인이 정책내용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8대 국회의 주요 법안을 배분정책과 재분배정책(통상정책)으로 분류하고, 의원의 개인적 배경과 출신선거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그리고 소속정당과 이념성향이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법안이 내포하는 정책의 유형별로 의원들의 상이한 표결행태가 나타났다. 먼저 배분정책에 대해서는 정책유형론의 논의에 부합하는 비영합적 표결행태를 보였다. 하지만 재분배정책에 대해 이론과 달리 정당의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보수적 성향의 의원이 오히려 찬성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원내정당이 정책정당으로 기능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서구이론의 보수-진보 프레임이 우리나라 국회의원의 성향 및 행태와는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지역구 중심산업과 관련되는 통상정책에 대해서는 출신 선거구 특성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는 정책내용에 따라 유권자의 선호가 국회의원의 표결행위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요인임을 함의하는 결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