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 연계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방은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연계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 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40명(실험집단 20/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그림책 연계 음악 감상활동을,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따른 생활주제 중심 음악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 연계 음악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전체와 조 망수용능력의 3개 하위요인인 타인의도 조망수용, 타인사고 조망수용, 타인감정 조망수용 모두에서 실험집단 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그림책 연계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 는 긍정적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그림책 연계 음악 감상활동 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on the perspective taking skills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an experimental group of 20 and a control group of 20) in classes of five-year-olds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a district of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nd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music activities about life themes in accordance with the Nuri curriculum.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fulfilled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the overall perspective taking skills and three subfactors that were perspective taking for others' intentions, perspective taking for others' thinking and perspective taking for others' feelings. It implies that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spective taking skills of the preschool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significant basic materials so that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ke good use of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with interest.

      • KCI등재

        사회참여예술의 공공성 확장을 위한 인터랙션 표현 방법 연구

        방은영,전지윤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6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art has continually expanded the way of expression, and the way of expressing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has also developed in various forms. However, the study of various expression methods rests only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bjective world of the artist and the audience. An artist should not only focus on personal ideas but also share his subjective interests with his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his society, and with the artistic responsibility and role to understand and share the contemporary society with the audience. However, the efforts of artists to expand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publicity of arts have been passive compared to the artists' efforts to expand their subjective expression. From this point of view, ‘Socially Engaged Art'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art and society is the most appropriate category for art to fulfill it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exert its influence.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the concept and expression method of 'Socially Engaged Art'.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Socially Engaged Art'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ublic art and analyzes th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ccording to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work.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tried to use AR-based interactive new media contents appropriately for audience, work, and interaction with society. <FINE DINING> is an interactive work that make audience to sympathize the artist's intended message about social issues. This study seeks to expand the expression method of 'Socially Engaged Ar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the work, and the interaction with society through the interaction work <FINE DINING> appropriately utilizing AR-based interactive new media contents. 뉴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예술은 그 표현의 방법을 지속적으로 확장해왔으며 관객과 소통하는 인터랙션 표현 방법 또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표현 방법의 연구는 주로 예술가의 주관적인 작품세계와 관객 간의 인터랙션에서 논의되어 왔다. 예술가는 개인적 발상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주관적 관심을 그가 속한 사회로 향해 사회적 문제에 공감하고 관객과 함께 동시대에 소속되어 있는 사회를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는 예술적 책임과 역할도 함께 해야 한다. 하지만 예술가의 사회적 책임과 예술의 공공성 확장에 대한 노력은 예술가의 주관적인 표현 확장을 위한 노력에 비해 소극적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참여예술’은 예술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고 그 영향력을 발휘하기에 적합한 범주일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참여예술’의 개념과 표현 방법을 우선 분류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공공예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회참여예술’을 제시하고 작품의 표현 방법에 따른 관객과의 인터랙션을 분석한다. 연구자는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AR 기반의 체감형 인터랙티브 뉴미디어 콘텐츠를 관객과 작품, 사회와 상호작용에 적절하게 활용하였다. 작품 <FINE DINING>은 인터랙션 작품으로 증강현실을 통해 사회적 문제에 대한 예술가의 의도된 메시지를 관객이 체감하게 한다. 본 연구는 AR 기반의 체감형 인터랙티브 뉴미디어 콘텐츠를 관객과 작품, 사회와 상호작용에 적절하게 활용한 인터랙션 작품 <FINE DINING>을 통해 사회참여예술의 표현 방법의 확장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음악-신체 연계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3세 유아의 음악개념 형성과정 탐색

        방은영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music concept of three-year-old young children’s during articulated music-body activ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ight selected Young Children’s in a class for western age 3 in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a district of Seoul. Articulated music-body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eight weeks, twice a week, 40 minutes each. The activities were recorded with a camcorder, and a qualitative study was implemented by piecing together the transcribed data of the recording file, the teaching plan and the individual interview data of the young children’s. As a result, there were several aspect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music concept of the young children’s: "diverse verbal expressions of what they sensibly understand and feel about music concept," "the elaborateness and fluency of physical expressions based on music concept," "the development of sensitivity to music concept," and "displaying continuing expectations for the articulated music-body activities and will to do them."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aid to suggest that the articulated music-body activities could be effective at formulating the music concept of young children’s and that physical activities should effectively be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music activities. 본 연구는 음악-신체 연계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3세 유아의 음악개념 형성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만 3세반 유아 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8주간 주 3회 각 30분씩 음악-신체 연계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음악-신체 연계활동 현장을 캠코더로 녹화하였으며 녹화파일을 전사한 자료와 함께 교육계획안 및 유아 개별 면담자료 등을 종합하여 질적 연구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유아들의 음악개념 형성과정에서는 ‘감각적으로 느끼는 음악개념에 대한 유아수준의 다양한 언어표현’, ‘음악개념에 기초한 신체표현의 정교함과 유창성’, ‘음악개념에 대한 민감성 발달’, ‘음악-신체 연계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기대감과 의지 보이기’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악-신체 연계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음악개념 형성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유아들을 위한 음악활동에서 신체활동이 효과적으로 연계되어 실시되어야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아의 음악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방은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6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young children's musicality development program and then examine its influence upon young children's musicality development. For this, the investigator analyzed young children's musical education-and musicality-related literature.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kindergarten musical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7 and carried out an examination on the actual status of musicality development program with kindergarten music teachers, thus composing a musicality development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composed musicality development program, the investigator applied it to five-year-old kindergarteners and then analyzed its influence upon young children's musicality development. Study findings show that young children's musicality development program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young children's musicality development. 본 연구는 유아의 음악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유아의 음악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음악교육 및 음악성 관련 문헌과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치원의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음악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음악성 계발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린이집 조직건강성과 영아 교사의 직무만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방은영,강미경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조직건강성, 영아교사의 직무 만족,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알 아보고,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과 영아교사의 직무 만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청북도, 경상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 영 아교사의 직무 만족,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어린이집 조직건강성 중 조직구조와 조직풍토, 교사의 능력, 영아교사의 직무 만족 중 근무환경과 인정 요인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을 개선하고,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과 보육교 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health of daycare centers, job satisfaction of infant teacher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 day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16 infant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buk-do, and Gyeongsang-do,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daycare centers, job satisfaction of infant teacher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at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atmosphere, teacher's ability, working environment, and recognition factors in job satisfaction of infant teachers had positive effect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 daycare centers. Thes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explore ways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하기’ 실행과정 탐색

        방은영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musicing"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ir "musicing," the changes of preschoolers experienced by them during the process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usic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 collec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after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carried out, and the teachers were asked to keep a journal. Besides, activity footages and photograph materials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king a constant comparis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musicing, music activities that they conducted were extended in terms of both content and method, and a habit to attempt linking everything and every situation with music activities and integrating them was formed. There was a change in their teaching methods, and they made efforts to apply knowledge of music teaching methods. Second, the change of the preschoolers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musicing were categorized into three: Young children who are outstanding musicians by instinct! Music activities in which every preschooler takes the initiative, and young children who actively get closer to their teachers to engage with them. Third, regard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usic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usicing was a crucial channel to integrate early childhood curriculums. It created a classroom where the children enjoyed making musical expressions all the time, and it rai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eacher roles in music activities. Finally, it accelerated the co-growth of the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musicing" could not on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usic ability but be instrumental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n axis of i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하기’ 실행과정 탐색을 통해 유아교사가 행하는 ‘음악하기’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음악하기 실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의 변화 및 음악하기가 지니는 유아교육에서의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집합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 연구방법으로는 참여관찰과 인터뷰, 그리고 교사 저널쓰기 및 구체적인 활동영상 및 사진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항시적 비교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악하기의 내용과 방법은 음악활동 내용과 방법의 확장, 모든 사물과 상황을 음악활동으로 연계하고 통합하려는 습관의 형성 및 교수방법의 변화, 그리고 음악교수법 관련 지식과 실제의 적용을 위한 노력이었다. 둘째, 유아교사가 음악하기 실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의 변화는 ‘유아! 본능적으로 탁월한 음악가’, ‘유아 모두가 음악의 주체가 되는 음악활동’, ‘교사에게 다가와 적극적인 관계를 맺는 아이들’ 이었으며 셋째, 음악하기가 지니는 유아교육에서의 교육적 의미는 ‘유아교육 과정의 통합을 위한 중요한 통로로서의 음악하기’,‘ 항상 음악표현을 즐기는 아이들의 교실’, ‘음악활동에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 인식’, 그리고 ‘유아와 교사가 함께 성장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하기’가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 뿐 아니라 의미 있는 유아교육의 한 축으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음악 감상활동을 통한 다문화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방은영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음악 감상활동을 통한 다문화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동작구에 소재한 D 유치원의 만 5세반두 학급(50명)으로 이중 한 학급을 실험집단(25명)으로, 다른 한 학급(25명)을 통제집단으로선정하여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는 감상활동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통제집단의 유아들에게는 다른 처치 없이 기존의 교육과정에 따른 활동을 실시하였다. 총 12주간의 실험처치 후유아들의 정서지능의 향상 여부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정서지능의 4개 하위요소 즉, 정서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 정서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요인 모두에서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음악 감상활동을 통한 다문화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유아 음악 교수매체로서의 자연물 활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방은영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9 음악교육공학 Vol.- No.9

        The field of young children's music education requires a plan for developing and using effectively the teaching medium for heightening learning effect in a diversified age. In particular, it will be said that it needs to remove the teaching medium in a music class limited to the existing musical instruments and try to use the natural object with the effective characteristic as a medium for teaching music. Thu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validity for using a natural object as an effectively teaching medium in young children's music education an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it. On using a natural object as a medium for teaching music, it mainly investigated, first, a principle for teaching and learning young children's musical activity by using a natural object, secondly, the characteristic of a natural object as a medium for teaching an young children's music, thirdly, music education sub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use of a natural object, fourthly, a music learning strategy through using a natural object as a medium for teaching an young children's music and, fifthly, a suggestion for using a natural object in young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the aspect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theories. And it also tried to make them the bases for a study through using them actually in the field of subsequent young children's music education.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방은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on the language expressiveness and musical attitud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20 selected 4-year-old young children from two classes in urban community and they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for 20 time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a language expressiveness test and a musical attitude test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were found to exert positive influences on the overall language expressiveness of the 4-year-old children, as well as on the sub-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vocabulary in use, the number of sentences, and the length of sentences. Second,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overall musical attitude of the 4-year-old children, and on the sub-factors, such as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music.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are effective at improving the language expressiveness and musical attitude of the preschool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early childhood teachers useful information on how to chang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for the better and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ctivities.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유치원의 4세 두 학급의 유아 20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을 20회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언어표현력 검사와 음악적 태도 검사를 실험 처치 전․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토리텔링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은 만 4세 유아의 언어표현력 전체 및 하위요소인 어휘 수, 문장 수, 문장의 길이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은 만 4세 유아의 음악적 태도 전체 및 하위요소인 탐색, 표현, 감상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음악적 태도의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스토리텔링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현장의 교사들에게 음악 감상 활동의 변화를 촉진하고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