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과 교육에서의 학문 중심 교육과정 통합, 그 논의와 실제

        이은적 한국조형교육학회 2006 造形敎育 Vol.0 No.27

        교육과정 통합의 필요성과 가치가 부각되면서 그 당위성이 소리 높여 주장된다. 그러나 정말 교육적 가치가 있도록 통합 내용이 조직되어 실행되고 있는지 논의될 필요가 있다. 제7차 교육과정 1, 2학년의 ‘즐거운 생활’ 통합이나, 고학년 교육과정 통합으로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주제 중심 통합, 혹은 프로젝트 학습의 사례를 보면 미술과 교육 내용은 미술과의 주요 학습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타 교과의 학습을 도와주는 보조적, 혹은 도구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다른 교과의 학습 내용은 미술 표현 활동의 제재나 주제와 관련하여 발상의 내용을 좀 더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에 많은 부분 한정된다. 더 극단적인 경우에는 미술과 학습 내용은 주요 교과의 통합에 삽입되어 딱딱한 학습에 지루함을 덜어주는 역할에 머물기도 한다. 이렇게 교육과정 통합에서 미술과의 주요 개념이나 내용은 배제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이 연구되어야 한다. Numerous studies on curriculum integration have centered on the theme or the topic. In large part of such cases the art education contents are limited to the secondary and instrumental role for the learning of the other disciplines, and the contents of the other disciplines are simply expected to enrich the subject of artwor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ing on the important concepts and principles, or the key ideas in Art Education, and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different disciplines. This type of curriculum integration can be classified as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integration. And it can be considered as the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as well a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this necessity and to explore the instruction examples. At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no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its type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Next, this study analyses the problems posed in the precedent studies, and argues the possibility and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ing on the discipline in Art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instruction examples in the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and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example concerns the integration of painting and design, and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example concerns the integration of the different disciplines including a korean folk art work; Art Education, Langage art, Social studies.

      • KCI등재

        KDB 중심 간학문적 통합 단원의 구성

        장인한 ( In Han Jang ),강현석 ( Hyun Suk K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4

        Needless to say, the core value of integrating curriculum is the holistic growth for learners.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issues such as needing a compromise for the contents of a subject, convenient integration in disregard of the subject and real life, and integrating for integration. Furthermore, there are many doubts for effectiveness of integration because it merely became a rhetoric which doesn`t concretely guarantee the holistic growth of learners. Now, we will explore for effective and concrete integration considering realities so far. This study is a preparation for KDB-based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nd it involves KDB approach as a principle of interdisciplinary for holistic growth of learners, and the level of the unit for 5th or 6th grade. There are filters in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that learners should know(Know), things that learners should do(Do), value or attitude that learners should have(BE). Each content of a subject will be extracted as an interdisciplinary concepts or knowledge and interdisciplinary functions through these filters, and affective factor such as attitude and values supports it for holistic growth of learners. Beside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re emphasized at this point, thi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can be an alternative way to ensure holistic growth of learners.

      • 교과 교육 차원에서의 바람직한 사회과 통합 교육의 방향 모색

        박은종(Park Eun Jo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연구 Vol.22 No.-

        현대 사회는 지식 기반 사회, 세계화ㆍ정보화 사회이다. 사회 변화와 발전이 화두(話頭ㆍkey word)인 현대 사회에서는 인간의 다양한 생활 속에서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상황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이와 같은 현대 사회의 교육에서는 교과 교육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아울러, 사회적 변화와 다분기화(多分岐化)로 인하여 교과에서의 통합(integration)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교과 교육 차원에서의 사회과 통합 교육은 복잡다단한 사회적 문제와 상황을 토대로 한다. 사회과 통합 교육의 유형은 보다 새롭고 의미 있는 종합을 모색하는 간학문적 통합(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학문의 독립성과 종합성을 강조하는 다학문적 통합(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문제 해결 과정 중심의 탈학문적 통합(extradisciplinary integration) 등으로 구분한다. 미래 사회과 교육에서의 통합 교육의 접근 방향은 개념 중심 통합, 사회 문제 중심 통합, 요소(strandㆍ스트랜드) 중심 통합 등이 적절하게 연계되어야 한다. 사회과 통합 교육은 사회 변화와 사회적 사실을 적절하게 수용하고, 미래 사회의 주인공인 학생들에게 다양하고도 통합적 인식과 고급 사고력(high level thinking) 신장을 지향하고 있다. The modern society is knowledge-based society,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social situations happen in our various lives of the modern society in which social changes and developments are key words. In such a modern society, subject matter education is very emphasized. Also, integration-education is stressed in the subject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divergence. Integration-education a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s based on complicated social problems and situations. Integration-education in social studies is divided into 3 type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which seeks newer and more meaningful integration,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which stresses academic independence and integration, and extra-disciplinary integration which is centered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es. The desirable direction of integration education in future social studies education is that concept-centered integration, social problem-centered integration, and strand-centered integration are properly linked with one another. Integration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ppropriately accept social changes and social facts, and aims to enhance integrative recognition and high level thinking of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미국의 예술통합교육과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이미경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is study examines the studies conducted on and practice of arts integration education in the U.S. from 1995 to 2011, and examines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The review begins with the definition of arts integration and its historical context in the U.S., including an overview of the position statements of professional arts education organizations and a summary of State Standards regarding arts integration. In the conclusion, thre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are suggested: 1) persistent and stable investments with systematic plans at the local and state levels are needed in order to support research on and the practice of arts integration; 2) since the availability of teaching artists to schools and classrooms has contributed to arts integration in the U.S., it is necessary to build a strong partnership between classroom teachers and teaching artists; and 3) since the integration of two subjects is not an end in itself, but arts integration brings teachers and students together for co-teaching and co-learning, arts integration needs to be a means toward deeper instruction and meaningful learning, toward greater social understanding, and toward a more complex and more interesting view of the world in our classrooms. 이 글에서는 미국에서 예술통합교육이 시작된 배경과 추진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STEAM 교육과 같이 예술이 일반 학문교과들과 통합운영되는 예술통합교육(Arts integration)의 한국적 실천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장기적 실천 프로젝트와 이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 및 가치평가작업을 통해 예술통합교육의 연구적, 실천적 기반을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통합교육은 학교 내 교사들과 학교 밖 예술가 그룹과의 협업적 관계에 의존하지 않고는 실질적 질을 담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지역 전체의 인력을 활용하는 조직적인 연결망을 구성하고 협업의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술통합교육은 단지 교과목 편성이나 배치의 문제로 축소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는 co-teaching과 co-learning이라는, 사람 간 통합을 전제로 하는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 이해되고 실천되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교과 간 통합 방식을 중심으로

        이운영(Lee WoonYoung),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교과 간 통합 방식으로 운영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과 간 통합 방식이 갖는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교과 간 통합 방식으로 운영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 7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수업 관련 자료로 수업 계획서, 수업 활동지, 학생 산출물을 수집하여 수업의 설계⋅실행⋅반성의 3단계로 나누어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검토를 거쳐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설계 단계>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과 간 통합 방식으로 접근한 배경에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범교과적 성격을 고려하고, 충분한 시수를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교사가 가장 먼저 한 일은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는 것이었고,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교과로 국어과를 꼽았다. <실행 단계> 수업 자료로서 교과서의 활용은 낮은 편이었고, 수업 자료 수집의 경로는 다양했으며, 수업 자료의 체계적 정리 및 통합 사이트 운영을 통해 수업 자료의 접근성을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수업 진행 방식으로는 모둠 협력 방식을 선호하였고, 학습자 중심 수업을 전개하였다. 수업의 실행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으로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의사 표현, 통합한 교과에 대한 학생의 호감 상승, 학생의 정보 검색 능력의 질적인 변화를 꼽았다. <반성 단계> 학생 평가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상호 평가와 과정 평가가 용이하게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역량에 대해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과 교과 간 통합 수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과 간 통합 방식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 및 지원이 필요하고, 교과 간 통합 수업에 대한 연구 및 자료 공유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교과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경험과도 통합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the experience of teachers who have operated media literacy classes in an integrated way between subjects, and to seek directions for integrated approach of media literacy classe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operated media literacy classes in an integrated manner, class plans, class activity sheets, and student output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in three stages, and the analyzed data were reviewed by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plan step> The background of the integration of media literacy was to consider the pan-textural nature of media literacy and to secure enough time. To this end, the first thing the teacher did was to analyze the relevant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was selected as the subject most related to media literacy. <practice step> The use of textbooks as class materials was low, the paths for collecting class materials varied, and it was proposed to increase accessibility of class materials through systematic organization of class materials and the operation of integrated sites. As a way of conducting classes, the group cooperation method was preferred and the learner-centered class was developed. Among the most impressive scen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lass were student s active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of intentions, student s growing fondness for integrated subjects, and qualitative changes in student s ability to search information. <evaluation step> Student evaluation was facilitated by mutual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using the online platform, and it was derived that teachers competence requires efforts to improve media literacy class expertise and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ed class. Conclusions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operation of media literacy classes requires efforts and support to strengthen teachers capabilities, enable research and data sharing on interdisciplinary classes, and integrate with learners experiences as well a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 KCI등재

        과학과 인문학의 통합개념 선정을 위한 델파이 연구

        김지영 ( Ji Young Kim ),박지은 ( Ji Eun Park ),윤회정 ( Heo Jeong Yoon ),박은미 ( Eun Mi Park ),방담이 ( Dam I B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6

        통합개념은 여러 학문 영역의 사실, 원리, 법칙,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 통합교육 설계의 중심으로 활용될 수 있다. 통합개념 중심 교육은 학습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제공한다는 면에서 효과적인 통합의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서 개념 중심의 통합교육을 시행하는데 중심이 될 수 있는 통합개념을 추출하기 위하여 과학 및 인문학 교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124명의 전문가가 델파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3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1차에서는 통합개념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2차 설문에서는 1차에서 선정된 통합개념에 대하여 각 전문가가 속한 영역에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통합개념을 모두 선택하게 하였다. 3차 설문에서는 2차 설문에서 선정된 중앙값 이상의 선택빈도를 갖는 통합개념에 대하여 각 학문영역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여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과 내(물리, 생명과학, 지구과학, 화학)의 통합을 시도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통합개념으로 변화, 상호작용, 시공간, 에너지 평형이 최종 선정되었다. 또한 인문학 교과 내(경제, 역사, 윤리, 정치, 지리)의 통합을 시도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통합개념으로 갈등, 공동체, 관계, 구조, 권력, 다양성, 문화, 변화, 사회, 상호작용, 자유, 정의, 평등이 최종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과학과 인문학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개념으로는 구조, 다양성, 변화, 상호작용, 순환, 시스템, 환경이 최종 선정되었다. Integrated concepts that are broad enough to embrace facts, principles, laws, and concepts of multiple disciplines could become the core of integrated education. Integrated concept-centered education enables effective and practical learning. In this study, the Delphi Method was implemented targeting experts in science (physics, life science, chemistry, and earth science) and humanities (history, geology, economics, ethics, and politics) to find out the integrated concept that can be used to design the concept-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124 exper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rounds. In the first round, an open questionnaire was given to experts to collect feasible integrated concepts in each major field. Then, in the second round experts were asked to select integrated concepts that could be used practically in the field of their major. In the third round, the integrated concept with selection frequency over medium value were given.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integrated concepts by using the Likert-scale questionnaire. Through this process, content validity was analyzed. As a result, five integrated concepts (change, interaction, space-time, energy, and equilibrium) were selected for the inter-science integration. And thirteen integrated concepts (conflict, community, relationship, structure, power, diversity, culture, change, society, interaction, freedom, justice, and equality) were chosen for the inter-humanities integration. Finally, for the science-humanities integration, seven integrated concepts (structure, diversity, change, interaction, cycle, system, and environment) were determined.

      • KCI등재

        복합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위한 학제간 초등 통합 프로그램 개발

        곽혜란 ( Kwak¸ Hye Ran ),권정민 ( Kwon¸ Jung Min ),김혜리 ( Kim¸ Hae-ri ),박일우 ( Park¸ Il-woo ),장신호 ( Jang¸ Shin Ho ),전우천 ( Jun¸ Woochun ),박만구 ( Park¸ Mang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적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학을 중심으로 한 학제간 초등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래사회에서는 여러 학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 “복합”이나 “통합”의 방법은 연결(connected), 통일(unified), 다학제(multidisciplinary), 간학제(interdisciplinary), 학제간(cross-disciplinary) 또는 초학제(transdisciplinary)와 같이 다양한 학제 통합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복합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을 위한 학제간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 수학, 과학, 정보, 생활교육, 영어, 특수교육의 교과를 통합적으로 연결하여 현재의 교육과정에서 활용이 용이한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의 몸’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초등 수학을 중심으로 과학, 정보, 생활과학, 영어, 특수교육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모델 및 11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복합적 문제해결은 자연스럽게 자신과 사회의 문제에 관심과 학생들 자신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최적화된 방법이다. 그리고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면서 자연스럽게 복합적 문제해결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며, 대부분은 궁극적으로 초학문적 접근으로 어떻게 하면 우리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면서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지 고민하고 실천하도록 한다. 복합적 문제해결을 위하여 ‘더불어 사는 삶’ 또는 ‘행복한 삶’과 같은 보다 큰 문제(Big Question)에 대한 질문을 하고, 이를 다학문적, 간학문적, 초학문적 접근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제언으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복합적 문제해결을 위하여 융복합적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 공감 능력을 포함한 비인지적 역량 함양을 위한 통합 방안, 교사대의 교육과정 안에 융복합의 의미와 적용 사례를 포함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개혁적인 교과 개설, 풍부한 교수학습 활동 자료의 개발, 융복합적 문제해결을 위한 공간과 환경 구축을 위한 학교 공간의 개선과 지역사회의 유관 기관과의 협력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program centered on mathematics to foster complex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The future society requires complex problem solving skills that utilizes various disciplinary knowledge and skills. The integration of subject matter areas has various methods of combining disciplines, such as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or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developed an eleven subject hour program, focusing on the theme of "our bodies,” that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contents of physical science, information science, life science, English, and special education built around elementary mathema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lex problem solving is a natural way to pay attention to problems in oneself and society and to solve students' own life problems. Students naturally use complex problem-solving strategies while solving given problems, and most ultimately, with a supranational approach, students can consider and practice how we can live a happy life while maintain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To solve complex problems, we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ask questions about big problems such as 'living together' or 'happy life' and to apply them appropriately to a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approaches to solve the problem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such curriculum should be applied in classroom learning. Quality programs for fostering students' complex problem solving capacities and programs for buil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re also needed. The researchers also claimed that complex problem solving programs should foster affective empathic capacities as well as cognitive empathic abilitie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대학 교양 교육에 나타난 통합의 특징 분석

        조덕주(Jo, Dukjoo),최연주(Choi, Yeon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에서 통합의 특징이 얼마만큼 그리고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구조 및 하위영역의 특징, 둘째, 영역별 통합의 정도, 셋째, 통합의 방식 등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대상 대학의 교양교육 영역명은 모두 통합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목명에도 그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영역별 통합 정도에 있어 각 영역에 포함된 모든 과목이 통합 과목은 아니었다. 셋째, 통합 방식은 거미줄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한 시사점으로서, 첫째, 학생들에게 통합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별 맥락에 따른 교양교육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통합교육의 도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는 영역명부터 통합적 성격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점, 셋째, 모든 과목을 통합과목으로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넷째, 통합의 절차는 공유형에서 거미줄형으로 나아가는 것이 현실적일 수 있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ies as a way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1) the structure of General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2) the number of integrated subjects in each courses, 3) the ways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titles of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dopte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2) Not all the subjects which were involved in each courses hav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3) The webbed approac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way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brought several implications to us for improving qualities of General Education. 1) To make it easier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it had better name titles of courses in interdisciplinary approach 2) Even though a course aims to be interdisciplinary, it is not necessary all the subjects to be integrated. 3) There is not only one way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And it is desirable to use blended approaches to integrate fields -these are the webbed approach, the shared approach and threaded approach.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박채형 ( Chae 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6 No.1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서는 제4차 교육과정부터 통합교과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당시의 통합교과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편찬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당시의 교육과정은 분과적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그 이후 네 차례의 개정을 겪었다.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겪어온 그러한 변화는 제7차 교육과정을 분기점으로 하여 급선회하였다. 즉, 제4차 교육과정부터 제6차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분과교과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었으며,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분과교과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은 제7차 교육과정부터 시작되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는 동안에 점점 더 강력한 형태로 추진되어 왔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은 이 점에서 통합교과가 분과교과의 압력에서 벗어나 독자적 지위를 확보하려는 투쟁의 역사로 평가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y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critically. It is in the 4th national curriculum to be used integrated subject matters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But, in that time, the integrated subject matters were not compiled in the basis of integrated curriculum. Because the 4th national curriculum was developed by departmental viewpoint. We can see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5th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After that tim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undergone revisions four times. They say that among the revised curriculum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the most serious changes. Exactly speaking, former curriculums were governed by departmental school subjects, and endeavors to escape from the subjects started from the period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ose endeavors have continued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y the way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matter of fact, to follow the spiri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dopted ``activity theme centered integration`` as idea of integrated curriculum. But,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d three kind of integrated school subjects: Good Life, Wisdom Life, and Pleasure Life.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se three integrated school subjects are integrated as one. Consequently, the history of integrated curriculum become to define as one of struggle for winning independent status of integrated school subjects against to the departmental.

      • KCI등재

        보다 나은 중학교 교육을 위한 간학문적 교육과정 통합

        ( Dru Tomli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7 No.3

        이 글은 왜 우리가 중학교에서 교육과정을 통합해야 하는가, 어떻게 중학교에서 교육과정을 통합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을 다루었다. 중학교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를 연결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 통합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는 한 교사가 모든 교과를 가르치고, 고등학교에서는 각 교과교사가 자기 교과만 가르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중학교에서 교과를 적절하게 가르치기 위해서 2~4명이 교과 교사들이 팀을 이루어 함께 협력하는 체제이어야 한다. 무엇보다 학생의 삶과 교육과정을 연결하기 위해서이다. 교육과정을 통합할 수 있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 번째는 간학문적 유닛을 설계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교육과정 통합이다. 간학문적 유닛을 설계할 때는 통합할 교과를 구성하면서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주제가 나오고, 각 교과가 이 주제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를 정한다. 반면 교육과정 통합은 주제에서 시작하고, 주제와 관련있는 큰 아이디어나 개념을 정하고, 마지막으로 이 아이디어나 개념을 공부하기 위한 활동을 정한다. The essential questions for this paper are as follows: Why do we integrate curriculum in middle school? How do we integrate curriculum in middle school? The middle school is the important bridge between the elementary and high school worlds. One primary teacher who is responsible for teaching all of the content areas in primary school. But in high school, each teacher is responsible for one content area. So, in the middle level, teachers should be working on teams of 2 to 4 people, and that team should be responsible for all of the content areas. And they should be looking for relevance between student`s life and the curriculum. There are two types of curriculum integration planning. The first one is Interdisciplinary Unit planning, and the other is Curriculum Integration. Interdisciplinary Unit planning begins with organizing the different content areas. A theme is then chosen, and each content area decides how it can contribute to the theme. In Curriculum Integration, planning begins with a central theme, and then big ideas and concepts related to the theme are identified. Finally, activities are chosen to explore those ideas and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