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분석 연구: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강경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ba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focusing on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lifelong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First,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and the university ed 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e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 system, the education subject, and the curriculum. Secon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as follows. The space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in connection with online space and offline space. The university ed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to revitalize the learning using MOOC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the activation of the blended learning lecture for strengthening lifelong edu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subjects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in various generations from adolescence to old age. The university ed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 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as activ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activation of the generation community for strengt hening lifelong edu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types of learning of university ed ucation in the fourth ind 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the fusion compound learning of formal leaning and formal learning, formal learning and non-formal learning. The university ed 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a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usion compound class related to major class, liberal arts class and non-formal class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usion compound class related to university and local authority for activation of lifelong learning. Third, the capacity of professor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as follow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appeared as the teaching capacity of blended learning class, counseling capacity and development capacity of the fusion compound class(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the professor ba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토대로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평생교육, 대학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과 대학교육 패러다임은 교육제도, 교육주체, 교육과정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공간은 온라인 공간과 오프라인 공간의 연계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MOOC활용 학습의 활성화,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 강좌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대상은 청소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다양한 세대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세대공동체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학습 유형은 형식 학습과 형식 학습, 형식 학습과 비형식 학습의 융복합 학습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전공 강좌, 교양 강좌, 비교과 강좌 연계 융복합 강좌 개발․운영,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대학과 지역 기관 연계 융복합 강좌 개발․운영으로 나타났다. 셋째, 4차 산업혁명시대에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기의 대학교육에서 요구하는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은 블렌디드 러닝 강좌의 강의 역량, 상담 역량, 융복합 강좌(프로그램) 개발 역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토대로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김대식(Kim, Dae-Si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4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예측하고, 여기에 대비한 교육개혁이 필요하다는 선언과 지적이 무성하다. 이 주장들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교육 외적 환경을 교육개혁의 주요 요인으로 가정한다. 연구자는 4차 산업혁명을 교육이 바뀌어야 하는 요인이 아니라, 교육이 직면한 과제나 환경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4차 산업혁명을 위해 교육을 개혁하자는 논의 대 신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육이 여전히 지켜야할 정체성과 역할들을 검토하였다. 이런 작업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교육개혁 논리가 가지고 있는 도구주의적 한계를 극복하는 일환이다. 주지하듯이 한국의 초등교육은 19세기말 이래 보통교육과 무상의무교육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이런 정체성에 입각하여, 초등교육은 기초교과교육, 진로탐색, 시민성의 교 육, 생활교육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이런 초등교육 정체성과 역할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현재보다도 계층불평등이 심화되는 등, 인간다운 삶을 위한 최소한의 복지가 위협받을 가능성이 큰 시대이기 때문이다. 또한 위의 네 가지 초등교육의 역할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유효할 것으로 이해하였다. 왜냐하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인류가 다른 사람과 교류하며, 사회적 정치적 삶을 살아가는 것은 바뀌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초등교육에서 강화되어야 할 역할도 물론 있다. 그것은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구체적 삶의 모습과 사회 환경을 선택하고 결정하게 하는 시민성 교육이다. Recently, Many Researchers predict the com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emphasize the education reform that is prepared for this. These claims take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major factor in educational reform, not as a task or environment faced by education. Instead of discussing the reform of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 examined the identities and roles that education should still observ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work is part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instrumental educational reform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 all know,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has established the identity of ordinary education and free compulsory education. Based on this identity, elementary education played a role of basic curriculum, career search, civic education, and life education. The researchers felt that this identity of elementary education and its role should be maintain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 greater possibility that the minimum welfare for the human life is threatened, such as the stratified inequality is worsened. I also understood that the above four roles will be vali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caus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uman will interact with other people and live a social and political life. There is, of course, an additional role that elementary education has to pla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is the strengthening of civic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choose and decide the concrete life form and social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y should live.

      • KCI등재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

        김시월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관심 및 추천의도를 알아보고, 소비자교육에 대한 책임의 기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4차산업혁명에 대한 긍정적 인식 요인은 경제적 이익창출, 신뢰성과 안전성, 효율성과 편이성으로 명명하였고, 경제적 이익창출, 효율성과 편이성, 신뢰성과 안전성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차산업혁명에 대한 부정적 인식 요인은 일자리 감소 및 양극화, 소비자의 소외, 시스템 불안정 및 사 생활 침해 등으로 나타났으며, 4차산업혁명에 대한 관심과 추천의도는 긍정적이었다.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 육에 대한 책임 기대 요인은 정부 책임 교육 기대, 기업 책임 교육 기대로 나타났고,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 육 책임 기대의 차이는 주관적 견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요인별 4차산업혁명에 대 한 관심 및 추천의도,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자리 감소 및 양극화와 시스템 불안정 및 사생활 침해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관심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쳤고, 이것이 소비자교육에 대한 책임 기대 를 더 높였다. 주목할 것은 4차산업혁명 관련 인식 요인 중에서 소비자 소외는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 을 주어, 젊은 소비자의 소외 측면에서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의 당위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젊은 세대도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를 인 지하고 요구한 점, 4차산업혁명 관련 인식 요인 중에서 소비자 소외는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면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는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육 책 임 기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소비자별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를 객관적으로 잘 인식하게 하고, 명 확한 정보 및 지식 전달이 중요하다. 4차산업혁명의 기술적 변화를 고려하였을 때 취약계층 소비자들에 대한 소 비자교육이 필수적이며, 사회교육으로서 소비자교육의 중요하다. 이러한 면을 고려한 위드 코로나 시대에 4차산 업 혁명 관련 소비자교육의 지향점에 대한 재인식을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college student consumers, and examined the expectations of responsibility for consumer education. As a result, positive factor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named economic profit creation, reliability and safety, efficiency and convenience, and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economic profit creation, efficiency and convenience, reliability and safety. Negative factors of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job loss and polarization, alienation of consumers, system instability, and privacy infringement, and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positive. Responsibility expectations for consumer education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eared as government responsible education expectations and corporate responsible education expectations, and differences in consumer education expectation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ffered according to subjective vie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expectations, all factors except job loss, polarization, system instability, and privacy infringement affected consumer edu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recognition factor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alienation negatively influenced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howing the justification of education for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Focusing on these results, the younger generation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alienation negatively affects the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ince the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pectation of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objectively recogn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Considering the technical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education for vulnerable consumers is essential, and consumer education is important as social education. Considering this aspect, we look forward to rerecognition of the direction of consumer education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With Corona era.

      • KCI등재

        지식기반사회에서 공업교육 전문가가 인식하는 공업계열 전문대학의 역할과 기능

        오승균,김진수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elements of the function of the role of industrial college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by collecting and coming to an agreement of the opinions that its experts perceived. This research adopted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method, which is to collect and come to an agreement of the opinions of the 26 research panels. By this,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roles and functions which is needed to perform the role through 3 rounds, verified the priority of emphasis of the present and future through content validity ratio(CVR). The first round of Delphi method is constructed by the semi-constructed questionnaire for th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the panels by inductive method. The second round is to categorize the result of the first one into 5 role domains which are employment education, life long education, foundation education, college preparation education and humanity education, the functions into 7 domains, asked each category by Likert's 5 scale checklists, and statistically analyzed mean, medium, standard deviation, and quartile by SPSS 12.0. The third round is to statistically analyze mean, standard deviation, medium, content validity ratio(CVR), convergence, and concurrence to reassure the opinions of the panel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second one. The result on the role of Industrial college is summarized as follows. Validity is high in the order of employment education, foundation education, and life long education, but college preparation education is not valid. Physical function leading education such as ‘in-service visit and in-service training education’, and ‘licence acquiring education’, are now emphasized as the functions of employment education of industrial college, but ‘value and attitude of the job’, ‘employment counseling and job employment information’, ‘enforc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job and career education’, and ‘custom-made education connected with industry’ are estimated to be emphasized in the future. The functions of foundation education are emphasized in the order of ‘group involved with foundation’, ‘foundation mind and leadership education’, ‘foundation consulting’, ‘foundation support education’, and ‘enforc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for the future than for the present. As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clarifie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Industrial college. Follow up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the concrete curriculum of the level of college.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하여 지식기반사회에서 공업계열 전문대학의 역할과 기능을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과 26명의 델파이 패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하는 델파이 방법을 이용하여 공업계열 전문대학의 역할과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가를 3라운드에 걸쳐 현재와 향후에 대한 강조 우선 순위를 내용 타당도(CVR)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델파이 제1라운드는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로 패널들의 의견을 귀납적으로 내용 분석하였다. 제2 라운드는 제1라운드의 결과에 기초하여 취업교육, 평생교육, 창업교육, 진학교육, 인성교육 등과 5개의 역할 영역으로 범주화 하였고, 또한 각 역할에 대한 기능도 범주화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5단계 Likert 평정 척도에 의해 평균, 중앙값, 표준편차, 사분범위 등의 값을 SPSSWIN 12.0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제3라운드는 제2라운드의 결과에 기초하여 패널들의 의견을 재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내용 타당도(CVR), 합의도, 수렴도 등의 값을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 결과 공업계열 전문대학의 역할로서는 취업교육, 창업교육, 평생교육 등의 순으로 타당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진학교육은 공업계열 전문대학의 역할로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업계열 전문대학의 역할에 따른 취업교육의 기능으로서 현재는 ‘현장체험 및 현장실습 교육’, ‘자격증 취득 교육’ 등과 같이 신체적 기능 위주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나, 향후에는 ‘일의 가치와 태도’, ‘취업상담 및 직업·고용 정보 제공’, ‘의사소통능력강화’, ‘직업진로 교육’, ‘산업체와 연계한 맞춤형 교육’ 등과 같이 태도와 능력 중심의 교육인 정의적 및 심동적 교육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 역할의 기능으로서는 현재보다는 향후에 ‘창업관련 동아리’, ‘창업마인드 및 리더십 교육’, ‘창업컨설팅’, ‘창업지원(비즈쿨, 학교기업 등) 교육’, ‘의사소통능력 강화’ 등의 순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공업계열 전문대학의 역할과 기능의 구명으로 향후 대학 급별 수준에서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독일 부퍼탈 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의 교육 특성 및 그 의의

        김성준 ( Sung Joon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독일 산업디자인의 특성은 간결하면서도 명확한 기능성으로 대변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독일적 특성을 산업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도 잘 반영함과 동시에 사회가 요구하는 실무지향적 교육을 모범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독일 부퍼탈 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의 교육 특성을 연구하여 한국의 디자인 교육에 접목 가능한 의의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된 문헌조사를 통해 독일 산업디자인의 특성 및 독일 산업디자인 교육의 역사적 맥락과 일반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독일의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을 위해 부퍼탈 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의 교육과정을 대표 사례로 고찰하였다. 특히 교과목 구성 및 운영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고찰을 통해 한국 산업디자인 교육에 적용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독일 부퍼탈 대학교의 산업디자인학과는 디자인교육에 있어 기능주의적 접근에 근거한 다학제적 교육이라는 독일적 특성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적용하고 있었다. 동시에 실무적경험과 지식이 체계적으로 반영된 교육을 위해 산학협동의 활성화나 실습학기의 규정적 운영 등 다양한 형식의 실무지향적 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점들을 종합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 모형으로 ‘부퍼탈 모델’을 제시하여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었다. 이러한 독일 그리고 부퍼탈 대학교의 교육 특성이 즉각적으로 한국의 교육 현장에 접목되기에는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계적 과정을 통해 가치 있는 결과를 도출해야하는 디자인 영역의 본질적 특성을 고려할 때 부퍼탈 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의 사례는 전체를 조망하는 통합적 디자인 교육 관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적으로는 이러한 교육이 가능하게 한 ‘부퍼탈 모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German industrial design is represented by its simplicity and clear functiona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a meaning useful to Korea``s design education system by examining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f Wuppertal Industrial Design (UWID), a model case where the school not only implements the kind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 that society demands but also applies the very German-ness to its current industrial design curricula in an innovative way to move with the times. Under such objective, this paper carefully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German industrial design as well as the historical contex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Germa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researched in previous studies, and contemplates upon the industrial design curricula of UWID as a representative case for its analysis of the Germa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program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draw lessons applicable to Korea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an in-depth study on curriculum structure and operation in Germany. The research found that UWID has consistently fostered the German approach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with a functionalist basis and applied it to its design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s programs are very much practicality-oriented in many aspects; UWID boosts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and enforces practical training semesters to ensure that knowledge and experiences attainable in actual fields are systematically reflected in its education programs. All these are encompassed in the “Wuppertal Model” - the industrial design education model that UWID proposes, which makes its design programs more systematic. Even though a concrete study is further needed befor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UWID can be applied to schools in Korea, considering the essential attribute of the area of design where a systematic process will draw a meaningful outcome, UWID``s education program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provides comprehensive design curricula with a holistic view.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in-depth studies in the “Wuppertal model” - which enables such education possible - continue as a follow-up.

      • KCI등재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 국내 직업교육의 변천 과정 고찰

        김충환,문인영,박신희,김지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2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ow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training industrial workforce as a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NHRD) system has undergone a transition process in relation to the national economic, industri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First, how vocational education as an industrial workforce training system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Korea's economic environment, industrial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s; second,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role and importanc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hird, vocational education as a system for training industrial workforce and training workforce in science and engineering were analyzed differ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HRD model. To this e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papers, research reports, and thesis were investigated and classified by period, and major changes in vocational education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economic, industrial, and social issues and policies by peri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as the industry advanced, the level of vocational education increased and the scope expanded. Second, vocational education tended to shrink gradually after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 and especially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ended to decline after the national industry focused on light industry. Third, since the 1970s, the diversification of the NHRD and jobs has resulted in wage gap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which has increased the preference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avoided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addition, a NHRD model focusing on training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was proposed to compare the existing NHRD model focusing on overall vocational educ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NHRD needs to be subdivided into various fields or levels to derive a model and examine change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especiall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has declined due to large impacts on socio-cultural perception due to economic growth,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external shocks such as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long-term effort to change this perception is suggested to overcome the crisis of vocational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체제로서 산업인력양성을 위한 직업교육이 국가 경제 및 산업, 사회문화적 맥락과 어떤 관련성을 갖고 변천 과정을 거쳤는지를 파악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제 환경, 산업발달, 사회 변화에 따라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의 직업교육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둘째, 직업교육의 역할과 비중에 영향을 준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지, 셋째,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의 직업교육과 이공계 인력양성은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 관점에서 어떻게 다르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 논문, 연구보고서, 학위논문 등의 문헌을 조사하여 시대별로 구분하고 시대 별 경제, 산업, 사회적 이슈, 정책과 연관하여 직업교육의 주요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직업교육의 수준은 높아지고 범위는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직업교육은 제조업 산업 기반 이후 점점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중등직업교육은 경공업 중심의 국가 산업 이후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다양화 및 직업의 다양화로 학력 수준에 따른 임금 격차가 생겼고 이는 대학교육에 대한 선호를 높여 중등직업교육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공계 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춘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을 제안하여 직업교육 전반에 초점을 맞춘 기존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을 비교하였고, 국가인적자원개발을 다양한 분야나 수준별로 세분화하여 모형을 도출하고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연구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직업교육, 특히 중등단계 직업교육은 경제 성장과 교육열, 외환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사회문화적 인식에 큰 영향을 받아 쇠퇴해 왔으며, 직업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식을 바꾸려는 장기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오인탁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2 No.-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the characteristics from the first to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llenges and tasks of the fourth educational revolution. In general,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challenges to education. The author concludes that countries that actively respond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will lead the world. From the first to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common characteristics include the use of hydraulic, electric and electromagnetic power and the use of universal technologies for massp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This resulted in urbanism, management, standards, alienation, and depersonaliz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ructurally transcend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in its nature and function. While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was active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ntirely digitalized the social life of politics, religion, science, education and art, along with the progression of industry. In this wa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caused a fundamental changes of all life in form and color. Thus, a computerized society has become the home of education. The ‘fourth Educational Revolution’, through the influence and express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fundamentally renovating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newly establishes the nature of education. Individual resurrection, a positive education, a new map of learning, holistic learning, and microdegree are viewpoints opening up new horizons in education. The precondi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ourth Educational Revolution is the elimination of regulations and the guarantee of freedom. 이 논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에서 3차 산업혁명까지의 특징, 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성격, 4차 교육혁명의 도전과 과제. 전체적으로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특성 그리고 교육에 주는 도전과 과제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결론으로 산업혁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국가가 세계를 선도할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1차에서 3차 산업혁명까지는 전체적으로 수력, 전기력, 전자기력과 이를 이용한 다양한 범용기술들이 산업계 전반에 가져온 생산의 기계화, 대량화, 자율화 같은 변화가 공통적 특성으로 확인된다. 그리하여 도시집중, 경영, 표준, 소외, 사물화, 노동, 인권 같은 현상이 경제학과 산업계의 새로운 인식 관심으로 대두되었다, 4차 산업혁명은 그 성격과 기능이 3차 산업혁명을 구조적으로 초월하고있다. 3차 산업혁명이 산업계 안에서 준동한 반면에, 4차 산업혁명은 산업계를 포함하여 정치, 종교, 학문, 교육, 예술, 등 사회생활 전반을 디지털화하며 이로써 생활의 형태와 색깔의 근본적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그리하여 켬퓨터화된 사회가 교육의 집이 되었다. ‘4차 교육혁명’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표현을 딴 것인데, 교육의 본질을 새롭게 정립하면서 교육의 방법을 근본적으로 쇄신하고 있다. 개인의 부활, 긍정의 교육, 새로운 학습의 지도, 전체적 학습, 그리고 microdegree는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관점들이다. 4차 교육혁명의 성공적 이행의 전제조건은 규제의 철폐와 자유의 보장이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한국 평생교육: 역할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미식 한국동북아학회 2019 한국동북아논총 Vol.24 No.1

        In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has gone through many rapid changes. In particular, education as an institute of fostering future human resources, is expected to undergo more fundamental and 'disruptive' changes beca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demand different human resources from the ones in the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s. In this context, more attention is paid to lifelong education in that school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rapid social change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about. Lifelong education in Korea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o rigidly and hierarchically structured school education. Since then, however, lifelong education in Korea has not been well developed to fulfill the expectation set at the beginning.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moving forward at the fast speed, lifelong education is asked to play the role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more actively. Nevertheless, in Korea, no serious discussion is taking place on what kind of human resources lifelong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what kind of approaches it should take to make the direc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ore human-oriented. In this study, as an attempt to initiate this discussion, the author investigates w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ans, what features it has, and what roles education should play in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the author examines what kind of human resources lifelong education should develop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 specific, what abilities and capacities lifelong education should emphasize, and how differently lifelong education should approach to it. Lastly, the author figures out what problems lifelong education has to act as an important form of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what changes are needed to resolve them.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한국 사회도 빠르게 변화해가고 있다. 특히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미래의 인재를 키우는데 있어 중심적 역할을 담당해 온 교육은 무엇보다 훨씬 파괴적인 변화가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시작으로 한국에서는 지금까지 학교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끌지 못했던 평생교육에 새롭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 즉 보수적이며,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학교교육 체제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제4차 산업혁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상대적으로 변화에 좀 더 민첩하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평생교육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평생교육이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지, 그리고 그러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어떠한 준비가 필요한지 등에 대한 논의는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시작으로 평생교육은 제4차 산업혁명을 위해 어떠한 인재를 키워야 할지, 또한 이러한 인재를 성공적으로 키우기 위해 평생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 KCI등재후보

        중등교사임용시험 공업계열 교과교육학 문항분석

        고희령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임용시험에서 공업교과교육학 문항의 출제 경향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2학년도부터 2011학년도까지 공업계열(건설, 기계·금속, 전기·전자·통신, 화공·섬유) 임용시험 전공영역 평가 중 교과교육학 문항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교과교육학 출제 문항수와 배점 비율을 살펴 본 결과, 2002-2004학년도, 2005-2008학년도, 2009-2011학년도를 분기로 공업교과교육학의 비중이 증가하였으며, 최근 2010학년과 2011학년에는 출제 문항수와 배점이 모든 공업교과에서 통일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2-2011학년도까지 공업교과교육학 하위영역별 문항의 배점 비율을 분기별로 분석한 결과, 분기별로 교과교육학 관련 문항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공업교과교육학 하위영역의 문항들이 출제되었고, 최근에는 하위 영역들 중 2개 이상의 영역이 포함된 ‘복합’ 영역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아졌다. 셋째, 교수내용지식의 관점에서 2009-2011학년도까지 과학교과군(공통과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교과교육학 문항과 공업교과교육학 문항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수내용지식의 반영 비율이 공업교과군의 경우에 해마다 증가하고는 있으나, 과학교과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and make a better proposal. To achieve the purpose, all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which had taken an examination for ten times from the school year 2002 to the most recent year 2011,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number and score ratio of industrial education items had been increased quarterly from the school year 2002 to 2011, but had same sharing in all subjects and fixed since the school year 2010. Second, as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had been increased quarterly, they were taken from more various subcategory of industrial education. Recently,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on "complex domain" including two more subcategory of industrial education were increased. Third,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with science education items was compared from the school year 2009 to 2011. The items on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d been increased in the industrial education but the proportion of PCK was lower than scie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개념의 대학교·지역사회연계 산업디자인교육 수행 연구

        문찬(Moon, Char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방법론을 산업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넓은 인식과 표현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원리와 가치가 사회, 환경, 경제, 그리고 산업디자인교육에 있어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기반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속가능적 사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학교기업 설립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ESD교육을 대학의 전공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교육과 연계된 학교기업을 설립하는 목표의 기초연구이다. 4년제 대학교의 산업디자인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3학년 1학기와 2학기, 4학년 1, 2학기의 각각 한 강좌, 총 4개 강좌의 교과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업의 디자인 협력 대상은 지역주민과 자치단체이다. 이 연구는 학교가 지역과 유리된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 지역과의 소통을 통해서 현장교육 경험을 높여 나가는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의 영역 속에서 지역사회 관련 내용이 적절하게 용해되어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의 의미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들을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One of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methodology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other is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onfront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an society, environment, economic issues. As a resul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restoring its inherent principles and expanding its external values, has become encountered today with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mplementing ESD is primarily to share the values and cooperate together between education and School-based Enterprise. The current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offer Industrial design major class what is connecting with ESD. At the same time, another goal is establishing School-based Enterprise which is networking with education. This study is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four year course in university. The sustainable design course is start from spring semester of junior class to fall semester, junior and senior four class. Design corporation for local citizen and society of citizen autonomy. They pursuit integrated curriculum in which work and play are not distinguished and intend to educate real life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in the alternative schools are to pursue unified educational processwithout dividingwork and play.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방법론을 산업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넓은 인식과 표현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원리와 가치가 사회, 환경, 경제, 그리고 산업디자인교육에 있어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기반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속가능적 사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학교기업 설립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ESD교육을 대학의 전공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교육과 연계된 학교기업을 설립하는 목표의 기초연구이다. 4년제 대학교의 산업디자인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3학년 1학기와 2학기, 4학년 1, 2학기의 각각 한 강좌, 총 4개 강좌의 교과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업의 디자인 협력 대상은 지역주민과 자치단체이다. 이 연구는 학교가 지역과 유리된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 지역과의 소통을 통해서 현장교육 경험을 높여 나가는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의 영역 속에서 지역사회 관련 내용이 적절하게 용해되어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의 의미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들을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One of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methodology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other is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onfront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an society, environment, economic issues. As a resul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restoring its inherent principles and expanding its external values, has become encountered today with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mplementing ESD is primarily to share the values and cooperate together between education and School-based Enterprise. The current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offer Industrial design major class what is connecting with ESD. At the same time, another goal is establishing School-based Enterprise which is networking with education. This study is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four year course in university. The sustainable design course is start from spring semester of junior class to fall semester, junior and senior four class. Design corporation for local citizen and society of citizen autonomy. They pursuit integrated curriculum in which work and play are not distinguished and intend to educate real life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in the alternative schools are to pursue unified educational processwithout dividingwork and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