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명신(Kim, Myeongsin) 한국부모교육학회 2020 부모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은 어떠하며, 어린이집 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67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린이집교사들의 공감능력은 평균이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인지적공감이 정서적공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고,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mpathy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 infant and the infant, and how the empathy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affects the interaction with the infa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7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empathy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was above average, and cognitive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was relatively higher than emotional empath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mpathy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rd, the effect of the childcare teachers on empathy abi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examined and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data on how the empathy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will affect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also reveals factors that will increase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er education and related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empathy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 분석 연구

        최민수,김수정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이용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광주⋅전남지역 만 5세 유아 530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또한 그들의 아버지도 설문하여 양육태도, 코칭역량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와 왜도, 첨도를 파악하고, AMOS 22.0을 활용하여 측정모델과 구조회귀모델을 도출하여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버지의 긍정적양육태도, 아버지코칭역량, 유아자기조절능력은 유아공감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아버지의 부정적양육태도는 유아공감능력에 직접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미치나, 아버지 코칭역량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직접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유아의 공감능력에 대한 이론적 기초가 될 수 있고, 공감능력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함과 동시에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ffecting empathy ability of 5 - year - old infan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For that purpose, surveys were performed on 530 infants aged 5 years in Seoul, Gwangju and Chonnam districts, to study their empathy ability and self - control ability. Also, their father measured their rearing attitude and coaching 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SPSS 20.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skewness, kurtosis and AMOS 22.0 was used for the measured model and the structural regressing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bility of children’s empathy is directly affected by fa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father coaching ability, and infant self - regulat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father’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d no effect. Second, children’s self - control ability is directly influenced by fa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but father coaching ability did not affect children’s empathy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the empathy ability of the infant and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 in the future, and may be used as the empirical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policy.

      • KCI등재

        영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현남,방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3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among infant teachers empathy abil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toddler interaction an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empathy abil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up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o this end,frequency analysis, correla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the questionnaire materials of 294 infant class teachers who are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where 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a significant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all variables of infant teachers empathy ability & play teachingefficacy, and teacher-toddler interaction. Second, it is shown that infant teachers' empathy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are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toddler interaction and thetwo factors explain 46% of the interaction. It was predicted that both the cognitive empathy and the affective empathy, which are factorsof empathy abil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andthat a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among factors of play teaching efficacy has a meaningfulpositive impact on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 nationalsupport plan is expected to be arranged that divers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to promote the empathy ability and the play teaching efficacy, which are internal factors ofinfant teachers, and can be actively used at a child care site, in order to devise the qualitativeimprovement of teacher-toddler interaction at a child care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공감능력, 놀이교수 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294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빈도 분석과 상관 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은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을 46% 정도 설명하였고,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 모두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모두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놀이교수 효능감 요인 중 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영아교사의 내적 요인인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지원방안 마련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공감 능력, 정서조절 능력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은희(Park, Eun Hee),김정화(Kim, Jeong W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서 영아반 담임을 맡은 보육교사의 공감 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M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0세-만2세까지의 영아반 담임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중순부터 4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영아반 교사의 연령과 경력, 학력에 따라 50대 이상 교사는 정서적 공감과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이 높았고, 10년 이상 된 경력교사가 자기정서 및 타인정서조절 능력이 높았으며 대학원 졸업 이상의 교사가 인지적 공감 수준이 높았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공감 능력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며, 특히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모두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며, 특히 자기 정서조절과 타인 정서조절이 모두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아반 교사의 공감 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은 교사-영아 간의 모든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infants teachers affect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childcare center’s teacher who is in charge of infant class from 0 to 2 years old in a day care center in Jeollanam-do.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e study used emotional measuring tool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easures, and interaction measur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ge of the teac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motional empathy,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eacher s care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lf-emotions and other-emotion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teac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empathy. Second. The effect of teacher empath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analyzed. Teacher empath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effect of teache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analyzed. Teacher empath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 KCI등재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 경기도 군 직장 어린이집 유아 대상 -

        이미성(Lee Mi-Seong),조성심(Cho Sung-S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군 직장 어린이집에서 유아 공감능력을 발달시키는데 필요한 부모교육과 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군 가족 복지제도는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군부대 어린이집 직업군인 아버지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군인아버지의 일반적 배경 변인 중 병과와 계급에 따른 양육태도에서 거부적 태도와 전체 양육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군인 아버지의 애정적 태도와 유아 공감능력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유아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공감능력을 발달시키는 결정적인 유아기에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ing attitude of professional fathers liv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which the empathy counts influences child s empathy.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to have proper parenting attitude and recognize importance of parents role when the soldier fathers with their children perform their roles, especially as their children has developed empathy. 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hildcare centers in the military camp make use of for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50 professional fathers who were occupational nurseries of military units in the Gyeonggi-do. First, among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professional fat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of parenting according to the class and class in the attitude of rejection and overall parenting attitud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ffectional attitudes of professional fathers and the empathy of infants. Third, the rearing attitude of professional fathers of the occupational group was found to affect the infant empathy ability. Third, the professional father s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the infants empathy abilit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rofessional father s parenting attitude of the occupational group is very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아버지의 공감능력,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 유아의 공감능력의 관계

        김대윤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1

        이 연구는 모더니즘 시각의 대안적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는 홀리스틱 교육이 강조하는 ‘관계’를 핵심으로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를 근간으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는 목적이 있다. 조화로운 인간사회 회복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초석이 되는 유아의 ‘공감능력’ 향상 교육을 위해 생태학적 접근으로 미시적 영역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아버지의 공감능력과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이 유아의 공감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유아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변인으로 아버지의 어떠한 의사소통 유형이 효과가 있는지 매개검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유형은 유아의 공감능력과 상관이 있음이 규명되었고,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가장 본질적인 1차적 양육의 책임은 가정에 있음을 주장하는 의견에 힘을 실어준다. 이에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의 책임이 어린이집, 유치원과 같은 사회적 기관으로 치우쳐 있는 현대사회에서 아버지의 역할과 아버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아버지의 공감능력 향상교육 및 자녀와의 바른 의사소통 방법과 관련한 자녀양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

        박상희(Park Sang Hee),임영숙(Lim Yonug Su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공감능력 증진 활동이 유아 자기인식과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동화를 활용한 공감능력 증진 활동은 유아의 자기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동화를 활용한 공감능력 증진 활동은 유아의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도구는 유아 자기인식 검사도구로 외적 자기인식, 내적 자기인식, 사회적 자기인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6개 문항으로 권대원, 안현정(2018)에 의해 개발된 도구와 유아 감성지능에 대한 검사도구는 이승은, 이영석(2014)이 개발한 38문항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이 선정되었으며, 실험처치는 매주 3회씩, 6주(총 18회기)에 걸쳐 수행되었다. 유아의 공감능력 증진 활동은 동화를 들려준 후 6단계의 교수학습 활동이 적용되었으며, 1단계-인물 탐색하기, 2단계-감정 공감하여 이해하기, 3단계-또래와 정서 공유하기, 4단계-인물의 정서 표현하기, 5단계-역할 수행하기, 6단계-공감 내면화하기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 동화 18편과 유아 자기인식 및 감성지능 검사 도구가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동화를 활용한 공감능력 증진 활동은 유아의 자기인식 및 감성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iry-tales utilized empathic ability enhancement on young children’s self-recogn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 how does fairy-tales utilized empathic ability enhancement affect children’s self-recognition; how does fairy-tales utilized empathic ability enhancement affect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16 young children’s self-recognition assessment tools (Gwon, Dae-Won and An, Hyun-Jeoung, 2018) and 38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tools (Lee Seung-Eun and Lee, Yong-Seog, 2014) are used in this experiment. 16 self-recognition assessment tools consist of external self-recognition, internal self-recognition and social self-recogni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age of 5, and divided into two groups: 20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young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18 times, three times per a week for six weeks. After the group listened to the tale, the experiment was processed in teaching-learning six stages: 1. Browsing the characters, 2. Emotionally empathizing to understand, 3. Sharing emotions with peers, 4. Expressing the character’s emotion, 5. Performing a role, and 6. Internalizing the empathy. 18 fairy-tales and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s self-recogn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s the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fairy-tales utilized empathic ability enhanc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recogn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영아의 정서지능의 관계에서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김은아(Eun-Ah Kim),김종훈(Jong-Ho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공감능력,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공감능력,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 간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1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변인 간의 영향력은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경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양육행동과 영아의 정서지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영아의 정서지능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둘째,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영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내적인 정서지능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아의 정서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어머니의 공감능력 향상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부모프로그램과 상담프로그램이 지원되고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n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mothers empathy ability; it also examined the mediating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89 infants and mo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verify the structures and paths among the variables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empathy ability influenced parenting behavior and her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Also,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influenced her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it was observed that parenting behavior thus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the mothers empathy ability on her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mothers empathy ability and her parenting behavior we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her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upport and develop various parenting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ould improve the mothers empathy ability and parenting behavior to enhance her infants emotional recogni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은미(Eun-Mi Lee),김광용(Kwang-Yong K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경기, 울산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455명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 설문 조사하여 이 중 총 436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SPSS 23과 Amo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네 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확인되었다. 둘째, 교수창의성의 매개 효과는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 효과는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은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영유아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보육교사와 영유아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이영유아의 전인적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infant children's empathy and teacher's empathy through teaching creativ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To this end, 455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Ulsan were randomly sampled and surveyed, and a total of 436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using SPSS 23 and Amos 23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toddler inte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mong the four variabl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reativity was shown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path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g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he smooth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in the field of educat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holistic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모-자녀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모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희정,임정아,이혜원,김명식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7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0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ecreasing infant problem behaviors and improving mothers' sympathy abilities for the children with socal or emotional problems and their mothers. The subjects were 7 couples of infants(6-7 years old) and mothers living in J city(experimental group: 7 couples, control group: 7 couples). The program was practiced in 10 sessions a week. This program is composed of 4 courses(parent education, art therapy, video supervision and feedback).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mother-child art therapy program participatio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decreased. Withdrawl, depression·anxiety, social immaturity, attention problems and aggressive behaviors changed positively. Second, after mother-child art therapy program participation, their mothers' sympathy abilities were improved. Receptive communication, children’s permission of self-guidance, and sympathy abilities of them changed positively. Conclusively,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decreased and mothers’ sympathy abilities were increased. The limit and future task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정서적으로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특히 어머니를 치료대행자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유아의 문제행동이 감소되고 모의 공감능력이 향상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거주하는 만 6, 7세 유아와 그 어머니 7쌍(실험집단: 7쌍, 통제집단: 7쌍)이었다. 주 1회, 총 10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모-자녀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모교육, 미술치료, 비디오 슈퍼비전, 피드백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아동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성인-아동 상호작용의 공감척도(Measurement of Empathy in Adult-Child Interaction)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모-자녀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유아의 위축,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의 문제행동이 감소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모-자녀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의 모의 공감능력이 향상되었다. 모의 수용적 의사소통, 아동의 자기안내 허용, 개입의 공감능력이 증가하였다. 이 모-자녀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한 유아의 문제행동이 감소되었고, 모의 공감능력도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