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형 로봇 금융지원제도 개선방안: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을 중심으로

        고영미 법무부 2019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86

        우리나라는 지능형 로봇을 미래국가핵심 전략산업으로 간주하고 국가 차원의 지원을 위해 2008년 3월 28일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이하“지능형로봇법”이라 함)을 한시법으로 제정하였다. 지난해인 2018년 6월 10년의 기간 만료로 폐지 위기를 맞았던 동법은 개정과 함께 다시 10년간 한시법으로 존치하게 되었다. 이러한 지능형로봇법의 목표는 차세대 성장 동력산업인 지능형 로봇을 미래 국가핵심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국가경제의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동법은 지능형 로봇의 개발 및 보급에 관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지능형 로봇제품의 품질확보 및 보급, 확산을 촉진하는데 필요한 지원 시책을 수립하며, 지능형 로봇투자회사의 설립 등을 통해 기술개발에 필요한 재원 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등 지능형 로봇의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고려한 정책적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동법은 지능형 로봇 연구개발과 상업화(상품화) 사업에 민간의 투자참여제도를 마련하여 시중의 유동자금을 국가의 성장동력분야인 지능형 로봇산업 분야로 유인하기 위하여 “지능형 로봇 펀드”제도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지능형 로봇 펀드는, 공모를 통하여 투자회사에 참여하는 자는 지능형 로봇의 잠재적인 수요자에 해당하기 때문에 지능형 로봇 수요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는 판단에 기초한다. 지능형 로봇 펀드의 참여자는 로봇수요자로서 수요자의 요구를 원활하게 파악하여 미래 잠재 수요자 확보를 통한 지능형 로봇의 연구개발 결과의 직접적인 사업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즉, 지능형 로봇 투자회사의 가입자가 향후 지능형 로봇의 구매자가 되는 구조로 “시장이 기술을 견인”하여 기술개발과 사업화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기술한 바와 같이 로봇산업을 국가의 성장동력인 첨단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지능로봇법에서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동법에 도입된 지능형 로봇투자회사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지원 및 육성제도는 법률이 시행된 이후 10여젼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행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 원인들이 거론되고 있지만, 지능형 로봇투자회사 자체의 문제가 우선적인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로봇 분야의 우수한 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서는 실효성 있는 금융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현행 지능형로봇법상 금융지원 관련 규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능형 로봇의 개발 및 보급에 필요한 투자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On March 28, 2008, the “Intelligent Robot Development and Supply Promotion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telligent Robot Act”) was enacted into a temporary law to consider intelligent robots as a core strategic industry for the future state and to support the national level. This act, which faced abolition last year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10-year period in June 2018, has been remained a temporary law for another 10 years with the reform. The aim of this intelligent robot act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by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foundation to foster intelligent robots, the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industry, as a core strategic industry for the future. The Act included policy measures considering the social and economic ripple effects of intelligent robots, such as establishing basic plans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telligent robots, establishing necessary support measures for securing, distributing and promoting the quality of intelligent robot products, and establishing intelligent robot investment companies. In addition, the Act required the introduction of an “intelligent robot fund” system to induce floating funds in the market to the intelligent robot industry sector, which is the growth engine of the country, by developing a private investment participation system in intelligent robot R&D and commercialization projects. The intelligent robot fund was also thought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demand for intelligent robots, as participants in the initial public offering would be a potential demand for intelligent robots. Participants of the Intelligent Robot Fund will be able to smoothly understand the needs of the demanders as robot consumers and contribute directly to commercializ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s of intelligent robots by securing potential future users. This means that the smart robot investment company is going to let subscribers buy the smart robot in the future.With a viable structure, the market can “drive the technology” and thus increase the efficiency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As described, various systems were adopted from the Intelligent Robot Act to foster the robot industry as a high-tech industry, which is the nation's growth engine, but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telligent robot investment companies introduced in the Act.The incubation system has not been implemented even though 10 years have elapsed since the Act was enacted. While many causes are mentioned in this regard, the problems of intelligent robot investment companies themselves may be cited as the primary causes.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regulations related to financial support under the current intelligent robot law in view of the need for effective financial support in order to find and nurture excellent companies in the robotics field, and to draw out ways to secure the investment resources needed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telligent robots.

      • KCI우수등재

        자율적 지능 로봇과 민사책임법상 법정책적 과제- 프랑스법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박수곤 한국민사법학회 2022 民事法學 Vol.100 No.-

        The autonomy of intelligent robots generally depends on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an intelligent robot with a significant level of autonomy may be evaluated as outside the control of its developer or inventor, and if the improper operation result of the robot causes damage to others due to such circumstances, it can be difficult to determine who should be held responsible. Therefore,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existing positive law is sufficient to regulate such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robots, or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legal personality or rights to robots. However, since robots are treated as objects under the current law, even if artificial intelligence is added to the robot, it is evaluated that the current law can regulate the situation caused by the malfun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In other words, the current civil liability law can be applied as long as an intelligent robot can be controlled by humans. However, if intelligent robots evolve into beings with autonomy,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 model of responsibility. If we comprehensively analyze the regulatory attitudes in the current French law, it can sufficiently regulate the situation of damag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intelligent robot at the current technological level, and in this sens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legal flaw’ is not large. Although the emergence of autonomous intelligent robots equipped with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still a situation that needs to be watched over time, intelligent robots with greater autonomy than simple automated robots are coming to market,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evelops day by da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ome flaws in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of each country in order to regulate the bad consequences of the operation of these intelligent robots. In this sense, the attitude of the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on the responsibility of AI operators in October 2020 can be used as a model of responsibility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advent of autonomous intelligent robots in the future, but this resolution has limitations in that it only targets AI operators. Considering the above points collectively,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liability of animal occupants and the Badinter Act in French law are more suitable as a model of responsibility for the emergence of autonomous intelligent robots in the future. 지능 로봇의 자율성은 인공지능의 발달정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상당한 수준의 자율성을 갖춘 지능 로봇의 작동은 그 개발자 또는 발명자의 지배를 벗어난 것으로 평가될 여지가 있으며, 이러한 사정으로 인하여 로봇의 부적절한 작동결과가 타인에게 손해를 발생시킬 경우, 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누구에게 부담시킬 것인지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실정법이 이와 같은 인간과 로봇 사이의 상호작용을 규율하기에 충분한 것인지 아니면 로봇에게 법인격 내지 권리를 인정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가 문제로 된다. 다만, 현행법상으로는 물건으로 다루어지는 단순 로봇에 대해 인공지능이 추가되는 경우 현재의 실정법이 그와 같은 인공지능형 로봇을 규율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즉, 지능형 로봇이라고 하더라도 인간에 의한 통제가 가능한 수준이라면 현재의 책임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능형 로봇이 자율성을 가진 존재로 진화할 경우에는 특수한 책임모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행 프랑스법에서의 규정태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면, 현재의 기술수준에서의 지능 로봇의 작동으로 인한 손해발생 상황에서의 규율에 있어 충분히 대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는 ‘법적 흠결’이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다만, 강인공지능을 탑재한 자율적 지능 로봇의 출현은 아직까지 시간을 두고 지켜보아야 할 상황이라고는 하나, 그와 같은 자율적 지능 로봇으로 향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이 나날이 향상됨으로 인하여 단순히 자동화된 로봇 이상의 자율성을 지닌 지능 로봇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수준의 지능 로봇의 작동으로 인한 악결과를 규율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각국의 법령들에서도 다소의 흠결이 발견되는 상황이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2020년 10월의 인공지능 운영자의 책임에 관한 유럽의회 결의안의 태도는 향후 자율적 지능 로봇의 출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의 책임모델로 삼을 수도 있을 것이나, 동 결의안 또한 인공지능 운영자만을 수범자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그 내용면에서는 프랑스에서의 Badinter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프랑스에서의 동물점유자의 책임 및 Badinter법이 향후 자율적 지능 로봇의 출현을 대비한 책임모델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의 인공지능과 로봇에 관한 법제정비방안 연구 : EU의 「로봇공학에 관한 민사법 규칙」과 주요국들의 AI 로봇법제 동향 비교분석

        심민석(Sim, Min-Seok) 경희법학연구소 2020 경희법학 Vol.55 No.3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관련 산업의 성장은 국내 및 주요국의 인공지능과 관련한 법률의 제・개정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우리는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2008년 3월에 「지능형 로봇개발 및 보급 촉진법」을 제정하여 인공지능과 관련한 법률을 선진적으로 입법하였다. 다만, 지능형 로봇은 소프트웨어인 인공지능과 하드웨어인 로봇이 서로 결합한 기계장치임에도 인공지능과 로봇에 관한 규정들을 균형 있게 규정하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EU의 「로봇공학에 관한 민사법 규정」과 부속서인 「로봇공학 헌장」, EC의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윤리원칙」, 그리고 미국, 일본, 중국의 인공지능과 관련한 정책 및 입법 동향을 살펴보면서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에 기반하여 현행 「지능형 로봇개발 및 보급 촉진법」을 보완하는 입법방안으로 ‘지능형 로봇윤리헌장’의 제정공표, 인공지능 윤리원칙의 감시기관으로 연구윤리위원회 설립, 인공지능과 지능형 로봇의 정의개념 정립, 지능형 로봇 등록시스템 구축과 전담기관 설치, 의무보험제도의 도입, 지능형 로봇의 전자인격과 법적 책임의 일반원칙 수립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다만, 법률의 명칭을 「인공지능과 로봇개발 및 보급 촉진법(가칭)」 또는 「인공지능과 지능형 로봇개발 및 보급 촉진법(가칭)」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한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인공지능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기술개발과 정책을 추진하고, 4차산업혁명 전반의 발전을 이끌 수 있는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지위와 역할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growth of related industries are rapidly changing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law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domestic and major countries. In rela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we enacted the 「Intelligent Robot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Promotion Act」 in March 2008, and advanced legislation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although an intelligent robot is a mechanical device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and robot (hardwar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regulation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are not stipulated in a balanced way. To supplement this, I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 EU s 「Civil Law Rules on Robotics」, the annexed 「CHARTER ON ROBOTICS」, the EC s 「Ethics guidelines for trustworthy AI」, and policies and legislative trend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US, Japan, and China. Based on this, the legislative plan to supplement the current 「Intelligent Robot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Promotion Act」, announced the enactment of the Intelligent Robot Ethics Charter , established the Research Ethics Committee as a monitoring institu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principles, and the definition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robots. Contents on the establishment, establishment of an intelligent robot registration system and installation of a dedicated agency, introduction of a compulsory insurance system, and establishment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electronic personality and legal responsibility of intelligent robots are presented. In addition, the status and posi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and the rol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to play the role of a control tower that can lead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mote technology development and policies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suggested a way to strengthen the role.

      • KCI등재

        AI 로봇의 법적 지위에 대한 쟁점과 과제 - Bryson 등의 법인격 이론을 중심으로 -

        김민배(Kim, Min-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7 No.-

        AI 로봇에 법적 인격을 부여해야 하는가. 그것을 지적인 인공물로 간주해야 할 것인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전에 따라 지능화한 로봇에게 전자적 인간(electronic personhood) 혹은 전자적 인격(electronic personality)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것이 주요한 쟁점이다. 그동안 학자들은 로봇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를 논의했다. 그런데 EU의회의 2017년 제안서가 다시 이 문제를 현안으로 등장시켰다. EU 의회의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장기적으로 자율형 첨단 로봇이 발생시킬 수 있는 손해에 대해 책임지는 전자적 인간과 같은 특정한 지위를 확립해야 하며, AI 로봇이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거나 제 3 자와 독립적으로 상호 작용을 하는 경우 전자적 인격을 적용할 수 있도록 검토를 촉구한바 있다. 그러나 EU 의회의 제안은 많은 비난과 반대를 촉발시켰다. 2018년 4월 유럽 연합 14개국의 인공지능 및 로봇 전문가, 변호사, 기업가들 156명은 5월 초 유럽 위원회에 공개서한을 보내고 로봇에 법적 지위를 부여하려는 움직임에 반대를 하였다. 이 공개서한에서 자율적이고, 예측 불가능하며, 자기 학습을 하는 로봇에 대해 전자적 인격이라는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했다. 그들은 기술적 관점, 규범적 및 법적 그리고 윤리적 관점 모두에서 폐기되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EU위원회는 한걸음 더 나아가 2019년 6월 26일 인공지능의 윤리 체크리스트를 발표하였다. 인공지능에 대하여 유럽위원회는 ‘High-Level Expert Group of Artificial Intelligence’의 정책 권고안을 토대로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대한 윤리 지침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을 공표하였다. 현재 전자적 인간과 전자적 인격의 도입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지능형 인공물들(artefacts)에게도 유사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전자적 인간 혹은 전자적 법인격이라는 개념을 언제 도입할 것인가, 어떤 법적 지위를 부여할 것인가 등에 대해서는 계속하여 논의가 필요하다. AI와 로봇을 법적 인격의 범주로 검토하는 것은 기술의 변화가 가져올 미래를 대비하는 시도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말하기는 쉽고, 실천하기는 어려운 분야임에 틀림없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인공물 가운데 AI와 로봇이 법적 인격을 갖는 주체가 될 수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로봇의 법적 지위 부여에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Bryson 등의 논리를 검토한다. 여기에서는 주로 Bryson 등의 논거의 타당성과 한계 그리고 보완해야 할 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로봇에 대해 전자적 인간 내지 전자적 인격을 부여해야 하는가.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고, 그 시점은 언제인가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Should AI robots be given legal personality? Should we consider it as an intelligent artifact? There is controversy over such issues.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give the intelligent robot the legal status of new concepts such as electronic personhood and electronic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is the point of contention. Scholars have increasingly discussed the legal status(es) of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however, the 2017 resolution of the EU parliament on the ‘electronic personhood’ of AI robots has reignited and even made current debate ideological. The European Commission has to establish certain statuses, such as electronic human being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damages that autonomous advanced robots can generate in the long term, and that AI robots make autonomous decisions, And encouraged them to apply electronic personality when they interacted independently. However, the proposal from the EU Parliament has triggered many criticisms and objections. In April 2018, 156 people,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experts, lawyers and entrepreneurs from 14 European countries, sent an open letter to the European Commission in early May and opposed the move to give the robot a legal status. In this open lett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giving a legal status of electronic character to autonomous, unpredictable and self-learning robots is problematic. They argued that they should be discarded in both technical, normative, legal and ethical perspectives. However, the EU Commission went further and published the Ethics Checklis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n June 26, 2019. The European Commiss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nnounced that it is preparing ethical guidelines for reliabl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policy recommendations of the High-Level Expert Group of Artificial Intelligence . However, the terms electronic human and electronic personality have the intention of giving a similar legal status to intelligent artefacts that humans already enjoy. However,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legal status of robots at different levels and the question of when the legal concept of electronic humanity will be introduced is needed. Examining AI and robots in the category of legal personality is surely an attempt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technology change. But speaking is easy and difficult to do. In this paper, I’d like to consider whether AI and robot among the intelligent artifacts can be the subjects with legal personality.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e logic of Bryson, who takes a positive stance on the legal status of robots. In this paper, I’d like to examine the validity and limitations of Bryson s arguments and the points to be supplemented. Do we have to give electronic or human personality to robots? If so, what is the key argument? When is it time to give legal personality? I want to focus on this in my paper.

      • KCI등재

        소셜 지능로봇의 특성이 만족과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1인 가구 소셜 지능로봇 사용자를 중심으로

        전규리,이채현,정성미,최정일 한국품질경영학회 2024 품질경영학회지 Vol.52 No.1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etal changes associated with the entry into an ultra-aged society and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cor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social intelligent robots can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the lives of individual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how such changes influence user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use these robots.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 survey designed to assess the impact of social intelligent robots' characteristics, such as perceived encouragement, empathy, presence, appearance, and attachment, on user satisfaction and usage intentions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35 users and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I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lligent robot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t was found that empathy, presence, and attach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satisfaction, while perceived encouragement, empathy, and attach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usage intention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differences between enhancing user satisfaction and increasing the intention to use social intelligent robots. The findings suggest the essential need for a user-centric approach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social intelligent robots.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emotional support plays a crucial role in users’ experiences with social intelligent robots.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impact of social intelligent robots on satisfaction and usage intentions based on users' experiences. It examined the influence of linguistic, visu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obots on user experiences, providing insights into how technological and human aspects of social intelligent robots interact to shape user satisfaction and usage intentions. Consequently, the study confirmed that social intelligent robots can bring positive changes to human life,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the advancement of robot technology in a human-centric direction.

      • KCI등재

        인공지능 안내 로봇의 디자인 특성이 사용자 태도와 장소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보영(Lee, Bo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2

        현대 사회에서 로봇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산업 현장을 넘어서 가정, 교육, 의료, 물류 등 일상생활의 다양한 분야에서 지능형 로봇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안내 로봇은 인건비 상승과 함께 비대면, 비접촉 트렌드가 가속화되면서 더욱 빠른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안내 로봇은 공공장소나 특정시설에서 방문객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길을 안내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로봇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점점 더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의 규모가 확장되고, 다양한 형태의 안내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과 시장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로봇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여러 과제가 남아있다. 사용자의 로봇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과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공공장소의 인공지능 안내 로봇의 디자인 특성이 사용자 태도와 장소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사용자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특히, 로봇의 디자인이 사용자의 수용성과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영향이 장소의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세가지 가설 분석을 통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공공장소 중 하나인 인천국제공항의 인공지능 안내 로봇을 경험한 이용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에 활용했으며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을 진행하여 로봇의 흥미성과 혁신성이 사용자 태도 및 장소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 태도는 브랜드 이미지와 강한 매개효과를 보인다는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이 연구를 통해 디자인 특성에 대한 더욱 복합적인 분석과 상호작용에 따른 사용자 태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추가적인 연구들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인공지능 로봇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로봇을 활용한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과 향후 안내 로봇의 효율적인 설계와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role of robots in modern society is increasingly important, expanding beyond industrial settings into various aspects of daily life such as homes, education, healthcare, and logistics. Particularly, guide robots are undergoing rapid commercialization due to the rise in labor costs and the acceleration of non-face-to-face, contactless trends. Guide robots provide services such as offering information to visitors or guiding them in public places or specific facilities. With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se service robots are becoming more proactive and intelligent, leading to an expansion in the market size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rms of guide robots. However, despite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market expansion, several challenges remain to effectively utilize and positively accept robots by users. Reducing user resistance to robots and developing user-friendly designs and interfaces are crucial task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guide robots in public places on user attitudes and the places brand image. The study specifically analyzed how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guide robots affect user attitudes and the places brand image. Through hypothesis testing,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design of robots significantly influences user acceptance and satisfaction and plays a mediating role in shaping the brand image of the place. For the research, 300 users who experienc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guide robot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one of South Koreas representative public places, were survey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were verifie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robots, particularly their novelty and innov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user attitudes and the places brand image, and user attitud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the brand image.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more comprehensive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and user attitude changes based on interactions. Through further research in these areas, more effective studi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nd design can be conducted, contributing to improving service quality using robots, enhancing user experience, and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efficient design and development of future guide robots.

      • SCIESCOPUSKCI등재

        Development of a Six-Axis Force/Moment Sensor with Rectangular Taper Beams for an Intelligent Robot

        Gab-Soon Kim 대한전기학회 2007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5 No.4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six-axis force/moment sensor with rectangular taper beams for an intelligent robot's wrist and ankle. In order to accurately push and pull an object with an intelligent robot's hand, and in order to safely walk with an intelligent robot's foot, the robot's wrist and ankle should measure three forces Fx, Fy, and Fz, and three moments Mx, My, and Mz simultaneously from the mounted six-axis force/moment sensor to the intelligent robot's wrist and ankle. Unfortunately, the developed six-axis force/moment sensor utilized in other industrial fields is not proper for an intelligent robot's wrist and ankle in the size and the rated output of the six-axis force/moment sensor. In this paper, the structure of a six-axis force/moment sensor with rectangular taper beams was newly modeled for an intelligent robot's wrist and ankle, and the sensing elements were designed by using the derived equations, following which the six-axis force/moment sensor was fabricated by attaching strain-gages on the sensing elements. Moreover, the characteristic test of the developed sensor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six-component force/moment sensor testing machine. The rated outputs from the derived equations agree well with those from the experiments. The interference error of the sensor is less than 2.87%.

      • KCI등재

        영상 예술에 나타난 인공지능(로봇) 양상 연구

        강성애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1 No.-

        This study examined a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in the visual arts by investigating animation, film, and TV drama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Korean video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work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as important material and work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holograms) as the main characters. In the ca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numerous works have focused on the powerful information-processing power of supercomputers. The work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holograms) as the main characters often have the theme of friendship or love with robots. Most of the works that do not are one-act plays, which are insufficient for in-depth discussion. In the Korean visual arts, artificial intelligence made the greatest appearance between 2016 and 2020,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effect of the 2016 Go match between AlphaGo and Lee Sedol. As for the subject matter, most of the works focus on lov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In contrast to the long history of artistic works expressing fears of robots in the West, the phenomenon whereby Korean films mainly us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s objects of melodramatic plots reflects the Korean public’s strong narrative desire for male-female relationship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이 글은 영상 예술에 나타난 인공지능(로봇) 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이에 인공지능(로봇)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TV 드라마 등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한국 영상물들은 크게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중요한 소재로 한 작품들, 인공지능 로봇(홀로그램)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으로 나눌 수있다.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소재로 한 경우 슈퍼컴퓨터가 갖는 막강한 정보력에집중한 작품들이 많았다. 인공지능 로봇(홀로그램)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들은로봇과의 우정이나 사랑을 주제로 한 경우가 많았다. 그렇지 않은 작품들은 대부분 단막극으로 깊은 논의를 하기엔 부족한 부분이 있다. 한국 영상 예술에서 인공지능은 시기적으로는 2016년에서 2020년 사이 가장 많이 만들어졌다. 이는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 영향으로 보인다. 소재로는 인공지능 로봇과의 사랑을 다룬 작품들이 가장 많다. 서양에서 로봇에대한 두려움을 표현했던 역사가 길었던 것과는 다르게 우리나라 영상물이 인공지능 로봇을 멜로의 대상으로 설정한 작품이 주를 이루는 현상은 다른 나라에비해 남녀 관계를 주된 내러티브 욕망으로 삼는 한국 대중의 욕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에서 지능형 로봇의 활용에 따른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 양상 및 차이

        최승연(Choi, Seung-Yeon),유구종(Yoo, Ku-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에서 지능형 로봇의 활용에 따른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 양상 및 차이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본 연구는 만 4, 5세 유아 20명으로 구성된 혼합연령 학급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계열설계(time-series design)방법을 사용하여, 한 집단에 처치를 하되 시간 계열에 따라 정기적으로 대상의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그 처치가 있기 전과 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3회에 걸친 반복 측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처치는 지능형 로봇의 단순기능의 활용과 지능형 로봇의 복합기능의 활용으로 설정하였으며 예비조사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의 적절성을 고려하여 블록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통합한 로봇통합영역을 운영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능형 로봇의 활용에 따른 개인적 내러티브 구조발달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능형 로봇에 따른 논리적 응집장치 사용의 경우 접속사 사용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용적 참조 사용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지능형 로봇의 활용에 따른 정신상태용어의 사용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가하여 시계열 설계 연구대상인 20명의 유아 중 무작위로 4명의 유아를 단순 무선 표집 하여, 단일대상 분석 유아로 선정하여 개별적 변화양상을 파악하였는데, 공통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놀이 리더일수록 개인적 내러티브 구조발달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ren’s personal narrative vari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intelligent robots during free-choice activities. The robot utilized in this study was “Genibo”, a pet puppy model, while the study tools for analyzing children’s personal narratives were the structure development level of personal narratives, logical coherence device(conjunctions, anaphoric reference), and the categorization of mentation terminologies. The repetitiv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setting while the children’s narratives were analyzed through video recording then transferred for analysis of the children’s narrative during the measurement. First,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variation patterns of the children’s personal narrative structure developmental level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the intelligent robots, the children’s personal narrative structure developmental level increased as the measurement degrees pass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changes in the children’s personal narrative structure developmental level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the intelligent robots. Second,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variation patterns of children’s logical coherence device usage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the intelligent robots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for the case of anaphoric reference even 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for the case of conjunctions.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tion patterns of children’s mentation terminology usage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the intelligent robo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usage of children’s mentation terminology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intelligent robots. Following such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utilization of intelligent robots in free-choice activities has a positive influence in the aspect of children’s personal narrative variation patterns, and that there was a need for proper utilization of intelligent robots in children education organizations.

      • KCI등재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법적책임과 선결과제에 관한 검토

        김현우(Kim Hyunwoo) 한국법학회 2022 법학연구 Vol.87 No.-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 산업의 발전은 우리 삶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최첨단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의 본격적인 등장을 앞두고 많은 기대와 우려가 뒤섞이고 있다. 물론 가까운 미래에 AI로봇이 인간을 지배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주장하는 학자들은 많지 않지만, 조만간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세상이 올 것이라고 전망하는 학자들은 수도 없이 많다. 그만큼 인공지능 산업은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인간과 동등한 능력을 지니거나 또는 특정 분야에서는 인간의 능력을 훨씬 뛰어넘는 로봇들이 조만간 등장하게 될 것이다. 그 중에서도 자율주행자동차는 인공지능 로봇의 대표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활성화는 인공지능 시스템이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발전을 해왔는지 보여주는 지표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종래의 가치관이 크게 변화하는 시점이 될 것이다. 또한 최근 인공지능을 탑재한 의료로봇의 수술성과는 의료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물론 여전히 의료로봇에 대한 관련법규를 재정비하고 이 로봇의 문제점에 대해서 꾸준히 논의해봐야 하는 상황이지만 이를 잘 보완한다면 의료분야에서 커다란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외에도 인공지능을 탑재한 변호사, 판사, 검사 등 법률전문 로봇 등이 등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되고 있다. 물론 단순히 인공지능만을 탑재한 로봇이 이러한 전문가들의 역할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실제로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다 줄 것인지는 쉽게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인공지능 로봇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 있다. 첫 번째, 인공지능 시스템의 성능도 중요하겠지만 이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결국 로봇에 대한 신뢰성이다. 우리 사회가 인간이 아닌 로봇을 전적으로 믿고 맡길 수 있는 신뢰성 확보에 대한 문제는 꽤 오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인공지능 시스템의 핵심은 빅데이터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무분별한 활용은 곧 국민들의 개인정보 침해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제는 AI로봇의 활성화로 인한 문제점과 선결과제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우리와 AI로봇이 공존하는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the AI industry is causing many changes in our lives. In particular, many expectations and concerns are mixed in the face of the full-scale emergence of robots equipped with state-of-the-art artificial intelligence. Of course, there are not many scholars who categorically claim that there will be an era in which AI robots dominate humans in the near future, but there are countless scholars who predict that sooner or later there will be a world in which humans and robots coexist. The AI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rapidly in recent years, and robots that have the same abilities as humans or, in certain areas, exceed human capabilities, will soon emerge. Among them, autonomous vehicles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type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The activation of autonomous vehicles will be an indicator of how much progress AI systems have made so far, which will mark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ventional values of AI systems. In addition, the recent surgical performance of medical robot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has caused a great wave in the medical community. Of course, we still have to refine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n medical robots and discuss the problems of these robots constantly, but if we complement them well, we can expect great progress in the medical field. In addition, it is predicted that legal robot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lawyers, judges, and prosecutors, may appear. Of course, there are voices of concern that robots equipped with simply artificial intelligence can completely replace the roles of these experts, but it is difficult to judge how they will actually affect our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re is something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for the acti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First, the performance of the AI system is important, but even more important is the reliability of the robot. It seems that it will take quite a long time to secure the reliability that our society can fully trust in non-human robots. Second, since the core of the AI system is big data, indiscriminate use of it may cause a problem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eople. Therefore, it is now time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problems and prerequisites caused by the activation of AI robots, and to seriously reflect and discuss the life in which we and AI robots co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