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의 역할

        신미식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4

        Recently, there have been strong needs not only from inside but also from outside that lifelong education should focus more on democratic civic education. Some scholars from the inside of lifelong education argue that although lifelong education expands a great deal, it fails to actualize lifelong learning society where all the learners enjoy their learning on an equal basis; it rather contributes to deeping inequality in learning opportunities among learners. Further, they suggest that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be the revitaliza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because democratic education is the only way to promote equality. social justice, and diversity needed to actualize lifelong learning society. Also, some scholars from the outside of lifelong education also held that as democracy in Korea is going backward, democratic civic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beyond schools, political organizations, and NGOs to the whole area of lifelong education. Despite these demands from inside and outside, lifelong education has yet to begin discussions of how democratic civic education could be revitalized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e author thinks that these discussions should be started as soon as possible and hopes that this study helps to get them started. For that purpose, in this study, first, the author tries to examine theoretically why and in what context lifelong education should revitalize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what relationship lifelong education has had with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Korea. Second, the author explores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Korea. Third, the author investigates what kinds of tasks lifelong education is confronted with in order to revitalize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Korea. 최근 들어 평생교육이 민주시민교육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 평생교육을 전공하는 일부 학자들은 평생교육이 한국에 도입된 이래 양적 성장은 이루었지만 평생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평생학습사회의 실현으로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평생교육이 평생학습사회 실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달리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 밖에서도 현재 민주주의가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민주주의의 유지, 발전을 위해 민주시민교육이 학교교육을 넘어 평생교육에까지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요구에도 불구하고 평생교육 내에서는 아직까지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논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 하에서, 평생교육이 왜 민주시민교육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고, 지금까지 평생교육 안팎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은 어떻게 다루어져 왔으며, 현재 어떠한 상황에 놓여 있고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평생교육 내에서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한국 평생교육: 역할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미식 한국동북아학회 2019 한국동북아논총 Vol.24 No.1

        In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has gone through many rapid changes. In particular, education as an institute of fostering future human resources, is expected to undergo more fundamental and 'disruptive' changes beca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demand different human resources from the ones in the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s. In this context, more attention is paid to lifelong education in that school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rapid social change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about. Lifelong education in Korea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o rigidly and hierarchically structured school education. Since then, however, lifelong education in Korea has not been well developed to fulfill the expectation set at the beginning.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moving forward at the fast speed, lifelong education is asked to play the role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more actively. Nevertheless, in Korea, no serious discussion is taking place on what kind of human resources lifelong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what kind of approaches it should take to make the direc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ore human-oriented. In this study, as an attempt to initiate this discussion, the author investigates w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ans, what features it has, and what roles education should play in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the author examines what kind of human resources lifelong education should develop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 specific, what abilities and capacities lifelong education should emphasize, and how differently lifelong education should approach to it. Lastly, the author figures out what problems lifelong education has to act as an important form of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what changes are needed to resolve them.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한국 사회도 빠르게 변화해가고 있다. 특히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미래의 인재를 키우는데 있어 중심적 역할을 담당해 온 교육은 무엇보다 훨씬 파괴적인 변화가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시작으로 한국에서는 지금까지 학교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끌지 못했던 평생교육에 새롭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 즉 보수적이며,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학교교육 체제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제4차 산업혁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상대적으로 변화에 좀 더 민첩하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평생교육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평생교육이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지, 그리고 그러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어떠한 준비가 필요한지 등에 대한 논의는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시작으로 평생교육은 제4차 산업혁명을 위해 어떠한 인재를 키워야 할지, 또한 이러한 인재를 성공적으로 키우기 위해 평생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 KCI등재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주민자치센터의 현황과 과제

        신미식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1

        In Korea, democracy is in crisis and accordingly, there is a strong need to strengthe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o fa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in the political arena but recently lifelong education becomes interested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re are many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but among them, the community centers can be the best place to strengthe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ecause it was established to promote the self-governing power of local citizens in the first pla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should be promoted but it should be different from oth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ich has focused on teaching democratic principles, values, and procedure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find ways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For that purpose, first the autho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func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centers, and furthermore the possibility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e author explor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which emphasizes the self-governing power of citizens, and based on them, tried to draw what feature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in Korea should emphasize. Third, the author attempts to fi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Lastly, the author tries to come up with tasks to be accomplished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최근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다는 위기감 속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다. 지금까지 민주시민교육은 정치적 영역에 속한다고 보고, 주로 정치학계에서 그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그러나 민주시민교육은 정치적 영역일 뿐만 아니라 교육적 영역이라는 점에서 최근에는 교육학계에서도 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평생교육 분야에서도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현재 지방자치의 발전과 함께 주민자치센터가 빠르게 평생학습센터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또한 원래 취지가 주민들의 자치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주민자치센터는 어느 평생교육 기관에 비해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좋은 여건에도 불구하고, 아직 주민자치센터는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주민자치센터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진단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서 가능성을 타진해보고, 나아가 주민자치센터의 원래의 취지인 주민들의 자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민주시민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며, 특히 주민자치센터의 민주시민교육이 어떠한 내용을 담아야 하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세대간교육 활성화와 대학의 역할: 청년세대와 노인세대를 중심으로

        신미식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2

        In Korea, the generational gap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has worsened in recent years and become a crucial social problem to be resolved for Korea to move forward. Unfortunately, since the extended family system has been replaced with a nuclear family system, it is harder for the young and the elderly to meet and understand each other. Therefore, it is urgent to provide them with an opportunity to receiv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the purpose of which focuses on promoting th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nd eventually building the solidarity between them. Although there are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offer intergenerational education for them, the university could be the best place for that purpose because the university has rich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and also, is the place where college students representing the young are gathered to study. In this study, the author claims that the university in Korea should play a more crucial role to promote intergerational education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and presents tasks for the university to tackle in order to promote ingergenerational education. In specific, first, the author explains why intergenerational education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should be promoted and why the university should take that role. Also, the author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intergenerational education that the universities offer in Korea. Second, the author investigates the cases of intergeneration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n western countries and tries to come up with the lessons that the university in Korea can learn from them. Third, the author tries to identify what tasks should be tackled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n Korea. 한국에서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계층 간의 갈등만큼 세대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물론 세대 간 갈등은 이전부터 있어왔지만 최근 들어 그 정도는 더욱 심해져, 현재는 모두가 좀 더 관심을 갖고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청년세대와 노인세대가 겪고 있는 갈등은 현재 한국 사회가 통합적인 사회로 나아가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필요한 것은 청년세대와 노인세대가 만나, 서로 소통하고, 서로에 대해 알아가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세대간교육의 활성화가 매우 필요해지고 있다. 세대간교육은 모든 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져야 하지만, 특히 청년세대와 노인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세대간교육일 경우, 가장 중요한 교육의 장은 대학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대학은 세대간교육을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갖추고 있고, 또한 청년세대를 대표하는 대학생들이 집중적으로 모여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청년세대와 노인세대에게 세대간교육이 왜 필요하며, 그 중추적인 역할을 왜 대학이 담당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한국과 달리 세대간교육이 활성화되어 있는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것에 토대하여 세대간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러한 문제를 해결해기 위해 대학이 담당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찾아보고 있다.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 비판적 노인교육을 중심으로

        신미식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4

        Older people in Korea have suffered from negative images: they have been portrayed as frail, dependent, and helpless; they are considered as main contributors to weaken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y are viewed as big burdens to younger people. Despite all these negative images, indeed, they still work hard for themselves and for the society, In this context, older people need to overcome the negative images imposed upon them, to become the subjects of their lives, to make voices for the issues related to them, and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other words, what they need is that they should empower themselves. There are many ways to do so but the most effective and surest way is education with the focus on empowerment. In Korea,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for older people but education for empowerment is not available yet. On the other hand, in western countries, critical educational gerontology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mpowering older people. In this study, first, the author tries to examine why older people in Korea need empowerment. Second, the author investigates whether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older peopl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mpowering older adults is available. Third, the author explores critical educational gerontology in depth to grasp i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Forth, the author attempts to find out whether critical educational gerontology can be feasible and w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vitalize it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older people in Korea. 한국에서 노인은 나약하고, 의존적이며,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존재, 혹은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거나 젊은 사람에게 부담이 되는 존재로 그려지면서 여전히 부정적 이미지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노인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 노인들이 정정당당한 삶의 주체로 거듭나서, 노인과 관련한 사안에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힘을 갖게 되는 것, 즉 임파워먼트되는 것이다. 노인의 임파워먼트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가능하지만 가장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교육을 통해서이다. 그러나 모든 교육이 노인의 임파워먼트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니고, 교육의 목적이 임파워먼트에 맞춰질 때만이 가능하다. 한국에서 평생교육의 발전으로 인해 노인교육은 양적으로는 많이 확대되었지만, 아직 노인의 임파워먼트에 초점을 맞춘 노인교육은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해 외국에서 노인들의 임파워먼트에 초점을 맞춰 발전해 온 비판적 노인교육을 살펴본 후, 비판적 노인교육이 한국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하고, 나아가 그 가능성이 실현되기 위해 해결되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 KCI등재

        일본노인교육의 현황, 특징, 문제점, 그리고 시사점

        신미식 한국동북아학회 2006 한국동북아논총 Vol.11 No.2

        A Study on Japanese Elderly Education 한국은 아주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어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령화되어 가는 사회에 대한 준비를 거의하지 않고 있다. 한국보다 훨씬 일찍 고령사회에 접어든 일본은 이미 오래 전부터 고령사회에 대한 대비를 차분히 해 오고 있다. 특히 일본 정부는 늘어나는 노인이 더 이상 사회의 소외자로 머물러 있지 않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그것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노인교육이 필요함을 깨닫고, 노인교육을 활성화해오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에서 일본이 왜 노인교육을 고령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관건으로 보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런 일본의 경험으로부터 한국의 노인교육은 어떤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지 알아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첫째, 일본 고령사회와 고령사회 속에서의 노인의 현황을 살펴보고, 노인들이 왜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일본정부는 왜 고령사회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서 노인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 노인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지금까지 어떠한 노력을 해오고 있는지, 노인교육을 실행하는 기관은 어떤 기관들이 있는지, 그리고 일본 노인교육의 특징과 문제점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셋째, 한국노인교육은 일본노인교육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지 알아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